KR101689709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709B1
KR101689709B1 KR1020150036927A KR20150036927A KR101689709B1 KR 101689709 B1 KR101689709 B1 KR 101689709B1 KR 1020150036927 A KR1020150036927 A KR 1020150036927A KR 20150036927 A KR20150036927 A KR 20150036927A KR 101689709 B1 KR101689709 B1 KR 10168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stopper
electromagnet
gear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785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102015003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방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찬장이 안착되는 지지구조물; 상기 지지구조물의 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제1렉기어부; 상기 지지구조물의 후측면에 대응되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렉기어부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을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가능한 제1스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물은, 내부에 찬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해 상하이동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 또는 상황에 맞게 싱크대 찬장의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찬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Height-adjustable sink cupboard}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찬장의 맨 위 선반에 올려놓은 물건도 상승 및 하강 리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찬장은 음식이나 그릇 따위를 넣어 두는 장으로서, 싱크대 위에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사람의 키에 맞추어 기준높이를 정하고, 그 높이로 제작되어 일반가정의 주방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지체장애인 또는 부상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높이 차로 인하여 싱크대를 이용한 설거지 등의 작업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상시 그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상적인 사람이 상주하거나 별도로 싱크대를 주문 제작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게다가, 설거지를 한 후에도, 찬장에 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찬장의 높이조절이 되는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714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구조물 내부에 싱크대 찬장이 안착되고, 제1구동부를 통해 상하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키 또는 상황에 맞게 싱크대 찬장의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찬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은, 전방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찬장이 안착되는 지지구조물; 상기 지지구조물의 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제1렉기어부; 상기 지지구조물의 후측면에 대응되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렉기어부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을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가능한 제1스톱부;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롤러와, 그 롤러의 양쪽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전진과 후퇴가능한 제2스톱부; 및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는 양쪽 벽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제2스톱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110)은, 내부에 찬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렉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모터가 지지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톱부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끝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구동전달부의 기어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1스톱퍼와, 상기 제1스톱퍼의 상부인 후측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자성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과,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며,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후측 벽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스톱퍼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톱퍼의 타단이 상기 구동전달부의 기어사이에 삽입되도록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롤러가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형성된 롤러안내홀과, 상기 롤러안내홀의 양쪽에 구비되고, 전진 되는 상기 제2스톱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렉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톱부가 전진 되면, 상기 제2스톱부의 끝단이 상기 제2렉기어부의 기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하이동이 중지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스톱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분리벽으로 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2공간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과,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에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공간으로 관통 돌출된 제2스톱퍼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2스톱퍼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스톱퍼의 타단이 제2전자석에 부착되며 상기 제2스톱퍼의 일단이 상기 제2렉기어의 기어 사이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가 수축되고, 상기 제2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수축된 상기 제2탄성부재가 팽창되어 상기 제2스톱퍼의 일단이 상기 제2렉기어의 기어 사이로 삽입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 또는 상황에 맞게 싱크대 찬장의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접근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찬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찬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측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의 지지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찬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측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의 지지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은 지지구조물(110), 제1렉기어부(120), 제1구동부(130), 제1스톱퍼(14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지구조물(110)은 전방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찬장(200)이 안착된다.
즉, 지지구조물(110)은, 내부에 찬장(200)이 안착되고, 후술할 제1구동부(130)를 통해 상하이동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된다.
제1렉기어부(120)는 지지구조물(110)의 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구동부(130)는 지지구조물(110)의 후측면에 대응되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제1렉기어부(120)에 기어결합되어 지지구조물(110)을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킨다.
이때, 제1구동부(130)는 제1모터(131)와, 구동전달부(132) 및 제1프레임(133)을 포함한다.
구동전달부(132)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렉기어부(120)에 기어결합된다.
제1프레임(133)은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제1모터(131)가 지지된다.
제1스톱부(140)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제1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가능하다.
또한, 제1스톱부(140)는 제1지지부(141)와, 제1스톱퍼(142)와, 제1전자석(143) 및 제1탄성부재(144)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141)는 제1프레임(133) 또는 후측 벽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지지부(141)가 후측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프레임(133)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스톱퍼(142)는 제1지지부(141)의 끝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구동전달부(132)의 기어 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된다.
제1전자석(143)은 제1스톱퍼(142)의 상부인 후측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자성이 발생된다.
제1탄성부재(144)는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며, 일단이 제1프레임(133) 또는 후측 벽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스톱퍼(142)에 결합되어 제1스톱퍼(142)의 타단이 구동전달부(132)의 기어 사이에 삽입되도록 수축 또는 팽창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탄성부재(144)가 제1스톱퍼(142)의 하부에 설치되면 제1전자석(143)에 자성이 가해지면 수착되고, 자성이 없어지면 팽창된다.
즉, 제1스톱퍼(142)는, 제1전자석(143)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스톱퍼(142)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1전자석(143)에 부착되는 동시에 제1스톱퍼(142)의 타단이 구동전달부(132)의 기어 사이에서 분리된다. 이때, 제1스톱퍼(142)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144)는, 제1스톱퍼(142)의 타단이 구동전달부(132)로부터 분리되며 제1전자석(143)에 부착되면 수축된다. 그리고, 제1전자석(14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팽창된 제1탄성부재(144)가 수축되어 제1스톱퍼(142)의 타단을 구동전달부(132)의 기어 사이로 삽입시켜 원위치시킨다. 이때, 지지구조물(110)의 상하이동이 중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200)은 롤러(150), 제2스톱부(160) 및 가이드부(170)를 더 포함한다.
롤러(150)는 지지구조물(1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제2스톱부(160)는 지지구조물(1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롤러(150)의 양쪽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다.
가이드부(170)는 지지구조물(110)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는 양쪽 벽면에 각각 설치되며, 롤러(150)가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제2스톱부(160)와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부(170)는, 롤러안내홀(171)과, 제2렉기어부(172)를 더 포함한다.
롤러안내홀(171)은 롤러(150)가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형성된다.
제2렉기어부(172)는 롤러안내홀(171)의 양쪽에 구비되고, 전진 되는 제2스톱부(160)의 일단이 삽입된다.
제2스톱부(160)가 전진 되면, 제2스톱부(160)의 끝단이 제2렉기어부(172)의 기어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구조물(110)의 상하이동이 중지된다. 반대로, 제2스톱부(160)가 후퇴되면 제2스톱부(160)의 끝단이 제2렉기어부(172)의 기어 사이에서 분리되어 지지구조물(110)의 상하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스톱부(160)는 케이스(161)와, 제2전자석(162)과, 제2스톱퍼(163)와, 제2탄성부재(164)를 포함한다.
케이스(161)는 지지구조물(1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분리벽으로 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된다.
제2전자석(162)은 케이스(161)의 제2공간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이 발생된다.
제2스톱퍼(163)는 케이스(161)의 제1공간에 구비되되, 일단이 케이스(16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제2공간으로 관통 돌출된다.
제2탄성부재(164)는 제1공간에 구비되며, 제2스톱퍼(163)를 탄성 지지한다.
즉 제2전자석(16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스톱퍼(163)의 타단이 제2전자석(162)에 부착되며 제2스톱퍼(163)의 일단이 제2렉기어(172)의 기어 사이에서 분리되고 제2탄성부재(164)가 수축되고, 제2전자석(162)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수축된 제2탄성부재(164)가 팽창되어 제2스톱퍼(163)의 일단이 제2렉기어(172)의 기어 사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지지구조물 120: 제1렉기어부
130: 제1구동부 131: 제1모터
132: 구동전달부 133: 제1프레임
140: 제1스톱부 141: 제1지지부
142: 제1스톱퍼 143: 제1전자석
144: 제1탄성부재 150: 롤러
160: 제2스톱부 161: 케이스
162: 제2전자석 163: 제2스톱퍼
164: 제2탄성부재 170: 가이드부
171: 롤러안내홀 172: 제2렉기어부
200: 찬장

Claims (6)

  1. 전방측면이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찬장이 안착되는 지지구조물(110);
    상기 지지구조물(110)의 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제1렉기어부(120);
    상기 지지구조물(110)의 후측면에 대응되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렉기어부(120)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지지구조물(110)을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키는 제1구동부(130);
    상기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가능한 제1스톱부(142);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롤러(150)와, 그 롤러의 양쪽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전진과 후퇴가능한 제2스톱부(160); 및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는 양쪽 벽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제2스톱부(16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110)은, 내부에 찬장(200)이 안착되고, 상기 제1구동부(130)를 통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130)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31)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제1렉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구동전달부(132) 및
    상기 후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모터가 지지되는 제1프레임(133)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부(140)는,
    상기 제1프레임(133) 또는 후측 벽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141)와,
    상기 제1지지부의 끝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구동전달부의 기어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제1스톱퍼(142)와,
    상기 제1스톱퍼의 상부인 후측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자성이 발생되는 제1전자석(143)과,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며,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33) 또는 후측 벽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스톱퍼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톱퍼(142)의 타단이 상기 구동전달부(132)의 기어사이에 삽입되도록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제1탄성부재(144)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70)는,
    상기 롤러(150)가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형성된 롤러안내홀(171)과,
    상기 롤러안내홀의 양쪽에 구비되고, 전진 되는 상기 제2스톱부(16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렉기어부(17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톱부(160)가 전진 되면, 상기 제2스톱부의 끝단이 상기 제2렉기어부(171)의 기어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하이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톱부(160)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고, 분리벽으로 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61)와,
    상기 케이스(161)의 제2공간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이 발생되는 제2전자석(162)과,
    상기 케이스(161)의 제1공간에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공간으로 관통 돌출된 제2스톱퍼(163)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2스톱퍼(163)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석(16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스톱퍼(163)의 타단이 제2전자석(162)에 부착되며 상기 제2스톱퍼의 일단이 상기 제2렉기어부(172)의 기어 사이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64)가 수축되고, 상기 제2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수축된 상기 제2탄성부재가 팽창되어 상기 제2스톱퍼의 일단이 상기 제2렉기어의 기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KR1020150036927A 2015-03-17 2015-03-17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KR10168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27A KR101689709B1 (ko) 2015-03-17 2015-03-17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927A KR101689709B1 (ko) 2015-03-17 2015-03-17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85A KR20160111785A (ko) 2016-09-27
KR101689709B1 true KR101689709B1 (ko) 2017-01-02

Family

ID=5710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927A KR101689709B1 (ko) 2015-03-17 2015-03-17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05B1 (ko) 2016-12-30 2018-07-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식 싱크대 상부장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541U (ko) * 1985-11-25 1987-06-04
JPS62116936U (ko) * 1986-01-17 1987-07-24
KR20010053963A (ko) * 1999-12-02 2001-07-02 윤종용 액정 모니터의 승강 장치
KR20080056484A (ko) * 2006-12-1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10137149A (ko) 2010-06-16 2011-12-22 (주)엔텍 주방용 가구의 높이조절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85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3479B (zh) 冰箱门和冰箱
KR100652583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CN105455660B (zh) 一种控制面板的上翻机构及应用有该上翻机构的蒸箱
KR100891739B1 (ko)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EP2465380B1 (en) Television cabinet
JP2018057812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WO2009024972A3 (en) A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baby mattress support and apparatus therefor
US10889970B2 (en) Sink tap structure moving up and down through cooperative operation with shelf moving up and down
JP2017524401A (ja) 家具の一部又は家庭用器具である棚のスライド回転機構、家具の一部、家庭用器具
KR20090129076A (ko) 냉장고
GB2398732A (en) Powere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drawers and doors
KR10168970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찬장
CN203828649U (zh) 具有升降功能的多功能锅具
WO2010020217A3 (de) Antriebseinheit mit blockiertem funktionselement für eine zentralverriegelung
JP6780016B2 (ja) 家具駆動装置
EP1630503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CN106196869B (zh) 抽屉滑动机构及具有其的冰箱
EP3240982B1 (en) Refrigerator
JP6976435B2 (ja) 家具用金具
CN108759272B (zh) 一种冰箱门体组件
US20220081949A1 (en)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20100056088A (ko) 차량용 암레스트
JP6333138B2 (ja) 加熱調理器
KR20170053768A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