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27B1 -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27B1
KR101689227B1 KR1020150135224A KR20150135224A KR101689227B1 KR 101689227 B1 KR101689227 B1 KR 101689227B1 KR 1020150135224 A KR1020150135224 A KR 1020150135224A KR 20150135224 A KR20150135224 A KR 20150135224A KR 101689227 B1 KR101689227 B1 KR 10168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ntrol signal
image
ca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순
오인열
안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젯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젯
Priority to KR102015013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커버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단말로 미러링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복잡한 무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 장치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말의 대형 화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기존보다 생동감 있고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어 기존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Mobile terminal case, display terminal and high spe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및 컨트롤러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모바일 단말의 영상이 미러링되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및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전송 또는 스마트 기기 및 다른 전자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 및 실용화 단계에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와 같은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NFC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통신을 위해 구글은 안드로이드에 안드로이드 빔 공유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에, 안드로이드 빔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뒷면을 맞대기만 하면, NFC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기기 간의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의 설정을 통해 안드로이드 빔을 활성화하고, NFC 기반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NFC 기반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스마트폰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NFC)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NFC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 간, 스마트 기기 및 다른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기반으로 한 장치 간 통신 방법은 무선 공유기 또는 AP(Access Point)를 매개로 하지 않고 기기 간에 직접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법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서는 기기 간의 테더링(Tethering)이 필요하고, 기존의 스마트 기기 간 또는 스마트 기기 및 전자 기기 간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서는 장치 간 연결을 위한 페어링(Pairing)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 간 데이터 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스템 구성 요소가 많아지고, 전력 소모가 크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최근에는 모바일 게임의 대상이 특별히 따로 있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연령층이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은 물론이고 카페 등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로 모바일 게임을 즐기시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로 게임을 해 본 사람은 전 세계 10억 명 이상이라는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중국은 빠르게 모바일 시장이 성장 중이며, 일본은 전체 게임 매출의 50%를 모바일 게임이 차지할 정도로 모바일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 중이다. 또한, 국내 모바일 시장은 2014년 모바일 게임의 점유율이 전년대비 3배 증가했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 카테고리에서 2015년 1~5월 동안 애플리케이션의 판매로만 8,578억 원의 매출이 발생해 전년 동기간 대비 45%나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IGAWorks 통계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급속하게 성장 중인 모바일 게임은 모바일 단말의 작은 화면에서 게임을 실행함과 동시에 화면을 이용해 게임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게임의 입력 또는 제어 방법이 단순해 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되어 모바일 게임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가 개발되었지만, 이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를 항시 챙겨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다.
KR 10-2013-01535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와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과 외부 장치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고,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의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의 대형 화면에서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컨트롤러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커버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단말로 미러링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개별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화면의 영상을 제어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된 화면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각각 매칭되어 배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 중 어느 특정좌표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모바일의 화면 전체를 커버하되,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 값 중 어느 특정좌표의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입력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화면의 영상을 제어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된 화면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제2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되,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미러링되어 상기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개별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입력 버튼이 구비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상기 무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각각 매칭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입력 버튼이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 값 중 어느 특정좌표의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입력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홈이 마련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홈 중 어느 노출홈이 마련된 특정좌표의 영역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어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에 유선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유선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상기 무선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유선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과 유선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은,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된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과 유선 연결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미러링된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모바일 단말이,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 단말에 상기 제1 영상이 미러링되어 상기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되,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복잡한 무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 장치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단말의 대형 화면에 미러링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기존보다 생동감 있고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모바일 단말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어 기존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단말의 무선 통신부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 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디스플레이 단말(200)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하에서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같은 외부 장치와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되, 모바일 단말(10)과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가 다른 외부 장치와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하고,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대형 화면에서 출력하고,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모바일 단말(10)의 컨트롤러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0),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은 스마트폰과 같은 데이터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되,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연결되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0)을 보호하되, 제1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10)로 전달하고, 제1 영상이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미러링되어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은 모바일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며, 제2 영상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에서 제1 영상이 미러링되어 출력되는 영상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유선 고속 영상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Format)의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고속 영상 데이터는 단일 채널 영상 신호, 다채널 영상 신호 및 양방향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단일 채널 영상 신호의 예로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과 MyDP(Mobility Display Port)를 들 수 있을 것이고, 다채널 영상신호의 예로는, Display Port와 HDMI를 들 수 있을 것이며, 양방향 데이터 신호의 예로는, USB 시리얼 신호(예를 들어, USB3.x 기반의 신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MHL, MyDP, Display Port, HDMI, US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므로, 이에 열거되지 않거나 아직 규정되거나 마련되지 않은 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0)이 영상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시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10)이 부담하는 트래픽(Traffic)은 증가하지만, 모바일 단말(10)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아닌 블루투스 이어폰,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모바일 단말 액세서리(Accessory) 또는 모바일 단말(10)의 주변기기로 구현하여도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연결은 필요하지 않다.
이밖에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무선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밖에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모바일 단말(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되,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연결되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신호 처리부(110), 통신부(12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 처리부(110)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단말로 미러링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110)는 PAL(Protocol adaptation layer)에 마련되거나 PAL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유선 고속 영상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1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의 제어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PAL(Protocol adaptation layer)은 PAL은 계층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간 계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Wi-Fi가 PAL로서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포트/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WDE(WiGig Display Extention)이 PAL로서 사용되고,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USB(universal serial bus)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WBE(WiGig Bus Extention)/WSE(WiGig Serial Extention)가 PAL로서 사용될수 있다.
첨언하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PAL로 전송되는 단일 채널 영상신호 중 출력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MHL 2.0 기반의 신호와 같이 혼합된 형태의 신호는,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분리한 후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채널 영상신호 중 출력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MHL 2.0 기반의 신호와 같이 혼합된 형태의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다시 결합하여 완전한 단일 채널 영상신호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단에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클럭 신호가 혼합되지 않은 단일 채널 영상신호, 다채널 영상 신호 또는 양방향 데이터 신호는 별도의 분리 없이,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바로 무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단에서도 별도의 합성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클럭 신호가 혼합되지 않은 단일 채널 영상신호, 다채널 영상신호 또는 양방향 데이터 신호의 예로는, MyDP 기반의 신호, Display Port 기반의 신호, HDMI 기반의 신호, USB 3.x 기반의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10)는 입력되는 신호의 구성 방식을 판단하고,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의 구성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통신부(120)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신호 처리부(110)가 수행한 신호 처리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mWave 및 Tera Hertz 대역과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한 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데이터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모바일 단말(1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제어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밖에 통신부(12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부(130)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0)에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커버부(130)가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부착되면, 신호 처리부(110)는 커버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1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10) 또는 모바일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30)는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어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밖에 커버부(13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전술한 신호 처리부(110), 통신부(120) 및 커버부(130) 이외에, 제1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배터리부(미도시), 제2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10)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배터리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에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배터리부(미도시)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배터리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내부 어느 곳이라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10)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후면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로 통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10)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유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동시에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배터리부(미도시)의 충전 역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연결 단자를 통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 또는 고속 전송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고, 이를 신호 처리부(110)에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사용자 장치의 유선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바로 무선화하여 유선과 100%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는 유선 또는 무선의 구분이 없이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사용자 장치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기존 유선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치의 설정 없이 플러그&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가 동작되고, 사용자 장치 간에 데이터가 무선 매체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무선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20) 및 영상 출력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미러링된 영상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무선 통신부(220)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무선 연결되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부(220)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한다.
연결 인터페이스는 단일 채널 영상 데이터, 다채널 영상 데이터, 양방향 채널 데이터의 유선 전송 커넥터이며, 일 예로는, MHL/MyDP/DP/HDMI/USB 커넥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통신부(120)가 마련되면, 시중에 판매되는 모바일 단말(10)과 영상 출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 무선 통신부(22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출력부(230)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영상 출력부(230)는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화면(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언하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전술한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20) 및 영상 출력부(230)를 제외하고도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된 사항들은 공지된 기술 또는 본 발명이 청구하는 권리범위에 포함되지 않음을 이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 간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신호 처리부(110)가 수행한 신호 처리를 기반으로 적어도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복수 개의 RF 송신기(121)와 하나의 RF 수신기(1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하나의 RF 송신기(221)와 복수 개의 RF 수신기(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20)의 RF 송신기(121) 및 무선 통신부(220)의 RF 송신기(221)는 데이터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통신부(120)의 RF 수신기(123) 및 무선 통신부(220)의 RF 수신기(223)는 데이터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의 구성 방식에 따라 통신부(120)의 RF 송신기(121) 및 무선 통신부(220)의 RF 송신기(221)와 통신부(120)의 RF 수신기(123) 및 무선 통신부(220)의 RF 수신기(223)가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구성되는 개수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MHL/MyDP/DisplayPort/HDMI/USB3.x 신호를 모두 지원하는 경우,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RF 송신기(121) 4개, RF 수신기(123) 1개를 포함할 수 있고,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RF 송신기(221) 1개, RF 수신기(223) 4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MHL 또는 MyDP만을 지원하는 경우,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하나의 RF 송신기(121)로 동작하고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하나의 RF 수신기(223)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Display Port/HDMI만을 지원하는 경우,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RF 송신기(121) 4개로 동작하고,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RF 수신기(223) 4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USB 3.0만을 지원하는 경우,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는 RF 송신기(121) 1개, RF 수신기(123) 1개로 동작하고,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RF 송신기(221) 1개, RF 수신기(223) 1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사용자 장치에서 전송되는 고속 유선 시리얼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RF 송신기(121 또는 2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기(123 또는 223)의 조합으로 동작하여 무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보조 신호로 이루어진 모든 입력 신호에 대해서 처리할 수 있으며, 시리얼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보조 신호는 종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는 제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RF 송신기(TX)와 제어 신호의 수신을 위한 RF 수신기(RX)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되는 제어 신호의 속도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mmWave 및 TeraHertz 대역)을 통한 고속의 무선 제어 신호 전송이 수행되거나 제2 주파수 대역(6GHz 이하의 대역)을 통한 저속의 무선 제어 신호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같은 외부 장치와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하고,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의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대형 화면에서 출력하고,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모바일 단말(10)의 컨트롤러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10),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동작 과정을 통하여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바일 단말(10)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상호 간에 유선 연결되고(S410), 모바일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415), 모바일 단말(10)에 제1 영상이 출력된다(S420).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이 상호 간의 무선 연결되면(S425),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제1 영상을 미러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유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430).
여기서 모바일 단말(10)이 전달하는 유선 데이터는 단일 채널 영상 신호, 다채널 영상 신호 및 양방향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유선 고속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전달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의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어(S435),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무선 데이터를 전달한다(S440).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445).
여기서 제2 영상은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에서 출력된 영상이다.
한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10) 또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값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450), 생성된 제어 신호를 모바일 단말(10)에 전달한다(S455).
여기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값이 입력되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10)은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제어하고(S460), 제어된 화면을 기반으로 새로운 영상 데이터(유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 전달한다(S465).
여기서 생성된 데이터는 일 예로 영상 데이터를 언급한 것일 뿐, 생성된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정보 처리장치 또는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고(S470),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47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제2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480).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단말(200)을 통해 미러링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즐기는 것보다 생동감 있고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제어하는 것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게임을 제어할 수 있어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를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는 입력 버튼(131), 센서(132) 및 탄성 부재(1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버튼(131)은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는 이를 센서로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입력 버튼(131)은 도 5와 같이 각각 다른 모양과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이 아닌 스틱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132)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탄성 부재(134)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흡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입력 버튼(131)의 하단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며, 입력 버튼(131)과 센서(132) 사이에는 탄성 부재(134)가 마련되어 물리력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입력 버튼(131)과 센서(132) 사이의 충돌로 인한 센서(132)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입력 버튼(131)은 서로 다른 입력 값이 설정되어 있어, 특정 입력 버튼(131)에 물리력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특정 입력 버튼(131)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신호 처리부(110)에 전달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10)는 전달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커버부(130)는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이 용이하게 마련되어 모바일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커버부(130)가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부착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10)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어 기존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이 구비된 커버부(130)를 통해 실제 컨트롤러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같은 컨트롤러 특유의 그립(Grip)을 느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모바일 단말(10),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동작 과정을 통하여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10)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즐기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세 개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두 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 모바일 단말(10)과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유선 연결된다(S705).
제1 모바일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S710), 화면에 제1 영상을 출력한다(S715)
또한, 두 개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연결되고(S720), 제1 모바일 단말(10)은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유선 데이터를 전달한다(S725).
여기서 유선 데이터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미러링하여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고속 유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전달된 데이터는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고(S730), 변환된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735).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740).
한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와 무선 연결된다(S745).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와는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도 무선 연결되지만, 이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직접적으로 무선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10)과 유선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와 무선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이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가 무선 데이터 통신의 중계기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첨언하면, 단순히 복수의 모바일 단말(10)이 각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과는 달리 하나의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중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를 제외한 다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단순한 컨트롤러 역할만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통신부(12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무선 통신부(220)에 걸리는 데이터 통신 트래픽의 부담을 절감시켜 무선 데이터 통신의 트래픽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직접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가 무선 통신 중계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개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이 무선 연결되면(S745),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은 각각의 사용자들에 의해 게임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값이 입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마련된 입력 버튼(131)을 통해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의 신호 처리부(110)는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750),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에 마련된 입력 버튼(131)을 통해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의 신호 처리부(110)는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755).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10)로 전달하고(S760),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 전달한다(S765).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는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시키고(S770), 구성 방식이 변환된 제어 신호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 전달한다(S775).
첨언하면,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신호 처리부(110)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구성 방식을 판단하고,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의 구성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통신부(120)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더 첨언하면,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에 개별적으로 센서가 장착된 입력 버튼(131)이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신호 처리부(110)에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만, 커버부(130)에 제1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의 특정좌표들에 개별적으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마련된 입력 버튼(131) 또는 노출 홈(133)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값이 화면을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에 입력되어 제1 모바일 단말(10)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커버부(130)에 제1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의 특정좌표들에 개별적으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마련된 입력 버튼(131) 또는 노출 홈(133)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모바일 단말(10)이 고속 유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유선으로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에 전달하고, 이는 별도로 마련된 모바일 단말의 신호 처리부(110)에 의해 다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과 유선으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 전달된다.
한편, 제1 모바일 단말(10)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각각 전달된 제어 신호들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제1 모바일 단말(10)의 제1 영상을 제어하면(S780), 제어된 모바일 단말(10)의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유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 전달한다(S785).
또한, 제1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며(S790), 변환된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793).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795).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이와 같이,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이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제어하는 것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게임을 제어할 수 있고, 한 명의 사용자가 게임을 할 때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동작 과정을 통하여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과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의 목적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같은 외부 장치와 페어링 절차 없이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선 연결되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하고,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의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의 대형 화면에서 출력하고,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모바일 단말(10)의 컨트롤러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미러링하여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10)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상호 간에 유선 연결되고(S910), 모바일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915), 모바일 단말(10)에 제1 영상이 출력된다(S920).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와 디스플레이 단말(200)이 상호 간의 무선 연결되면(S925),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200)에 제1 영상을 미러링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유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930).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전달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의해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어(S935),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무선 데이터를 전달한다(S940).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945).
여기서 제2 영상은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디스플레이 단말(200)에서 출력된 영상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10) 또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값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입력 값이 입력되어,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이 직접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950)는 점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값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을 참고하여 후술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10)은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제어하고(S960), 제어된 화면을 기반으로 새로운 영상 데이터(유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 전달한다(S965).
또한,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고(S970),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97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제2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980).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단말(200)을 통해 미러링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즐기는 것보다 생동감 있고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모바일 단말의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제어하는 것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게임을 제어할 수 있어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와는 다르게 모바일 단말(10)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며, 모바일 단말(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마련되되, 기설정된 특정좌표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물리력을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물리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특정좌표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13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a와 같이 우선, 본 실시예에 다른 커버부의 입력 버튼(131)은 커버부(130)가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복수로 마련되되,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각각 매칭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입력 버튼(131)이 마련된 각각의 특정좌표는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10b와 같이 각각의 입력 버튼(131)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튼(131-1)에 사용자가 물리력을 가하면, 물리력이 가해진 입력 버튼(131-1)이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 물리력을 가해 모바일 단말(10)에 입력 값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입력 버튼(131)과 모바일 단말(10) 사이에는 탄성 부재(134)가 마련되어 입력 버튼(131)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10)에 흠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값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역시,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의 구조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의 커버부(130)의 구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30)는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이 용이하게 마련되되, 특정좌표에 대응되는 화면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홈(13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화면에 복수의 특정좌표를 설정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화면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노출된 화면의 특정좌표의 위치 값을 개별적으로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화면의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는 개별적인 제어 신호들을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홈(133)은 개별적으로 기설정된 제어 신호들의 목적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노출홈(133)에 의해 노출된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 값을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10)이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은 터치스크린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어 기존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의 두께가 얇아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에서 탈착 시에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를 후면에 부착 가능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분실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가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어 기존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디스 플레이 단말 간의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를 이용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우선,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는 유선 연결된다(S1203).
제1 모바일 단말(10-1)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S1205), 화면에 제1 영상을 출력한다(S1210).
또한, 두 개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 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무선 연결되고(S1213), 제1 모바일 단말(10-1)은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유선 데이터를 전달한다(S1215).
그리고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전달된 데이터는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고(S1220), 변환된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1223).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1225).
한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다말(10-2)가 유선으로 연결되고(S1230),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와 무선 연결된다(S1233).
여기서,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 또는 디스플레이 단말(200)과 직접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가 무선 통신 중계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개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이 무선 연결되면(S1245), 각각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은 각각의 사용자들에 의해 게임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값이 입력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마련된 입력 버튼(131)을 통해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의 신호 처리부(110)는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1250),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에 마련된 입력 버튼(131)을 통해 입력 값이 입력되면,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의 신호 처리부(110)는 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255).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10-1)로 전달하고(S1260), 별도로 마련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 전달한다(S1265).
한편, 각각의 모바일 단말(10)은 커버부(130)에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의 특정좌표들에 개별적으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마련된 입력 버튼(131) 또는 노출 홈(1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값이 화면을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1)에 입력되어 제1 모바일 단말(10-1)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모바일 단말(10-1)은 커버부(130)에 제1 모바일 단말(10-1)의 화면의 특정좌표들에 개별적으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마련된 입력 버튼(131) 또는 노출 홈(133)이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값이 화면을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1)에 입력되면, 제1 모바일 단말(10-1)이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235).
제2 모바일 단말(10-2) 역시 커버부(130) 및 제2 모바일 단말(10-2)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240).
여기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는 모두 제1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지만,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라는 점을 인지하기 위해 각각의 제어 신호를 식별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제2 모바일 단말(10-2)에서 제2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제2 모바일 단말(10-2)과 유선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로 유선 통신을 통해 전달된다(S1243).
그리고 전달된 제2 제어 신호는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의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된다(S1245).
또한, 변환된 제2 제어 신호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2)에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 전달되며(S1250), 이는 다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의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된다(S1255).
그리고 변환된 제2 제어 신호는, 제1 모바일 단말(10-1)에 전달된다(S1260).
또한, 제1 모바일 단말(10-1)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각각 전달된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가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제1 모바일 단말(10-1)의 제1 영상을 제어하면(S1263), 제어된 모바일 단말(10)의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유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 전달한다(S1265).
여기서 첨언하면, 제2 모바일 단말(10-2)에서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는, 제1 모바일 단말(10-1)과 제2 모바일 단말(10-2)이 서로 페어링되어, 제2 모바일 단말(10-2)에서 제1 모바일 단말(10-1)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어 제1 모바일 단말(10-1)의 제1 영상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바일 단말(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에 의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며(S1270), 변환된 무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단말(200)로 전달된다(S1273).
그러면, 디스플레이 단말(200)은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을 출력한다(S1275).
본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이와 같이,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100)들이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게임을 제어하는 것보다 세밀하고 정교하게 게임을 제어할 수 있고, 한 명의 사용자가 게임을 할 때보다 흥미진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모바일 단말 100 :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110 : 신호 처리부 120 : 통신부
121 : RF 송신기(Tranmitter) 123 : RF 수신기(Receiver)
130 : 커버부 131 : 입력 버튼
132 : 센서 133 : 노출홈
134 : 탄성 부재 200 : 디스플레이 단말
210 : 제어부 220 : 무선 통신부
221 : RF 송신기(Tranmitter) 223 : RF 수신기(Receiver)
230 : 영상 출력부

Claims (21)

  1.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커버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단말로 미러링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개별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입력 버튼과 상기 센서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화면의 영상을 제어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된 화면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되지 않는 외부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무선 통신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변환된 제어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통신 중계기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각각 매칭되어 배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 중 어느 특정좌표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모바일의 화면 전체를 커버하되,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 값 중 어느 특정좌표의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입력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8.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화면의 영상을 제어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된 화면의 영상을 기반으로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10.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제1 영상을 미러링하여 제2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되,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미러링되어 상기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개별적으로 장착된 복수의 입력 버튼이 구비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입력 버튼과 상기 센서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상기 무선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에 전달된 제어 신호를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변환된 제어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통신 중계기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각각 매칭되어 배치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입력 버튼이 구비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 값 중 어느 특정좌표의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입력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특정좌표의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홈이 마련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홈 중 어느 노출홈이 마련된 특정좌표의 영역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17.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어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에 유선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유선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유선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는,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과 유선 연결된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좌표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입력 값이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영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20. 삭제
  21. 모바일 단말이,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 단말에 상기 제1 영상이 미러링되어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되,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값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을 보호하도록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플립커버 타입으로 마련되되, 복수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는 커버부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감지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통신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입력 버튼과 상기 센서 사이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제2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유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수신하면,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들 중에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와 상기 무선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가,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입력 버튼에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가 통신부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유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성 방식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변환된 제어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통신 중계기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150135224A 2015-09-24 2015-09-24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68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24A KR101689227B1 (ko) 2015-09-24 2015-09-24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24A KR101689227B1 (ko) 2015-09-24 2015-09-24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27B1 true KR101689227B1 (ko) 2017-01-03

Family

ID=5779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24A KR101689227B1 (ko) 2015-09-24 2015-09-24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91A1 (ko) * 2021-04-07 2022-10-13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컨트롤러를 이용한 터치단말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입력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터치단말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입력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1827A (ja) * 2012-10-01 2014-04-21 Canon Inc 操作受付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50032069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512364B1 (ko) * 2014-05-16 2015-04-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장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1827A (ja) * 2012-10-01 2014-04-21 Canon Inc 操作受付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50032069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512364B1 (ko) * 2014-05-16 2015-04-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장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91A1 (ko) * 2021-04-07 2022-10-13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컨트롤러를 이용한 터치단말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입력시스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터치단말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5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507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는 컴패니언 통신 디바이스 거동의 변경
US7865629B1 (en) Configurable connector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
KR102349716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86788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ed object gaming with proximity-based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
JP3173446U (ja) リモコン送信機
US10782799B2 (en) Smart pen pairing and connection
US9930708B2 (en) Method of reconnecting master device and slave device
EP2472804B1 (en) Terminal device, sound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702373B1 (ko) 고속 무선전송 기능을 갖는 무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hmd 장치
US9984024B2 (en) USB control circuit with built-in bypass function
CN113646828A (zh) 可在蓝牙低功耗(ble)模式下操作的游戏控制器
KR20160026483A (ko) 안테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10761333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sound transmis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20200186913A1 (en) Electronic Headset Accessory
KR101724342B1 (ko)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관없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KR101689227B1 (ko)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디스플레이 단말,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US20130017887A1 (en) Game Controller System
US10146728B2 (en) USB control circuit with built-in signal repeater circuit
KR20210017030A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RU2014101672A (ru) Проекционная клавиатура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KR10169368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hmd의 외부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0481722B2 (en) Touch device detachably connected to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intelligent device
JP6484353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9723638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ing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