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822B1 -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822B1
KR101688822B1 KR1020160043231A KR20160043231A KR101688822B1 KR 101688822 B1 KR101688822 B1 KR 101688822B1 KR 1020160043231 A KR1020160043231 A KR 1020160043231A KR 20160043231 A KR20160043231 A KR 20160043231A KR 101688822 B1 KR101688822 B1 KR 10168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terest
motion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효
김소의
임복출
이동범
Original Assignee
지니네트웍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니네트웍스(주) filed Critical 지니네트웍스(주)
Priority to KR102016004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및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SERVER,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PRODUCT INTEREST}
본 발명은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등과 같은 온라인 상점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상품이라 통칭함)를 구매하는 고객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상점은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온라인 상점에서 고객의 일련의 행위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을 검색하는 과정, 일부 상품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일부 상품들을 관심 상품으로 등록하는 과정,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하는 과정 등이 데이터 형태로 기록되기 때문에, 판매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 또는 선호도(이하, 관심도로 통칭함)를 분석하기는 어렵지 않다.
다만, 오프라인 상점에서는 고객의 일련의 행위들이 데이터 형태로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POS(Point of Sales) 등에서 집계되는 매출(sales) 데이터를 기초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다만, 상품에 대한 매출 데이터는 해당 상품에 대한 관심도 뿐만 아니라, 해당 상품의 특성, 해당 고객의 구매 패턴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매출 데이터와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프라인 상점에 방문한 고객을 관찰하여 상점에 전시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였다.
다만, 관찰에 의한 방법은 측정이 필요한 상품별/지역별로 사람을 교육, 배치 및 근무시켜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중 신제품이 출시되거나, 이벤트 또는 프로모션이 빈번하게 수행되는 업종(리테일 등)의 경우, 상시 또는 즉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을 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객이 자신이 관찰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자신의 선호 및 취향과는 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는 데이터의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백화점 명품샵 등의 경우 관찰 및 추적 등이 사생활 침해 등의 프라이버시(privacy) 이슈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는 해당 상품의 매출 뿐만 아니라 상점의 매출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상점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상품들 각각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확인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고객 관찰 방법 외에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조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만짐, 착용 등에 따라 해당 상품들에 발생하는 움직임(motion)을 기초로 해당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은,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및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점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수집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 수집 장치가 수집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발신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 움직임 시간, 움직임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횟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제1 무선 신호와 연이은 제2 무선 신호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횟수 및 상기 움직임 시간은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횟수,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시간,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점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요청되면,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표출 정보를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점의 상품들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표출 정보를 상기 상점의 판매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및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발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관심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 정보,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횟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움직임 횟수 산출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하는 움직임 시간 산출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제1 무선 신호와 연이은 제2 무선 신호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움직임 주기 산출부, 상기 수신된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를 산출하는 움직임 크기 산출부; 및 상기 수신된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를 산출하는 움직임 거리 산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움직임 횟수 및 상기 움직임 시간은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움직임 횟수,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시간,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가중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표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점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요청되면,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표출 정보를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점의 상품들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표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표출 정보를 상기 상점의 판매자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점에 전시 중인 복수의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면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는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인건비 대비 적은 비용으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중 신제품이 출시되거나, 이벤트 또는 프로모션이 빈번하게 수행되는 업종(리테일 등)의 경우에도, 상시 또는 즉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개입, 불편함 및 불쾌함이 전혀 없이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한 고객의 쇼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태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한 고객의 쇼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여기서, 오프라인 상점은 상품을 판매하는 마트, 커피숍, 옷가게, 백화점, 구두가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고객은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할 수 있다(Step 1). 그리고, 고객은 상점 내부에 전시 중인 상품들을 구경할 수 있다(Step 2).
그리고, 고객은 전시 중인 복수의 상품들 중 관심있는 상품을 만져보거나 또는 착용해보는 등 관심 상품에 특정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Step 3). 즉, 고객은 전시 중인 복수의 상품들 중 관심있는 상품에 어떤 행위를 가할 수 있고, 관심없는 상품에는 어떤 행위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고객이 특정 옷에 관심 있는 경우, 고객은 해당 옷의 원단을 만져보거나, 해당 옷의 가격택에 기재된 가격을 확인하거나, 해당 옷의 원단택에 기재된 원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특정 옷에 큰 관심을 가지는 경우, 고객은 해당 옷을 탈의실에서 착용한 후 거울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이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면, 해당 상품의 결제를 대기하고(Step 4), 결제를 수행한 후(Step 5), 해당 상점을 나갈 수 있다(Step 6). 다만, 고객이 어떠한 상품도 구매하지 않은 경우, 해당 고객은 결제 과정 없이 해당 상점을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고객의 쇼핑 과정에서 상품을 만지는 행위, 상품을 시착하는 행위 등은 고객이 해당 상품에 관심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진다.
고객의 관심도가 높은 상품을 많이 확보하여 판매하는 것은, 해당 관심 상품에 대한 매출 뿐만 아니라, 상점 방문 고객의 수를 증가시켜 다른 상품에 대한 매출도 키울 수 있기에, 판매자 입장에서는 상점에서 전시, 판매 중인 복수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측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점에 전시, 판매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1000)은 복수의 상품(10-1,10-2,..10-n : 10)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00-1,..100-n : 100),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복수의 상품(10) 각각에 태그(tag)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품(10)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상품(10-1)에 대한 고객의 만짐, 시착 등에 따라 특정 상품(10-1)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motion)이 발생하면, 특정 상품(10-1)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100-1)는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0) 각각을 식별 가능하게하는 무선 통신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의 시간 정보,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Wi-Fi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등일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00) 각각과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과 같은 상점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00) 각각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기 설정된 수 이상의 무선 신호가 수집되면,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10)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품들(10)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100)가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10)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면 1의 Step 3과 같이, 고객이 전시 중인 복수의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만지거나 또는 착용하면, 상기 특정 상품에는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해당 상품의 움직임 횟수, 해당 상품의 움직임 시간, 해당 상품의 움직임 주기, 해당 상품의 움직임 크기, 해당 상품의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의 움직임 횟수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는 많을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적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는 적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움직임 횟수는 모든 움직임을 합한 총 움직임 횟수, 상품 움직임 횟수를 일별로 평균한 평균 움직임 횟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의 움직임 시간은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클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적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은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움직임 시간은 모든 움직임에 따른 시간을 합한 총 움직임 시간, 모든 움직임에 따른 시간을 평균한 평균 움직임 시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의 움직임 주기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연이은 움직임 사이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평균 움직임 주기는 짧을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적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평균 움직임 주기는 길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움직임 주기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주기를 합한 총 움직임 주기, 모든 움직임에 따른 주기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주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의 움직임 크기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움직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는 클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적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움직임 크기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크기를 합한 총 움직임 크기, 모든 움직임에 따른 크기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크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의 움직임 거리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움직임에 따라 상품이 이동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는 클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적은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움직임 거리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거리를 합한 총 움직임 거리, 모든 움직임에 따른 거리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거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해당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그 자체를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심도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관심도 값을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이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현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와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 가능한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1000)은 상기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관심도 제공 시스템(2000)은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 고객의 단말 장치(400),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도 2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관심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표출 정보를 요청측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점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 장치(400)로부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요청되면, 특정 상품에 대한 표출 정보를 고객의 단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상점의 복수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측정된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표출 정보를 요청측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된 표출 정보를 상점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단말 장치(400)는 상점을 이용하는 고객이 구비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는 상점의 주인, 종업원, 매니저 등과 같은 판매자가 구비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는 상점의 상품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수집, 처리해 주는 POS(Point Of Sales)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 및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전원부(110), 움직임 감지부(120), 무선 신호 발신부(130), 제어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RF 통신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10)는 슈퍼-커패시터, 리튬 이온 배터리, 울트라-배터리(ultra-battery) 또는 울트라-커패시터(ultra-capacitor)와 같은 재충전이 가능한 전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20)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의 만짐 또는 착용 등에 따라 특정 상품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상기 특정 상품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100)에는 특정 상품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임 감지부(120)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움직임의 크기, 움직임 거리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감지부(120)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모션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감지부(120)에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 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의 시간 정보,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 식별 정보 무선 신호 시간 정보
(시:분:초)
움직임 크기 정보 움직임 거리 정보
ID 1 12:00:00 10 3
ID 2 13:00:00 15 5
여기서,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전원부(110), 움직임 감지부(120), 무선 신호 발신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움직임 감지부(120)에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신호를 발신하도록 무선 신호 발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무선 신호 포함될 정보의 종류를 결정하고,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도록 무선 신호 발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100)는 상품에 부착, 구비, 또는 설치되어야하기 때문에, 소형의 태그(tag)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만짐 또는 착용 등에 따라 해당 상품들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면, 상품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100)는 상품에 부착, 구비, 또는 설치되어야하기 때문에, 소형의 태그(tag)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100)의 무선 신호 발신부(13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 표출 정보 생성부(340), 제어부(3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들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100)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발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점에는 무선 통신 장치(100)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10)는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로부터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320)는 복수의 상점 각각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해당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320)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상점 식별 정보 상품 식별 정보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
상점 1
상품 A ID 1
상품 B ID 2
상점 2
상품 C ID 3
상품 D ID 4
또한, 저장부(320)는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320)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식별 정보 재고 정보(단위 : 갯수)
상품 A 10
상품 B 15
또한,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가 측정되면, 저장부(320)는 측정된 관심도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그 자체일 수 있다.
또는,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관심도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320)는 ,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100-1,..100-3)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320)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들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무선 신호를 발신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의 움직임 횟수, 해당 상품의 움직임 시간, 해당 상품의 움직임 주기, 해당 상품의 움직임 크기, 해당 상품의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움직임 횟수 산출부(331), 움직임 시간 산출부(333), 움직임 주기 산출부(335), 움직임 크기 산출부(337), 움직임 거리 산출부(339)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횟수 산출부(331)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발생한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횟수 산출부(331)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무선 신호의 수신 횟수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상품 움직임 횟수는 모든 움직임을 합한 총 움직임 횟수, 상품 움직임 횟수를 일별로 평균한 평균 움직임 횟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시간 산출부(333)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발생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시간 산출부(333)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무선 신호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상품 움직임 시간은 모든 움직임에 따른 시간을 합한 총 움직임 시간, 모든 움직임에 따른 시간을 평균한 평균 움직임 시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주기 산출부(335)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연이은 상품 움직임 사이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주기 산출부(335)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제1 무선 신호의 종료 시점과 연이은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제2 무선 신호의 시작 시점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움직임 주기 산출부(335)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제1 무선 신호에 포함된 무선 신호 시간 정보와 연이은 상품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제2 무선 신호에 포함된 무선 신호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무선 신호와 연이은 제2 무선 신호 간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상품 움직임 주기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주기를 합한 총 움직임 주기, 모든 움직임에 따른 주기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주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크기 산출부(337)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움직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크기 산출부(337)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움직임 크기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크기를 합한 총 움직임 크기, 모든 움직임에 따른 크기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크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거리 산출부(339)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발생한 움직임에 따라 상품이 이동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거리 산출부(337)는 상품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상품 움직임 거리는 모든 움직임에 따른 거리를 합한 총 움직임 거리, 모든 움직임에 따른 거리를 평균한 평균 움직임 거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고객들의 구매 패턴, 고객들의 행동 성향 등을 고려할 때,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는 해당 상품의 총 움직임 횟수, 해당 상품의 총 움직임 시간, 해당 상품의 평균 움직임 주기, 해당 상품의 평균 움직임 주기, 해당 상품의 평균 움직임 크기, 해당 상품의 평균 움직임 거리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해당 값들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상품 움직임 횟수 및 상품 움직임 시간에 대해서는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품 움직임 주기, 상품 움직임 크기 및 상품 움직인 거리에 대해서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는 산출된 상품 움직임 횟수, 상품 움직임 시간, 상품 움직임 주기, 상품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그 자체일 수 있다.
또는,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상품 관심도 측정부(330)에서 산출된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관심도 값일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고객들의 구매 패턴, 고객들의 행동 성향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최적의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는 해당 상품의 움직임 횟수와 연관성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상품의 움직임 주기, 그 다음으로 상품의 움직임 시간이기 때문에, 상품 움직임 횟수에 대한 가중치 값이 가장 클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표출 정보 생성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출 정보 생성부(340)는 숫자, 기호, 도형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관심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출 정보는, 도 7(a)와 같이,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그 자체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출 정보는, 도 7(b)와 같이,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상품의 움직임 횟수, 상품의 움직임 시간, 상품의 움직임 주기, 상품의 움직임 크기, 상품의 움직임 거리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관심도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출 정보가 고객의 단말 장치(400),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에 제공되면, 고객의 단말 장치(400), 판매자의 단말 장치(500)는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점에 방문한 고객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전에 해당 상품에 대한 다른 고객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해당 상품의 정보, 예를 들어, 바코드, QR 코드 등과 같은 코드 정보 등을 자신의 단말 장치(400)에 입력할 수 있고, 단말 장치(400)는 입력된 상품 정보를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요청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 장치(400)는 요청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점을 관리하는 판매자는 자신의 상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는 상점의 정보 등을 자신의 단말 장치(500)에 입력할 수 있고, 단말 장치(500)는 입력된 상점 정보를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해당 상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단말 장치(500)는 해당 상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에 대한 고객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만짐, 시착 등에 따라 상품들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S101). 여기서, 무선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의 시간 정보,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신호 수집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100) 각각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S102)하고, 수집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103).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S103). 이러한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발신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검출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S202).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 움직임 시간, 움직임 주기, 움직임 크기,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S203). 이러한 S203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300)는 산출된 값들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S204).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점에 전시 중인 복수의 상품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면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고,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는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인건비 대비 적은 비용으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중 신제품이 출시되거나, 이벤트 또는 프로모션이 빈번하게 수행되는 업종(리테일 등)의 경우에도, 상시 또는 즉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개입, 불편함 및 불쾌함이 전혀 없이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무선 통신 장치 200 : 무선 신호 수집 장치
300 :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400 : 고객 단말 장치
500 : 판매자 단말 장치

Claims (22)

  1.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및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발신된 무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수집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 수집 장치가 수집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발신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 움직임 시간, 움직임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횟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제1 무선 신호와 연이은 제2 무선 신호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횟수 및 상기 움직임 시간은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는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횟수,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시간,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점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요청되면,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표출 정보를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의 상품들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표출 정보를 상기 상점의 판매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14.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에 있어서,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의 식별 정보 및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행위에 따라 해당 상품에 움직임(motion)이 발생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하면, 상기 발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관심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 정보,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 및 상기 고객의 행위에 따른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횟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움직임 횟수 산출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의 시간 구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시간을 산출하는 움직임 시간 산출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제1 무선 신호와 연이은 제2 무선 신호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주기를 산출하는 움직임 주기 산출부;
    상기 수신된 상품 움직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크기를 산출하는 움직임 크기 산출부; 및
    상기 수신된 상품 움직임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움직임 거리를 산출하는 움직임 거리 산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움직임 횟수 및 상기 움직임 시간은 누적값을 산출하고,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는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측정부는,
    상기 움직임 횟수, 상기 움직임 주기, 상기 움직임 시간, 상기 움직임 크기 및 상기 움직임 거리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가중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관심도에 대응되는 표출 정보를 표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점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점에 전시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요청되면,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표출 정보를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점의 상품들에 대한 재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관심도와 재고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출 정보를 생성하는 표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표출 정보를 상기 상점의 판매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2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60043231A 2016-04-08 2016-04-08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8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31A KR101688822B1 (ko) 2016-04-08 2016-04-08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31A KR101688822B1 (ko) 2016-04-08 2016-04-08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822B1 true KR101688822B1 (ko) 2016-12-22

Family

ID=5772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231A KR101688822B1 (ko) 2016-04-08 2016-04-08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1906A (zh) * 2018-03-19 2018-09-04 北方民族大学 一种服务器和可采集商品关注度数据的购物系统
KR102230991B1 (ko) * 2019-09-24 2021-03-23 허해연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기반 고객행동분석 및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모션 식별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36A (ko) * 2004-08-23 2004-09-10 안재명 매장 관리 시스템
KR20150120887A (ko) * 2014-04-18 2015-10-28 (주)하우투메리 위치 기반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36A (ko) * 2004-08-23 2004-09-10 안재명 매장 관리 시스템
KR20150120887A (ko) * 2014-04-18 2015-10-28 (주)하우투메리 위치 기반 고객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1906A (zh) * 2018-03-19 2018-09-04 北方民族大学 一种服务器和可采集商品关注度数据的购物系统
KR102230991B1 (ko) * 2019-09-24 2021-03-23 허해연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기반 고객행동분석 및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모션 식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060771A1 (ko) * 2019-09-24 2021-04-01 허해연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기반 고객행동분석 및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모션 식별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910B2 (en) Passive analysis of shopping behavior in a physical shopping area using shopping carts and shopping trays
US119724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cking customer interaction
US10497036B2 (en) Customer shopping help system
US96932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using wireless data and other geographical location data
US11113734B2 (en) Generating leads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at brick-and-mortar stores
WO2020023293A1 (en) System for dynamic smart cart content notifications
US109432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heckout using RFID motion triggered tags
US20160117726A1 (en) Tracking, storing, and analyzing abandonment pattern data to improve marketing tools available on a network-based e-commerce system
US20170046774A1 (en) Payment assistance device, payment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JP65806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物品提供システム
US20160358195A1 (en) Method To Generate A Consumer Interest Spatial Map,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Movements Of Multiple Devices In A Defined Location
US20200126125A1 (en) Automated delivery of temporally limited targeted offers
KR20160086033A (ko) 고객 정보 관리 장치, 고객 정보 관리 방법,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90130429A1 (en) Customized activity-based reward generation
US20160232559A1 (en) Coup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oup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20230169549A1 (en) Systems for determining customer interest in goods
WO20171121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directing product offer content to consumers
KR101688822B1 (ko) 상품 관심도 측정 방법, 상품 관심도 측정 서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113889A (ja)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JP2014052759A (ja) 購買行動収集システム及び購買行動収集方法
EP42767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794679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0218327A (ja) サービス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
US20210158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oorspace measurement
JP2021022410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