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96B1 - Many purpose tongs - Google Patents
Many purpose tong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8796B1 KR101688796B1 KR1020150108033A KR20150108033A KR101688796B1 KR 101688796 B1 KR101688796 B1 KR 101688796B1 KR 1020150108033 A KR1020150108033 A KR 1020150108033A KR 20150108033 A KR20150108033 A KR 20150108033A KR 101688796 B1 KR101688796 B1 KR 1016887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clamping member
- clamping
- members
- press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6—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쌍의 집게 부재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교차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악력이 아닌 집게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압부재가 양측으로 벌어져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집게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gri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gripper which allows a pair of gripper members to be fixed crosswise around a central ax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orceps that allows a user to do the same.
집게는 빨래를 하고 각종 의류를 빨래줄에 걸어 놓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X'자형의 사출물에 금속재의 링상 스프링을 결합하여 그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일측의 집게 입구가 개구 및 압압되게 하므로서 의류등을 빨래줄에 걸어 놓는데 사용하는 것이다.The tongs are used for washing clothes and hanging various kinds of clothes on a washing line. Mostly, by attaching a ring spring of a metal material to an 'X' shaped injection material,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causes the opening of one of the clamps to be opened and pressed Clothes and so on.
또한, 각종 전시물품 및 소품이나 서류등을 한데 묶어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집게를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various exhibition products, small articles, documents, and the like are bundled together and fixed, they are more easily used by using the forceps.
그러나, 전기한 통상의 집게는 양측이 분리된 합성수지상의 사출물을 각각 구비한 상태에서 이를 중첩하여 별도의 스프링을 삽입하여야 완성되므로 비교적 조립에 필요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면서도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tongue is completed by inserting separate springs in the state that the two sides are provided with the injection-molded products on the separated synthetic resin, the time required for assembling is relatively long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
또한, 종래의 집게는 사용자의 악력을 이용하여 가압을 하게 되면 상기 스프리이 탈리되어 집게가 부러지거나 스프링에 의해 무리한 악력을 가해야 집게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력이 약한 미성년자나 여성들이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내측에 물건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톱니형상으로 사출되면 집게로 옷 등을 가압하였을 때 톱니무늬가 그대로 옷에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tongs are pressurized by using the grip of the user, the tongs are broken and the tongs are broken or the tongs are forced by the spring so that the tongs can be opened. And when the knife is injected in a saw-tooth shape so as to fix an object on the inn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w tooth remains on the clothes when the clothes are pressed by the tongs.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집게부재에 각각 포함된 끼움홈을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별도의 고정부재없이 끼워넣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집게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가압함으로서 가압부재가 양측으로 벌어져 물건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amp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gripper which moves the clamping member upward and downward to press the clamping member so that the clamping member can spread to both sides to fix the clamping member.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일자형의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서 물건에 대한 가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flat pressing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against the article can be increased by forming a large area of the pressing por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집게부재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X"자 형으로 결합되는 다용도 집게에 있어서,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purpose gripper in which a pair of clamp members are coupled with an "X"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와;A pressing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as to press the object;
상기 가압부재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파지를 편리하도록 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And a gripping member which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member and which facilitates gripping by a user,
상기 가압부재는 물건에 끼워질때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악력없이도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ressing member can be opened to both sides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pressing member is fitted to the object without the user's gripping fo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재는 외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물건이 끼워질때마다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와;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rging member is curved outwardly and has elasticity to give an elastic force each time the object is inserted;
상기 탄성부로부터 절곡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ressing portion bent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press the objec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는 서로 맞닿는 면적이 넓을수록 가압력이 커지므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has a flat shape because the pressing force increases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essing portions increases,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재는 끝단부에 탄성부쪽을 향하여 둥글게 휘어진 걸림부를 더 포함함으로서, 상기 걸림부에 빨래줄이나 물건의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locking part which is bent at an end of the pressing member toward the elastic part so that a part of the clothesline or the object can be hooked on the locking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하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가압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can be spread to both sides by a force applied up and d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한쌍의 집게부재는 중심축의 일측에 끼움홈을 더 포함하며,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clamping members further include fitting grooves on one side of the central axis,
상기 집게 부재와 다른 집게부재의 끼움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로 끼워넣기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lamping members of the clamping members ar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so as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by this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집게에 있어서, 가압부재가 둥글게 호형상을 이루어져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서 중심축에 고정된 한쌍의 가압부재가 상하이동만으로 양측으로 벌어져 악력이 약한 미성년자나 여성들의 사용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끝단이 둥글게 휘어져 있어 빨래줄이나 물건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n the multipurpos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to a circular arc shape to give an elastic force so that a pair of pressing members fixed to the central axis can spread to both sides only by moving up and down to make the use of minors and women with weak grip And the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rounded, so that a laundry string or a product can be caught.
또한, 본 발명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쌍의 집게부재에 포함된 끼움홈과 다른 끼움홈을 마주보는 상태로 끼워어 고정시킴으로서 별도의 스프링이 없으므로 조립이 간편하며, 생산원가 및 제작원가가 현저시 감소되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tting groove included in a pair of clamping members pivoting about a central axis is fitted and fixed in a state of facing another fitting groove, so that there is no separate spring, so that it is easy to assemble and production cost and production cost are remarkably reduced Which is very economical.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용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용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g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집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용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용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urpose gri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purpose g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purpose g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g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g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집게부재(1,1')가 중심축(30,30')을 중심으로 교차되어 "X"자 형상으로 결합되며, As shown in FIGS. 1 to 5, a pair of clamping members 1, 1 'are coupled in an "X" shape
상기 집게부재(1,1')는 탄성력이 부여되어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10,10')와, 상기 가압부재(10,1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파지를 편리하게 하는 파지부재(20,20')와,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축(30,30')을 포함한다. The clamping member (1, 1 ')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10, 1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an object, and a pressing member And a
한편, 상기 중심축(30,30')의 일측에는 끼움홈(40,40')이 구비됨으로서 집게부재(10)이 끼움홈(40)과 다른 집게부재(10')의 끼움홈(40')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끼워넣기 방식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집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가압부재(10,10')의 크기를 파지부재(20,20')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재(10,10')로 하여금 탄성력을 더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는 상기 중심축(30,3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집게부재가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가 각가 하트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집게부재는 가압부재(10,10'), 중심축(30,30') 및 파지부재(20,20') 순으로 위치하며, More specifically, one clamping member is positioned in the order of the
상기 가압부재(10,10')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물건이 끼워질때마다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1,11')와, 상기 탄성부(11,11')로부터 절곡되며 일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부(12,12')와, 상기 가압부(12,12')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11,11')쪽으로 둥글게 휘어진 걸림부(13,13')를 포함한다. The
상기 파지부재(20,20')는 상기 가입부재(10,10')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입부재(10,10')의 탄성부(11,11')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21')와, 상기 절곡부(21,21')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말린듯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22,22')를 포함한다. The gripping
상기 중심축(30,30')은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30,30')와 높이는 상기 가압부재(10,10') 및 파지부재(20,20')의 넓이의 2분의 1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30,30')의 외주면에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중심축(30,30')의 일측에는 끼움홈(40,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가압부재(10,10')와 파지부재(20,2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20,2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편리하게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이 각가의 집게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집게부재에 포함된 끼움홈(40)과 다른 집게부재에 포함된 끼움홈(40')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X자 형상으로 끼워넣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clamping members has an X-shaped shape at a position where the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파지부재(20,20')를 파지한 채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을 향하여 상하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11,11')가 둥글게 절곡되어 물건의 부드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력에 의해 물건의 두께만큼 자연스레 양측으로 벌어져 옷이나 수건 또는 물건을 가압부(12,12')의 내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부(12,12')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서 별도의 톱니문양없이도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user completes the coupl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ping
상기 가압부(12,12')의 내측으로 물건의 유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래줄이 상기 가압부(12,12')의 끝단에 위치한 걸림부(13,13')에 걸림으로서 집게를 잡아당기지 않는한 물건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inflow of the articles into the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s far as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10,10' : 가압부재
11,11' : 탄성부
12,12' : 가압부
13,13' : 걸림부
20,20' : 파지부재
21,21' : 절곡부
22,22' : 제2걸림부10, 10 ': pressing member
11, 11 ': elastic part
12, 12 '
13, 13 '
20, 20 ': grip member
21 and 21 '
22, 22 ': second engaging portion
Claims (6)
제1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며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재와;
일측이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를 상호 "X"자 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며, 사용자의 파지를 편리하도록 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물건에 끼워질때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악력없이도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 중심축 및 파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집게부재의 중심축 및 상기 제2 집게부재의 중심축이 상호 맞닿도록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의 가압부재는 상호 맞닿게 되고,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의 파지부재는 상호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가 “X”자 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A multipurpose gripper in which a first clamping member and a second clamping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member comprises:
A pressing member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bent in a first direction and capable of pressing an object;
A center shaf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first and second clamp members to each other in an "X "
And a gripp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shaft and curved so as to be ben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to be able to spread to both sides without the user's gripp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pressing member is fitted to the object,
The pressing member, the central shaft and the hold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member are engaged such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lamp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ripping members of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member are brought into mutual abutment so that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member are fixedly coupled with the " X " A multi-purpose tongs.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상기 중심축의 일측과 연결되고, 외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물건이 끼워질때마다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타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물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member has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enter shaft at one side and curved outward and giving an elastic force each time the object is inserted.
And a pressing part b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o press the object.
상기 가압부는 서로 맞닿는 면적이 넓을수록 가압력이 커지므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has a flat shape because the pressing force is increase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essing portions increases,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가압부재는 끝단부에 탄성부쪽을 향하여 둥글게 휘어진 걸림부를 더 포함함으로서, 상기 걸림부에 빨래줄이나 물건의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hook portion which is bent at an end portion toward a side of the elastic portion so that a part of the laundry string or a product can be hooked on the hook portion.
상기 가압부재는 상하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가압부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mber allows the pressing portion to spread toward both sides by a force applied up and down.
상기 제1 집게부재 및 상기 제2 집게부재 각각은 중심축의 일측에 끼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집게부재와 상기 제2 집게부재의 끼움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로 끼워넣기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members further includes a fitting groove at one side of the center axi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members are fixed in a fitting manner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grooves of the first clamping member and the second clamping member face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033A KR101688796B1 (en) | 2015-07-30 | 2015-07-30 | Many purpose to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033A KR101688796B1 (en) | 2015-07-30 | 2015-07-30 | Many purpose ton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8796B1 true KR101688796B1 (en) | 2016-12-23 |
Family
ID=5773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033A KR101688796B1 (en) | 2015-07-30 | 2015-07-30 | Many purpose tong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879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627Y2 (en) * | 1990-04-17 | 1994-05-02 | 株式会社ダイヤコーポレーション | clip |
KR200222693Y1 (en) | 2000-12-01 | 2001-05-15 | 강희정 | multipurpose tongs |
JP2010012202A (en) * | 2008-07-03 | 2010-01-21 | Tanaka Sachiko | Clothespin |
-
2015
- 2015-07-30 KR KR1020150108033A patent/KR1016887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627Y2 (en) * | 1990-04-17 | 1994-05-02 | 株式会社ダイヤコーポレーション | clip |
KR200222693Y1 (en) | 2000-12-01 | 2001-05-15 | 강희정 | multipurpose tongs |
JP2010012202A (en) * | 2008-07-03 | 2010-01-21 | Tanaka Sachiko | Clothesp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42561A1 (en) | Clip | |
US8863761B2 (en) | Clipping device | |
US20150359309A1 (en) | Hair pin | |
US3060536A (en) | Clothespin | |
KR101688796B1 (en) | Many purpose tongs | |
TWM484647U (en) | Clip assembly | |
US6792653B2 (en) | Combination multi-purpose clip | |
KR101635953B1 (en) | Laundry tongs fixed position fix is possible Drying clothes on the drying rod | |
US2703444A (en) | Garment supporting and stretching means | |
KR101635952B1 (en) | Drying the wash laundry for the fixed clamp | |
US20070215655A1 (en) | Garment hanger | |
JP2019520124A (en) | Hair hold | |
US10221518B2 (en) | Skirt clip | |
JP3189000U (en) | String connector | |
KR200476240Y1 (en) | hanger | |
WO2014026654A3 (en) | Clothespin and hanger having clothespins | |
KR101488709B1 (en) | improvement clamp | |
CN107105910B (en) | Garment hanger and elastic member for use therein | |
KR20180001792U (en) | S-shaped clamping device | |
JP2015204853A (en) | Laundry pinching tool | |
KR101488710B1 (en) | clamp | |
JP2019063058A (en) | Traction tool for carry bag | |
JP5671173B1 (en) | Pinch tool | |
JP2014180420A (en) | Pole pinching tool | |
JP2014184099A (en) | Pinch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