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420B1 -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420B1
KR101688420B1 KR1020160119033A KR20160119033A KR101688420B1 KR 101688420 B1 KR101688420 B1 KR 101688420B1 KR 1020160119033 A KR1020160119033 A KR 1020160119033A KR 20160119033 A KR20160119033 A KR 20160119033A KR 101688420 B1 KR101688420 B1 KR 10168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landing
runway
airplane
model air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종윤
Original Assignee
현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종윤 filed Critical 현종윤
Priority to KR102016011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4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ing-off / landing control system for a model airplane to show taking-off / landing of a model airplane similar to taking-off / landing of an actual airplane, on a runway of a miniature mode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del runway which is formed in a miniature model airfield and in which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del airplane are embedded and support member guide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a road surface; a model mooring which is formed as a road surface in the miniature model airfield and connected to the model runway to form a closed loop and in which a direction guiding member for guiding the travel of the model airplane is embedded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ad surface; the model airplan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mooring and having a steering member acting o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of the model airplane and a wheel drive motor for driving wheels; a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installed in a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mounting space and providing power for lifting and horizontally moving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and an automatic taking-off / landing control unit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the travel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in the model mooring and taking-off / landing operations of the model airplane on the model runway by driving a support member actuator in response to the sensor signals of each of the model runway and the model airplane a key input signal from an operation of a us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ttracting the attention of visitors at various exhibition facilities such as exhibition halls and museums.

Description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본 발명은 축소 모형(miniature)으로 제작된 모형 비행장의 활주로 상에서 자동으로 모형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을 제어할 수 있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필요한 축소 모형의 활주로를 구성하고 그 활주로 상에서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 동작과 그에 따른 음향과 조명을 실제 비행기들이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착륙할 때의 환경과 유사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기동성있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동작을 구현하여 관람자들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akeoff or landing of a model airplane on a runway of a model airfield constructed with a miniature model, Or landing of the runway, so that the takeoff or landing motion of the model airplane on the runway and the corresponding sound and illumination can be produc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environment when the actual airplanes take off and land on the runway, Landing automation system of a model airplane that enables more dynamic and mobile modeling aircraft landing / landing operations to be carried out in various viewing facilities such as museums.

일반적으로 축소 모형으로 제작되는 모형 도시나 모형 마을은 좁은 장소에서 다양하고 특색있는 도시나 마을의 풍경을 집약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여러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서 전시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축소 모형물의 제작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축소 모형의 도시 내에 도로를 만들고 도로 상에서 축소 모형의 운송수단(기차, 자동차 등)이 실제와 거의 유사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시물에 수요자의 관심을 보다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Generally, model cities and model villages, which are usually made of miniature models, are used as exhibits in various exhibition facilities such as various exhibition halls and museums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 of expressing various scenes of cities and villages intensively in a narrow place, In recent years, as the technology of manufacturing such a miniature model has been developed, roads are made in the city of a reduced model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train, automobile, etc.) of the miniature model on the road can be operat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actual one. To be more concentrated.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4423호(2004.10.06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주택 모형 전시물 등의 도로에서 모형 자동차가 움직이도록 연출하는 모형 자동차 주행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84423 (published on October 10,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odel car driving apparatus for driving a model car on a road such as a house model exhibit Is known.

특허문헌1에 의하면, 주택 모형 전시물과 같은 모형 전시물에 모형 자동차와 같은 모형물을 미리 정해진 주행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수요자의 시선을 끌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주택 단지 내의 생활 공간을 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t is possible to attract a consumer's attention by moving a model object such as a model car to a model exhibit such as a house model exhibit along a predetermined traveling path, and in particular, to dynamically display a living space in a housing complex .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1930호(2010.11.19 공개; 이하 '특허문헌2'이라 약칭함)에는 기판의 상부에 올려진 모형자동차를 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장치에 의해 주행하도록 하는 모형자동차 주행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1930 (published on November 19,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model in which a model car mounted on a substrate is driven by a traveling device BACKGROUND ART [0002] Techniques relating to a vehicle driving apparatus are known.

특허문헌2에 의하면, 모형자동차가 다양한 형태의 주행로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며 상하 굴곡이 있는 면에도 주행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 model car is able to travel along various types of traveling roads, and can also travel on a plane having vertical ben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모형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같은 도로를 무한 반복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모형 자동차들끼리의 충돌이나 추돌 또는 접촉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모형 자동차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한 모형 도로 상에서 움직이는 모형 자동차의 주행 노선의 변화나 정지 또는 출발 등과 같은 속도 변화가 없어 동적 긴박감 및 현실감이 저하되어, 수요자의 관심을 끌기에는 많은 부족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the automobile traveling on the model road continuously runs on the same road in infinite repetition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vehicle, so that the automobile crashes, crashes, There is a fear that the vehicle may be damaged, and there is no speed change such as change, stop, or departure of the running route of the model car moving on the model road, so that the dynamic feeling of urgency and the reality are lower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축소 모형물에서 자동 주행장치를 위해 구현되고 있는 운송수단은 주로 지상의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나 기차 등에 한정되고 있으므로, 모형 비행기 등과 같이 지상의 활주로와 그 활주로 상공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모형 비행기의 이륙 동작 및 착륙 동작을 구현하고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발되거나 적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portation means implemented for the automatic traveling device in the conventional miniature model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limited to automobiles and trains that run on ground roads, it is possible to use a ground runway such as a model airplane, The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d controlling the takeoff and landing operations of model airplanes that require movement on the ground is not yet developed or applied.

KR 10-2004-0084423 A 2004.10.06. 공개KR 10-2004-0084423 A 2004.10.06. open KR 10-2010-0121930 A 2010.11.19. 공개KR 10-2010-0121930 A 2010.11.19. op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필요한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축소 모형의 활주로를 구비하고 그 활주로 상에서 모형 비행기를 자동으로 이륙 또는 착륙시키면서 모형 비행기의 이/착륙에 따른 음향과 조명을 실제 비행기들이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착륙할 때의 환경과 유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기동성있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동작을 구현 가능하게 하여 관람자들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unway of a reduced scale model having a certain length and width necessary for takeoff or landing of a model airplane, By automatically taking off or landing an airplan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ound and lighting of the model airplane landing and landing similar to the circumstances when actual airplanes take off and land on the runway, Lan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which enables to realize a more dynamic and mobile type airplane landing / landing operation and to concentrate the attention of spectators effectiv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축소 모형 비행장 내에 노면으로 형성되되 노면 하부에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모형 비행기의 위치 감지를 위한 다수의 적외선센서가 매설되고 지지부재 안내홈이 노면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되는 모형 활주로, 축소 모형의 비행장 내에 노면으로 형성되되 모형 활주로와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노면 중앙부를 따라 모형 비행기의 주행 안내를 위한 방향 안내부재가 매설되는 모형 계류장, 모형 계류장의 방향 안내부재와 작용하는 조향부재와 바퀴 구동을 위한 바퀴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모형 계류장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형 비행기,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의 승강 및 수평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구동체, 및 모형 활주로와 모형 비행기의 각 센서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지지부재 구동체를 구동하여 모형 비행기의 모형 계류장 주행동작 및 모형 활주로 상의 이/착륙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model airplane; A model runway form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road surface, a guide runway formed in the aerodrome of a reduced-scale model in a road surface, connected to the model runway to form a closed loop, and a direction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runway of the model airplane A model airplane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along a road surface of a model docking station having a steering member for operating a directional guide member of a model dock and a wheel drive motor for driving a wheel, A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power for lifting and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Landing movement on the model runway of the model airplane by driving the support member actuator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of the model runway and the model airplane and the key input signal by the user operation, Lan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including a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필요한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축소 모형의 활주로 상에서 모형 비행기의 자동 이륙 또는 착륙 동작 및 모형 비행기의 이/착륙에 따른 음향과 조명을 실제 비행기들이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착륙할 때의 환경과 유사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기동성있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관람자들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takeoff or landing motion of a model airplane and a sound and illumination of a model airplane on / off the runway of a model having a certain length and width necessary for takeoff or landing of the model airplan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dynamic and mobile model airplane landing / landing operation in various viewing facilities such as an exhibition hall and a museum,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attention of the spectators can be effectively concentrated when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모형 활주로와 모형 계류장의 개략 평면도와 모형 활주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 서 이루어지는 이륙 과정 및 착륙 과정을 각각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서 지지부재 구동체를 발췌하여 예시한 정면도와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a schematic plan view of a model runway and a model runway illustrating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rnal construction diagram of the model runway.
FIGS. 3A and 3B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the take-off process and the landing process performed in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 (a) to 4 (c) are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member driving body in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모형 활주로와 모형 계류장의 개략 평면도와 모형 활주로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이륙 과정 및 착륙 과정을 각각 예시한 참고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에서 지지부재 구동체를 발췌하여 예시한 정면도와 배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은, 모형 활주로(10), 모형 계류장(20), 모형 비행기(30), 지지부재 구동체(40), 및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a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illustrate an automatic landing /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take-off process and a landing process in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 (a) to 4 (c) are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exemplified by extracting the support member driving body in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l runway 10, a model hangar 20, a model airplane 30, a support member driver 40, and an automatic landing / ) .

모형 활주로(10)는 축소 모형 비행장 내의 기판 위에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구현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길이와 폭의 노면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모형 활주로(10)의 노면 하부에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모형 활주로(10)의 노면에는 모형 비행기의 위치 감지를 위한 다수의 적외선센서(11a,11b)가 매설되고,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승강 및 수평 이동 안내를 위한 지지부재 안내홈(12)이 노면의 중앙부를 따라 모형 활주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적외선센서(11a,11b)는 모형 활주로(10)의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에 각각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형 비행기의 앞바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 안내홈(12)은 모형 활주로(10)의 노면 중앙에 길이방향의 전체를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부재 안내홈(12)은 후술될 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l runway 10 is formed of a road surface having a length and width required for realizing landing and landing of a model airplane on a substrate in a reduced model aerodrome. .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del airplane are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runway 10 and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del airplane, The support member guide groove 1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el runway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road surface. Preferably, the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are embedded a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del runway 10,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 front wheel position of the model airplane can be detected. The support member guide groove 12 is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runway 10 and the support member guide groove 12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fuselage support members 43a and 43b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at intervals.

모형 계류장(20)은 축소 모형의 비행장 내의 기판 위에 형성되되 모형 활주로(10)와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모형비행기의 계류를 위해 필요로 하는 길이와 폭의 노면으로 형성되며, 그 노면의 중앙부를 따라 모형 비행기(30)의 주행 안내를 위한 방향 안내부재(21)가 매설된다. 이러한 방향안내부재(21)는 자석에 반응할 수 있는 철사 또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형 계류장(20)의 노면 중앙부의 중심선 상에 전체적으로 매립되어 설치되되 재료비 절감을 위해 계류장의 노면 중심선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l mooring 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in the aerodrome of the reduced model and connected to the model runway 10 to form a closed loop and is formed of the road surface having the length and width required for mooring the model airplane, And a direction guiding member 21 for guiding traveling of the model airplane 30 is buried along the center portio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is preferably made of wire or wire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magnet.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is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of the model mooring platform 20 as a whole. In order to reduce the material cost,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모형 비행기(30)는 모형 계류장(20)의 방향 안내부재(21)와 작용하는 조향부재, 및 바퀴(바람직하게는 앞바퀴일 수 있음) 구동을 위한 바퀴 구동모터(32)를 구비하여 바퀴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한 앞바퀴의 회전동작 및 방향 안내부재(21)와 조향부재 간의 작용에 의한 조향동작으로 모형 계류장(20)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모형 비행기(30)의 조향부재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앞바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얇은 합금판에 초소형 자석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model airplane 3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member that works with the directional guide member 21 of the model mooring platform 20 and a wheel drive motor 32 for driving the wheel (which may be preferably a front wheel) And is movable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hanging platform 20 by the steering operation by the action of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and the steering member. The steering member of the model airplane 3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For example, the steering member may be constructed by attaching an ultra-small magnet to a thin alloy plate.

또한 이러한 모형 비행기(3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 동체 제어부(33), 및 무선 송수신부(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el airplane 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a moving body control unit 33, and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

각각의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는 모형 비행기의 동체 하부에 설치되며, 자석에 반응하는 리드(reed)센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접촉 및 분리를 감지하고, 접촉에 따른 장착 완료 신호 또는 분리에 따른 분리 완료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는 두 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장착이 완료됨을 알리는 장착 완료 신호를 동체 제어부(33)로 출력하고, 두 센서(31a,31b) 중의 어느 하나만 작동하는 경우에는 장착 완료 신호도, 분리 완료 신호도 출력되지 않으며, 두 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분리가 완료됨을 알리는 분리 완료 신호를 동체 제어부(33)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is provided under the fuselage of the model airplane and includes a reed sensor responsive to a magnet to contact and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 members 43a and 43b And separates and outputs the mounting comple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or the separation comple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eparation. For example, when the two sensors 31a and 31b are both operated,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detect that the moun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model airplane 30 When both of the two sensors 31a and 31b are operated, neither a mounting completion signal nor a separation completion signal is outputted. When the sensors 31a and 31b are operated, the mounting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is output to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To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a separa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is completed.

바퀴 구동모터(32)는 동체 제어부(33)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앞바퀴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적외선 센서(11a)가 동작하는 경우 동체 제어부(33)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바퀴의 회전동작을 멈추고 제2적외선 센서(11b)가 동작하는 경우 동체 제어부(33)에 의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바퀴의 회전동작이 이루어도록 구성된다. 즉 모형 활주로(10)의 시작 지점에 설치되는 제1적외선 센서(11a)가 동작하면, 그 출력을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이 입력받고 그에 따라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이 모터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송수신부(120)(34)를 통해 전송하면 동체 제어부(33)가 그 모터 정지신호에 의해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에 설치되는 제2적외선 센서(11b)가 동작하면, 그 출력을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이 입력받고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이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송수신부(120)(34)를 통해 전송하면 동체 제어부(33)가 그 모터 구동신호에 의해 바퀴 구동모터(32)를 동작시킨다.The wheel drive motor 32 is controlled by the body control unit 33 to provide or shut off the power for the front wheel rotation and is preferably operated by the body control unit 33 when the first infrared sensor 11a is operated When the second infrared ray sensor 11b is operated while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the rotation of the wheel is stopped, and the power source is supplied by the body control unit 33 so that the rotation of the wheel is performed.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infrared sensor 11a installed at the start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so that the automatic landing / When the motor stop signal is output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120 and 34, the body control unit 33 stops the operation of the wheel drive motor 32 by the motor stop signal.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output of the second infrared sensor 11b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odel runway 10 and the motor / And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120 and 34, the body control unit 33 operates the wheel drive motor 32 by the motor drive signal.

동체 제어부(33)는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내부에 설치된 각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의 출력을 무선 송수신부(34)를 통해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으로 전송하거나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transmits the outputs of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provided in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to the landing and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heel drive motor 32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utomatic landing /

무선 송수신부(34)는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의 무선 송수신부(12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4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0 of the automatic landing /

지지부재 구동체(40)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형 활주로(10)의 노면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승강 및 수평 이동을 위한 동력을 각각 독릭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 구동체(40)는 수평이동 안내부재(41), 이동블럭(42),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 제1 내지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c), 제1리니어모터(LM1)와 제2리니어모터(LM2), 및 제3리니어모터(LM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B, the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40 is installed in a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installation sp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el runway 10,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provides power for lifting and horizontal movement,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40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guide member 41, a moving block 42,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first to third linear motor driving units 44a to 44c ), A first linear motor (LM1), a second linear motor (LM2), and a third linear motor (LM3).

수평이동 안내부재(41)는 모형 활주로(10)의 하부에 설치되되 모형 활주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이동블럭(42)의 수평 방향(예를 들면 x축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한다.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member 41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del runway 10 and is installed entir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block 4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uide.

이동블럭(42)은 수평이동 안내부재(41)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이동 안내부재를 타고 좌,우 수평 방향으로 왕래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를 수직방향(예를 들면 y축의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이동블럭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ving block 42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moving guide member 41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with the horizontal moving guide member.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re vertically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y-axis). Such a moving block can preferably be implemented with an aluminum profile.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는 이동블럭(42)에 의해 하단부가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모형 비행기(30)의 동체를 하부에서 떠 받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모형 비행기(30)에 내설된 각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와 작용하기 위한 자석이 부착된다.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re installed vertically movably with the lower end supported by the moving block 42 so that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can be supported vertically And magnets for operating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mounted on the model airplane 30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thereof.

제1 내지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c)는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제1 내지 제3 리니어모터(LM1-LM3)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The first to third linear motor driving units 44a to 44c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on / off automatic control unit 100 to independently drive the first to third linear motors LM1 to LM3.

제1리니어모터(LM1)와 제2리니어모터(LM2)는 제1 및 제2 리니어모터 구동부(44a, 44b)에 의해 각각 구동되어 각각 정, 역회전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수직 이동을 위한 동력을 각각 제공한다. The first linear motor LM1 and the second linear motor LM2 are respectively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linear motor driving portions 44a and 44b to b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43b, respectively.

제3리니어모터(LM3)는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c)에 의해 구동되어 정, 역회전되며,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driven by the third linear motor driving portion 44c to be forward and reverse, and provides power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42. [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은 모형 활주로(10)와 모형 비행기(30)의 각 센서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지지부재 구동체(40)를 구동하며, 모형 계류장(20) 상에서의 모형 비행기(30)의 주행동작 및 모형 활주로(10) 상에서의 모형 비행기(30)의 이/착륙 동작을 자동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은 키입력부(110), 무선 송수신부(120), 이/착륙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 구동부(150), 및 조명 구동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00 drives the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40 in accordance with sensor signals of the model runway 10 and the model airplane 30 and a key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 Of the model airplane (30) on the model runway (10) and on the model runway (10) on the model runway (10). For this,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110, a wireless transceiver unit 120, and an i / landing control unit 130, and may also include an acoustic driver 150 and a light driver 160 ). ≪ / RTI >

키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다수의 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이/착륙 자동 또는 수동 제어 여부를 선택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keys for user ope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automatic landing or a manual landing control.

무선 송수신부(120)는 모형 비행기(30) 내의 동체 제어부(33)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지지봉 감지센서(31a,31b)의 동작신호를 입력받거나 바퀴구동모터(32)의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12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body control unit 33 in the model airplane 30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support rod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or transmit the control signals of the wheel drive motor 32 .

이/착륙 제어부(130)는 모형 활주로(10)에 매설된 각 적외선 센서(11a,11b)와 직접 연결되어 모형 활주로(10) 상에서의 모형 비행기(30)의 위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모형 비행기(30)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송수신 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모형 비행기(30)의 바퀴를 구동하거나 지지부재 구동체(40)를 구동하여 모형 비행기(30)에 대한 모형 계류장(20) 상에서의 주행 동작 및 모형 활주로(10) 상에서의 이/착륙 동작을 자동 제어한다.The landing control unit 1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embedded in the model runway 10 to receive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of the model airplane 30 on the model runway 10, Receiving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del airplane 30 and a key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to drive the wheel of the model airplane 30 or drive the support member driving body 40 to drive the model aircraft 30 20 and the landing / landing operation on the model runway 10. [0040]

이러한 이/착륙 제어부(130)는 속도 조절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조절 프로그램은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고, 제1리니어모터(LM1) 및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수직 이동 속도 및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각 구역에서 각각 다르게 동시에 혼합 제어하여, 모형 활주로(10)의 각 구간 내에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와 이/착륙 속도를 각 구역마다 다르게 혼합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may be equipped with a speed adjusting program. This speed control program divides and sets the entir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sets the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 RTI ID = 0.0 > 43a and 43b and the horizontal moving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are mixed and controlled differently in the respective zones so that the model airplane The inclination of the body of the vehicle 30 and the yawing / landing speed of the vehicle 30 can be adjusted by mixing them in different zones.

예를 들면, 이러한 속도 조절 프로그램에서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동작시에는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세 개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제1구역에서는 초기 이륙 준비상태를 연출하기 위해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높이와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높이를 동일하게 지면에 접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고, 이후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상승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상승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더 높게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제3구역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시킨다. 3A, during the take-off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the entir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the initial take-off The height of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are made equal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And the ascend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irst linear motor LM1 to the first linear motor LM1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And the slope of the fuselage of the model airplane 30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third zone.

반면에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형 비행기(30)의 착륙 동작시에는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세 개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고, 제1구역에서는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진 착륙 준비를 위한 초기상태를 연출하기 위해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높이보다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높이를 더 높게 상승시키고,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하강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하강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더 빠르게 감소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3B, during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the entir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d in the first sec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ma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An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set to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as it approaches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The descent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can be reduced by gradually decreasing the descent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gradually.

또한 상기 속도조절 프로그램은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고,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각 구역에서 각각 다르게 제어하여, 모형 활주로(10) 구간 내에서 모형 비행기(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각 구역마다 다르게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속도조절 프로그램에서는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동작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높게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제3구역으로 갈수록 빠르게 증가시키고, 모형 비행기(30)의 착륙 동작시에는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낮추어 모형 비행기(30)의 이동속도를 제3구역으로 갈수록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program sets the whol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controls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to be controlled differently in each zone So that the horizontally moving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can be adjusted differently for each zone within th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For example, in this speed control program,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end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take-off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increases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to the third zone so that the third linear motor LM3 moves to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moving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reduce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to the third zone.

한편, 음향 구동부(150)는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따른 각각의 음원(예를 들면 이륙시의 효과음과 착륙시의 역회전 효과음 등)을 저장하고, 음원의 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이륙 또는 착륙에 따른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Meanwhile, the acoustic driver 150 stores each sound source (for example, an effect sound during takeoff and a reverse sound effect when landing) due to takeoff or landing of the model airplane, and at least one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And is controlled by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to select and output a sound source upon takeoff or landing.

조명 구동부(160)는 모형비행기의 계류, 또는 이륙과 착륙시 조명이 필요한 위치의 모형 계류장(20) 및 모형 활주로(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각각의 조명장치를 선택 구동함으로써, 실제 이/착륙시와 같은 점등 효과를 구현한다.The illumination driving unit 160 includes a model mooring platform 20 at a position where lighting is required when the model airplane is moored or taken off and landed, and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model runway 10, 130 to select and drive each lighting device, thereby realizing a lighting effect as in actual landing / landing.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operation and effec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모형 비행기의 이륙 동작을 보면, 모형 계류장(20)에 위치하는 모행 비행기(30)에는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으로부터 모터 구동신호가 전송되어 동체 제어부(33)에 의해 바퀴 구동모터(32)가 구동될 수 있게 되므로, 모형 비행기(30)의 앞바퀴에 설치된 얇은 합금판과 초소형 자석이 모형 계류장(20)의 방향 안내부재(21)와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에 의한 앞바퀴의 회전동작 및 방향 안내부재(21)와 조향부재 간의 작용에 의한 조향동작으로 모형 비행기(30)는 모형 계류장(20)의 노면을 따라 계속 자동 주행하여 모형 활주로(10)까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First, the take-off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is described as follows. A motor driv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to the wake-up airplane 30 located at the model mooring station 20, The thin alloy plate and the micro magnet provided on the front wheel of the model airplane 30 act o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of the model mooring platform 20 so that the wheel driving motor 32 can be driven, The model airplane 30 continues to automatically run along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hanging platform 20 to perform the steering operatio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ront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guide member 21 and the steering member, And becomes movable.

모형 비행기(30)가 모형 계류장(20)을 벗어나 모형 활주로(10)의 이륙 대기 또는 착륙 대기를 위한 준비공간인 제1공간(10a)에 도착하게 되면, 모형 활주로(10)의 시작 지점에 매설된 제1적외선 센서(11a)가 모형 비행기(30)의 앞바퀴를 인식하여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제1적외선 센서(11a)의 동작에 의한 출력을 이/착륙 제어부(130)가 입력받게 된다.When the model airplane 30 arrives at the first space 10a which is the preparation space for waiting for takeoff or landing of the model runway 10 after leaving the model hangar 20, The first infrared sensor 11a recognizes the front wheel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operates. The output of the first infrared sensor 11a is input to the I / F controller 130.

따라서 이/착륙 제어부(130)는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송수신부(120,34)를 통해 송신하게 되고, 모형 비행기(30) 내에 있는 동체 제어부(33)는 이/착륙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바퀴 구동모터(32)의 전원 차단함으로써, 모형 비행기의 앞바퀴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주행을 멈춘다.Therefore,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driving motor 32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s 120 and 34.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in the model airplane 30 , The power of the wheel drive motor 32 is cut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heel drive motor 32 received from the landing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front wheel of the model airplane no longer rotates, .

바퀴 구동모터(32)의 전원이 차단된 후, 이/착륙 제어부(130)는 지지부재 구동체(40)의 제1 및 제2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b)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리니어모터(LM1,LM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이동블럭(42)의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던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상단부가 모형 비행기(30)의 동체에 닿는 순간 모형 비행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가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상단부에 부착된 자석과 작용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가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아래부분에 밀착되어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가 모형 비행기(30)를 안정적으로 떠 받칠 수 있게 된다. After the power of the wheel driving motor 32 is cut off,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inear motor driving units 44a and 44b of the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40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inear motors LM1 and LM2,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which are suppo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the body of the moving block 42,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provided inside the model airplane 30 at the moment whe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contact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whil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ct on the magnets attached to the upper ends of the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The support members 43a and 43b can support the model airplane 30 stably.

이때 이/착륙 제어부(130)는 제1구역에서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또는 착륙을 위한 초기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이륙 동작시에는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높이와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높이를 동일하게 지면에 접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고, 착륙 동작시에는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높이보다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높이를 더 높게 상승시킨다.At this time, in order to implement the initial operation for taking-off or landing the model airplane 30 in the first zone,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of the second linear motor LM2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are raised to the same height so as to contact the ground surface, The height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rais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한편,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가 모두 모형 비행기(30)의 몸체에 닿아 두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게 되면,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접촉에 따른 장착 완료 신호가 동체 제어부(33)로 전달되고 다시 무선 송수신부(34,120)를 통해 이/착륙 제어부(130)까지 전달된다.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contact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both of the supporting member detecting sensors 31a and 31b are operated, The mounting comple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s 43a and 43b is transmitted to the body control unit 33 and then transmitted to the landing and landing control unit 13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s 34 and 120. [

따라서 이/착륙 제어부(130)에서는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장착이 완료됨을 인식하고, 지지부재 구동체(40)의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c)를 제어하여 제3 리니어모터(LM3)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Therefore,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at the moun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is completed, and the third linear motor driving unit 40, And supplies power to the third linear motor LM3.

제3 리니어모터(LM3)가 구동되면 수평이동 안내부재(41)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던 이동블럭(42)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driven, the moving block 42 supported horizontally by 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member 4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이동블럭(42)의 수평 방향 이동이 시작되면 이/착륙 제어부(130)에서는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동작시에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상승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상승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높게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제3구역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시킴으로써 실제 비행기가 이륙할 때와 동일한 모습의 기울기를 연출할 수 있게 제어하며, 아울러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실제 비행기가 이륙할 때와 동일한 모습의 속도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moving block 42 starts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performs a take-off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as shown in FIG. 3A, The ris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linear motor LM2 is increased stepwise higher than the rising speed of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The slope of the fuselage of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third zone so that the slope of the slope can be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when the actual airplane takes off.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moving block 42 is also increased stepwise to increase the horizontal moving speed of the model airplane 30 so that the same speed as when the actual airplane takes off can be produced.

반대로 모형 비행기(30)의 착륙 동작시에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하강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하강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더 빠르게 감소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제3구역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비행기가 착륙할 때와 동일한 모습의 기울기를 연출할 수 있게 제어하며, 아울러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모형 비행기(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실제 비행기가 착륙할 때와 동일한 모습의 속도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3B, the lower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set to b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In this case, 1 linear motor LM1 to gradually decrease the inclination of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toward the third zone so that when the actual airplane landing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also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so that the model airplane 30 ),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the same speed as when the actual airplane landed.

모형 비행기의 이륙 동작 또는 착륙 동작이 완료되어 모형 활주로(10)의 이륙 완료 또는 착륙 완료 후의 대기공간인 제2공간(10b)에 모형 비행기가 도착하게 되면,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에 매설된 제2적외선 센서(11b)가 모형 비행기(30)의 앞바퀴를 다시 인식하여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제2적외선 센서(11b)의 동작에 의한 출력을 이/착륙 제어부(130)가 입력받게 된다.When the model airplane arrives in the second space 10b, which is a waiting space after completion of takeoff or landing of the model runway 10 after the take-off operation or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is completed, The second infrared sensor 11b recognizes the front wheel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operates again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infrared sensor 11b is input to the landing control unit 130.

제2적외선 센서(11b)의 출력을 입력받은 이후에 이/착륙 제어부(130)가 지지부재 구동체(40)의 제1 및 제2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b)를 반대로 제어하게 되면,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가 하강하게 되면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를 지지하고 있던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상단부가 모형 비행기(30)의 동체와 분리되면서 모형 비행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던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지 않게 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분리가 완료됨을 알리는 분리 완료 신호가 동체 제어부(33)로 출력된다. If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inear motor drivers 44a and 44b of the support member driver 40 afte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econd infrared sensor 11b,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supporting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are moved downward by the upper end of the body plane of the model airplane 30 as the lower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descend, The supporting member detecting sensors 31a and 31b installed inside the model airplane 30 are not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model airplane 30 A separation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is completed is outputted to the moving body control section 33. [

이/착륙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분리가 완료됨을 인식하고, 지지부재 구동체(40)의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c)를 반대로 제어하여 이동블럭(42)을 모형 활주로(10) 상의 시작 지점으로 원위치시킨다.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is completed and recognizes that the third linear motor driving unit 44c to move the moving block 42 back to the starting point on the model runway 10.

아울러 이/착륙 제어부(130)는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송수신부(120,34)를 통해 송신하게 되고, 모형 비행기(30) 내에 있는 동체 제어부(33)가 이/착륙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바퀴 구동모터(3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모형 비행기의 앞바퀴는 다시 회전하게 되면서 모형 비행기(30)는 모형 활주로(10)를 빠져 나와 모형 계류장(20)을 자동 주행할 수 있게 되며, 모형 비행기(30)가 모형 계류장(20)을 거쳐 다시 모형 활주로(10)의 시작 지점이 진입하게 되면 이후 상기와 같은 이륙 또는 착륙 동작은 반복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제어방법은 모형 비행기의 이륙 동작과 착륙 동작이 각각 1회씩 교대로 반복되게 제어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30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wheel driving motor 32 and transmit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s 120 and 34. When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in the model airplane 30 The front wheel of the model airplane is rotated again so that the model airplane 30 is driven by the model driving force of the wheel drive motor 32, The model mooring platform 20 can be automatically driven from the runway 10. When the model airplane 30 enters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again via the model mooring station 20, The take-off or landing operation can be controlled repeatedly. The preferred control method is that the takeoff and landing movements of the model airplane are controlled to be alternately repeated one at a time.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필요한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축소 모형의 활주로 상에서 모형 비행기를 자동으로 이륙 또는 착륙시키면서 모형 비행기의 이/착륙에 따른 음향과 조명을 실제 비행기들이 활주로에서 이륙하고 착륙할 때의 환경과 유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전시장이나 박물관 등의 각종 관람시설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기동성있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동작을 구현 가능하게 하여 관람자들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del airplane is automatically taken off or landed on a reduced-scale model runwa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necessary for takeoff or landing of the model airplane, sound and lighting of the model airplane landing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more dynamic and mobile modeling aircraft landing / landing operations in various viewing facilities such as exhibition halls and museums, effectively concentrating the attention of spectators. Provides an advantag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모형 활주로 11a,11b : 적외선 센서
12 : 지지부재 안내홈 20 : 모형 계류장
21 : 방향안내부재 30 : 모형 비행기
31a,31b : 지지부재 감지센서 32 : 바퀴 구동모터
33 : 동체 제어부 34,120 : 무선 송수신부
40 : 지지부재 구동체 41 : 수평이동 안내부재
42 : 이동블럭 43a,43b : 동체 지지부재
44a-44c : 리니어모터 구동부 100 :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
110 : 키입력부 130 : 이/착륙 제어부
150 : 음향 구동부 160 : 조명 구동부
10: Model runway 11a, 11b: Infrared sensor
12: Support member guide groove 20: Model dock
21: direction guiding member 30: model airplane
31a, 31b: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 32: Wheel drive motor
33: Moving body control section 34, 120: Wireless transmission /
40: support member driving body 41: horizontal movement guide member
42: moving block 43a, 43b: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4a-44c: Linear motor drive unit 100: I /
110: key input unit 130:
150: acoustic driver 160:

Claims (14)

축소 모형 비행장 내의 기판 위에 노면으로 형성되되 노면 하부에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모형 비행기의 위치 감지를 위한 다수의 적외선센서(11a,11b)가 매설되고,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승강 및 수평 이동 안내를 위한 지지부재 안내홈(12)이 노면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되는 모형 활주로(10);
축소 모형의 비행장 내의 기판 위에 형성되되 상기 모형 활주로(10)와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노면 중앙부를 따라 모형 비행기(30)의 주행 안내를 위한 방향 안내부재(21)가 매설되는 모형 계류장(20);
상기 모형 계류장(20)의 방향 안내부재(21)와 작용하는 조향부재와 바퀴 구동을 위한 바퀴 구동모터(32)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 구동모터에 의한 바퀴 회전동작 및 상기 방향 안내부재(21)와 조향부재 간의 작용에 의한 조향동작으로 상기 모형 계류장(20)의 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형 비행기(30);
상기 모형 활주로(10)의 노면 하부의 지지부재 구동체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승강 및 수평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구동체(40); 및
상기 모형 활주로(10)와 모형 비행기(30)의 각 센서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 구동체(40)를 구동하여, 상기 모형 비행기(30)의 모형 계류장(20) 주행동작 및 모형 활주로(10) 상의 이/착륙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odel airplane are embedded in the spac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road surface, A model runway 10 in which a support member guide groove 12 for guiding the members 43a and 43b to ascend and descend is formed along a central portion of the road surface;
A model hanging platform (not shown) formed on a substrate in a reduced-scale aerodrome, connected to the model runway 10 to form a closed loop, and a direction guide member 21 for guiding the running of the model airplane 30 along the center of the road 20);
A wheel driving motor 32 for driving the steering wheel and a steering member acting o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of the model hanging frame 20 to rotate the wheel by the wheel driving motor, A model airplane (30)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a road surface of the model dock (20) by a steering operation by the action of a steering member;
A support member driver 40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driver installation space on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runway 10 for providing 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 members 43a and 43b, ); And
The supporting member driving body 40 is driven according to sensor signals of the model runway 10 and the model airplane 30 and a key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so that the model aircraft 30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an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raveling operation and the landing / landing operation on the model runwa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외선센서(11a,11b)는,
모형 활주로(10)의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에 각각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frared sensors (11a, 11b)
And is embedded a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model runway (10),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안내홈(12)은,
모형 활주로(10)의 노면 중앙에 길이방향의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guide groove (12)
And is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in the center of the road surface of the model runwa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안내부재(21)는,
모형 계류장(20)의 노면 중앙부의 중심선 상에 전체적으로 매립되어 설치되되 계류장의 노면 중심선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al guide member (21)
Lan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model airplane, wherein the landing automation control system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model mooring platform 20 as a whole, but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surface center line of the mooring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비행기(30)의 조향부재는 앞바퀴에 설치되며 자석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향안내부재(21)는 철사 또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ring member of the model airplane (30) is mounted on the front wheel and has a magnet attached thereto,
Wherei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21) is made of wire or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비행기(30)는,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접촉 및 분리를 감지하는 각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
상기 각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의 출력을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으로 전송하거나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바퀴 구동모터(32)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체 제어부(33); 및
상기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34);를 내부에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2. The model airplane of claim 1, wherein the model airplane (30)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for detecting contact and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or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landing / landing automatic control unit 100 to output the output of each of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to the operation of the wheel drive motor 32 A moving body control unit 33 for controlling the moving body; And
And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4)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unit (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는,
자석에 반응하는 리드(reed)센서로 구성되며,
두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장착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두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와 모형 비행기(30) 동체 간의 분리 완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31b)
And a reed sensor responsive to the magnet,
When both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are operated, a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moun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model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is output. And 31b are not in operation, a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the body of the model airplane 30 is outpu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구동체(40)는,
상기 모형 활주로(10)의 하부에 설치되되 활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이동블럭(42)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 안내부재(41);
상기 수평이동 안내부재(41)에 의해 지지되어 좌,우로 왕래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블럭(42);
상기 이동블럭(42)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모형 비행기를 하부에서 떠 받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모형 비행기에 내설된 각 지지부재 감지센서(31a,31b)와 작용하기 위한 자석이 부착되는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
상기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제1 내지 제3 리니어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1 내지 제3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c);
상기 각각의 리니어모터 구동부(44a-44c)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 정, 역회전되며, 상기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수직 이동을 위한 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제1리니어모터(LM1)와 제2리니어모터(LM2), 및 상기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리니어모터(LM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driver (40)
A horizontal movement guide member 41 installed below the model runway 10 and installed entir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way and guid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42;
A moving block (42) support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member (41) so as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43b)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upport members are supported by the moving block 42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The support members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support the model airplane from the bottom. The support member detection sensors 31a and 31b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to which a magnet is attached for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First to third linear motor driving units 44a to 44c which are respectively controlled by the I / F automatic control unit 100 and independently drive the first to third linear motors;
A first linear motor driven by each of the linear motor driving units 44a through 44c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to provide power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nd a third linear motor (LM3) for providing pow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moving block (42), wherein the first linear motor (LM1), the second linear motor (LM2) Lan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은,
사용자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110);
상기 모형 비행기(30) 내의 동체 제어부(33)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120);
상기 모형 활주로(10)에 매설된 각 적외선 센서(11a,11b)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모형 활주로(10) 상에서의 모형 비행기(30)의 위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모형 비행기(30)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송수신 신호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모형 비행기(30)의 바퀴를 구동하거나 지지부재 구동체(40)를 구동하여 상기 모형 비행기(30)에 대한 모형 계류장(20) 상에서의 주행 동작 및 모형 활주로(10) 상에서의 이/착륙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이/착륙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8,
A key input unit 110 for user operation;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ving body control unit 33 in the model airplane 30;
The infrared ray sensor 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frared sensors 11a and 11b embedded in the model runway 10 to receive the position sensing signal of the model airplane 30 on the model runway 10, Receiving signal and a key input signal by a user operation to drive the wheel of the model airplane 30 or drive the support member driving body 40 to drive the model airplane 30 on the model hanging platform 20 And an i / landing control unit (13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landing / landing operations on the model runway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는,
상기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제1리니어모터(LM1) 및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1 및 제2동체 지지부재(43a,43b)의 수직 이동 속도를 각 구역에서 각각 다르게 제어하여, 모형 활주로(10) 구간 내에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각 구역마다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10.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landing control unit (130)
The entir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s 43a and 43b are supported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and the second linear motor LM2, ) Of the model airplane (30) is controlled differently in each zone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fuselage of the model airplane (30) is controlled differently for each zone within th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는,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동작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상승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1)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상승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높게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증가시키고,
모형 비행기(30)의 착륙 동작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2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2동체 지지부재(43b)의 하강 속도를 제1리니어모터(LM2)에 의한 제1동체 지지부재(43a)의 하강 속도보다 단계적으로 더 빠르게 감소시켜 모형 비행기(30)의 동체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e-landing control unit (130)
The ascend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increased by the first linear motor LM1 to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take- Is increased stepwise higher than the ascending speed of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to increase the inclination of the body plane of the model airplane (30)
The lower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b by the second linear motor LM2 is lowered by the first linear motor LM2 toward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Is lowered stepwise more tha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first moving body supporting member (43a) to reduce the slope of the body plane of the model airplane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는,
상기 모형 활주로(10)의 전체 구간을 다수의 구역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고,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각 구역에서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10.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landing control unit (130)
The entire section of the model runway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controlled differently in each zone A model airplane landing / lan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는,
모형 비행기(30)의 이륙 동작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높게 증가시켜 모형 비행기(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모형 비행기(30)의 착륙 동작시 모형 활주로(10)의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3리니어모터(LM3)에 의한 이동블럭(42)의 수평 이동 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모형 비행기(3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eco-landing control unit (130)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increased stepwise to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take-off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Increasing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lock 42 by the third linear motor LM3 is gradually decreased as it moves to the end point of the model runway 10 during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model airplane 30, And the speed of the airplane is reduc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 자동 제어유닛(100)은,
모형 비행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따른 각각의 음원을 저장하고, 음원의 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이륙 또는 착륙에 따른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음향 구동부(150);
모형비행기의 계류, 또는 이륙과 착륙시 조명이 필요한 위치의 모형 계류장(20) 및 모형 활주로(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이/착륙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각각의 조명장치를 선택 구동하는 조명 구동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기의 이/착륙 자동 제어시스템.
The automatic landing / land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9,
Landing control unit 130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for take-off or landing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for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An acoustic driver 150;
And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the model runway 10 and a model hanging platform 20 at a position where lighting is required when taking off and landing the model airplane, And an illumination driving unit (160) for selectively driving each of the illumination devices.
KR1020160119033A 2016-09-19 2016-09-19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KR101688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33A KR101688420B1 (en) 2016-09-19 2016-09-19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33A KR101688420B1 (en) 2016-09-19 2016-09-19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420B1 true KR101688420B1 (en) 2016-12-21

Family

ID=5773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33A KR101688420B1 (en) 2016-09-19 2016-09-19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42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395A (en) * 1992-10-30 1994-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Landing gear for helicopter
JPH0811795A (en) * 1994-06-30 1996-01-16 Mitsubishi Heavy Ind Ltd Taking off and landing device for aircraft
KR20040084423A (en) 2003-03-28 2004-10-06 길상철 Apparatus of driving a miniature car for miniaturized housing exhibition
KR20080034548A (en) * 2006-10-17 2008-04-22 유선상 Automatic pilot system for model airplane
KR20100121930A (en) 2009-05-11 2010-11-19 진경성 Apparatus of driving a miniature ca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395A (en) * 1992-10-30 1994-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Landing gear for helicopter
JPH0811795A (en) * 1994-06-30 1996-01-16 Mitsubishi Heavy Ind Ltd Taking off and landing device for aircraft
KR20040084423A (en) 2003-03-28 2004-10-06 길상철 Apparatus of driving a miniature car for miniaturized housing exhibition
KR20080034548A (en) * 2006-10-17 2008-04-22 유선상 Automatic pilot system for model airplane
KR20100121930A (en) 2009-05-11 2010-11-19 진경성 Apparatus of driving a miniature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73B1 (e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vehicle
KR101617594B1 (en) Landing device for drone to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46345A (en) Controller of vehicle and the vehicle including the controller of vehicle
US9625907B2 (en) Velocity control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200681B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take-off of movable object
EP4074391B1 (en) Amusement park ride tunnel
CN102309853B (en) Amusement park ride with cable-suspended vehicles
WO201909412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688420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aking off and landing a miniature plane
CN107021009B (en) A kind of vehicle safety warning apparatus and its working method
KR101891617B1 (en) 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and drone system using the warninig light apparatus
CN107012808B (en) A kind of alarm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for vehicle failure
CN105031926A (en) Moving rail system for suspended roller coasters and method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moving rail system
CN114001980A (en)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aerial carrier dummy for intelligent driving collision test
KR100472968B1 (en) Autonomous Take-Off and Landing System for Large-Class Unmanned Airship
KR20220140944A (en) Control system of air vehicle for urban air mobility
CN107022962B (en) A kind of automobile fault alarm and its working method
KR20190065064A (en) Parachuting training apparatus using display
KR102462237B1 (en) Helipad of drone oper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and mine site management
JP2016093384A (en) Object to be controlled and speed control method for object to be controlled
WO2022260974A1 (en) Dynamically operated sign
KR101503525B1 (en) Turn signaling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JP2018029793A (en) Travel type soap bubble generator
CN117193337A (en) Variable-angle vehicle-mounted unmanned aerial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ystem and method under condition of high-speed movement of vehicle
CN114212100A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