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404B1 -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404B1
KR101687404B1 KR1020150162332A KR20150162332A KR101687404B1 KR 101687404 B1 KR101687404 B1 KR 101687404B1 KR 1020150162332 A KR1020150162332 A KR 1020150162332A KR 20150162332 A KR20150162332 A KR 20150162332A KR 101687404 B1 KR101687404 B1 KR 10168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hoe
protrusion
patte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관
국평 임
Original Assignee
김세관
국평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관, 국평 임 filed Critical 김세관
Priority to KR102015016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밑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신발 밑창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물의 배열 및 구조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밀림방지 판 및 상기 밀림방지 판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단위체; 및 상기 돌기 단위체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돌기 단위체는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돌기 단위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며, 미끄럼 방지 패턴은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미끄럼 방지 패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이 돌기 단위체가 복수 개 배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신발의 저면에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되는 신발 저면의 면적이 넓어져 지면과의 접촉성이 견고해질 수 있고, 마찰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Non-slip outsole structure}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밑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발 밑창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물의 배열 및 구조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밀림방지 판 및 상기 밀림방지 판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단위체; 및 상기 돌기 단위체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돌기 단위체는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돌기 단위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며, 미끄럼 방지 패턴은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미끄럼 방지 패턴끼리는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이 돌기 단위체가 복수 개 배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신발의 저면에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되는 신발 저면의 면적이 넓어져 지면과의 접촉성이 견고해질 수 있고, 마찰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유할 수 있다.
신발은 보행자의 보행을 편리하게 하고 발을 보호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더불어 장식적인 요소로 심미성을 높여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물건이다.
이러한 신발은, 과거에는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기후의 특성상, 계절에 따라 기온과 날씨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각의 계절과 상황에 맞게 신발을 착용함에 따라 보온유지 또는 미끄럼 방지 등과 같이 기능적으로 종류가 다양했다.
반면, 근래에 이르러서는 신발이 하나의 패션용품으로 활용됨에 따라 기능적인 면보다는 개인이 개성을 드러내거나 착용자의 시각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패선용품으로 보급되는 신발은, 과거에 보급되던 신발과는 달리 기능적인 면이 저하되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하나가 일목에 보여지지 않는 신발의 저면은 그 특성상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신발 제조업자들은 공통되는 겉창을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신발은 신발의 저면과 지면 간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미끄럼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저하되어있다.
따라서 지면이 얼어있는 경우 또는 지면에 미끄러운 이물질이 존재하더라도 미끄럼을 예방할 수 없어서 착용자는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낙상에 의한 부상을 입는 사고가 빈번해짐에 따라 신발 저면의 구조 또는 조성물에 의해 미끄럼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신발 외에도 작업용, 군화 등과 같이 특수목적으로 사용되는 신발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453488호에는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이하, '선행기술 1'로 지칭)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첨부된 도면의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데, 도 6은 선행기술 1의 문헌에 첨부된 도면으로서, 내측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측 외주방향으로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환상돌출부와 상기 환상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는 돌출부의 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오목부의 중심에 접하도록하여 오목부의 바닥에서 상측방향으로 띠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턱으로 구성되는 미끄럼방지구조체(1) 복수개가 신발 밑창(2)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된 구성에 의해 선행기술 1은, 이 문헌의 청구항 1에서 미끄럼방지를 위해 신발 저면에 돌출되는 환상돌출부 및 상기 환상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강턱을 기재하고 있고, 청구항 5에서 환상돌출부의 오목부의 중심부에 미끄럼방지돌기를 더 형성하는 것을 기재하여, 이를 통해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며, 바닥과의 접착력 및 마찰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착용자의 보행 중 상측방향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신발 저면 전체에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만, 해당 문헌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보강턱 및 미끄럼방지돌기를 포함하는 환상돌출부의 구성이 단면형상을 하단부분으로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경사지도록 하여 환상돌출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선행기술 1은 압력 분산이 신발의 저면에서 발생된다기 보다는, 환상돌출부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이의 내구성 저하가 급격히 발생 될 수밖에 없다.
둘째, 환상돌출부가 신발의 저면에 복수 개로 돌출되기 때문에 복수의 환상돌출부가 압력을 분산한다고 하더라도 선행기술 1(도 6 참조)의 복수 개의 환상돌출부는 각각 착용자의 보행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되는 경우 각각의 환상돌출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눌리거나 휘어짐으로써 각각의 환상돌출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킬 수 없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40647호에는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이하, '선행기술 2'로 지칭)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첨부된 도면의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데, 도 7에 따르면 밑판(31)과 미끄럼방지용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밑판(3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단위돌기(33)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돌기(33)는 단위돌기(33)를 일정 개수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하면에서 상측으로 파인 홈(331)과, 상기 홈(331)을 둘러 쌓도록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돌기(333)와, 상기 홈(331)은 상기 단위돌기(3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밑판과 상기 하부돌기(333)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335)를 포함하여, 상기 밑판(31)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지면(2)과 접촉하는 상기 하부돌기(33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져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단위돌기(33)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평행하게 일렬로 돌출되어 하나의 열을 이루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열이 다수 개가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하중이 가해져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하부돌기(333)는 인접하는 단위돌기(33)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하부돌기(333)와 맞닿아 더 이상 변형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2는, 신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3)에 분산됨에 의해 선행기술 1에 비해서 내구성의 급격한 저하를 절감할 수 있는 점은 해소될 수 있으나,
선행기술 2는 (a)신발의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었을 때 하나의 하부돌기(333)와 다른 하나의 하부돌기(33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동일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여전히 신발의 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킬 수 없고, (b)나아가 상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부돌기(333)와 다른 하나의 하부돌기(33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동일함에 따라 홈(331)의 형성을 저해하게 되어 오히려 수막형성 방지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74109호에는 미끄럼방지용 신발(이하, '선행기술 3'로 지칭)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3은 첨부된 도면의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데, 도 8에 따른 선행기술 3은 밑창(10)과 외피(20)를 갖는 통상의 신발(1)에 있어서,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단관 형상의 마찰돌기(36)가 하향 돌출된 미끄럼방지판(30)을 상기 밑창(1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선행기술 3은 밑창(10)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단관 형상의 마찰돌기(36)가 하향 돌출된 미끄럼방지판(30)을 통해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고, 해당 문헌의 청구항 2를 보면, 마찰돌기(36)의 구조를 하측으로 갈수록 확관되도록 구성하여 미끄럼 방지에 대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3 역시, 신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마찰돌기에서 분산되는 구조에 따라 내구성의 저하가 급격히 발생되는 점 및 착용자의 보행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눌리거나 휘어짐으로 인해 마찰돌기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킬수 없고, 압력이 누적됨에 따라 마찰돌기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67460호에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이하, '선행기술 4'로 지칭)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4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데, 도 4에 따른 선행기술 4는, 신발 겉창에 있어서 오픈셀 형태로써 서로 연통하는 복수의 공기층(11)이 내부에 형성된 경도 20 ~ 45(shore C type)의 연질 합성수지층(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질 합성수지층(10')의 하면에 텍스타일(20)이 부착되고, 상기 연질합성수지층(10')의 상면에 경도 60 ~ 90(shore A, C, D type)의 경질 합성수지층(30)이 구성되며, 상기 연질 합성수지층(10') 및 경질 합성수지층(30)은, 폴리우레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텍스타일(20)은,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면사, 폴레에틸렌사, 폴리프로필렌사 또는 아라미드사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위사 및 경사로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4의 경우, 발명의 설명 단락번호 [0001]에서 '연질 합성수지층에 의해 바닥면의 수막, 유막 또는 이물질 등 미끄럼을 유발하는 굴곡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 연질 합성수지층의 하면에 텍스타일이 부착되어 바닥면과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는데,
선행기술 4의 경우 상기 미끄럼을 유발하는 굴곡을 연질 합성수지층이 수용할 수 있기만 할 뿐, 수막, 유막 또는 이물질 자체를 제거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텍스타일 구조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선행기술 4는 신발의 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여러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미끄럼 방지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면과 직접 접촉되는 복수 개의 돌출수단을 구성하되 이 돌출수단에 보행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힘이 다른 방향으로 작용되어 분산됨으로써 상기 힘에 따라 돌출수단이 휘어지는 정도를 줄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출수단을 수직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요구된다.
나아가, 상술된 교차 구성에 의해 돌출수단 간의 이격공간이 폐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저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3488호(2014.10.2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040647호(2014.10.21.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4109호(2002.05.30.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67460호(2014.12.01.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밀림방지 판 및 밀림방지 판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단위체; 및 상기 돌기 단위체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기 단위체를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각 돌기 단위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며, 미끄럼 방지 패턴은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미끄럼 방지 패턴끼리는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도록 구성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구조물은, 하나의 밀림방지 판 및 상기 밀림방지 판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단위체; 및 상기 돌기 단위체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로서,
상기 돌기 단위체는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돌기 단위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은 보행방향에 대하여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각 미끄럼 방지 패턴끼리는 일정 간격으로 면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은, 미끄럼 방지 패턴이 돌기 단위체가 복수 개 배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신발의 저면에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되는 신발 저면의 면적이 넓어져 지면과의 접촉성이 견고해질 수 있고, 마찰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유한다.
따라서, 착용자로 하여금 보행시 지면과의 접착력과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미끄럼 방지 패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을 구성하는 미끄럼방지 패턴의 연속되는 배열을 저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a)과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이 신발과 결합된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a)과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이 신발과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선행기술 1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선행기술 2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선행기술 3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선행기술 4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미끄럼 방지 패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은 복수의 돌기 단위체(10)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연속적인 배열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다.
첨부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이 신발의 저면에 결합시 보행자의 진행방향과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장축이 일치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때 장축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돌기 단위체(10)의 어느 일단에서 다른 반대측의 일단까지의 축 중에서 보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축을 의미한다.
그리고 후술될 마찰돌기(10a)는 하나의 것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것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보행시 신발에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마찰돌기(10a)와 마찰돌기(10a)를 지지하는 밀림방지 판(10b)에 전달될 때, 하나의 마찰돌기(10a)에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하나의 마찰돌기(10a)의 방향과 인접한 교차방향으로 배열된 다른 하나의 마찰돌기(10a)에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휘어지는 상기 다른 하나의 마찰돌기(10a)의 방향이 수직방향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산이 안정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지면과 접촉될 때 마찰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유할 수있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더욱 구체적으로 4개의 돌기단위체(10)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 단위체(10)의 집합은 마름모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100)을 형성한다.
돌기 단위체(10)는 복수의 마찰돌기(10a)와 하나의 밀림방지 판(10b)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 단위체(1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미끄럼 방지 패턴(100)을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로 구성되어 마름모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설명이 필요한 경우, 제1 돌기 단위체(11), 제2 돌기 단위체(12), 제3 돌기 단위체(13) 및 제4돌기 단위체(14)로 표기할 수 있다.
이때,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배열은, 제1 돌기 단위체(11)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돌기 단위체(12) 및 제3 돌기 단위체(13)는 제1 돌기 단위체(11)를 구성하는 밀림방지 판(10b)의 면과 인접한 면을 기준으로 각각의 마찰돌기(10a)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 단위체(12)와 제3 돌기 단위체(13)는 제4 돌기 단위체(14)를 구성하는 밀림방지 판(10b)의 면과 인접한 면을 기준으로 각각의 마찰돌기(10a)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 단위체(11)와 제2 돌기 단위체(12) 또는 제1 돌기 단위체(11)와 제3 돌기 단위체(13)의 배열시 인접한 면과 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4 돌기 단위체(14)와 제2 돌기 단위체(12) 또는 제4 돌기 단위체(14)와 제3 돌기 단위체(13)의 배열시에도 각각의 인접한 면과 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제1 돌기 단위체(11)와 제4 돌기 단위체(14)의 형태가 일치하고, 상술된 제2 돌기 단위체(12)와 제3 돌기 단위체(13)의 형태가 일치할 수 있다.
즉, 마찰돌기(10a)는 밀림방지 판(10b)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돌기(10a)가 2개로 형성되는 경우, 마찰돌기(10a)가 1개 일때 보다 휘어짐을 발생시키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서 내구성의 저하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마찰돌기(10a) 간에 있어서 인접한 각각의 마찰돌기(10a)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도 어느 하나의 마찰돌기(10a)의 휘어짐이 무리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찰돌기(10a)의 휘어짐을 제한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이 복수로 배열됨에 따라 미끄럼 방지에 대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논슬립성이 우수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밀림방지 판(10b)은 마찰돌기(10a)에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마찰돌기(10a)를 지지해줌으로써 마찰돌기(10a)의 휘어짐을 절감하고, 마찰돌기(10a)를 2개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찰돌기(10a)들 간에 조밀도를 높이고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마찰력을 높이게 될 수 있다.
또한, 마찰돌기(10a)는 밀림방지 판(10b)의 일면으로부터 지면에 닿는 부분까지의 높이(h)를 2mm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h)를 2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복수의 돌기 단위체(10)의 연속 배열에 따른 상기 마찰돌기(10a) 간의 이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상기 높이(h)를 2mm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한 이격공간의 적절한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적절한 이격공간은, 지면에 존재하는 미끄럼 유발수단이 마찰돌기(10a)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미끄럼 유발수단이 유동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우(雨)중 또는 설(雪)중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또는 인위적인 이물질이 지면에 존재하더라도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저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끄럼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균일하게 연속 배열되는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복수개의 연속된 배열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며, 제1 패턴(101)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101)의 좌측 상단면과 인접한 위치에 제2 패턴(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패턴(101)의 우측 상단면과 인접한 위치에 제3 패턴(1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101)의 좌측 하단면과 인접한 위치에 제4 패턴(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패턴(101)의 우측 하단면과 인접한 위치에 n번째 패턴(100n)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패턴들은 기준이 되는 제1 패턴(101)의 외곽 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각 방향으로 연속되어 복수개 배열되는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패턴(101)의 제1 돌기 단위체(11)는 동일한 형태의 제2 패턴(102)의 제3 돌기 단위체(13) 및 제3 패턴(103)의 제2 돌기 단위체(1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접한 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턴(101)의 제2 돌기 단위체(12)는 동일한 형태의 제2 패턴(102)의 제4 돌기 단위체(14) 및 제4 패턴(104)의 제1 돌기 단위체(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접한 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101)의 제3 돌기 단위체(13)는 동일한 형태의 제3 패턴(103)의 제4 돌기 단위체(14) 및 n번째 패턴(100n)의 제1 돌기 단위체(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접한 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이 명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예이며, 언급되지 않은, 그 외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인접한 패턴의 돌기 단위체들은 각각의 면에 인접한 다른 패턴의 단위체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특수한 배열을 통하여 돌기 단위체(10)가 지면과의 접촉시 돌기 단위체(10)에 전달되는 압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분산시킴으로 돌기 단위체(10)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미끄럼 방지를 더욱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a)는 보행시 보행자의 하중이 실리는 저면중 전방 및 후방에 본 발명을 결합한 형태를 도시하였고, (b)는 신발의 저면 전체에 본 발명을 결합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4의 (a)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보행시 보행자의 무게가 실리고, 지면과 맞닿는 신발 저면의 전방 및 후방에 구성물을 구성하여, 도 4의 (b)보다 적은 면적에 본 발명을 결합하여 본 발명물이 구성되는 표면을 줄임과 동시에 파지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이 신발과 결합된 일부를 단면(A-A')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지면과 접촉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고, (b)는 지면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도 5의 단면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밑창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개 연속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좌측 상단면과 수평이 되는 임의의 A-A'위치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은 고무를 포함한 다양한 플렉시블한 소재를 배합시켜 형성되어, 신발의 저면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 지면과 유착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보행시 착용자의 하중이 압력으로 작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이 유착되는 경우, 지면과의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마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상술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마찰돌기(10a)가 유착구조와 유기적으로 동작됨에 따라,
하나의 마찰돌기가 휘어지는 방향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마찰돌기가 휘어지는 방향이 달라짐으로써 마찰돌기의 휘어지는 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마찰돌기의 휘어짐이 줄어듦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정도를 절감시킬 수 있어서 착용자의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은, 여러 가지 환경에 대처해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보행자에게 안정적인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10 : 돌기 단위체
10a : 마찰돌기
10b : 밀림방지 판
11 : 제1 돌기 단위체
12 : 제2 돌기 단위체
13 : 제3 돌기 단위체
14 : 제4 돌기 단위체
100 : 미끄럼 방지 패턴
101 : 제1 패턴
102 : 제2 패턴
103 : 제3 패턴
104 : 제4 패턴
100n : n번째 패턴

Claims (8)

  1. 돌기 단위체(10) 및 미끄럼 방지 패턴(100)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로서,
    돌기 단위체(10)는,
    하나의 밀림방지 판(10b) 및 상기 밀림방지 판(10b)의 일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마찰돌기(10a)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림방지 판(10b)은 밑창저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마찰돌기(10a)는 상기 밀림방지 판(10b)에서 복수 개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네 개의 돌기 단위체(11, 12, 13, 14)가 배열되어 구성되고,
    돌기 단위체(10)를 면접 배열할 때 각 돌기 단위체(11, 12, 13, 14)에 형성된 마찰돌기(10a) 끼리는 수직이 되도록 구성하며,
    밑창 구조물의 형상은,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 패턴(100)을 면접 배열한 형상으로서, 면접 배열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돌기 단위체(10) 끼리는 수직이 되도록 하고,
    돌기 단위체(10)와 미끄럼 방지 패턴(100)은 보행 방향에 대해 각각 마름모 형상이 되도록 하며,
    미끄럼 방지 패턴(100)의 장축은 보행자의 보행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은,
    신발에 결합 될 경우,
    상기 신발의 저면 전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1)은,
    신발에 결합 될 경우,
    보행자의 무게가 실리고 지면과 맞닿는 상기 신발의 저면에서, 전방 및 후방의 일부 면적에 배열되어 미끄럼 방지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KR1020150162332A 2015-11-19 2015-11-19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KR10168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32A KR101687404B1 (ko) 2015-11-19 2015-11-19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32A KR101687404B1 (ko) 2015-11-19 2015-11-19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404B1 true KR101687404B1 (ko) 2016-12-16

Family

ID=5773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32A KR101687404B1 (ko) 2015-11-19 2015-11-19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660A1 (en) * 2018-08-23 2020-02-27 Shoes For Crews, Llc Footwear with slip resistant sole
KR20220052045A (ko) 2020-10-20 2022-04-27 김준엽 다기능 신발
KR102669325B1 (ko) 2024-01-23 2024-05-27 주식회사 신미사 미끄럼 방지용 기능성 신발 밑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09Y1 (ko) 2002-01-18 2002-05-03 최기화 미끄럼방지용 신발
KR101040647B1 (ko) 2010-04-29 2011-06-10 문구도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JP4819686B2 (ja) * 2004-09-24 2011-11-24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靴底及び靴
JP2012101057A (ja) * 2010-11-05 2012-05-31 Shoes For Crews Llc 外底のトレッドパターン
US20120159815A1 (en) * 2008-05-30 2012-06-28 Nike, Inc.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KR101453488B1 (ko) 2014-07-01 2014-10-21 주식회사 도리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JP2014212830A (ja) * 2013-04-23 2014-11-17 ミドリ安全株式会社 耐滑靴底及びそれを備えた靴
KR101467460B1 (ko) 2013-10-22 2014-12-01 정상옥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09Y1 (ko) 2002-01-18 2002-05-03 최기화 미끄럼방지용 신발
JP4819686B2 (ja) * 2004-09-24 2011-11-24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靴底及び靴
US20120159815A1 (en) * 2008-05-30 2012-06-28 Nike, Inc.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KR101040647B1 (ko) 2010-04-29 2011-06-10 문구도 하중분산형 신발 겉창
JP2012101057A (ja) * 2010-11-05 2012-05-31 Shoes For Crews Llc 外底のトレッドパターン
JP2014212830A (ja) * 2013-04-23 2014-11-17 ミドリ安全株式会社 耐滑靴底及びそれを備えた靴
KR101467460B1 (ko) 2013-10-22 2014-12-01 정상옥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
KR101453488B1 (ko) 2014-07-01 2014-10-21 주식회사 도리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660A1 (en) * 2018-08-23 2020-02-27 Shoes For Crews, Llc Footwear with slip resistant sole
US11246376B2 (en) 2018-08-23 2022-02-15 Shoes For Crews, Llc Footwear with slip resistant sole
KR20220052045A (ko) 2020-10-20 2022-04-27 김준엽 다기능 신발
KR102669325B1 (ko) 2024-01-23 2024-05-27 주식회사 신미사 미끄럼 방지용 기능성 신발 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588B2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ES2543405T3 (es) Disposición de separación con amortiguación de impactos
JP3959648B2 (ja) 耐滑性靴底
RU2385140C2 (ru) Подошва с тангенциальной деформируемостью
US701358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US9700165B2 (en) Therapy platform anti-fatigue matting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EP3117732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layered support assembly
US9273471B2 (en) Non-slip surfaces and methods for creating same
JP3011408B1 (ja)
KR101687404B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물
JP202213623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JP5747218B2 (ja) 耐滑靴底及びその靴底成形金型
JP4721261B2 (ja) 耐滑靴底
JP3451205B2 (ja) 耐滑靴底
US11116344B2 (en) Therapy platform multi-layer anti-fatigue matting
KR101822652B1 (ko) 낚시용 신발
KR20140020550A (ko) 충격 흡수 및 통기성을 갖는 신발
KR200467315Y1 (ko)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JP5291850B2 (ja) 耐滑靴底
KR200491619Y1 (ko) 미끄럼 방지 패드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467460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
KR20130122357A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러한 밑창을 갖는 신발.
JP3553041B2 (ja) 耐滑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