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168B1 -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168B1
KR101687168B1 KR1020160086243A KR20160086243A KR101687168B1 KR 101687168 B1 KR101687168 B1 KR 101687168B1 KR 1020160086243 A KR1020160086243 A KR 1020160086243A KR 20160086243 A KR20160086243 A KR 20160086243A KR 101687168 B1 KR101687168 B1 KR 10168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device
driving
function
mod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790A (ko
Inventor
최근한
임철호
한경식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1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호스트디바이스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유도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함으로써, 기존 커넥션 기반의 장치 제어에 비해 커넥션 절차 등이 생략됨에 따라 신속한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VICE CONTROLLING BASED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기기 제어 방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형태의 기기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다수의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게임, 자동 검침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들이 많은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TV 리모콘의 사용 및 블루투스(Blootooth) 등을 이용한 게임기 제어 등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가전기기 제어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기 제어 방식의 경우, 커넥션(Connection) 기반의 장치 제어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기기 간 커넥션 절차 등이 요구됨에 따라 기기 제어에 있어서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형태의 기기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다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유도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하는 호스트디바이스;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호스트디바이스의 접속 유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기능 리스트를 제공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확인하고, 지원대상일 경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호스트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는 통신부; 상기 접속 유도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선택적으로 승인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접속승인부; 및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접속 승인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디바이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승인부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여 접속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제어부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네트워크접속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지원 가능한 기능 리스트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기능구동부;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지원판단부; 및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지원대상일 경우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분석하여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구동대상 기능의 구동을 상기 기능구동부에 요청하는 모드구동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접속부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호스트디바이스의 접속 유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지원부는,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호스트디바이스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는 브로드캐스팅단계;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채널형성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하는 구동요청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기능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호스트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단계;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지원판단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기능구동단계;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요청단계;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요청을 승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통신채널형성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가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모드구동요청에 따른 기능 구동 결과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구동결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지원판단단계는,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형태의 기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커넥션 기반의 장치 제어에 비해 커넥션 절차 등이 생략됨에 따라 다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유도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별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하는 호스트디바이스(100) 및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영역 예컨대, 댁내에 존재하는 TV, 커튼, 오디오, 토스트, 가스랜지 등 제어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지칭한다.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의 형태의 검색요청신호를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또한,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상기 접속 유도에 따라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특정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디바이스(100)는 검색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에는 디바이스 ID, 주소정보, 닉네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고, 상기 접속유도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접속요청을 승인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아울러,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 값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된 특정 기능이 볼륨 조절일 경우 요청되는 볼륨의 특정 값에 해당된다.
한편, 호스트디바이스(100)는 모드구동요청신호 브로드캐스팅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모드별 구동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모드 예컨대, 취침 모드, 기상 모드, 외출 모드 등에 대응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각각의 모드별로 기 지정된 특정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 예컨대,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기상모드에 따른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경우, 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 예컨대, 오디오 장치 및 토스트 기기에 대해서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주변의 커튼을 여는 식의 모드별 동작을 구동시킨다.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아울러,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호스트디바이스(100) 접속 유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접속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100)의 접속 요청 승인에 따라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 내 지원 가능한 기능 리스트를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받아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한편,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 수신하여 기 지정된 모드별 기능을 구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구동지원여부 확인은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임을 확인한다. 아울러,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상기 확인 결과, 지원대상일 경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호스트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는 통신부(110),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하는 접속승인부(120), 및 상기 접속 승인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디바이스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통신부(11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의 형태의 검색요청신호를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상기 접속승인부(120)는 상기 접속 유도에 따라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특정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승인부(120)는 검색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에는 디바이스 ID, 주소정보, 닉네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접속승인부(120)는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고, 상기 접속유도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접속요청을 승인함으로써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디바이스제어부(130)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디바이스제어부(130)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 값은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선택된 특정 기능이 볼륨 조절일 경우 요청되는 볼륨의 특정 값에 해당된다.
한편, 디바이스제어부(130)는 모드구동요청신호 브로드캐스팅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모드별 구동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모드 예컨대, 취침 모드, 기상 모드, 외출 모드 등에 대응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각각의 모드별로 기 지정된 특정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 예컨대, 디바이스제어부(130)가 기상모드에 따른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경우, 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 예컨대, 오디오 장치 및 토스트 기기에 대해서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주변의 커튼을 여는 식의 모드별 동작을 구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호스트디바이스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네트워크접속부(210),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는 기능구동부(220);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지원판단부(230) 및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분석하여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하는 모드구동지원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는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아울러, 네트워크접속부(210)는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호스트디바이스(100) 접속 유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접속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100)의 접속 요청 승인에 따라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기능구동부(220)는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 내 지원 가능한 기능 리스트를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의 구동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기능구동부(220)는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받아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지원판단부(230)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확인한다. 즉, 구동지원판단부(230)는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임을 확인한다.
상기 모드구동지원부(240)는 구동지원판단부(230)를 통한 확인 결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일 경우 기 지정된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기능구동부(220)에 요청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유도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함으로써, 기존 커넥션 기반의 장치 제어에 비해 커넥션 절차 등이 생략됨에 따라 신속한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검색 및 검색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의 형태의 검색요청신호를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그리고 나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120).
그런 다음, 호스트디바이스(100)가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130-S160). 바람직하게는,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고, 상기 접속유도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접속요청을 승인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호스트디바이스(100)가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S170-S200).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호스트디바이스(100)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이후,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요청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하고, 기능 구동결과를 피드백한다(S210-S22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모드별 구동을 위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호스트디바이스(100)가 모드구동요청신호 브로드캐스팅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모드별 구동을 요청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호스트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모드 예컨대, 취침 모드, 기상 모드, 외출 모드 등에 대응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각각의 모드별로 기 지정된 특정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확인한다(S320).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는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임이 확인될 경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S330-S340).
이후,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접속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100)의 접속 요청 승인에 따라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모드구동요청에 따른 기능 구동 결과를 전송한다(S350-S37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검색 및 검색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S41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의 형태의 검색요청신호를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접속 유도에 따라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특정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420-S510). 바람직하게는, 접속승인부(120)가 검색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에는 디바이스 ID, 주소정보, 닉네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접속승인부(120)는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선택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고, 상기 접속유도된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접속요청을 승인함으로써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S520-S580).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댁내에 존재하는 TV일 경우, 디바이스제어부(130)는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변경 등과 같은 기능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해당 기능의 선택에 따른 파라미터 값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요청한다.
이후, 디바이스제어부(130)가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에 따른 기능 구동 결과를 수신한다(S590-S60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모드별 구동을 위한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모드구동요청신호 브로드캐스팅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모드별 구동을 요청한다(S610-S620).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제어부(130)가 기 설정된 모드 예컨대, 취침 모드, 기상 모드, 외출 모드 등에 대응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가 각각의 모드별로 기 지정된 특정 기능을 구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접속승인부(230)가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접속요청을 승인함으로써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630-S660).
이후, 디아이스제어부(130)가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모드구동요청에 따른 기능 구동 결과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S670-S680).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호스트디바이스(100) 접속 및 구비된 특정 기능을 구동을 위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한다(S710-S72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접속부(210)가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색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S730-S75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접속부(210)가 상기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호스트디바이스(100) 접속 유도에 따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접속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호스트디바이스(100)의 접속 요청 승인에 따라 호스트디바이스(100)와의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요청에 따라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S760-S820). 바람직하게는, 기능구동부(220)가 상기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장치 내 지원 가능한 기능 리스트를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상기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요청에 따라 해당 기능을 구동한다.
이후, 기능구동부(220)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의 구동요청에 따른 기능 구동 결과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전달한다(S830-S84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모드별 구동을 위한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영역에서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한다(S910-S920). 바람직하게는, 구동지원판단부(230가는 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맵핑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모드구동요청신호를 토대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한다(S930-S940). 바람직하게는, 구동지원판단부(230)가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에 포함된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지원대상일 경우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를 분석하여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한다(S950-S960). 바람직하게는, 구동지원판단부(230)를 통한 확인 결과, 상기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구동지원대상일 경우 모드구동지원부(240)는 기 지정된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기능의 구동을 기능구동부(220)에 요청한다.
이후,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구동하고, 기능 구동 결과를 호스트디바이스에 전송한다(S970-S1030). 바람직하게는, 기능구동부(220)가 모드구동요청신호에 맵핑된 구동대상 기능을 구동하고, 네트워크접속부(210)를 통해 호스트디바이스(100)에 접속하여 상기 기능 구동 결과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스트디바이스(100)가 검색요청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유도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기능 리스트를 토대로 각각의 클라이언트디바이스별 특정 기능의 구동을 요청함으로써, 기존 커넥션 기반의 장치 제어에 비해 커넥션 절차 등이 생략됨에 따라 신속한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형태의 기기 제어 방식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호스트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접속승인부
130: 디바이스제어부
200: 클라이언트디바이스
210: 네트워크접속부 220: 기능구동부
230: 구동지원판단부 240: 모드구동지원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클라이언트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디바이스로서,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모드 별로 기 지정된 기능 중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4. 삭제
  5. 삭제
  6. 호스트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로서,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모드 별로 기 지정된 기능 중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구동지원판단부; 및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지원대상일 경우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구동하는 기능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클라이언트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호스트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 대하여 모드 별로 기 지정된 기능 중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구동요청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디바이스 각각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디바이스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호스트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호스트디바이스로부터 모드 별로 기 지정된 기능 중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구동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디바이스에 대한 구동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디바이스가 지원대상일 경우 상기 모드구동요청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모드에 지정된 기능의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디바이스 동작 방법.
KR1020160086243A 2016-07-07 2016-07-07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43A KR101687168B1 (ko) 2016-07-07 2016-07-07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43A KR101687168B1 (ko) 2016-07-07 2016-07-07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365A Division KR20110049376A (ko) 2009-11-05 2009-11-05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90A KR20160086790A (ko) 2016-07-20
KR101687168B1 true KR101687168B1 (ko) 2016-12-16

Family

ID=5668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243A KR101687168B1 (ko) 2016-07-07 2016-07-07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1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0629A (ja) * 2005-10-17 2007-04-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通信機器、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512A (ko) * 2007-11-16 2009-05-20 김순동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0629A (ja) * 2005-10-17 2007-04-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通信機器、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90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62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in cloud server
US201401192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KR102412896B1 (ko) 단말의 설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905348B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非接触式信息传输系统及传输方法
TW201316174A (zh) 允許自動聯繫及連接之無線呈現系統
US20160227474A1 (en) Multi-device network setup
KR102597031B1 (ko) 전자장치, 서버 및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CN110287744B (zh) 一种识别二维码的方法及装置
CN111800317A (zh) 一种自动绑定账号的方法、智能设备及手持终端
US9070280B2 (en) Remote and controller synchronization for automated furniture controls
JP2016192611A (ja) 制御システム
US9148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heterogeneous protocols
KR101794290B1 (ko) 출입구용 비콘송신장치 및 비콘송신방법
KR101200300B1 (ko)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구비한 프리젠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N113538876B (zh) 一种智能家居设备自动配网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687168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49500A1 (zh) 一种控制家电的方法及智能手环
JP5962059B2 (ja) 空気調和機
US9489833B2 (en) Remote contro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mote control
KR2020011628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0604B1 (ko) 호스트디바이스 기반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71620A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25197B1 (ko)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890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mmunication
KR20110049376A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