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297B1 -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297B1
KR101686297B1 KR1020140125756A KR20140125756A KR101686297B1 KR 101686297 B1 KR101686297 B1 KR 101686297B1 KR 1020140125756 A KR1020140125756 A KR 1020140125756A KR 20140125756 A KR20140125756 A KR 20140125756A KR 101686297 B1 KR101686297 B1 KR 10168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washing
center
rotating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610A (ko
Inventor
고종윤
이장희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97B1/ko
Priority to US14/570,948 priority patent/US20160083886A1/en
Priority to CN201410799947.3A priority patent/CN105755734B/zh
Publication of KR2016003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세탁조의 바닥에 설치된 회전판과,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날개, 그리고 상기 제1 날개와 상이한 형상으로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함께 공급되는 물이 교반되어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적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떼어 내도록 세탁과 헹굼 그리고 탈수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세탁기는 그 구조에 따라 크게 드럼식(Cylinder type)과, 교반식(Agitator type)과, 펄세이터식(Pulsator type)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조의 저면에 원판 형상의 펄세이터를 설치하고, 이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세탁수의 유동에 의해 빨래에 세탁을 위한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이다.
근래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펄세이터의 상면에 반경 방향으로 다양한 모양의 교반 날개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교반 날개를 통해 강력한 수류가 형성되면서 세탁기의 세탁력은 상승하지만 포 꼬임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세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세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장치는 세탁조의 바닥에 설치된 회전판과,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날개, 그리고 상기 제1 날개와 상이한 형상으로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날개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의 상부 외곽 모서리의 일부가 상기 제1 날개의 상면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날개의 상면 중앙부가 상기 함몰부일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임펠러(impeller)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 장치는 상기 임펠러 수용부에 설치된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에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가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함몰부는 각각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지는 있다.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지는 있다.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는 각각 높이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가 상기 제2 날개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회전판이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방법은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 날개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수류와,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 날개를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1 수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를 통해 생성되는 제3 수류를 더 포함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류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물살이 중앙으로 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류는 상기 제1 날개의 함몰부가 세탁수의 일부를 회전 방향으로 실어나르면서 생성되는 수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류는 세탁수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은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 장치에 사용된 펄세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펄세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펄세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와 비교예를 대비한 대비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는 세탁조(200), 펄세이터(pulsater, 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는 임펠러(impeller, 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장치(101)는 구동부(800), 케이싱(500), 및 현가 장치(7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200)는 케이스(5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세탁물과 세탁수를 수용하여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탁조(200)는 내조(210)와 외조(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펄세이터(300)는 회전판(350), 제1 날개(310), 및 제2 날개(320)를 포함한다.
회전판(350)은 세탁조(200)의 내조(210)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판(350)은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임펠러(impeller) 수용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310)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313)를 가지고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1 날개(310)는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 날개(310)는 회전판(35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함몰부(313)는 제1 날개(3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310)의 상부 외곽 모서리의 일부가 제1 날개(310)의 상면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데, 이때 제1 날개(310)의 상면 중앙부가 함몰부(313)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날개(310)와 함몰부(313)는 각각 회전판(35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310)는 회전판(35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320)는 제1 날개(310)와 상이한 형상으로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2 날개(320)도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320)도 회전판(35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제2 날개(320)는 회전판(35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310)와 제2 날개(320)는 회전판(350)에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날개(310)와 제2 날개(320)는 각각 높이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310)는 회전판(35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만곡지게 낮아지고, 제2 날개(320)는 회전판(35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만곡지게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310)는 제2 날개(3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다.
임펠러(600)는 임펠러 수용부(360)에 설치된다. 임펠러(600)는 세탁 과정에서 회전판(350)의 회전시 회전판(350)과 별도의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 및 헹굼에 도움을 주고, 탈수 과정에서는 바람을 일으켜 탈수율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날개(310)는 함몰부(313)를 가지고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제1 수류를 형성한다. 제2 날개(320)는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1 수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임펠러(600)는 회전판(3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1 수류 및 제2 수류와는 다른 제3 수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수류, 제2 수류, 및 제3 수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는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부(800)는 회전판(35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800)는 구동 모터(810)와, 구동 모터(8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830), 그리고 구동축(830)에는 회전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 장치(8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810)가 회전판(350)을 회전시키면, 회전판(35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날개(310) 및 제2 날개(320)가 세탁조(200)의 내조(210)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을 교반하게 된다.
즉, 세탁 장치(101)는 세탁조(200)에 세탁수가 급수되고, 구동 모터(81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판(350)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제1 수류 및 제2 수류와, 임펠러(6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제3 수류를 사용하여 세탁수와 세탁물이 유동시켜 세탁 및 헹굼 작용을 하게 된다.
현가 장치(700)는 세탁조(200)와 일측이 연결되고 케이스(500)와 타측이 연결되어 구동 모터(810)의 회전에 의한 세탁조(200)의 진동을 흡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는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펄세이터(300)의 회전으로 제1 수류 및 제1 수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류가 형성되며, 제1 수류와 제2 수류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펄세이터(300)의 회전축 중심부에 진공 현상이 발생되어 기포가 생길 수 있다. 이때, 펄세이터(300)의 중심에 마련된 임펠러(600)가 회전하여 기포를 더 많이 발생시켜서 세탁 시 기포가 터지면서 세탁물에 붙어있는 때를 분리하여 세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에 이용한 세탁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세탁 방법은 세탁조(200)의 바닥면에 구비된 회전판(350)이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에 이용한 세탁 방법은 하나 이상의 함몰부(313)를 가지고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 날개(310)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수류와, 회전판(350)의 상부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 날개(320)를 통해 생성되며 제1 수류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류, 그리고 회전판(350)의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600)를 통해 생성되는 제3 수류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수류는 제1 날개(310)의 함몰부(313)가 세탁수의 일부를 회전 방향으로 실어나르면서 생성되는 수류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수류는 주로 세탁수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생성된다. 제3 수류는 회전판(350)의 회전에 의해 물살이 중앙으로 몰리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제1 수류 및 제2 수류와 별도의 형성되어 세탁 및 헹굼에 도움을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를 이용한 세탁 방법은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와 비교예들을 대비하여 살펴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예와 비교예들의 포회전 능력과 포 꼬임도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포회전 능력은 분당 포의 회전수를 의미하며, 분당 포 꼬임도는 분당 포가 꼬이는 확률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앞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펄세이터(pulsator)를 구비한다.
비교예1의 펄세이터는 실험예와 같이 함몰부를 구비한 날개를 구비하지 않으며, 날개의 폭이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형상도 갖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1의 경우, 임펠러가 회전판의 중심이 아닌 외곽에 복수개 설치된다.
비교예2의 펄세이터는 날개의 형상이 실험예와 상이하며 임펠러가 설치되지 않는다.
비교예3의 펄세이터는 날개의 형상이 실험예와 상이하나 임펠러가 회전판의 중앙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실험 결과, 비교예1의 경우, 포 꼬임도는 낮아 세탁물이 엉키는 문제는 적게나 발생하지만 포회전 능력도 낮아 세탁력은 낮은 것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2 및 비교예3의 경우, 포회전 능력은 높아 세탁력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나 포 꼬임도가 높아 세탁물이 심하게 엉킬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예는 포 꼬임도도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포회전 능력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1) 및 이용한 세탁 방법은 세탁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포 꼬임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세탁 장치
200: 세탁조 210: 내조
220: 외조 300: 펄세이터
310: 제1 날개 313: 함몰부
320: 제2 날개 350: 회전판
360: 임펠러 수용부 500: 케이싱
600: 임펠러 700: 현가 장치
800: 구동부 810: 구동 모터
820: 클러치 장치 830: 구동축

Claims (15)

  1. 세탁조의 바닥에 설치되고 회전 중심에 임펠러(impeller) 수용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임펠러 수용부에 설치된 임펠러;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이한 형상으로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되, 상기 제1 날개의 최고 높이와 상기 제2 날개의 최고 높이는 상기 임펠러 수용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제1 날개가 상기 제2 날개보다 길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보다 면적이 크며,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제1 날개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함몰부의 면적보다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세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날개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날개의 상부 외곽 모서리의 일부가 상기 제1 날개의 상면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날개의 상면 중앙부가 상기 함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함몰부는 각각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는 각각 높이가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0. 제6항에서,
    상기 제1 날개가 상기 제2 날개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125756A 2014-09-22 2014-09-22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168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56A KR101686297B1 (ko) 2014-09-22 2014-09-22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US14/570,948 US20160083886A1 (en) 2014-09-22 2014-12-15 Washing machine pulsator with agitating wings
CN201410799947.3A CN105755734B (zh) 2014-09-22 2014-12-19 具有搅动翼的洗衣机搅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56A KR101686297B1 (ko) 2014-09-22 2014-09-22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00A Division KR102108602B1 (ko) 2016-01-29 2016-01-29 세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10A KR20160034610A (ko) 2016-03-30
KR101686297B1 true KR101686297B1 (ko) 2016-12-13

Family

ID=5552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756A KR101686297B1 (ko) 2014-09-22 2014-09-22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83886A1 (ko)
KR (1) KR101686297B1 (ko)
CN (1) CN105755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160100322A (el) * 2016-06-03 2018-03-09 Διαμαντης Γεωργιου Πετριδης Πλυντηριο σερβιτσιων-σκευων-δισκων-οπωρολαχανικων
CN106757927A (zh) * 2016-12-05 2017-05-31 安徽睿知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用染缸
JP7018623B2 (ja) * 2017-11-22 2022-02-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N110318203B (zh) * 2018-03-29 2022-06-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3Y1 (ko) * 1996-04-29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회전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243Y1 (ko) * 1995-06-23 1998-10-01 배순훈 세탁기용 펄세이터
KR200149201Y1 (ko) * 1996-04-29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의 회전익
US8387422B2 (en) * 2008-05-30 2013-03-05 General Electric Company Pulsator wash system
KR101555899B1 (ko) * 2009-01-15 2015-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유닛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123326B1 (ko) * 2009-06-04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20435B1 (ko) * 2009-12-04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30077997A (ko) * 2011-12-30 2013-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853Y1 (ko) * 1996-04-29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회전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10A (ko) 2016-03-30
US20160083886A1 (en) 2016-03-24
CN105755734A (zh) 2016-07-13
CN105755734B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297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CN101994223B (zh) 洗衣机
US9657424B2 (en) Washing machine and bubble generating apparatus thereof
EP2987901B1 (en) Integrated structure of internal barrel and impelle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KR20130037657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US2516656A (en) Washing machine having square tub and opposed impellers
KR20160034860A (ko) 세탁 장치
KR20130077997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20130037416A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KR20130037410A (ko) 임펠러를 구비하는 세탁기
CN1827897A (zh) 洗衣机及洗涤干燥机
KR0122243Y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
JP2010017366A (ja) 洗濯機または洗濯乾燥機用回転体
CN103526504A (zh) 便携式洗衣机
KR0116133Y1 (ko) 세탁기
US3726114A (en) Agitator structure for centerpost agitator washing machines
CN204644697U (zh) 洗涤桶及具有该洗涤桶的波轮式洗衣机
CN201704544U (zh) 一种新型的洗衣机波轮
CN212771514U (zh) 一种洗衣机波轮及其洗衣机
WO2017005308A1 (en) Top loading type laundry washing machine
EP2966211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CN107385779A (zh) 洗衣机内桶及洗衣机
CN215947647U (zh) 一种洗衣机内桶及洗衣机
KR20080002454A (ko)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세탁기
JPH08164290A (ja) 脱水兼用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