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98B1 -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98B1
KR101685798B1 KR1020150048563A KR20150048563A KR101685798B1 KR 101685798 B1 KR101685798 B1 KR 101685798B1 KR 1020150048563 A KR1020150048563 A KR 1020150048563A KR 20150048563 A KR20150048563 A KR 20150048563A KR 101685798 B1 KR101685798 B1 KR 10168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tegory
terminals
controlling
single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924A (ko
Inventor
최준균
전규영
양진홍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4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Object)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METHOD FOR RECOGNIZING AND MANAGE THE PLURALITY OF THE SAME TYPE OF DEVICE AS UNIT IN IoT, IoE, WoT ENVIRONMENT}
아래의 설명은 단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IoT, IoE, WoT 환경에서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 날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점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동일하거나 비슷한 기능을 가진 장치라도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심박수나 체온 등을 측정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가진 팔찌가 이미 다수의 제조사로부터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판매 중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패션 아이템들이 이제는 단순히 패션아이템으로써의 역할을 넘어 디지털 장치로 진화하고 있지만 디자인은 여전히 사용자들의 주요 관심사항이며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제품들이 더욱 더 저가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생산됨에 따라 한 개인이 동일한 기능의 웨어러블 기기를 여러 개를 소지함으로써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에는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제어 프로그램과 1:1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개의 웨어러블 팔찌를 소지하고 있다면 각각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웹 혹은 어플리케이션 등의 제어 프로그램을 따로따로 사용하여야만 한다.
또한 기존 발명 중 가상 객체(Virtual Object)를 통한 통합 제어 방식에서도 하나의 장치는 하나의 가상 객체로 표현되어 여러 개의 장치는 같은 기능을 가지더라도 여러 개의 가상 객체를 필요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3456호는 센서 정보, 사용자 선호 정보, 가상 객체 성능 정보 및 가상 객체 명령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응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은 같은 카테고리 제품을 장치 프로파일 혹은 사용자의 설정을 통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묶음으로써 하나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추상 레이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수 개의 장치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 현재 사용중 또는 착용중인 장치를 인지하여 제어 명령이나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Object)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방식은,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신뢰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신뢰도 또는 상기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상기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상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명 또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구분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방식은,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신뢰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신뢰도 또는 상기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상기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상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명 또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은 같이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장치가 하나의 객체로 등록됨으로써 어떠한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하나의 컨트롤 포인트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른 단말 제어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각각의 장치를 개별이 아닌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일화된 플랫폼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일화된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장치를 사용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 2는 종래의 단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에서 단말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 및 도 2는 종래의 단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말 제어 시스템(120)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110)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말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개별 어플리케이션(121)과 1:1로 대응됨으로써 제어를 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110)가 착용됨에 따라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121)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 제어 시스템은 도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 또한 각각의 단말이 개별 객체로 등록되어 관리상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시스템(2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기기(2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웨어버블 단말(210)이 착용됨에 따라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단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221)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단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221)은 웨어러블 기기(210)의 단말 리스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221)은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210)를 인식하기 위한 각각의 개별 객체를 등록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300)은 프로세서(310), 버스(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 메모리(340) 및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운영체제(3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3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감지부(311), 분류부(312), 결정부(313) 및 제어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30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단말 제어 시스템(3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3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에는 운영체제(341)와 서비스 제공 루틴(3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3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메모리(3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320)는 단말 제어 시스템(3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3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단말 제어 시스템(3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른 예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USB 내의 블루투스(Bluetooth), 3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모바일 폰, 혹은 다른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는 단말 제어 시스템(3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50)는 단말들의 기능에 따라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같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50)는 단일의 객체로 인식된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3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3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3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단말 제어 시스템(3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0)에 의해, 그리고 버스(320)를 통해 프로세서(3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감지부(311), 분류부(312), 결정부(313) 및 제어부(314)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3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착용되거나 소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11)는 단말의 센서 정보 또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311)는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단말의 단말명 또는 단말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감지부(311)는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됨에 따라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단말을 등록하고,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하여 단말을 등록하게 된다.
분류부(312)는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결정부(313)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Object)로 인식하고,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 방식은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단말의 신뢰도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신뢰도 또는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314)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에서 단말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웨어러블 기기(410)와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 커넥션들 및 상호 작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 제어 시스템(420)과 사용자 단말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는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웨어러블 기기(4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웨어러블 기기(410)가 착용됨에 따라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4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단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421)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시스템은 동일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말들이 하나의 객체로 등록되어 어떤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하나의 컨트롤 포인트에서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에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421)은 웨어러블 기기(410)의 단말 리스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410)들이 팔찌 1, 팔찌 2라면, 팔찌1, 팔찌2를 카테고리의 팔찌류에 등록시킴으로써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여 제어하게 된다.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웨어러블 기기(4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단말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제어가 동작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웨어러블 기기를 대상으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단말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서버(미도시)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제어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 제어 시스템(420)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사용자 단말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여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소지되거나 착용된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들 중 같은 카테고리(510)에 포함되는 단말들에 대하여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말(511)은 센서 모듈(Sensor Module)(5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을 통하여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511)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511)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API를 통하여 착용된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수 개의 단말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현재 사용중이거나 착용중인 단말을 스스로 인지하여 복수의 단말 중 어떤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지, 어떤 단말로 제어 명령이나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Device Selection Layer(520)는 같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추상 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선택부(521) 및 정책 관리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선택부(521)는 같은 카테고리로 구분된 단말들 중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어떤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선택부(521)는 사용자가 소지하지 않은 단말들은 De-activated로 처리 하여 불필요한 통신을 줄일 수 있다.
정책 관리부(522)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정책 관리부(522)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순위 방식은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단말의 신뢰도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신뢰도 또는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정책 관리부(522)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단말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정책 관리부(522)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정책 관리부(522)는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531)는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로깅 및 기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531)는 단말을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일의 객체(Virtual Object)로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Virtual Object Pool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531)는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530)를 통하여 단말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착용한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카테고리를 예를 들면, 팔찌, 시계, 조명, 보일러 등으로 분류 미리 정의해놓을 수 있다.
단계(630)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은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고,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단말 제어 시스템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정책이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단말을 동시에 복수 개를 소지할 경우, 순서를 정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정책은, 브로드캐스팅 방식, 우선 순위 방식,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 fault tolerance 방식 및 순차 사용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 시스템의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별로 각각의 카테고리, 예를 들면, 팔찌, 목걸이, 손목시계 등을 정하고, 각각의 단말의 기능을 허용하기 위한 등록 절차가 필요하다. 이때, 단말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단말 별로 공통되는 기능 및 고유의 기능이 있을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이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API 정보들을 xml, json 등 여러 형태의 description 으로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의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복수 개의 단말 중 사용자가 현재 착용 중인지 미착용 중인지를 구분하여 단말의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 시스템은 거치대 혹은 충전 스테이션 등에 연결되어 있거나 충전중인 단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헬스케어 관련 장치의 생체 정보를 확인하여 착용/미착용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정전식 터치 센서 등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미착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자이로 센서 등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미착용을 구분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의 단말명 또는 장치의 고유 식별 데이터, 예를 들면, 단말에 부여된 ID로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710).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되는 경우(720), 데이터베이스나 제조사 저장소로부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가져와서 등록할 수 있다(730). 단말 제어 시스템은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721), 사용자가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731).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810), 메모리(memory)(8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8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840), 전력 회로(850) 및 통신 회로(8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8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8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8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810) 및 메모리(8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8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8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8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8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8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8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8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8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8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8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이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Object)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방식은,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신뢰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신뢰도 또는 상기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상기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상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4. 삭제
  5.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Object)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7.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명 또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구분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방법.
  9.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 간 negoti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간 배터리의 상태나 센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우선 순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방식은,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신뢰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신뢰도 또는 상기 선호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선택된 이외의 단말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상기 선택된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상기 선택된 이외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2. 삭제
  13.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촉된 단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을 단일의 객체로 인식하고, 상기 단일의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카테고리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단일의 객체를 기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fault tolerance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4. 제9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에 분류된 단말들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순차 사용 방식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 중인 단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사용한 후, 차례대로 다른 단말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5. 제9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신호가 감지된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단말명 또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단말의 제조사로부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 및 API를 수동으로 등록하여 상기 단말을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시스템.
KR1020150048563A 2015-04-06 2015-04-06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KR10168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63A KR101685798B1 (ko) 2015-04-06 2015-04-06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63A KR101685798B1 (ko) 2015-04-06 2015-04-06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24A KR20160119924A (ko) 2016-10-17
KR101685798B1 true KR101685798B1 (ko) 2016-12-13

Family

ID=5725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63A KR101685798B1 (ko) 2015-04-06 2015-04-06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1021A2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to discover, configure, and leverage relationships i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983B2 (en) * 2010-09-29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field and modulation coding scheme information
TW201300459A (zh) * 2011-03-10 2013-01-01 Dow Corning 用於抗反射塗層的聚矽烷矽氧烷(polysilanesiloxane)樹脂
KR101960688B1 (ko) * 2013-03-20 2019-03-22 주식회사 케이티 사물지능통신 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및 사물지능통신 기기의 전원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1021A2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to discover, configure, and leverage relationships i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24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875B2 (en)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108388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to connector
US202002801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device, and device for providing same
US20150358762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7005796B (zh) 用于确定是否执行电子设备的任务的移动终端和方法
US109222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RE48698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EP3385474B1 (en) Method for lock device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45291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rol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7004215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지원 방법
US110634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ing wireless charging mode
EP3474517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03430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170330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data
KR20120107720A (ko)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와 센서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US1085437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ted conductive housing for eddy current control during wireless charging
KR102354011B1 (ko)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293199A (zh) 提供事件管理服务的电子装置和方法
US10362142B2 (e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noth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3065469B1 (en) Peer-to-peer network connectivity in a mobile environment
KR101685798B1 (ko) IoT, IoE, W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동일 종류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
EP3361590A1 (en)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KR2018010817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US20230199932A1 (en) Executing control command in dependence on presence being detected
US20160218546A1 (en) Providing feedback based on an electronic device plac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