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567B1 -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 Google Patents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567B1
KR101685567B1 KR1020140194876A KR20140194876A KR101685567B1 KR 101685567 B1 KR101685567 B1 KR 101685567B1 KR 1020140194876 A KR1020140194876 A KR 1020140194876A KR 20140194876 A KR20140194876 A KR 20140194876A KR 101685567 B1 KR101685567 B1 KR 10168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ixing
buoyancy
buoyant body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3442A (en
Inventor
이상일
권태규
Original Assignee
오토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filed Critical 오토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567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며, 상부면의 일단에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고정 부력체;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을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며,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는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며, 상부면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연결 부력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이격부재; 및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가 조류 및 풍력과 같은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싱카와 계류선에 의해 연결되며, 이격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구조 부력체를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와 같은 수면 위에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을 모듈 고정 부력체 및 모듈 연결 부력체를 이용하여 일렬 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flooding an upper part of a wat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at one end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thereof, Module fixed buoyancy elements;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provided on top of each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collecting sunlight to produce electricity; An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olar module while rotatably fixing the solar module on top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s connected to respective corners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additionally providing floating buoyancy on an upp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while prevent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coming off; A spacing member for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of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while connecting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module fixing buoyancy body; And a structural buoyancy force which is connected by a concrete singing car and a mooring line to prevent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flowing by a horizontal external force such as algae and wind for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oyant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ieve.
Accordingly,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water surface such as a river or a lake in a row or in a front-to-rear direction by using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thereby improving solar light condensing efficiency.

Description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integral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collecting sunlight at the upper part of a wat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to produce electricity.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서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하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Generally, the method of using solar energy is a method of using solar heat for heating and power generation by using water heated by the sun and a method of using solar light for operating various machines and apparatus by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solar light .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을 태양광 발전이라 부르며 태양광 발전설비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와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설비로 구분된다. 독립형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복수개로 결합하여 구성한 태양전지 어레이(태양전지판)와,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가 일정한 수준으로 축전지에 저장되거나 외부 부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력조정장치와, 축전기 및 전력조절장치에서 공급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및 보조발전기로 구성된다.Solar power generation is called solar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stand-alon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grid-connecte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e stand-alon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includes a solar cell array (solar pane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composed of solar cells that generate electricity using solar light, a storage battery for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A power regulating device for allowing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battery board to be stored in a battery at a predetermined level or supplied to an external load, and an inverter and an auxiliary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direct current supplied from the capacitor and the power regulating device into AC.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낮아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설치장소가 한정적으로 태양전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태양광 발전의 난제로 된다. 설치면적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일조량이 풍부하고 개방된 넓은 면적을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등의 수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 호수, 저수지, 댐과 같은 수면 위에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Such a solar power generation requires a wide installation area because of low energy density, and it is a problem of solar power generation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solar panel with limited installation space. As a means of securing the installation area, it may be considered to install on the water surface of rivers, lakes, reservoirs, dams, etc., which are rich in the amount of sunshine and can easily secure a wide open area. Therefore, there is a case where a solar concentrator is installed on a water surface such as a river, a lake, a reservoir, or a dam.

이와 같이 수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대부분 태양전지판이 달린 구조물이 부력체에 의해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나, 상기 부력체가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출렁거리는 수면에서 흔들리고,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도 많이 흔들려 원활한 태양광 발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most of the photovoltaic devices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are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ue to the buoyancy structure of the structure with the solar panel, but the buoyant body is shaken by the wind or waves and the solar panel is shaken smoothly There is a problem of obstruct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따라서 수면에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물이 출렁거려도 물 위에 떠 있는 부력체는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떠있어야지만 원활하게 태양광이 발전을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the solar concentrator on the water surface, the buoyant body floating on the water always floats in a stable state even if water is blown by the wind or wave, but the solar light can smoothly generat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9358호(2013.12.03.)에 기재되어 있다.The techniqu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39358 (Mar. 13,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모듈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모듈 고정 부력체 및 모듈 연결 부력체가 승강하고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태양광 모듈에 의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module capable of easily moving the solar module while preventing the solar module for condensing sunlight from shaking 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rface of a river or lake, The buoyant monolithic solar photovoltaic module which generates electricity by condensing solar light by the solar module while preventing the module float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moving due to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while mainta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module connection buoyant body Power gener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며, 상부면의 일단에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고정 부력체;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을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며,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는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며, 상부면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연결 부력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이격부재; 및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가 조류 및 풍력과 같은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싱카와 계류선에 의해 연결되며, 이격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구조 부력체를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craft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at one end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module fixing buoyant members having mounting hol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provided on top of each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collecting sunlight to produce electricity; An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olar module while rotatably fixing the solar module on top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s connected to respective corners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additionally providing floating buoyancy on an upp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while prevent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coming off; A spacing member for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of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while connecting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module fixing buoyancy body; And a structural buoyancy force which is connected by a concrete singing car and a mooring line to prevent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flowing by a horizontal external force such as algae and wind for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oyant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ie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는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삽입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includes a body having a closed cuboid shape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on groov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body, and a first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fixing means is mounted may be formed at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body, May be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힌지 블럭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힌지 블럭과 힌지 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며 슬라이드 홀 및 핀 홀이 형성되는 회전 고정축과, 상기 회전 고정축의 슬라이드 홀을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고정홀이 형성되는 모듈 지지 파이프와, 상기 회전 고정축에 삽입된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고정핀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와 힌지 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member includes a hinge block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first hinge bracket mounted on one end of the sola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hinge block by a hinge pin, A module support pipe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of the rotation fixing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hinge bracke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ola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dule support pipe by a hinge pin.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는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로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다.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losed cuboid shap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having a plurality of outwardly protruding portion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 second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xing means is seated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a non-slip projec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wire supporting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member can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단과, 상기 관통단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안착홈 및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penetrating end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eating end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enetrating end and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end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may have a rounded shape.

상기 이격부재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1절곡편이 형성되는 제1연결단과, 양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2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단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과 상기 제2연결단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메쉬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단과 상기 제2연결단의 중앙부에는 고무바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spac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nd formed with a first bent piece whose both ends are bent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a second connection end formed with a second bent piece whose both ends are bent downwardl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a mesh network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rom above, and a rubber bar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상기 구조 부력체의 일면에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에 수평외력의 힘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 부력체의 타면에는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이 형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buoyan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member for buffering a force of a horizontal external force on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and a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uctural buoyant body.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천이나 호수와 같은 수면 위에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을 모듈 고정 부력체 및 모듈 연결 부력체를 이용하여 일렬 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can be installed on a water surface such as a river or a lake integrally in a row or in a front-to-rear direction using module buoyancy members and module connection buoyancy members, thereby improving solar light condensing efficiency.

둘째, 모듈 고정 부력체 및 모듈 연결 부력체가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고, 태양광 모듈이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각도조절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격된 모듈 연결 부력체가 이격부재에 의해 이격거리가 유지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Second,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change, and the solar module can be fixed in an angle-adjusted manner without being shaken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on the module fixing buoyancy body, The body can be connected while the spacing distance is maintained by the spacing member.

셋째, 모듈 연결 부력체가 와이어에 의해 구조 부력체와 연결됨으로 인하여 구조 부력체에 의해 수평외력의 영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is connected to the structural buoyant body by the wi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due to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by the structural buoyant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고정 부력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태양광 모듈이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모듈 고정 부력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태양광 모듈이 모듈 고정 부력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연결 부력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모듈 고정 부력체와 모듈 연결 부력체가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uoyancy type aquamarin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module is fix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module is fix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shown in FIG. 1.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are connected by the fixing means.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pacer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고정 부력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태양광 모듈이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모듈 고정 부력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태양광 모듈이 모듈 고정 부력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연결 부력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모듈 고정 부력체와 모듈 연결 부력체가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dule fixed buoyancy body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module is fix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cy body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olar module is fix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are connected by fixing means,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parating member shown in FIG.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모듈 고정 부력체(110)와,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120)과, 각도조절부재(130)와, 복수개의 모듈 연결 부력체(140)와, 고정수단(150)과, 이격부재(160)와, 구조 부력체(170)를 포함한다.The buoyancy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e fixing buoyant members 110,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120, an angle adjusting member 130,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s 140, a fixing unit 150, a spacing member 160, and a structural buoyancy member 170.

복수개의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는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구비되어 부상하며,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는 몸체(112)와 제1연결편(114)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module fixing buoyant bodies 110 float above the wat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and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includes a body 112 and a first connecting piece 114.

상기 몸체(112)는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112)에는 삽입홈(112a), 돌출부(112b), 조립홀(112c), 제1안착홈(112d)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2a)은 상기 몸체(112)의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2)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2b)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b)에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부재(130)의 회전 고정축(133)이 삽입되는 조립홀(112c)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2)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후술되는 고정수단(150)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112d)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2)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연결편(114)이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편(114)에는 제1관통공(1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12 has a closed cubic shape and the body 112 has an insertion groove 112a, a protrusion 112b, an assembly hole 112c and a first seating groove 112d. The insertion groove 11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2 and a protrusion 112b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ody 112. The protrusion 112b is formed with an angle A mounting hole 112c into which 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of the adjusting member 130 is inserted is formed and a first mounting groove 150a in which the fixing means 150 described later is seated is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body 112 112d ar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ieces 114 protruding outwardly ar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ody 112 and a first through hole 114a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iece 114 .

복수의 상기 삽입홈(112a)은 상기 몸체(112)의 일단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b)는 상기 삽입홈(11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112)의 타단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112a)과 상기 돌출부(112b)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120)의 양단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12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12 and the protrusions 112b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2a . The insertion groove 112a and the protrusion 112b are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olar module 120 from the lower side.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는 밀폐됨으로 인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에 부상하게 되고, 밀폐됨으로 인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물이 상기 몸체(11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가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에 잠기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Since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is hermetically sealed on the wat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and is sealed, water in a river or a lake does not flow into the body 112, Is prevented from being immersed in the surface of the river or lake.

복수개의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120)이 구비되고, 각각의 태양광 모듈(120)은 각도조절부재(130)에 의해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 각도가 조절되게 고정된다.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광 모듈(120)의 각도조절은 작업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120)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120)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plurality of solar modules 120 are provided on a plurality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ies 110 and each solar module 120 is mounted on each module fixing buoy body 110 The angle of which is adjusted to be adjusted. Preferably, the angle of the solar module 120 provided on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is adjusted by an operator. The solar module 120 condenses sunlight to produce electricity It plays a role. The photovoltaic module 120 is generally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태양광 모듈(120)은 각도조절부재(130)에 의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 각도가 조절되게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130)는 힌지 블럭(131), 제1힌지 브라켓(132), 회전 고정축(133), 모듈 지지 파이프(134), 지지고정핀(135), 제2힌지 브라켓(136)을 포함한다.The solar module 120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by an angle adjusting member 130 so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130 is hinge block 131, And includes a hinge bracket 132, a rotation fixing shaft 133, a module support pipe 134, a support fixing pin 135, and a second hinge bracket 136.

상기 힌지 블럭(131)은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몸체(112)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112a)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 블럭(131)에는 힌지 핀(HP)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 블럭(131)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120)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힌지 브라켓(132)이 상기 힌지 핀(HP)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hinge block 1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2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hinge pin HP is passed through the hinge block 131 And a first hinge bracket 132 mounted on one end of the solar module 1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block 131 by the hinge pin HP.

상기 몸체(11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112b)의 양단에 형성되는 상기 조립홀(112c)에는 상기 회전 고정축(133)이 삽입되어 상기 조립홀(112c)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고정축(133)에는 슬라이드 홀(133a)과 핀 홀(13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112c formed at both ends of the protrusion 112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112 and is rotatably mounted in the assembly hole 112c. And a slide hole 133a and a pin hole 133b are formed on 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

상기 회전 고정축(133)의 슬라이드 홀(133a)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고정홀(134a)이 형성되는 모듈 지지 파이프(13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홀(133a)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134)의 일단은 상기 태양광 모듈(120)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2힌지 브라켓(136)과 힌지 핀(HP)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회전 고정축(133)의 슬라이드 홀(133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134)의 이동을 단속하는 지지고정핀(135)은 상기 회전 고정축(133)에 형성된 핀 홀(133b)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고정핀(135)은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134)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고정축(133)에 삽입된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1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A module supporting pipe 134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134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133a of 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to slide in the slide hole 133a, One end of the module supporting pipe 134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bracket 136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olar module 120 by a hinge pin HP. The support pin 135 for interrupting the movement of the module supporting pipe 134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133a of 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and slidingly moves is formed in a pin hole 133b of the module supporting pipe 134. The supporting and fixing pin 135 not only interrupts the slide movement of the module supporting pipe 134 but also the module supporting pipe 134 inserted into the rotation fixing shaft 133, As well as preventing dislodgement.

상기 태양광 모듈(120)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 상기 각도조절부재(130)에 의해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120)의 각도를 작업자의 임의대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angle of the solar module 120 can be easily and arbitrarily adjusted by the operator because the solar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130 .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각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고정수단(15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는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는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ies 140 are connected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by fixing means 150.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i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of a river or lake, To provide additional buoyancy.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의 상부면에는 후술되는 이격부재(160)가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홈(14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는 본체(142)와 제2연결편(144)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는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와 동일하게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40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includes a body 142,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has a cuboid shape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

상기 본체(142)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결편(144)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편(144)에는 제2관통공(14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42)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후술되는 고정수단(150)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142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42)의 상부면에는 작업자가 작업 또는 이동 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돌기(142b)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42)의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142)를 관통하는 관통홀(14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42 may have a second connecting piece 144 protruding outwardly at a peripheral edge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through hole 144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44. A second seating groove 142a on which the fixing means 150 is mounted is formed on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42.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42 is slid when the worker moves or moves And a through hole 142c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142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42. In addition,

상기 본체(142)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홀(142c)로는 후술되는 구조 부력체(170)에 연결되는 와이어(W)가 관통하며, 상기 관통홀(142c)로 상기 와이어(W)가 관통함으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W)가 이격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를 연결하면서 지지하게 된다.The wire W connected to the structural buoyancy body 170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2c passing through the body 142 and the wire W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2c The wire W supports and supports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spaced apart.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밀폐됨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42) 내부의 공기에 의해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에 부상하게 되고, 밀폐됨으로 인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물이 상기 본체(14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에 잠기는 것을 방지되게 된다.Since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is hermetically sealed by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42, water in a river or lake flows into the main body 142 So that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is prevented from being immersed in the wat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상기 고정수단(150)은 관통단(152)과 안착단(154)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단(152)은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제1연결편(114)에 형성된 제1관통공(114a)과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의 제2연결편(144)에 형성된 제2관통공(144a)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편(114)와 상기 제2연결편(144)을 연결한다. The fixing means 150 includes a through end 152 and a mounting end 154. The through end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14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iece 114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Through hole 144a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44 of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piece 114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144. [

상기 안착단(154)은 상기 관통단(152)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몸체(112) 둘레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1안착홈(112d)과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의 본체(142) 둘레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2안착홈(142a)에 안착된다.The seating end 154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enetrating end 152 and includes a first seating recess 112d formed in the edge of the body 112 of the module fixing bearing force body 110, And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42a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42 of th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

상기 관통단(152)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114a) 및 제2관통공(144a)에 삽입된 상기 관통단(15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5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152a)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52a for preventing the penetrating end 152 inser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14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4a from being detached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end 152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152a has a rounded shape.

상기 관통단(152)에 이탈방지부재(152a)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관통단(152)이 상기 제1관통공(114a) 및 제2관통공(144a)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이 구속받게 된다.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52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enetrating end 152 to allow the penetrating end 152 to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4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4a, .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각 모서리 연결되는 이격되게 위치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는 이격부재(160)에 의해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된다.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 140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connected to the module holding buoyant body 110 with the spacing distance being maintained by the spacing member 160.

상기 이격부재(160)는 제1연결단(162), 제2연결단(164), 메쉬망(166), 고무바(1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단(162)은 막대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에는 하부로 절곡된 제1절곡편(16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편(162a)은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140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각 모서리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모듈 연결 부력체(140)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연결하게 된다.The spacing member 16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nd 162, a second connection end 164, a mesh network 166, and a rubber bar 168. The first connecting end 162 has a rod shape and a first bending piece 162a bent downwar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end 162. The first bending piece 162a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40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fixing buoyancy member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2연결단(164)는 상기 제1연결단(162)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형상은 상기 제1연결단(162)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제1연결단(162)과 상기 제2연결단(164)은 메쉬망(16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쉬망(166)은 상기 제1연결단(162)과 제2연결단(164)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단(162)과 제2연결단(164)을 연결하게 되고, 작업자는 상기 메쉬망(166)을 통해 이격된 통로부 부력체(14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단(162)과 상기 제2연결단(164)의 중앙부에는 고무바(168)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고무바(168)가 상기 제1연결단(162)과 제2연결단(164)의 중앙부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연결단(162) 및 제2연결단(164)이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end 16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16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mesh network 166 and the mesh network 166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162. [ The worker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164 by be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end 164 and the worker may use the passage end buoyancy member 140 spaced through the mesh nets 166, . ≪ / RTI > A rubber bar 168 is integrally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164 and the rubber bar 168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through a second connection The first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164 can be smoothly flowed.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는 복수개의 구조 부력체(170)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며, 상기 구조 부력체(170)는 콘크리트 싱카(미도시)와 계류선(MW)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조류 및 풍력과 같은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float on the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in a state of being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structural buoyancy bodies 170, And serves to reduce the flow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due to horizontal external forces such as algae and wind force, by being connected by a concrete sinker (not shown) and a mooring line MW .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를 관통하는 와이어(W)는 상기 구조 부력체(170)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구조 부력체(170)의 타면에는 상기 계류선(MW)과 연결되는 연결단(17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상기 구조 부력체(170)의 일면에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에 수평외력의 힘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17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 부력체(170)는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 보다 강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wire W passing through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structural buoyant body 170 and a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MW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uctural buoyant body 170 And a cushioning member 172 for buffering a force of horizontal external force on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ructural buoyancy body 170 to which the wire W is connected . The structural buoyant body 170 preferably has a fiber reinforced plastic material stronger than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상기 구조 부력체(170)가 콘크리트 싱카(미도시)와 연결된 계류선(MW)과 연결되고,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를 외측에서 감싸 수평외력을 저감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110)와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완화되게 된다.The structure buoyant body 170 is connected to a mooring line MW connected to a concrete sinker (not shown), and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are wrapped from the outside to reduce a horizontal external force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are relieved from being moved by a horizontal external force.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와 같은 수면 위에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을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모듈 연결 부력체(140)를 이용하여 일렬 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듈 고정 부력체(110) 및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고, 태양광 모듈(120)이 각도조절부재(130)에 의해 모듈 고정 부력체(110)의 상부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각도조절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격된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이격부재(160)에 의해 이격거리가 유지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연결 부력체(140)가 와이어(W)에 의해 구조 부력체(170)와 연결됨으로 인하여 구조 부력체(170)에 의해 수평외력의 영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connect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on a water surface such as a river or a lake by using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in a row or in the left, right, And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140 ar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and the solar module 120 is moved by the angle adjusting member 130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0 And the separated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can be connected while the spacing distance is maintained by the spacing member 160. Also, since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140 is connected to the structural buoyancy body 170 by the wire W, the structural buoyancy body 170 can reduce the influence due to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0 : 모듈 고정 부력체 112 : 몸체
114 : 제1연결편 120 : 태양광 모듈
130 : 각조조절부재 131 : 힌지 블럭
132 : 제1힌지 브라켓 133 : 회전 고정축
134 : 모듈 지지 파이프 135 : 지지고정핀
136 : 제2힌지 브라켓 140 : 모듈 연결 부력체
142 : 본체 144 : 제2연결편
150 : 고정수단 152 : 관통단
154 : 안착단 160 : 이격부재
162 : 제1연결단 164 : 제2연결단
166 : 메쉬망 168 : 고무바
170 : 구조 부력체 172 : 완충부재
174 : 연결단
100: Buoyancy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system
110: module fixing buoyant body 112: body
114: first connecting piece 120: solar module
130: Thickness adjustment member 131: Hinge block
132: first hinge bracket 133: rotation fixing shaft
134: module support pipe 135: support retaining pin
136: second hinge bracket 140: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
142: main body 144: second connecting piece
150: fixing means 152:
154: seat fastener 160: spacing member
162: first connection terminal 164: second connection terminal
166: mesh net 168: rubber bar
170: Structure buoyant body 172: Buffer member
174:

Claims (11)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며, 상부면의 일단에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고정 부력체;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을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며,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 상부에 부상하는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며, 상부면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듈 연결 부력체;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각각의 모듈 고정 부력체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이격부재; 및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 및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가 조류 및 풍력과 같은 수평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싱카와 계류선에 의해 연결되며, 이격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구조 부력체를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plurality of module fixing Buoyancy body;
A plurality of photovoltaic modules provided on top of each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collecting sunlight to produce electricity;
An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olar module while rotatably fixing the solar module on top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ng buoyancy members connected to respective corners of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and additionally providing floating buoyancy on an upper surface of a river or a lak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while preventing the module connecting buoyant body from coming off;
A spacing member for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of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while connecting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body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module fixing buoyancy body; And
Wherein the module buoyant body and the module buoyant body are connected by a concrete singe car and a mooring line to prevent the module buoyant body and the module buoyant body from flowing by horizontal external forces such as algae and wind force, Wherein the buoyancy-integrated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 고정 부력체는,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e fixing buoyant body includes:
A body having a closed cubic shape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connecting piece having a plurality of outwardly protruding outer peripheries on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ody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Wherein a first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xing means is seated is formed on an edge of a circumference of th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and the projections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힌지 블럭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힌지 블럭과 힌지 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며 슬라이드 홀 및 핀 홀이 형성되는 회전 고정축과,
상기 회전 고정축의 슬라이드 홀을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고정홀이 형성되는 모듈 지지 파이프와,
상기 회전 고정축에 삽입된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고정핀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모듈 지지 파이프와 힌지 핀에 의해 연결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A hinge block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first hinge bracket mounted on one end of the sola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hinge block by a hinge pin,
A rotation fixing shaft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and formed with a slide hole and a pin hole,
A module supporting pipe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of the rotation fixing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pport fixing pin for preventing the module supporting pipe inserted into the rotation fixing shaft from being separated,
And a second hinge bracke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olar module and connected by the module support pipe and the hinge p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는,
밀폐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둘레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dule-
A main body having a closed cubic shap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having a plurality of outwardly protruding outer circumferential corners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xing means is seated is formed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로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enetrate the main body, and a wire supporting the module connection buoyancy memb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Photovoltaic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관통단과,
상기 관통단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안착홈 및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단을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enetrating end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eating end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netrating end and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통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end,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has a rounded shap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1절곡편이 형성되는 제1연결단과,
양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2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단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연결단과,
상기 제1연결단과 상기 제2연결단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nnecting end having both ends bent downward to form a first bent piece,
A second connection end formed with a second bent piece whose both ends are bent downwardly and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a mesh network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rom abov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과 상기 제2연결단의 중앙부에는 고무바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ubber bar is integrally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력체의 일면에는 상기 모듈 연결 부력체에 수평외력의 힘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구조 부력체의 타면에는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이 형성되는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t integral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provided with a buffering member for buffering a force of horizontal external force on the module connecting buoyancy body and a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mooring lin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uctural buoyancy body, .
KR1020140194876A 2014-12-31 2014-12-31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685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876A KR101685567B1 (en) 2014-12-31 2014-12-31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876A KR101685567B1 (en) 2014-12-31 2014-12-31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442A KR20160083442A (en) 2016-07-12
KR101685567B1 true KR101685567B1 (en) 2016-12-13

Family

ID=5650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876A KR101685567B1 (en) 2014-12-31 2014-12-31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56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58B1 (en) * 2017-06-23 2018-04-02 주식회사 에코드림 Floating body for floating structure
KR101918970B1 (en) * 2017-09-13 2018-11-15 주식회사 애니온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210004883A (en)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Buoy for solar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135430A (en) 2021-03-30 2022-10-07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Independent floating solar power structure using high durable foam buoy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585B2 (en) * 2016-12-28 2021-12-1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Solar power generator
CN109415111B (en) * 2016-06-30 2021-11-09 京洛株式会社 Floating plate, floating 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floating plate assembly
CN106240752A (en) * 2016-08-16 2016-12-21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A kind of navigation mark floating drum multifunctional assisting device
CN107733325B (en) * 2017-09-11 2023-04-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Base sta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station on wa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864582B1 (en) * 2018-03-19 2018-06-05 (주)신호엔지니어링 Floating Device of Electrical Panel for Floating Photovoltaic Module
KR20190123389A (en) 2018-04-24 2019-11-01 김주동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Pipes
KR102114140B1 (en) * 2018-05-24 2020-05-22 (주)신호엔지니어링 Switchboard Installation System for Floating Photovoltaic Module
CN110466706B (en) * 2019-08-08 2020-04-21 云南宝业金属结构工程有限公司 Floating platform and photovoltaic power plant on water
CN113120181B (en) * 2019-12-30 2023-09-05 安徽是佳模塑科技有限公司 Support device for water surface floating type photovoltaic power station
KR102458516B1 (en) 2020-01-02 2022-10-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loating offshore solar power plant
IL279932B (en) * 2021-01-03 2022-08-01 Solatics Ltd Floating solar panel array installation and mooring and method of assembly
KR102556694B1 (en) * 2021-02-09 2023-07-18 솔라테라스 주식회사 Marine photovoltaic apparatus
CN113928493B (en) * 2021-11-11 2022-09-23 中能众诚(浙江)新能源科技有限公司 Floating pipe type water surface photovoltaic floating body support platform
ES1291689Y (en) * 2021-11-11 2022-09-02 Res & Development Concretes Sl Structure of floating photovoltaic panels
KR102475742B1 (en) * 2022-08-12 2022-12-08 다스코 주식회사 Floating Solar Powe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28B1 (en)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Fixing unit of solar cell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12B1 (en) * 2008-08-07 2010-08-10 주형중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array
KR101391995B1 (en) * 2012-09-27 2014-05-07 한국태양광에너지 주식회사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on lake and ear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28B1 (en)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Fixing unit of solar cell install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58B1 (en) * 2017-06-23 2018-04-02 주식회사 에코드림 Floating body for floating structure
KR101918970B1 (en) * 2017-09-13 2018-11-15 주식회사 애니온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210004883A (en)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Buoy for solar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135430A (en) 2021-03-30 2022-10-07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Independent floating solar power structure using high durable foam buoy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442A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567B1 (en)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685566B1 (en) Buoyancy integral typ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339358B1 (en) Direct molded buoyancy body for solar cell installation above water
KR101757206B1 (en) Mooring devices for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JP7329656B2 (en) solar power plant
KR100975212B1 (en)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array
US8956103B2 (en) Hydroelectricity generating unit capturing marine wave energy and marine current energy
JP5769118B2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KR101170777B1 (en) Floa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Device
KR101637038B1 (en) Expended solar cell installation unit
KR101666173B1 (en) Mooring devices for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KR101785579B1 (en)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30098586A (en) Buoyant type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20150037110A (en) Mooring System for Floated Solar Energy Generating Structure
KR20150098122A (en) Liftable fixing unit of solar cell installation
KR20120125105A (en) Solar power plant on water
KR102109502B1 (en) Tidal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20150117223A (en) Mooring devices for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JP2016124402A (en) On-water installed solar power generator
KR20180018046A (en) Floating type sunlight structure on water surface
KR200493475Y1 (en) Buoyant connecting device of float solar power generator
KR101370013B1 (en) Floa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device
KR20150076745A (en) Floating wind power generator
KR102061032B1 (en) A floating solar light power generator with protective support
KR20160005581A (en) Floating type sunlight structure on water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