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502B1 - 인증 정보 현출 장치 - Google Patents

인증 정보 현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502B1
KR101685502B1 KR1020150115863A KR20150115863A KR101685502B1 KR 101685502 B1 KR101685502 B1 KR 101685502B1 KR 1020150115863 A KR1020150115863 A KR 1020150115863A KR 20150115863 A KR20150115863 A KR 20150115863A KR 101685502 B1 KR101685502 B1 KR 10168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unit
authentica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봉
Original Assignee
한국스마트인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마트인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스마트인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과, 인증 정보를 현출하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판독되는 경우에만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Description

인증 정보 현출 장치{Device for Showing Authentica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 현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판독되는 경우에만 인증 정보를 현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 있어서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개인의 경우에는 공인 인증서, PIN, 일회용 비밀번호(OTP) 등이 사용되며, 더 나아가 개인의 홍채, 지문, 정맥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인증에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법인과 같은 단체의 경우 특정인의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하는 것에 대해서는 법률적, 제도적 한계가 있어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오프라인 거래 또는 계약에 있어서는 법인과 같은 단체의 대표자의 서명이나 법인의 등록된 인감도장 등이 사용되는데 특히 법인 인감도장의 경우 매우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인 인감도장의 악의적인 사용을 원천적으로 막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개인의 경우에 있어서도 인감 도장과 같은 인증 수단을 지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본인이 아닌 수임자가 인증 정보를 현출해야 하는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권한을 증명하는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인의 인증 정보 또는 법인과 같은 단체의 인증 정보를 생체 정보와 연계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인증이 가능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과, 인증 정보를 현출하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판독되는 경우에만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제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생체 정보를 판독한 후 생체 정보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원격 생체 정보 등록 서버에 전송하여 생체 정보를 인증받는다.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이 판독한 생체 정보가 미리 등록된 인증자의 생체 정보인 경우에 제2 통신부를 통해서 원격 인증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 정보를 전송받아 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은, 본체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이 판독한 생체 정보가 인증자의 생체 정보인 경우에 상기 이동부를 이동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이동부에는, 디폴트 상태에서는 본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본체 외부로 이동하면 인지 가능한 인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요철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인증 도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제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상기 원격 생체 정보 서버에 의해 장치 인증을 받고, 장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판독한 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장치는,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이 판독한 생체 정보가 미리 등록된 인증자의 생체 정보인 경우에 원격 인증 정보 서버로부터 장치 인증을 받고, 장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인증 정보를 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은, 회전하는 광수용체 드럼과, 상기 드럼 표면을 정전유도하는 정전유도체와, 상기 드럼에 인증 이미지에 대응하는 패턴의 빛을 조사하는 스캐너와, 상기 정전유도체에 의해 정전유도된 드럼 표면의 전하와 같은 전하의 입자를 드럼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와, 상기 드럼의 구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열발생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의 판독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구동방향 하류측에서 상기 드럼과 상기 열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표면의 입자 찌꺼기를 회수하는 입자 회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도 미리 등록된 인증자의 생체 정보 인증에 성공할 때에만 현출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행되는 정보(데이터) 전송 과정은 필요에 따라서 암호화/복호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보(데이터)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표현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모두 암호화/복호화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로부터 B로 전송(전달)" 또는 "A가 B로부터 수신"이라 함은 중간에 다른 매개체가 포함되어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도 포함하며, A로부터 B까지 직접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만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발명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은 A와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리키는 것 뿐만 아니라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로 제한하는 표현이 있지 않는 한 인증 정보는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포괄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1)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과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현출"이라 함은,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하며,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망라하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를 의미한다.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과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별개의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 정보 현출 장치가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과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을 포함한다는 것은 후술하는 각각의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포함한다는 의미로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에는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인증 정보는, 인증 코드로 구성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이차원 바코드, 특정 패턴 또는 이미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감 도장 형태, 특정 오디오 신호 등을 포함한다.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는 개인이나 단체의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생체 정보는 지문, 손금, 정맥 패턴, 홍채, 얼굴, DNA, 성문(목소리) 정보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생체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단일의 판독 유닛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복수 종류의 생체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유닛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 현출 권한을 가진 사람을 "인증자"로 지칭한다. 개인의 경우에는 본인이 될 수도 있고, 인증 정보의 현출 권한을 본인으로부터 위임받은 수임자가 될 수도 있다. 단체의 경우에는 단체에서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그러한 관리자로부터 한시적으로 인증 정보 현출 권한을 위임받은 자가 될 수 있다. 인증자로 지정되는 것은 미리 소정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해서 지정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의 등록 절차를 통해서 지정할 수도 있다. 인증자의 지정 방법은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증자의 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인증자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생체 정보를 판독시키면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은 판독한 생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은 저장되어 있는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1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는 제1 통신부(25)가,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에는 제2 통신부(15)가 제공된다. 제1 통신부(25) 및 제2 통신부(15)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는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에 저장되어 있고, 인증자의 생체 정보는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다. 또는, 개인 본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와 인증자의 생체 정보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과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와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는 각 유닛이 정상적인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와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이 인증자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면 판독된 생체 정보는 제1 통신부(25)에 의해 통신망을 거쳐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로 전송되며,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는 전송받은 생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생체 정보 전송시에는 개인의 경우 개인 본인의 식별 정보가, 단체의 경우 인증자의 단체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인증자의 개인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자에 매칭되어 있는 개인 본인 또는 단체를 특정하고 해당 개인 본인 또는 단체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특정 개인 본인 또는 단체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맞는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으로 전송한다.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은 전송받은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만 통신망을 통해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와 통신한다. 인증자의 생체 정보는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증자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자신의 생체 정보를 판독시키면 판독된 생체 정보가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로 전송되어 인증된다. 등록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인증 성공 식별 코드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을 거쳐서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으로 전달되어 개인 본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가 현출된다.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생체 정보를 판독하면 먼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이 정당한 장치인지 여부를 원격 생체 정보 서버(30)로 식별 코드를 전송해서 확인한다. 정당한 장치로 판정되면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이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만 통신망을 통해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와 통신한다. 인증자가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에 생체 정보를 판독하면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이 판독한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에 단체 인증 정보의 현출을 요청한다.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은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에 개인 본인 또는 단체 인증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인증 정보를 수신해서 현출한다. 인증 정보가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이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와 통신하여 정상적인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받은 후에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한다.
인증 정보 현출 유닛(10)의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와, 이동부(17)와, 구동부(19)를 포함한다. 구동부(19)는 이동부(19)를 본체(12) 외부로 이동시키고 본체(12) 내측으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부(17)의 단부에는 요철부(175)가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단체의 인감 도장을 정의하는 요철부(175)를 구성할 수 있다. 이동부(17)는 디폴트 상태 즉 구동부(19)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인지할 수 없도록 본체(12) 내측에 위치하며,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이 판독한 생체 정보가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자의 생체 정보와 일치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해야 할 때 구동부(19)에 의해서 본체(12) 외부로 이동하여 외부에서 인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자의 생체 정보 판독이 성공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할 필요가 있을 때 이동부(17)가 본체(12)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인감 도장을 정의하는 요철부(175)가 본체(12) 외부로 돌출하고, 이 요철부(175)에 인주를 묻혀 날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유닛(200)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인증 정보 현출 유닛(200)은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로 사용되는 인감 도장 이미지를 출력하는 일종의 프린터 장치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인증 정보 현출 유닛(200)은 회전하는 광수용체 드럼(photoreceptor drum; 205)과, 드럼 표면을 정전유도하는 정전유도체(210)와, 드럼(205)에 단체의 인증 이미지에 대응하는 패턴의 빛을 조사하는 스캐너(220)와, 정전유도체(210)에 의해 정전유도된 드럼 표면의 전하와 같은 전하의 입자를 드럼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230)와, 드럼(205)의 구동방향(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열발생부(240)와, 제어부(250)와, 입자 회수 모듈(260)을 포함한다.
정전유도체(210)가 예를 들어 음전하로 드럼 표면을 정전유도하면 스캐너(220)는 레이저 또는 LED에서 발생하는 빛을 이용해서 단체의 인증 이미지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빛을 드럼 표면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토너(230)가 드럼 표면의 전하와 같은 음전하를 띈 미세 입자를 드럼 표면에 공급한다. 그러면 음전하로 유도된 부분은 미세 입자가 반발하여 붙지 않고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이미지 패턴에만 미세 입자가 달라 붙는다.
드럼(205)이 회전하면서 종이와 같은 매체(300)에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이미지 패턴에 따라 달라 붙은 미세 입자를 옮기고, 하류측에 제공되는 열발생부(240)가 종이 등의 매체(300)에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이미지 패턴에 따라 붙어 있는 미세 입자를 용융시켜 매체(300)에 흡착되도록 한다. 한편, 드럼(205)과 열발생부(240) 사이에 제공되는 입자 회수 모듈(260)이 드럼(205)에 남아 있는 미세 입자 찌꺼기를 회수한다.
제어부(250)는 생체 정보 판독 유닛(20)이 인증자의 생체 정보 인증이 성공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를 현출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인증 정보 현출 유닛(200)의 작동을 개시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인증 정보 현출 유닛(200)도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정보(인증 이미지의 패턴 정보)를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정상적인 장치인지를 인증받고 저장되어 있는 개인 또는 단체의 인증 이미지 패턴을 불러와서 인쇄할 수도 있다. 원격 인증 정보 서버(40)와 통신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인증 정보 현출 유닛
12: 본체
17: 이동부
19: 구동부
20: 생체 정보 판독 유닛
30: 원격 생체 정보 서버
40: 원격 인증 정보 서버

Claims (9)

  1. 생체 정보 판독 유닛과,
    인증 정보를 현출하는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인증자의 생체 정보가 판독되는 경우에만 인증 정보를 현출하며, 회전하는 광수용체 드럼과, 상기 드럼 표면을 정전유도하는 정전유도체와, 상기 드럼에 인증 이미지에 대응하는 패턴의 빛을 조사하는 스캐너와, 상기 정전유도체에 의해 정전유도된 드럼 표면의 전하와 같은 전하의 입자를 드럼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와, 상기 드럼의 구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열발생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의 판독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 현출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증 정보 현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제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판독 유닛은 생체 정보를 판독한 후 생체 정보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원격 생체 정보 서버에 전송하여 생체 정보를 인증받는,
    인증 정보 현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구동방향 하류측에서 상기 드럼과 상기 열발생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표면의 입자 찌꺼기를 회수하는 입자 회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인증 정보 현출 장치.
KR1020150115863A 2015-08-18 2015-08-18 인증 정보 현출 장치 KR10168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63A KR101685502B1 (ko) 2015-08-18 2015-08-18 인증 정보 현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63A KR101685502B1 (ko) 2015-08-18 2015-08-18 인증 정보 현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502B1 true KR101685502B1 (ko) 2016-12-13

Family

ID=5757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63A KR101685502B1 (ko) 2015-08-18 2015-08-18 인증 정보 현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674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중 생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6076159A (ja) * 2004-09-10 2006-03-23 Brother Ind Ltd 印判
JP2010079927A (ja) * 2009-12-24 2010-04-0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認証機能付き印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674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중 생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6076159A (ja) * 2004-09-10 2006-03-23 Brother Ind Ltd 印判
JP2010079927A (ja) * 2009-12-24 2010-04-0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認証機能付き印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9696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method
US9270464B2 (en) Methods for secure enrollment and backup of personal identity credentials into electronic devices
US8988187B2 (en) Proximity base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AU2017221747B2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oftware programme product for the remote authorization of a user of digital services
US10621584B2 (en) Network of biometrically secure devices with enhanced privacy protection
JP2008526078A (ja) 鍵生成、及び認証の承認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WO2007094165A1 (ja) 本人確認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本人確認方法
JP2008167107A (ja) 公開鍵基盤を利用したチャレンジ・レスポンス認証方法
US114447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nd verification of a subject's identity based on the subject's association with an organization
US11514419B2 (en) Method of configuring or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POS terminal and/or assignment of the POS terminal to an operator
KR101685502B1 (ko) 인증 정보 현출 장치
EP1280098A1 (en) Electronic signing of documents
JP4793160B2 (ja) 代理申請による個人情報保護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保護方法
JP2020198100A (ja) 第三者認証に用いる身元の登録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JP2020024603A (ja) 認証管理装置及び認証管理システム
AU2014274594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method
KR20230083909A (ko) 재발급 가능한 생체템플릿 생성 및 운용방법
Kumar et al. Internet Passport Authent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Biometric Identification Technology
KR20230093996A (ko) 블록체인 기반 분산식별자를 이용한 선원자격 증명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272551A (ja) 認証用証明書と端末装置
JP2003283492A (ja) 認証装置
KUMAR et al. Security and Privacy in E-Passport Scheme using Authentication Protocols and Multiple Biometrics Technology
AU5443901A (en) Electronic signing of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