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97B1 -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 Google Patents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97B1
KR101684797B1 KR1020150120817A KR20150120817A KR101684797B1 KR 101684797 B1 KR101684797 B1 KR 101684797B1 KR 1020150120817 A KR1020150120817 A KR 1020150120817A KR 20150120817 A KR20150120817 A KR 20150120817A KR 101684797 B1 KR101684797 B1 KR 10168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outlet
hot mel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환
Original Assignee
오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환 filed Critical 오철환
Priority to KR102015012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나 작업환경에 따라 핫멜트가 토출되는 노즐과 본체의 결합상태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글루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외측에서 결합하는 접착봉을 레버에 의해 유동시키고, 구비된 가열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접착봉을 핫멜트로 용융시켜 외부와 연통된 유출구로 안내하는 본체와,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안내되는 핫멜트의 토출 상태를 조절하도록 내측에 토출공을 구비하고, 토출공의 선단이 사선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유출구의 일측에 착탈 결합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A GLUE GUN HAVING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글루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나 작업환경에 따라 핫멜트의 토출양과 토출상태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글루건을 이용한 접착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에 관한 것이다.
글루건이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봉을 가열 용융시켜 액상을 이루는 핫멜트로 형성하고, 이를 플라스틱이나 목재, 금속, 천 등 가볍고 힘이 많이 가해지지 않는 간단한 물체의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루건은 각종 가구 등의 제조분야나 부품과 부품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이며, 파손된 물품이나 각종 물품의 접착 용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물이나,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이 가벼운 물품이나, 완구 공예품의 접착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글루건은 고체상태의 접착봉을 가열하여 액상의 핫멜트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으로, 고체상태의 접착봉이 삽입된 후 사용자의 레버조작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글루건 몸체와, 상기 글루건 몸체를 통하여 용융된 액상 형태의 핫멜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노즐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글루건은 문헌 1, 문헌 2에서와 같이, 결합하는 접착봉을 유동시킬 수 있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통하여 유동하는 접착봉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와, 상기 접착봉이 가열되어 용융된 핫멜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노즐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용융된 핫멜트가 외부로 토출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 1, 문헌 2와 같은 종래의 글루건은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용융된 핫멜트를 노줄의 외부로 토출하고자 하는 기능은 이룰 수 있으나, 사용자가 레버를 푼 상태에서도 노즐의 토출구로 액상의 핫멜트가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게 됨으로써 토출이 이루어지는 핫멜트의 양을 조절하며 효율적인 접착작업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글루건을 통하여 목재, 금속, 천 등 가볍고 힘이 많이 가해지지 않는 간단한 물체를 접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접착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글루건의 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는 핫멜트의 양과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어려워 글루건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며 접착하거나 글루건의 위치를 변경하며 접착을 이루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42958(2008.12.16)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19684(2001.01.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루건의 사용시에 레버에 의해 유동하는 접착봉을 용융시켜 노즐 방향으로 토출하는 경우에도 노즐에 구비한 개폐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용융된 핫멜트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정적인 글루건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노즐을 통하여 핫멜트를 토출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체에 결합하는 노즐의 선단이 사선방향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본체와 노즐의 결합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접착하고자 하는 물품이나 작업형태에 따라 용융된 핫멜트의 토출 방향을 효율적으로 변경하며 안정적인 접착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본체, 노즐, 조절부의 구성을 통하여 사용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글루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확보하여 글루건을 이용한 접착 작업 의 작업시간 증대를 방지하고, 전체적인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에서 결합하는 접착봉을 레버에 의해 유동시키고, 구비된 가열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접착봉을 핫멜트로 용융시켜 유출구로 안내하는 본체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공을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과 연결되는 토출공의 선단을 사선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상기 유출구의 일측에 착탈 결합하는 노즐과, 상기 유출구의 선택적인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유입공의 내측에 결합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유출구는 상기 노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게 형성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외주연에 형성하는 복수 개의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에 삽입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길이 방향의 양 측부에 관통공을 구비한 관체형의 하우징과, 상기 관통공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하는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의 일측과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게 설치하는 스프링을 포함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결합공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90~180°도 이내의 간격으로 2~4개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루건의 사용시에 레버에 의해 유동하는 접착봉을 용융시켜 노즐을 이용하여 토출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노즐에 구비한 개폐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핫멜트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핫멜트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안정적인 접착작업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노즐을 통하여 핫멜트를 토출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체에 결합하는 노즐의 선단이 사선방향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본체와 노즐의 결합상태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핫멜트를 토출하고자 하는 작업형태나 작업용도에 따라 핫멜트의 토출상태를 효율적으로 변경하며 안정적인 접착작업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본체와 노즐의 구성을 통하여 핫멜트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노즐부위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노즐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글루건을 이용한 접착작업의 전체적인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착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글루건을 제공함으로써, 접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작업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의 본체와 노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의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의 노즐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노즐에 개폐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측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노즐에 구비된 개폐수단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측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의 본체와 노즐의 결합상태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의 본체와 노즐의 다른 결합상태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외측에서 결합하는 접착봉(2)을 레버(11)에 의해 유동시키고, 구비된 가열부(12)를 통하여 유동하는 접착봉(2)을 핫멜트로 용융시켜 유출구(13)로 안내하는 본체(10)와, 상기 유출구(13)와 연결되는 유입공(21a)을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21a)과 연결되는 토출공(21b)의 선단(21b-1)을 사선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상기 유출구(13)의 일측에 착탈 결합하는 노즐(20)과, 상기 유출구(13)의 선택적인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유입공(21a)의 내측에 결합하는 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레버(11)를 구비하여 구성하되, 상기 레버(11)는 외측에서 본체(10)의 내측으로 결합하는 접착봉(2)을 그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에서 노즐(20)의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가열부(12)는 노즐(20)과 인접한 부위에 설치하여 상기 접착봉(2)이 레버(11)를 통하여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봉(2)으로 열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접착봉(2)을 용융시킬 수 있게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구(13)는 상기 본체(10)에 형성하되, 상기 접착봉(2)이 가열부(12)의 열을 전달받아 핫멜트로 용융되는 경우, 용융된 핫멜트를 노즐(20)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유출구(13)를 구성하되, 상기 노즐(20)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게 형성하는 결합공(13a)과, 상기 결합공(13a)의 외주연에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정홈(13b)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에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노즐(2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상기 노즐(20)의 구성은, 상기 유출구(13)와 연결되는 유입공(21a)을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21a)과 연결되는 토출공(21b)의 선단(21b-1)을 사선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노즐(20)은 상기 유출구(13)의 결합공(13a)에 끼움 결합하는 노즐몸체(21)와, 상기 노즐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출구(13)의 고정홈(13b)에 삽입하는 고정돌기(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21b)의 선단(21b-1)을 사선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은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접착을 이루고자 하는 물품(3)에 노즐(20)의 토출공(21b) 선단(21b-1)을 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공(21b)을 통한 핫멜트의 토출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글루건은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 일측으로 노즐(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유출구(13)에 형성한 결합공(13a)과, 고정홈(13b)에 노즐(20)의 노즐몸체(21)와, 고정돌기(22)가 각각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에 노즐(20)을 결합 구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출구(13)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21a)의 내측에 조절부(3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부(3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하여 본체(10)의 내측에 구비한 레버(11), 가열부(12)의 방향으로 유동되고, 용융되는 접착봉(2)을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로 토출 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출구(13)가 사용자의 레버(11)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조절부(30)의 구성은 길이 방향의 양 측부에 관통공(31a)을 구비한 관체형의 하우징(31)과, 상기 관통공(31a)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게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구비하는 개폐볼(32)과, 상기 개폐볼(32)의 일측과 하우징(31)의 내측 면에 밀착 지지되게 설치하는 스프링(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조절부(30)는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20)의 유입공(21a)에 결합하여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길이 방향의 양 측부에는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를 통하여 토출되는 핫멜트가 글루건(20)의 유입공(21a)으로 유입될 시, 유입이 이루어지는 핫멜트가 노즐(20)의 일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게 관통공(31a)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구비한 개폐볼(32)과, 스프링(33)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와 연통하는 노즐(20)의 유입공(21a) 방향으로 핫멜트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상기 하우징(31)의 관통공(31a)을 통하여 핫멜트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와 연통하는 노즐(20)의 유입공(21a) 방향으로 핫멜트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1)의 관통공(31a)을 개폐볼(32)의 일측이 막을 수 있게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31)의 관통공(31a)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핫멜트의 유동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볼(32)이 상기 하우징(31)의 관통공(31a)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개폐볼(32)의 일측으로 스프링(23)이 밀착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이 개폐볼(32)의 일측으로 전달되게 구성하여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3) 방향에서 핫멜트가 유동되어 개폐볼(32)의 일측으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23)의 가압력에 의하여 개폐볼(32)의 일측과 하우징(31)의 관통공(31a)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 방향에서 흘러나오는 핫멜트가 노즐(20)의 유입공(21a) 방향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하우징(31)의 관통공(3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부(30)의 구성이 개폐볼(32)과 스프링(33)을 구비하여 구성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관통공(31a)을 핫멜트의 유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상기 조절부(30)가 노즐몸체(21)의 유입공(21a)에 구비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조절부(30)를 노즐몸체(21)의 토출공(21b)에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출구(13)의 고정홈(13b)은 상기 결합공(13a)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90~180°도 이내의 간격으로 2~4개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에 노즐(2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며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와 노즐(20)의 결합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공(13a)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3a-1)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21)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13a-1)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1c)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홈(13b)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3b-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2)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홈(13b-1)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a)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에 노즐(2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와 노즐(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위와 같은 구성들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본 발명인 글루건의 제작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삭제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접착을 이루고자 하는 물품(3)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본체(10)와 노즐(20)의 결합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글루건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유출구를 통하여 노즐의 유입공으로 안내되는 핫멜트의 토출상태를 조절부의 구성을 통하여 편리하게 조절하고, 본체와 노즐의 결합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하여 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는 핫멜트의 토출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글루건을 이용한 각종 물품의 접착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글루건 2: 접착봉
3: 물품 10: 본체
11: 레버 12: 가열부
13: 유출구 13a: 결합공
13a-1: 결합홈 13b: 고정홈
13b-1: 걸림홈 20: 노즐
21: 노즐몸체 21a: 유입공
21b: 토출공 21b-1: 선단
21c: 결합돌기 22: 고정돌기
22a: 걸림돌기 30: 조절부
31: 하우징 31a: 관통공
32: 개폐볼 33: 스프링

Claims (6)

  1. 외측에서 결합하는 접착봉(2)을 레버(11)에 의해 유동시키고, 구비된 가열부(12)를 통하여 유동하는 접착봉(2)을 핫멜트로 용융시켜 유출구(13)로 안내하는 본체(10)와,
    상기 유출구(13)와 연결되는 유입공(21a)을 내측에 구비하고, 상기 유입공(21a)과 연결되는 토출공(21b)의 선단(21b-1)을 사선방향으로 절개 형성하여 상기 유출구(13)의 일측에 착탈 결합하는 노즐(20)과,
    상기 유출구(13)의 선택적인 개폐를 이루도록 상기 유입공(21a)의 내측에 결합하는 조절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유출구(13)는 상기 노즐(20)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게 형성하는 결합공(13a)과, 상기 결합공(13a)의 외주연에 형성하는 복수 개의 고정홈(13b)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20)은 상기 결합공(13a)에 끼움 결합하는 노즐몸체(21)와, 상기 노즐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3b)에 삽입하는 고정돌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0)는
    길이 방향의 양 측부에 관통공(31a)을 구비한 관체형의 하우징(31)과,
    상기 관통공(31a)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게 상기 하우징(31)의 내측에 구비하는 개폐볼(32)과,
    상기 개폐볼(32)의 일측과 하우징(31)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게 설치하는 스프링(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3b)은
    상기 결합공(13a)의 내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90~180°도 이내의 간격으로 2~4개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3a)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3a-1)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21)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홈(13a-1)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1c)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3b)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3b-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2)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홈(13b-1)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2a)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KR1020150120817A 2015-08-27 2015-08-27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KR10168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17A KR101684797B1 (ko) 2015-08-27 2015-08-27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17A KR101684797B1 (ko) 2015-08-27 2015-08-27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797B1 true KR101684797B1 (ko) 2016-12-08

Family

ID=5757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17A KR101684797B1 (ko) 2015-08-27 2015-08-27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67A (ko) * 2018-11-30 2020-06-09 오철환 글루 건
KR20230031648A (ko) * 2021-08-27 2023-03-07 오철환 글루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0724A (ja) * 1989-02-21 1991-09-02 Norwich Eaton Pharmaceut Inc 二重作用錠剤
KR200219684Y1 (ko) 1999-12-31 2001-04-02 박해붕 다용도 핫멜트 건
KR200442958Y1 (ko) 2008-06-25 2008-12-26 주식회사엑소 글루건
KR20090063343A (ko) * 2007-12-14 200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의 호스 연결 유닛
KR20110053086A (ko) * 2009-11-13 2011-05-19 추유미 무선 글루건
KR101197929B1 (ko) * 2012-03-02 2012-11-05 황승철 핫멜트 분사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0724A (ja) * 1989-02-21 1991-09-02 Norwich Eaton Pharmaceut Inc 二重作用錠剤
KR200219684Y1 (ko) 1999-12-31 2001-04-02 박해붕 다용도 핫멜트 건
KR20090063343A (ko) * 2007-12-14 200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의 호스 연결 유닛
KR200442958Y1 (ko) 2008-06-25 2008-12-26 주식회사엑소 글루건
KR20110053086A (ko) * 2009-11-13 2011-05-19 추유미 무선 글루건
KR101197929B1 (ko) * 2012-03-02 2012-11-05 황승철 핫멜트 분사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67A (ko) * 2018-11-30 2020-06-09 오철환 글루 건
KR102158141B1 (ko) * 2018-11-30 2020-09-21 오철환 글루 건
KR20230031648A (ko) * 2021-08-27 2023-03-07 오철환 글루건
KR102535265B1 (ko) 2021-08-27 2023-05-26 오철환 글루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797B1 (ko) 개폐구조를 갖는 글루건
US20160206077A1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KR20190040108A (ko) 휴대 기구용 부착물
US20080115849A1 (en) Micro-fluidic oscillator
CN105728263B (zh) 一种涂胶嘴旋转的涂胶头
JP2016533870A (ja) ノズルアセンブリ、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JPWO2015041164A1 (ja) グルーガン
US20080073448A1 (en) Anti-stringing applicator
KR200446646Y1 (ko) 안전 노즐이 구비된 글루건
KR200442958Y1 (ko) 글루건
KR100831333B1 (ko) 글루건
US20230311508A1 (en) Nozzle plat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KR101197929B1 (ko) 핫멜트 분사건
TWM459029U (zh) 可變換膠嘴方向的塗膠頭
WO2020078261A1 (zh) 雾化器及电子烟
JP2009113031A (ja) ホットメルト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出口スロットを備えたダイヘッド
KR101680054B1 (ko) 글루건 장치
KR102158141B1 (ko) 글루 건
KR101680056B1 (ko) 굵기 조절 지그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TWI624309B (zh) 機械塗膠裝置
JP2019533620A (ja) ノズル
KR101921509B1 (ko) 접착제 토출용 노즐
KR102107489B1 (ko) 접착패드용 그립장치
KR200219684Y1 (ko) 다용도 핫멜트 건
KR100815310B1 (ko) 디스펜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