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08B1 -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 Google Patents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08B1
KR101684708B1 KR1020100114207A KR20100114207A KR101684708B1 KR 101684708 B1 KR101684708 B1 KR 101684708B1 KR 1020100114207 A KR1020100114207 A KR 1020100114207A KR 20100114207 A KR20100114207 A KR 20100114207A KR 101684708 B1 KR101684708 B1 KR 10168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bobbin
damper
elastic portion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3126A (en
Inventor
윤현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08B1/en
Publication of KR2012005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6Mounting or connecting stylus to transducer with or without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30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horns, e.g. with mechanical matching means, i.e. front-loaded ho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 출력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향 출력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out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output device is improv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coustic output device is reduced.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output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음향 출력 장치라 함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지칭한다.The term "acoustic output device" refers to an acoustic device that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a vibration of a diaphragm to produce a compact wave in the air to radiate a sound wave, and generally refers to a speaker.

대형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다수의 음향 출력 장치가 장착되는데, 최근에는 대화면 슬림 TV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음향 출력 장치인 스피커의 사이즈에 대한 최소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의 사이즈가 감소하는 반면 소리의 재생 대역이나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이 감소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Many display devices such as a large-sized TV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ound output devices. In recent years, as the spread of a large-screen slim TV becomes common, a demand for minimizing a size of a speaker as a sound output device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peaker is reduced while the sound reproduction level and the sound pressure level are reduce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음향 출력 장치, 즉 스피커(1)는, 바텀 플레이트(11)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11)의 상면에 놓이는 마그넷(19)과, 상기 마그켓(19)을 눌러주는 탑 플레이트(20)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프레임(12)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11)의 내측면과 상기 탑플레이트(11)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는 보빈(16)과, 상기 보빈(16)의 외주면에 감기는 보이스 코일(17)과,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댐퍼(18)와, 상기 보빈(16)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22)과, 내측단이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콘 페이퍼(13)와, 내측단이 상기 콘 페이퍼(13)에 결합되고, 외측단이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에지(14) 및 상기 에지(14)의 외측단을 눌러주는 가스켓(1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general sound output apparatus, that is, a speaker 1 includes a bottom plate 11, a magnet 19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 frame 12 fixed to the bottom plate 11 and a bobbin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p plate 11 A voice coil 17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6; a damper 18 fixed to the frame 12; a cap 22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16; A cone paper 13 whose inner end is fixed to the frame 12, an edge 14 whose inner end is coupled to the cone paper 13 and whose outer end is fixed to the frame 12, And a gasket (15) for pressing the outer end of the gasket (14).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스피커의 경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빈(16)의 상하 진동 폭(A)이 확보되어야 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20)와 댐퍼(18)간의 간격과, 상기 댐퍼(18)와 상기 틴셀 와이어(21)의 간격 및 상기 틴셀 와이어(21)와 콘 페이퍼(13) 간의 간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2)의 상하 두께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스피커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output sound, the vertical vibration width A of the bobbin 16 must be secur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plate 20 and the damper 18 and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20 and the damper 18, The gap between the tin-wire 18 and the tin-cell wire 21 and the gap between the tin-cell wire 21 and the cone paper 13 must be secured.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frame 12 must be increased, which limits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peak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피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피커의 성능은 유지하면서 스피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oustic output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 speaker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내부가 함몰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함몰 부위에 놓이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저면에 상기 바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자기 회로부 사이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놓이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기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이 자기 회로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 간의 갭 사이에서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중심을 유지시키는 댐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콘 페이퍼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oustic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bottom plate having an interior recessed therein; A magnetic circuit part including a magnet placed on the depression part and a top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frame having the bottom plat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 bobbin plac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agnetic circu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voice coil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damper for centering the voice coil to precisely operat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And an oscilla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cone paper vibrating together with the voice coil, wherein the damper is housed inside the bobb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ound output devi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의하면, 스피커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동일한 진동계 진폭에 대한 필요 높이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ou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is simplified, and the required height for the same vibration system amplitude is reduced.

나아가, 스피커의 성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두께는 감소되는 슬림한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가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슬림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it is advantageous to realize a slim speaker in which the thickness is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performance of the speak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can be designed more slimly.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종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ound output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2)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는 프런트 커버(10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미도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지지하는 스탠드(104)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배면에 장착되어 전기 및 신호를 제공하는 전장부(103)를 포함한다. 2,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02 to which an image is output, a front cover 101 to cover a front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2, A back cover (not shown) for coveri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2, a stand 104 for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102, and a front cover 104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2, (103).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런트 커버(101)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되는 부분의 상면에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가 하향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ound output device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module 102. [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01 may be bent rearward, and the sound output device 30 may be downward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At least one or more sound output devices 30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module 102,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ound output apparatus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종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30)는,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저면에 결합되는 바텀 플레이트(31)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31)의 내부 바닥면에 놓이는 마그넷(33)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31)의 내부에 놓이고 상기 마그넷(33)을 고정시키는 탑 플레이트(34)를 포함한다. 3 and 4, an acoustic output apparatus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2, a bottom plate 3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32, A magnet 33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and a top plate 34 placed inside the bottom plate 31 and fixing the magnet 33.

상세히, 상기 바텀 플레이트(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상기 마그넷(33)을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31)의 내부 공간은 후술할 보빈(35)의 상하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In detail, the bottom plate 31 is U-shaped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d accommodates the magnet 33 therein. The inner space of the bottom plate 31 provides a vertical movement space of the bobbin 35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31)의 내부 측면과 상기 마그네(33)의 외측면 사이 공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원통 형상의 보빈(35)과, 상기 보빈(35)의 외주면에 감기는 보이스 코일(36)과, 상기 보빈(35)의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37)를 포함한다. The acoustic output device 30 includes a cylindrical bobbin 35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a space betwee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magnet 33, A voice coil 36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35 and a damper 37 installed inside the bobbin 35.

상세히, 보이스 코일(36)은 앰프 출력단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후술할 틴셀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보이스 코일(36)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으로 상기 보빈(35)이 상하 방향 운동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마그넷(33)은 상기 보이스 코일(36)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하 움직임을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37)의 하단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34)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보빈(35)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35)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댐퍼(37)의 상단이 함께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댐퍼(37)는 상기 보이스 코일(36)이 자기 회로부의 갭 사이에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중심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자기 회로부의 갭이라 함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31)의 내주면과, 상기 마그넷(33) 및 탑 플레이트(34)의 외주면 사이 공간을 의미한다. In detail, the voice coil 36 receives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amplifier output terminal through the tin cell wire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vibration, and the bobbin 35 moves up and down b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oice coil 36 do. More specifically, the magnet 33 induces the voice coil 36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Fleming's left-hand rule. The lower end of the damper 37 is fixed to the top plate 34 and the upper end of the damper 37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35. The upper end of the damper 37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bobbin 35 moving upward and downward. The damper 37 functions to center the voice coil 36 so that the voice coil 36 can accurately operate between the gaps of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The gap of the magnetic circuit means a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 33 and the top plate 34. [

또한,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는 상기 보빈(35)의 상단에 결합되어 보빈(35)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캡(41)과, 상기 보빈(35)의 상측 외주면에 내측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콘 페이퍼(38)와, 상기 콘 페이퍼(38)의 외측 가장자리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32)의 상부면에 타단이 결합되는 에지(39)와, 상기 에지(39)의 타단이 상기 프레임(32)에 고정되도록 하는 가스켓(40) 및 상기 보이스 코일(36)과 상기 프레임(32)에 구비된 터미널(321)을 연결하는 틴셀 와이어(41)를 포함한다. The acoustic output device 30 includes a dust cap 41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35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bobbin 35, An edge 39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cone paper 38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32; A gasket 40 to be fixed to the frame 32 and a tin-cell wire 41 connecting the voice coil 36 and a terminal 321 provided in the frame 32. [

상세히, 상기 댐퍼(37)는, 상기 보빈(35)의 상하 방향 피스톤 진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자기 회로부, 즉 상기 탑 플레이트(34)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보빈(35)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37)는 상기 보빈(35)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므로, 프레임(32) 하단부(또는 바텀 플레이트(31) 상단부)와 댐퍼(37)간의 이격 거리가 확보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음향 출력 장치(30)의 상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amper 37 h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vibration of the bobbin 35,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circuit, that is, the top plate 34,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35. Since the damper 37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bobbin 35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32 (or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31) and the damper 37 needs to be secured .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sound output device 30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댐퍼(37)는, 하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로어 암(372)과, 상기 로어 암(372)의 상단에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371)와, 상기 탄성부(371)로부터 연장되는 어퍼 암(373) 및 상기 어퍼 암(373)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빈(35)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빈 연결부(374)를 포함한다. The damper 37 includes a lower arm 372 whose lower end is fixed to the top plate 34, an elastic portion 37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arm 372 and having elasticity, An upper arm 373 extending from the upper arm 373 and a bobbin connecting portion 374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arm 373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35. [

상세히, 상기 로어 암(372)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콘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371)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암(372)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콘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 암(372)과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 연결부(374)는 상기 어퍼 암(373)과 한 몸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암(372)와 어퍼 암(373)은 각각 하나의 연속된 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불연속적인 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detail, the lower arm 372 extends in a cone shape having a smaller width toward the upper side. The elastic portion 371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and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wer arm 372 may extend in a cone shape having a wider width toward the end, an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lower arm 372. The bobbin connection portion 374 may be formed as one body with the upper arm 373, or may be coupled with another member. The lower arm 372 and the upper arm 373 may each have a continuous cone shape or a discontinuous con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inci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보빈(35)이 진동하여 하강하면, 상기 댐퍼(37)의 상단부, 즉 보빈 연결부(374)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어 암(373)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빈 연결부(374)와 어퍼암(373)이 하강할 때, 상기 탄성부(371)에 형성된 그루브의 폭이 좁아지면서 약간 변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35)이 상승하면 상기 탄성부(371)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bobbin 35 vibrates and descends, the upper end of the damper 37, that is, the bobbin connecting portion 374, also descends. At this time, the lower arm 373 remains fixed. Therefore, when the bobbin connecting portion 374 and the upper arm 373 are lowered, the wid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elastic portion 371 is narrowed and slightly deformed to accumulate the elastic force. When the bobbin 35 rises, the elastic portion 37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상기 댐퍼(37)가 상기 보빈(35) 내부에 수용되므로, 상기 틴셀 와이어(42)와 댐퍼(37) 간의 상하 이격 거리가 확보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2)의 상단과 하단 간의 간격(C)이 종래의 간격(B)에 비하여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의 두께가 더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도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30)의 콘 페이퍼(38)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종래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 두께가 더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음향 출력 장치(30)의 두께는 감소되면서 성능은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damper 37 is accommodated in the bobbin 35,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in-cell wire 42 and the damper 37. Therefore, the interval C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32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terval B.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sound output device 30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30 is mounted can be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portion of the cone paper 38 of the sound output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display devi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urther reduced. Furthermore, the thickness of the sound output device 30 is reduced, and the performance is maintained.

Claims (7)

내부가 함몰되는 바텀 플레이트;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내부 바닥면에 놓이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놓이는 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부;
저면에 상기 바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바텀 플레이트와 상기 자기 회로부 사이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놓이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기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이 자기 회로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 간의 갭 사이에서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중심을 유지시키는 댐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콘 페이퍼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하단부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로어 암과,
상기 로어 암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빈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어퍼 암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A bottom plate into which the interior is recessed;
A magnetic circuit part including a magnet plac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top plate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
A frame having the bottom plat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 bobbin plac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agnetic circu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voice coil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damper for centering the voice coil to precisely operat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And an oscillating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cone paper vibrating together with the voice coil,
The damper includes:
A lower arm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 elastic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arm,
And an upper arm extending from the elastic portion and fix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obbin,
Wherein the damper is housed inside the bobb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하단부는 상기 자기 회로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보빈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end of the damper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circuit, and an upper end of the damper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bobb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퍼암은 상기 탄성부를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콘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extend in a cone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passing through the elastic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퍼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콘 형태 또는 내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불연속적 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ither or both of the lower arm and the upper arm are formed in a continuous cone shape or a discontinuous cone shape in which an incision is formed in the inn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의 측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ortion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a groov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KR1020100114207A 2010-11-17 2010-11-17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KR101684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07A KR101684708B1 (en) 2010-11-17 2010-11-17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07A KR101684708B1 (en) 2010-11-17 2010-11-17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26A KR20120053126A (en) 2012-05-25
KR101684708B1 true KR101684708B1 (en) 2016-12-08

Family

ID=4626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07A KR101684708B1 (en) 2010-11-17 2010-11-17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495B1 (en) * 2012-09-14 2013-06-04 범진아이엔디(주) Integrated damper for a speaker
KR102662614B1 (en) 2019-06-12 202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Vibration generating element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61B1 (en) * 2002-02-15 200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Speaker and Speaker Manufacturing Method
KR20040079709A (en) * 2003-03-10 2004-09-16 에스텍 주식회사 Speaker having damper with space efficiency
KR20050075789A (en) * 2004-01-16 2005-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Speaker
WO2010018932A2 (en) * 2008-08-15 2010-02-18 Shin Jong Youl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26A (en)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WO2013114864A1 (en) Earphone
CN111343544B (en) Sound production device
US8553926B2 (en)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56447A (en) Sound transducer with ventilation structure
CN108401215B (en) High-voltage waterproof micro loudspeaker with improved coil structure
KR20100138153A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US10820106B2 (en) Speaker module
KR101622156B1 (en) Receiver having diaphragm with improved rigidity
CN105120409A (en) Loudspeaker
KR101423841B1 (en) Microspeaker with inner resonance chamber
KR20150030879A (en) Slim type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10924830B2 (en) Receiver module
KR101684708B1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CN211959548U (en) Large-amplitude micro loudspeaker
KR20100122349A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101040310B1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101526198B1 (en) Microspeaker with improved air through hole
JP5021026B2 (en) Speaker device
CN213342662U (en) Sound production sub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800531B (en) Earphone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JP6253101B2 (en)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diaphragm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102273231A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1086950B1 (en) Speaker system
KR102659183B1 (en) The slim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