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373B1 -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373B1
KR101684373B1 KR1020150013660A KR20150013660A KR101684373B1 KR 101684373 B1 KR101684373 B1 KR 101684373B1 KR 1020150013660 A KR1020150013660 A KR 1020150013660A KR 20150013660 A KR20150013660 A KR 20150013660A KR 101684373 B1 KR101684373 B1 KR 10168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ower generation
floating
water supply
gener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804A (ko
Inventor
박동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상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부유식 발전플랜트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되, 육상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배관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특성을 고려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를 설치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대용량의 냉각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OLING WATER SUPPLIED FROM ONSHORE INTO FLOATING POWER PLANT}
본 발명은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에서 필요로 하는 냉각수를 육상(onshore)에서 공급받도록 구성하되, 육상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배관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특성을 고려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설치함으로써, 대용량의 냉각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발전에 대한 요구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發電)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폐열을 회수하여 스팀 터빈을 구동하는 복합화력발전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가스 발전의 효율 증대와 가스 가격의 하락 안정에 따른 가스 발전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신흥개발국 등에서 가스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가스 발전은 그 특성상 육지에 가스 저장소 등과 같은 가스 인프라가 갖추어야만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에 제한이 많았다. 특히, 여러 개의 섬들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우에는 대용량의 가스 발전을 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FSRU(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Unit)라는 부유식 해상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선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해상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선을 이용하여 육상의 발전소에 가스를 공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FSRU를 이용한 발전은 해상에서의 FSRU 설치와 육상에 발전소를 건설해야 하는 이중적인 부담을 초래한다. 즉, FSRU 뿐만 아니라, 육상 발전소 건설에 따른 장소 확보와 건설비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기존 육상 발전플랜트 구조를 벗어나 바지선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 위에 발전플랜트가 설치된 새로운 개념의 부유식 발전플랜트가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부유식 발전플랜트에는 발전 기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근래에 건조된 부유식 발전플랜트는 용량이 크지 않아 냉각수의 공급 방식으로 대부분 중앙 집중식 냉각(Central Cooling)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대용량의 기기 냉각수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기존 중앙 집중식 냉각(Central Cooling) 방식을 큰 규모의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적용할 경우에, 초기 막대한 투자비가 발생하고,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없음
큰 규모의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규모의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대용량의 냉각수 공급 방안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대용량의 냉각수 공급 방안으로는 해수(海水)를 끌어들여 부유 발전플랜트를 냉각하는 방안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별도의 해수 취수장비를 해저나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상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부유식 발전플랜트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되, 육상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배관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특성을 고려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를 설치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대용량의 냉각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안벽이나 제티)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 공급 부의 출구에 냉각수 공급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일 측면에 냉각수 수급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과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를 연결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안벽이나 제티)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를 구비하는 단계에서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상기 계류구조물 안에 보관하고,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의 냉각수를 공급하거나, 육상의 냉각수 공급처에서 냉각수 이송라인을 통해서 직접 공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 부에서는 냉각수로서 공업용수를 사용하거나 취수한 해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자체 중량과 냉각수의 중량을 합한 중량을 부유시킬 수 있는 부유조건을 갖도록 한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해상에 부유되는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운동)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냉각수의 공급을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여러 개의 단위 호스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Non-Floatable 플렉서블 호스이며, 중간 부분의 호스 부가 부유기능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90도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서 요구하는 냉각수의 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장치로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안벽이나 제티)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 부의 출구에는 냉각수 공급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일 측면에 냉각수 수급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과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가 연결되어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여러 개의 단위 호스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Non-Floatable 플렉서블 호스이며, 중간 부분의 호스 부가 부유 기능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90도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벨로우즈형 러버 재질의 호스 바디; 상기 호스 바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호스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틸 부재; 상기 플랜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상기 호스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다수의 볼트 홀이 균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체결링; 및 상기 볼트 홀에 결합하여 인접하는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상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부유식 발전플랜트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되, 육상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배관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특성을 고려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설치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대용량의 냉각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규모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적용하는 중앙 집중 냉각(Central Cooling) 방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특징이 있다.
즉, 대용량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고,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며, 육상에서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므로 전체 시스템이 간단하며, 시스템 유지 및 관리비가 저렴하고, 관리 측면에서 매우 용이하다.
또한, 부유식 발전플랜트 내부에 냉각수 관련장비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부유식 발전 플랜트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데에 유리할 뿐 아니라,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콤팩트한 설계에 도움을 준다.
또한,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 중에 또는 운전 중에도 상황의 변경에 따라 언제든지 해수를 이용한 공급 방안으로 전환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육상에서 기기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므로 해수 취수설비를 부유식 발전플랜트 또는 해상에 설치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서 경제적이며,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다. 사이트(site)의 인프라 환경에 따라 육상 또는 해상공급 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수심이 낮고 해수의 오염도가 높은 장소에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부유식 발전플랜트는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체(Barge)와, 그 부유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전플랜트로 구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전플랜트는 LNG를 연료로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 터빈과, 가스 터빈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폐열 회수장치와, 상기 폐열 회수장치에서 생성한 스팀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스팀 터빈을 구비하는 발전플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수 공급장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100)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안벽이나 제티)(10)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 부(110)는 냉각수 저장탱크이며, 이 냉각수 저장탱크 안에는 공업용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 부(110)의 출구에는 냉각수 공급배관(120)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120)은 계류구조물(10)의 외부로 노출하여 위치한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의 일 측면, 좀더 구체적으로는 발전플랜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냉각수 수급배관(130)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120)과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130)을 연결하는 위치에는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140)가 연결된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의 운동특성을 고려하여, 즉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부유체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냉각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유체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120)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130)을 90도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보인 단면도로서,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여러 개의 단위 호스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Non-Floatable 플렉서블 호스로서, 중간 부분에 부유기능의 호스 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벨로우즈형 러버 재질의 호스 바디(141); 상기 호스 바디(14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42); 상기 호스 바디(141)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틸 부재(143); 상기 플랜지(142)를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142)에 걸리도록 상기 호스 바디(141)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다수의 볼트 홀(H)이 균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체결링(144); 그리고 상기 볼트 홀(H)에 결합하여 인접하는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145) 및 너트(1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 공급하는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 공급장치와는 달리, 냉각수 공급 부(210)를 냉각수 저장탱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육상의 원거리에 위치한 냉각수 공급처(미도시)에서 직접 이송배관을 통해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각수 공급 부(210)로서 냉각수 이송배관을 사용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 부(210) 이외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 공급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에 공급하는 방법은, 부유식 발전플랜트(100)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10)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110)를 구비하는 단계(S 10); 상기 냉각수 공급 부(110)의 출구에 냉각수 공급배관(120)을 설치하는 단계(S 20);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의 일 측면에 냉각수 수급배관(130)을 설치하는 단계(S 30);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120)과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130)을 연결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의 운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140)를 연결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에 공급하는 단계(S 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10)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110)를 구비하는 단계(S 10)에서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상기 계류구조물(10) 안에 보관하고,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의 냉각수를 공급하거나, 육상의 냉각수 공급처에서 냉각수 이송배관(210)을 통해서 직접 공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 부(110)에서는 냉각수로서 공업용수를 사용하거나 취수한 해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자체 중량과 냉각수의 중량을 합한 중량을 부유시킬 수 있는 부유조건을 갖도록 한다.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해상에 부유되는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의 운동, 예를 들어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대용량의 냉각수를 육상에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100)에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140)는 여러 개의 단위 호스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Non-Floatable 플렉서블 호스이며, 중간 부분의 호스 부가 부유기능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90도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서 요구하는 냉각수의 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상에서 냉각수를 공급받아 부유식 발전플랜트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되, 육상에 설치된 냉각수 공급배관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특성을 고려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를 설치하여,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 운동과, 파도, 너울, 바람 및 태풍으로 인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대용량의 냉각수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규모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적용하는 중앙 집중 냉각(Central Cooling) 방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특징이 있다. 즉, 대용량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고,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며, 육상에서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므로 전체 시스템이 간단하며, 시스템 유지 및 관리비가 저렴하고, 관리 측면에서 매우 용이하다.
또한, 부유식 발전플랜트 내부에 냉각수 관련장비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부유식 발전 플랜트 자체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데에 유리할 뿐 아니라,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콤팩트한 설계에 도움을 준다.
또한,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 중에 또는 운전 중에도 상황의 변경에 따라 언제든지 해수를 이용한 공급 방안으로 전환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육상의 냉각수는 공업용수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 중에 또는 운전 중에도 상황의 변경에 따라 언제든지 해수를 이용한 공급 방안으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2줄의 부유 플렉서블 호스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부유 플렉서블 호스의 개수는 부유식 발전 플랜트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0: 부유식 발전플랜트
10: 계류구조물
110: 냉각수 공급 부
120: 냉각수 공급배관
130: 냉각수 수급배관
140: 부유 플렉서블 호스(Floatable Flexible Hose)
141: 벨로우즈형 러버 재질의 호스 바디
142: 플랜지
143: 스틸 부재
H: 볼트 홀
144: 체결링
145: 볼트
210: 냉각수 공급 부

Claims (6)

  1. 삭제
  2. 해상에 부유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을 위하여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가 계류되는 계류구조물에 육상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 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 부의 출구에는 냉각수 공급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일 측면에 냉각수 수급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과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연결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유 플렉서블 호스가 연결되어 육상의 냉각수를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며, 상기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에 대하여 상기 냉각수 수급배관을 90도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하되,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은 상기 계류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여러 개의 단위 호스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벨로우즈형 러버 재질의 호스 바디; 상기 호스 바디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호스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틸 부재; 상기 플랜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에 걸리도록 상기 호스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하며, 다수의 볼트 홀이 균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체결링; 그리고 상기 볼트 홀에 결합하여 인접하는 부유 플렉서블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유 플렉서블 호스는 Non-Floatable 플렉서블 호스이며, 중간 부분의 호스 부가 부유기능을 가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6. 삭제
KR1020150013660A 2015-01-28 2015-01-28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KR10168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60A KR101684373B1 (ko) 2015-01-28 2015-01-28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60A KR101684373B1 (ko) 2015-01-28 2015-01-28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04A KR20160092804A (ko) 2016-08-05
KR101684373B1 true KR101684373B1 (ko) 2016-12-08

Family

ID=5671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60A KR101684373B1 (ko) 2015-01-28 2015-01-28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3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509B1 (ko) * 2002-06-12 2005-07-25 강도욱 근해상에서 액화 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US7080673B2 (en) * 2004-04-30 2006-07-25 Sbm-Imodco, Inc. Quick LNG offloading
KR200478733Y1 (ko) * 2010-12-20 2015-1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체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04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3958B2 (ja) 大規模水素製造のための洋上風力タービンシステム
US8826658B2 (en) Wave powered generator
ES2719224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hidroneumático
JP4324640B1 (ja) 海上移動式原子力発電プラント
JP2019069779A (ja) 船搭載海洋熱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
US10273931B2 (en) Wave power station
JP2010265938A (ja) 液化ガス貯蔵システム
KR101620900B1 (ko) 조류 순응형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CN105501404A (zh) 多边形结构的海上浮式核发电装备
US9657708B2 (en) Pumped-storage system
CN104960637A (zh) 一种用于浅水冰区海域的海上核电平台
CN204775876U (zh) 用于浅水冰区海域的海上核电平台
JP2012094363A (ja) 海上ソーラー発電装置
KR101068894B1 (ko) 파력 발전 장치
KR101684373B1 (ko)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CN103328879B (zh) 用于海上液化天然气浮式储存的具有码头再气化单元的设备
KR101541127B1 (ko) 부유식 발전선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전력 공급 방법
JP2005280581A (ja) 水上発電システムおよび水上発電方法
CN103669303B (zh) 波浪能整体发电装置及其安装方法
CN203584670U (zh) 波浪能整体发电装置
KR102117386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KR20150144981A (ko) 연근해에서의 해양플랜트 모듈 시스템 및 그 해양플랜트 모듈 설치방법
KR20150034325A (ko) 모듈형 부유 발전 플랜트 및 부유 발전 플랜트의 모듈화 시스템
KR101654620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냉각수 공급 시스템, 및 그 냉각수 공급 시스템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