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337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337B1
KR101683337B1 KR1020140033368A KR20140033368A KR101683337B1 KR 101683337 B1 KR101683337 B1 KR 101683337B1 KR 1020140033368 A KR1020140033368 A KR 1020140033368A KR 20140033368 A KR20140033368 A KR 20140033368A KR 101683337 B1 KR101683337 B1 KR 10168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933A (ko
Inventor
홍준희
이재호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3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12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3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과 광원수단을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LED 광원수단의 크기 및 도광판을 포함하는 조명수단의 두께 확보에 보다 자율성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 주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LED광원수단과 조명수단이 도광관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LED광원수단은 광 출력을 위한 LED소자 및 이 LED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LED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도광판과,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도광판의 내측에서 전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 상기 도광판의 내부 일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내부 타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광을 출력하는 확산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광관은 광섬유로 구성되어 상기 LED광원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조명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도광판과 광원수단을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LED 광원수단의 크기 및 도광판을 포함하는 조명수단의 두께 확보에 보다 자율성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 주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조명장치의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LED소자는 백열 전구 등의 종래 조명장치에 비하여 발열량이 적고, 긴 수명을 갖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 조명장치 뿐만 아니라 차동차용 헤드라이트 등의 조명 램프 등 다양한 방면에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LED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는 그 크기에 대응되도록 통상 다수의 LED 소자를 탑재하여 큰 광량을 확보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광판의 측면이나 하측에 LED 소자를 장착한 후 도광판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조사된 빛의 전반사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1은 도광판을 이용한 종래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LED 조명장치는 도광판(1)과, 이 도광판(1)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광판(1)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 광원(2) 및, 상기 도광판(1)의 상측 발광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 외부로 빛을 방출하기 위한 렌즈필름(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LED 조명장치는 LED광원(2)에서 도광판(1) 내측으로 빛이 입사되면, 도광판(1) 내측으로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도광판(1)의 발광면, 즉 상측면 전체에 빛을 분산시키게 되고, 도광판(1)의 발광면으로 반사된 빛은 렌즈 필름(3)을 통해 도광판(1)의 외측으로 빛을 방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LED 조명장치는 도광판(1)과 LED광원(2)이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이고, LED광원(2)의 하측에는 LED구동부(4)와 히트싱크(5)가 기본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LED조명장치 전체 두께가 두꺼워 건물이나 구조물 등에 설치시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구조물에 따라 두께에 제한이 있을 수 있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LED 조명장치는 LED 광원이 도광판과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LED 광원에 의한 스팟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LED조명장치는 대면적화와 동시에 슬림화되는 추세로써, 이와 같이 대면적 슬림화된 LED조명 장치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슬림한 두께를 갖는 보다 고가의 LED 광원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는 결국 LED 조명장치의 가격을 상승시켜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1. 무경계면을 가진 직하 배치 방식의 엘이디 조명 장치 (특허출원번호 : 10-2008-0090102)
2. 확산판이 불필요한 도광판을 갖는 LED평판조명 (특허출원번호 : 10-2010-00751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도광판과 LED 광원수단을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관리 및 유지 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LED 광원수단의 크기 및 도광판을 포함하는 조명수단의 두께 확보에 보다 자율성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 주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LED광원수단과 조명수단이 도광관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LED광원수단은 광 출력을 위한 LED소자와, 이 LED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LED구동부 및, 상기 LED구동부를 제어하여 LED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색상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도광판과,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도광판의 내측에서 전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 상기 도광판의 내부 일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내부 타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광을 출력하는 확산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광관은 광섬유로 구성되어 상기 LED광원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조명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광판의 하측에는 상기 도광관을 유입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확산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도광관이 상기 확산렌즈에 밀착되게 유입되고, 상기 도광판의 내측 하측면에는 상기 반사필름이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측면에는 상기 확산필름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LED소자는 R/G/B LED로 구성되어, R/G/B LED로부터 출력되는 각 R/G/B LED 출력광에 대한 합성광을 상기 도광관으로 제공하고, 상기 LED구동부는 상기 색상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색상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R/G/B LED로 제공되는 전원레벨을 가변시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광원수단과 도광관은 일정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그 일단에 상기 LED광원수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도광관이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킨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수단과 상기 도광관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확산필름은 프리즘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의 끝단은 삼각형상이고,
상기 도광관은 다수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상기 LED광원수단으로 제공되는 광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LED 광원수단은 다수의 LED 소자를 구비하여 LED 소자를 통해 다수의 색상을 출력하고,
상기 도광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소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각 광섬유의 타단은 조명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와 결합되어 다수의 색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상기 LED 광원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하나의 LED 구동부와 히트싱크를 통해 다수의 LED소자에 대한 구동처리 및 발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수단과 LED 광원수단을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LED 조명장치에 대한 관리 및 유지 보수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 광원수단과 조명수단이 일정 거리 이격 되게 구성됨으로써, LED광원수단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조명수단의 두께 확보에 보다 자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광원수단을 구성하는 LED소자 크기에 제한이 없게 되어 LED소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은 물론, LED소자에 결합되는 히트싱크의 구조와 성능에도 보다 자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LED 광원수단에 다수의 조명수단이 결합되게 됨으로써, 조명장치의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 광원에 의한 스팟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대면적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어두운 부분이 없는 LED 조명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도광판을 이용한 종래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과 도4는 도2에 도시된 LED 광원수단(100)과 조명수단(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LED광원수단(100)과 도광관(300)의 결합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는 기본적으로 LED광원수단(100)과 조명수단(200)이 도광관(300)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광관(300)은 광섬유로 구성되고, 광섬유를 통해 LED광원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조명수단(300)으로 원활하게 전송시키기 위하여 일정 곡률반경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광관(300)는 다수의 광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광원수단(100)은 조명수단(200)과 분리되어 있어, LED 광원수단(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재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광관(300)의 양 끝단에는 패턴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LED 광원수단(100)과 조명수단(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광원수단(100)은 LED 소자(110)와, LED구동부(120) 및, 히트싱크(130, heat sin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소자(110)는 백색 발광소자 또는 R(적색)/G(녹색)/B(청색) LED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G/B LED소자는 그 출력광의 색상을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LED구동부(120)는 LED소자(110)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전원부는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130)는 상기 LED소자(110) 및 LED구동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수단(200)은 도광판(210)과, 상기 도광관(300)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도광판(200)의 내측에서 전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220), 상기 도광판(210)의 내부 일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230), 상기 도광판(210)의 내부 타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사필름(230)이 배치된 대향측에 배치되는 확산필름(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광판(210)은 그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면에는 상기 도광관(300)의 일단을 유입시키기 위한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관통홀(211)을 통해 결합된 도광관(300)의 단면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관통홀(211)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광판(210)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광판(2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도광관(300) 즉, 광섬유의 끝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삼각형상 과 같이 출력광이 다방향으로 출력되는 각종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렌즈(220)는 도광관(300)이 유입되는 관통홀(211)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홀(211)이 형성된 도광판(2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렌즈(240)는 상기 도광관(300)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도광판(200)의 내측에서 전방향 확산시키기 위한 각종 형태 예컨대, 역 프리즘이나 역 원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필름(230)은 상기 도광판(210)의 관통홀(211)을 통해 도광관(300)으로부터 유입된 광을 발광면 즉, 상기 확산필름(240)이 배치된 측면으로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확산필름(240)은 도광판(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프리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필름(240)은 도광판(21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반사필름(230)을 통해 반사되는 광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한편, 도3에는 확산렌즈(220)가 관통홀(211)이 형성된 도광판(2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렌즈(220)가 도광관(300)이 유입되는 관통홀(211)의 대향측,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홀(211)이 형성된 도광판(2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5는 도2에 도시된 LED광원수단(100)과 도광관(300)의 결합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관(300)은 즉, 광섬유는 LED광원수단(100)의 LED 소자(110)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LED 소자(110)와 도광관(300)은 커넥터(400)를 통해 그 이격 거리를 고정 유지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4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일측에는 LED소자(110)를 유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홀(410)이 형성되고, LED 소자(110)가 결합된 타측에는 도광관(300) 즉, 광섬유의 일단을 유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제2 관통홀(42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400)의 길이는 LED소자(110)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특성을 고려하여 광섬유와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적합한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400)의 내측면에는 LED소자(11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광섬유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광반사층(미도시)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관(300)은 다수의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광원수단(100)에 대해 다수의 광섬유가 대향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광섬유의 타단에는 다수의 조명수단(20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광관(300)을 구성하는 광섬유는 예컨대, 12코어 또는 24 코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관(300)을 구성하는 다수의 광섬유는 각 광섬유에 대해 서로 다른 조명수단(20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수단(200)의 발광면적에 따라 둘 이상의 광섬유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LED 광원수단(100)으로부터 생성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명수단(200)을 통해 출력되는 발광색을 변경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광관(300)을 구성하는 광섬유가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LED조명장치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장치는 LED 광원수단(500)과 조명수단(200)이 도광관(300)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광관(300)은 광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LED 광원수단(500)은 LED 소자(510)와, LED 구동부(520), 히트싱크(530) 및 색상제어모듈(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ED 소자(510)는 R/G/B LED(511,512,5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LED 소자(5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R/G/B LED(511,512,513)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LED 광원수단(500)은 하나의 LED 구동부(520)와 히트싱크(530)를 통해 다수의 LED소자(110)에 대한 구동처리 및 발열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LED 조명장치의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ED구동부(520)는 상기 색상제어모듈(5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LED소자(510)를 구성하는 R/G/B LED(511,512,513)로 제공되는 각 전원레벨을 변경시킴으로써, LED 소자(510)의 출력광을 변경시킨다. 즉, LED구동부(520)에서 상기 각 R/G/B LED(511,512,513)으로 제공되는 전원레벨을 가변시켜 공급하게 되면, 상기 R/G/B LED(511,512,513)는 공급된 전원레벨에 대응되는 색상의 광을 출력하게 되고, 각 R/G/B LED(511,512,513)로부터 출력되는 광에 대한 합성광이 상기 도광관(300)으로 제공된다.
상기 LED구동부는 상기 색상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색상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R/G/B LED로 제공되는 전원레벨을 가변시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530)는 LED 광원수단(5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각종 형태의 구조 및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색상제어모듈(54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LED 소자(510)의 출력광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LED구동부(52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색상제어모듈(540)은 색상 변경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541)와 색상 변경 관련 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정보출력부(542), LED소자(510) 출력광 색상에 대응되는 각 R/G/B LED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메모리(543) 및, 상기 정보입력부(541)를 통해 입력되는 색상 변경설정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메모리(543)에 저장된 해당 색상에 대응되는 LED 구동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생성된 각 R/G/B LED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LED구동부(520)로 제공하는 색상제어부(5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색상제어부(544)는 현재 설정된 색상정보를 상기 정보표시부(542)를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메모리(543)에 저장되는 R/G/B LED 구동정보는 출력색상에 대응되는 전원레벨값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LED 광원수단(100)으로부터 생성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명수단(200)을 통해 출력되는 발광색을 변경시키되, 다수의 조명수단(200)을 통해 서로 다른 발광색이 출력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200)은 서로 밀집하여 있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장치는 LED 광원수단(600)과 다수의 조명장치(200)가 다수의 도광관(300)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광관(300)은 광섬유(310)로 구성되고, 상기 LED 광원수단(600)은 다수의 LED 소자(610)와, 다수의 LED 구동부(620), 히트싱크(630) 및 색상제어모듈(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LED 구동부(620)는 LED 소자(610)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소자(610)는 색상 변경이 가능한 R/G/B LE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LED 구동부(620)에 대해서는 하나 이상의 LED소자(610)가 결합되고, 이 LED소자(610)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로 구성되는 도광관(300)이 결합되며, 이 도광관(300)의 일단에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LED구동부(620)에 대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00)은 동일한 색상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색상제어모듈(66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조명수단(200)의 출력광에 대응되는 R/G/B LED에 대한 전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LED구동부(620)로 제공한다. 이때, 색상제어모듈(660)은 하나의 LED구동부(620)에 대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00)에 대해 동일한 색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수단과 LED 광원수단을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LED 조명장치에 대한 관리 및 유지 보수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LED 전원수단이나 조명수단 중 어느 하나에만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이 있는 수단만 보수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LED 광원수단과 조명수단이 일정 거리 이격 되게 구성됨으로써, 실제 조명효과를 위해 처리되는 LED광원수단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조명수단의 두께 확보에 보다 자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LED광원수단을 구성하는 LED소자를 크기에 제한이 없게 되어 LED소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은 물론, LED소자에 결합되는 히트싱크의 구조와 성능에도 보다 자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LED 광원수단에 다수의 조명수단이 결합되게 됨으로써, 조명장치의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0,500,600 : LED 광원수단, 110,510,610 : LED소자,
120,520,620 : LED 구동부, 130,530,630 : 히트싱크,
200 : 조명수단, 210 : 도광판,
211 : 관통홀, 220 : 확산렌즈,
230 : 반사필름, 240 : 확산필름,
300 : 도광관, 400 : 커넥터,
410, 420 : 관통홀, 540,640 : 색상제어모듈,
541 : 정보입력부, 542 : 정보출력부,
543 : 데이터메모리, 544 : 색상제어모듈.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LED광원수단과 조명수단이 도광관을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LED광원수단은 광 출력을 위한 LED소자와, 이 LED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LED구동부 및, 상기 LED구동부를 제어하여 LED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색상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도광판과,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도광판의 내측에서 전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 상기 도광판의 내부 일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내부 타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광을 출력하는 확산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광관은 광섬유로 구성되어 상기 LED광원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조명수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도광판의 하측에는 상기 도광관을 유입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확산렌즈가 배치되어 상기 도광관이 상기 확산렌즈에 밀착되게 유입되고, 상기 도광판의 내측 하측면에는 상기 반사필름이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측면에는 상기 확산필름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LED소자는 R/G/B LED로 구성되어, R/G/B LED로부터 출력되는 각 R/G/B LED 출력광에 대한 합성광을 상기 도광관으로 제공하고, 상기 LED구동부는 상기 색상제어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색상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R/G/B LED로 제공되는 전원레벨을 가변시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광원수단과 도광관은 일정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그 일단에 상기 LED광원수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도광관이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시킨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수단과 상기 도광관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확산필름은 프리즘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의 끝단은 삼각형상이고,
    상기 도광관은 다수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상기 LED광원수단으로 제공되는 광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출력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LED 광원수단은 다수의 LED 소자를 구비하여 LED 소자를 통해 다수의 색상을 출력하고,
    상기 도광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소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각 광섬유의 타단은 조명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와 결합되어 다수의 색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상기 LED 광원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LED 광원수단은 하나의 LED 구동부와 히트싱크를 통해 다수의 LED소자에 대한 구동처리 및 발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33368A 2014-03-21 2014-03-21 Led 조명장치 KR10168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8A KR101683337B1 (ko) 2014-03-21 2014-03-21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8A KR101683337B1 (ko) 2014-03-21 2014-03-21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33A KR20150110933A (ko) 2015-10-05
KR101683337B1 true KR101683337B1 (ko) 2016-12-07

Family

ID=5434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68A KR101683337B1 (ko) 2014-03-21 2014-03-21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0092B1 (en) * 2022-01-28 2023-01-10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light using fibers
US11614608B1 (en) 2022-01-28 2023-03-28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light using monochromatic aberration-corrected len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9008A (ja) 2007-07-26 2009-03-05 Panasonic Corp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05827A (ja) * 2008-02-26 2009-09-10 Ritsumeikan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052890B1 (ko) 2011-03-24 2011-07-29 주식회사 건기 확산 굴절과 확산 반사 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태양광 확산체가 구비되는 태양광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59B1 (ko) * 2011-12-29 2014-06-16 홍현필 색상 변동형 일체형 광섬유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9008A (ja) 2007-07-26 2009-03-05 Panasonic Corp 面状照明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05827A (ja) * 2008-02-26 2009-09-10 Ritsumeikan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052890B1 (ko) 2011-03-24 2011-07-29 주식회사 건기 확산 굴절과 확산 반사 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태양광 확산체가 구비되는 태양광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33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8752B2 (ja) フリーフォームのライトモジュ−ル
JP6358894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529240B2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31573A (ko) 점광원을 사용한 선광원
JP2015103323A (ja) 照明装置
KR100949194B1 (ko) Led 조명장치
JP2009026708A (ja) 光源装置
EP2806208B1 (en) Light unit with light guide plate
JP2013080638A (ja) 集合線状照明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灯具
JP2008084801A (ja) 線状発光装置
JP6358895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683337B1 (ko) Led 조명장치
KR20120031914A (ko) 에어리어 제어 가능한 백라이트
JP2009110827A (ja) Led光源装置
KR20110076247A (ko) Led 조명장치
JP2010522961A (ja) 汎用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器具
CN201222158Y (zh) 投影光源装置
KR101679500B1 (ko) 블록타입 면광원 제어장치
TWI725321B (zh) 照明裝置
JP2014041726A (ja) 照明システム、配線ダクト及び給電ユニット
JP4899527B2 (ja) Led照明装置
JP2007220447A (ja) 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
JP5229040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08108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TWI509190B (zh) Composite light source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