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561B1 -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561B1
KR101682561B1 KR1020140093567A KR20140093567A KR101682561B1 KR 101682561 B1 KR101682561 B1 KR 101682561B1 KR 1020140093567 A KR1020140093567 A KR 1020140093567A KR 20140093567 A KR20140093567 A KR 20140093567A KR 101682561 B1 KR101682561 B1 KR 10168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rbine
gain
flux
individual win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032A (ko
Inventor
강용철
김진호
박건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03D7/048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controlling wind f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03D9/257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the wind motor being part of a wind f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계통 전압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 저전압 발생시, 단지 제어부가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단지 제어부가 상기 결정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OW-VOLTAGE RIDE THROUGH OF A WIND FARM}
본 발명은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풍력발전단지에서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면,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추종 게인을 결정하여 전달하며,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의 기술개발에 의해 풍력에너지의 수용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풍력에너지의 수용률 증가에 따라 전력망 연계 기준에서는 전력망 저전압 사고 시 전력망의 안정도 유지를 위하여 풍력발전단지가 규정된 시간 동안 전력망과의 연계를 유지하고 전력망의 전압회복에 기여하도록 하는 요구사항을 도입하였다. 풍력발전단지가 이와 같은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사고 시 풍력발전기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억제하여 연계운전을 지속하고, 무효전력 공급 기능을 갖추어 전력망 전압 회복에 협조해야 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전력망 사고 시 회전자 권선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크로우바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크로우바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측 컨버터(RSC, Rotor Side Converter)가 풍력발전기와 분리되어, 해당 시간 동안의 풍력발전기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에 대한 제어능력을 잃게 된다. 또한, 크로우바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의하여도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사고 발생 전 풍력발전기의 단자전압과 허용 가능한 최대 전류를 고려하여 고정값으로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모든 풍력발전기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과전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전압 제어로 변환되기 전까지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번호 : 10-2013-0061995(2013.06.12)
따라서 본 발명은 풍력발전단지의 저전압 사고 발생 시, 효과적인 전압 회복과 지속적인 무효전력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자 권선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억제하여 크로우바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계통 전압(PU)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 저전압 발생시,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개별 풍력발전기의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저전압 사고기간 동안 계통 연계점(PCC)에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시스템은 계통 전압(PU)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계통 감지부, 상기 계통 감지부의 감지 결과 저전압 발생시,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여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하는 단지제어부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풍력발전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지제어부는, 개별 풍력발전기의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하여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발전단지에 저전압 사고가 발생하여도, 계통 전압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계통 전압의 빠른 회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투입 시점을 회전자 전류로 판단하여, 저전압 사고기간 및 회복 이후에 회전자에 과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과전류 억제를 위한 크로우바의 동작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투입 시점을 회전자 전류로 판단하여, 쇄교 자속 추종 제어 동작시간을 감소시켜 저전압 사고기 동안 풍력발전기가 무효전력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개별 풍력발전기의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함으로써,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고려한 효과적인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풍력발전단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따른 계통 연계점(PCC)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따른 무효전력 공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과 기존 제어 방법에 따른 제어 투입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의 회전자 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과 기존 제어 방법에 따른 크로우바(Crowbar)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풍력발전단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풍력발전단지를 도 1과 같이 5MW급 이중여자유도발전기(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풍력발전기) 20기로 구성된 풍력단지가 변전소와 연계선을 통해 전력망과 연계되며, 전력망은 내부 임피던스를 포함한 정현 전원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풍력발전단지의 입력풍속은 12m/s이고, 풍향은 0도에 후류효과를 고려하였고, 개별 풍력발전기의 정격전류는 1PU이며, 회전자 전류가 1.1PU과 초과할 시 쇄교 자속 추종제어를 투입하도록 설정하였다. 계통 사고는 정현 전원 앞단에 3상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계통 연계점(PCC) 지점의 계통 전압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계통 감지부나 계통 측정부 등과 같은 구성이 계통 연계점과 연결되어 계통 전압을 감시하며 저전압을 감지한다. 계통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계통 전압은 1PU로 유지되며, 계통에 문제가 생겨 저전압이 발생하면 계통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계통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감지 결과 계통 전압에서 저전압이 발생하면, 단지 제어부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한다.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은 회전자 권선의 쇄교 자속이 고정자 권선의 쇄교 자속을 추종하게 하여 회전자 권선의 과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단지 제어부가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한다.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의 결정은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하는데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한다.
Ka * = │slipmax / slipWGi
KT * = KT * Ka * (0≤KT *≤1)
여기서, Ka *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이며, KT * 는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쇄교 자속 추종 게인, slipmax는 풍력발전단지에서 가장 큰 slip을 가지는 풍력발전기의 slip값, slipWGi는 단지 제어부로부터 Ka * 을 할당받는 풍력발전기의 slip값이다. 또한, slip값은 회전자계 각속도와 회전자의 각속도의 차에 대한 회전자계 각속도의 비율로 (Ws-Wr)/Ws로 산정한다.(Ws는 회전자계 각속도, Wr은 회전자의 각속도) 즉,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쇄교 자속 추종 게인 KT *를 결정함에 있어서,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 Ka *을 이용함으로써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속도가 고려될 수 있다. 한편, KT 는 개별 풍력발전기에서 과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최소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1.2 내지 1.5 사이의 튜닝값을 곱하여 산정한다.
기존에는 쇄교 자속 추종을 위해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사고 발생 전 풍력발전기의 단자전압과 허용 가능한 최대 전류를 고려하여 고정값으로 결정하였는바, 동일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일률적으로 모든 풍력발전기에 적용되기 때문에 전력망 사고 시 발생되는 과전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함으로써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속도가 고려되므로, 개별 풍력발전기마다 서로 상이함과 동시에 가장 적합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결정되어, 전력망 사고 시 발생되는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속도에 근접하여 운전 중인 풍력발전기에는 큰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결정될 것이며, 동기속도로부터 떨어져 운전 중인 풍력발전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결정될 것이다.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이 결정되면, 단지 제어부는 결정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한다.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은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되어 각 풍력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해야 하므로, 풍력발전기 제어부 등과 같은 구성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 단계로, 단지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개별 풍력발전기의 제어는 풍력발전기 제어부(예를 들면 VSC 콘트롤러)등과 같은 구성에 의해 수행될 것이며,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가 시작된다. 쇄교 자속 제어 투입 설정 전류는 개별 풍력발전기의 스펙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기존의 쇄교 자속 추종 제어 방법은 개별 풍력발전기의 제어 투입 기준을 단자 전압으로 설정함으로써, 단자 전압이 회복되기 전까지의 저전압 사고기간 동안 무효전력의 보상이 불가능하였으며, 아울러 전압이 회복되면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종료되어 회전자의 과전류를 억제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쇄교 자속 추종 제어의 투입 기준을 회전자 전류로 설정함으로써, 사고기간 동안 전압제어와 제어 전환을 통하여 지속적인 무효전력의 보상이 가능하며, 쇄교 자속 추종 제어 동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고 이후 회전자에 생성되는 과전류의 억제가 가능하다.
한편, 제어는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쇄교 자속이 고정자 쇄교 자속을 추종하도록 하는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수행되는바, 구체적으로 고정자 쇄교 자속과 회전자 쇄교 자속의 차이를 계산하여 P제어부로 쇄교 자속 추종을 하는 폐루프 제어를 수행하는바, 각 고정자와 회전자 전류를 이용하여 쇄교 자속을 계산하고, 계산된 쇄교 자속을 이용하여 목표(Reference) 쇄교 자속을 계산하며, 최종적으로 회전자 전압을 지령하여 회전자 쇄교 자속을 제어한다.
상기 검토한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어 투입 시점을 회전자 전류로 판단하여, 계통 전압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계통 전압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고기간 동안 지속적인 무효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며, 회전자에 과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존 제어 방법과의 효과상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따른 계통 연계점(PCC)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무효전력 공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제어 투입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이 적용된 그래프이며, 일점쇄선은 기존 제어 방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고 발생 전 계통 전압은 1PU로 유지되고 있었으나, 7.025초 부근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계통 전압이 급격히 하락하게 되며, 7.325초 부근에서 사고는 종료된다. 그래프를 살피면, 사고기간 동안 본 발명에 의한 그래프가 기존 제어 방법의 그래프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계통 전압이 1PU로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의한 것이며, 제안한 방법의 쇄교 자속 추종제어가 회전자 전류를 억제시켜 쇄교 자속 추종제어가 전압 제어와의 제어 전환이 이루어지고 전압 제어가 계통에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계통 전압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계통 전압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투입 시점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저전압 사고가 발생한 7.025초 부근에서 제어 투입 신호가 발생하여 7.05초 부근 이후에는 제어 투입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7.025초 부근에서 7.05초 부근까지 회전자 전류가 임계전류를 초과하여 제어가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어 투입 시점은 유사하나,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저전압 사고 기간동안 계속 유지됨에 따라 계통 연계점(PCC)에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 저전압 사고 발생 시 계통 전압은 더 급격히 하락하며, 계통 전압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아울러 무효전력 공급을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사고기간 동안 계통 연계점(PCC)에 지속적인 무효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 제어 방법은 사고기간 동안 무효전력의 공급이 불가능한바, 이는 사고 발생 이후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전압제어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어 투입시점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7.025초 부근에서 제어 투입 신호가 발생하여 7.05초 부근 이후에는 제어 투입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7.05초 부근 이후부터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전압제어로 전환되며, 사고가 종료되는 7.325초 부근까지(사고기간 동안) 지속적인 무효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 제어 방법의 경우, 7.025초 부근부터 7.35초 부근까지 지속적으로 제어 투입 신호가 발생하며, 계통 전압이 회복된 7.35초 부근 이후부터 쇄교 자속 추종 제어가 전압제어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고가 종료되는 7.325초 부근까지(사고기간 동안)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도 6은 회전자 전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크로우바(Crowbar)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마찬가지로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이 적용된 그래프이며, 일점쇄선은 기존 제어 방법에 대한 그래프이다.
사고기간 및 사고가 종료된 기간의 회전자 전류를 살피면, 본 발명의 그래프는 개별 풍력발전기의 정격전류인 1PU를 초과하는 구간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역시 본 발명의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에 의한 것이다. 그래프를 살피면, 사고가 발생한 직후 회전자 전류가 급증하나(7.025초 부근), 곧바로 정격전류 이하로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류가 급증하는 구간에서 기 설정된 전류인 1.1PU를 초과하였으나, 그로 인해 곧바로 제어가 투입되어 회전자 전류를 기 설정된 전류 이하로 하락시켰기 때문이다. 계통 전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경우, 7.025초 부근에서 쇄교 자속 추종제어가 투입되어 회전자에 정격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나, 기존 제어 방법에 의하면 쇄교 자속 추종제어가 사고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동작하지만, 사고 종료 이후 단자전압이 회복되면 제어가 종료되고 그로 인해 회전자의 과전류 억제가 불가능하게 되어 회전자에 과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가 생성되는 경우 과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동작하는 크로우바의 동작에서도 효과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저전압 사고가 발생한 직후에만 크로우바가 잠시 동작하며, 회전자에 정격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사고 종료 이후에는 크로우바가 동작하지 않으나, 기존 제어 방법의 경우 저전압 사고가 발생한 직후뿐만 아니라, 사고가 종료된 이후에 생성되는 과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크로우바가 재차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포함하는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서술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저전압 보상 제어 시스템에도 당연히 유추되어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단지 제어부
120 : 개별 풍력발전기

Claims (5)

  1. 계통 전압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 저전압 발생시,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는 단계는,
    개별 풍력 발전기에서 과전류를 억제 하기 위한 최소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1.2 내지 1.5 사이의 튜닝값을 곱한 값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은,
    저전압 사고기간 동안 계통 연계점(PCC)에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4. 계통 전압을 감시하여 저전압 발생을 감지하는 계통 감지부;
    상기 계통 감지부의 감지 결과 저전압 발생시, 개별 풍력발전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쇄교 자속 추종 게인을 결정하여 개별 풍력발전기에 전달하는 단지 제어부;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회전자 전류가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달받은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따라 개별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풍력발전기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단지 제어부는,
    개별 풍력 발전기에서 과전류를 억제 하기 위한 최소 쇄교 자속 추종 게인에 1.2 내지 1.5 사이의 튜닝값을 곱한 값 및 개별 풍력발전기의 slip값을 고려한 쇄교 자속 추종 추가 게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시스템

  5. 삭제
KR1020140093567A 2014-07-23 2014-07-23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567A KR101682561B1 (ko) 2014-07-23 2014-07-23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567A KR101682561B1 (ko) 2014-07-23 2014-07-23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32A KR20160012032A (ko) 2016-02-02
KR101682561B1 true KR101682561B1 (ko) 2016-12-05

Family

ID=5535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567A KR101682561B1 (ko) 2014-07-23 2014-07-23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983B1 (ko) 2018-12-04 2021-02-08 한국전력공사 대규모 풍력단지 연계 계통 사고시 전압 변조 지수를 활용한 전압 제어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995A (ko) 2011-12-02 2013-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터빈의 저전압보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78230A (ko) * 2012-12-17 2014-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통 저전압시 육상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보상방법
KR20140078229A (ko) * 2012-12-17 2014-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통 저전압시 해상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보상방법
KR20140081058A (ko) * 2012-12-21 2014-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통 고전압시 육상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XPL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32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nou et 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independent grid code compatibility solutions for VSC–HVDC connected offshore wind farms
EP25281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C-transmission link
DK2580836T3 (en) Wind energy pla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nd power plant
KR101423212B1 (ko) 풍력발전단지의 계통연계점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170306B2 (en) Islanding detection method and system
Gkavanoudis et al. A combined fault ride-through and power smoothing control method for full-converter wind turbines employing supercapacitor energy storage system
US20150311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electrical machines
CN104205618B (zh) 故障情况下风力涡轮发电机的转矩控制
US9551323B2 (en) Power plant control during a low voltage or a high voltage event
EP3032684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resistive braking capability
EP2501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slanding conditions of distributed generator
US20130114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slanding conditions of a distributed grid
EP2863512B1 (en) Power system,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ntrol device for power system
KR20100035631A (ko) 풍력 발전 장치
CN109154275B (zh) 在异常电网事件期间运行风力涡轮机发电机
US10113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wind turbine oscillations caused by grid faults
CN111492551B (zh) 可再生能源发电厂的自适应有功功率控制
Margaris et al. Dynamic security issues in autonomous power systems with increasing wind power penetration
KR101682561B1 (ko) 풍력발전단지 저전압 보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Hu et al. A novel optimal design of DFIG crowbar resistor during grid faults
US11870243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renewable power generation plant
Zhu et al. A DC chopper‐based fast active power output reduction scheme for DFIG wind turbine generators
Zhang et al. Wind turbine control design to enhance the fault ride through capability
CN112134253B (zh) 一种直流能耗装置的不平衡鉴别与保护方法
El Karkri et al. LVRT and HVRT control strategies of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