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412B1 -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412B1
KR101682412B1 KR1020140118909A KR20140118909A KR101682412B1 KR 101682412 B1 KR101682412 B1 KR 101682412B1 KR 1020140118909 A KR1020140118909 A KR 1020140118909A KR 20140118909 A KR20140118909 A KR 20140118909A KR 101682412 B1 KR101682412 B1 KR 10168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module
server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414A (ko
Inventor
김상영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1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새로운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자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운용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과 연결된 기기의 사용량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충방전하며, 우선순위기반에 기반한 스케줄링 및 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별 전력사용량을 전력사용량으로 계산하는 스마트 전력량계(600); 상기 ㅇ스ㅇ마트 전력량계(600)에서 계상된 전력사용량에 따른 사용자 기기별 전력수요에 따른 원격제어를 에너지저장시스템(100)으로 요청하는 스마트 그리드(700); 및 사용자 기기(500)의 기기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별 사용량 및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한 스케줄링으로 상기 스마트 그리드(700)로부터 요청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새로운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자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운용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과 연결된 기기의 사용량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충방전하며, 우선순위기반에 기반한 스케줄링 및 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는 에너지를 배터리처럼 저장해서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는 저장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기에너지는 생산과 저장의 차이가 있어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데 있어 생산이 함께 움직여줘야 하는데 ESS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해 사용하는 것으로 에너지 생산에 대한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ESS가 활성화되면 비교적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새벽에 생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여 에너지 공급이 몰릴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 생산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미미하게 모이는 신재생에너지를 축적하여 에너지를 나눠 쓸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전력난을 많이 해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펼쳐지는 ESS 실증 사업은 한 개의 변전소와 맞먹는 규모의 8메가 와트급으로 진행되고 있어 전력난을 해소해 줄 수 있는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근래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 확보를 위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으로 풍력, 태양광 등의 에너지 생산 설비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이라는 점에서 선진국을 비롯하여 각 국가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특히 신재생 에너지 중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전시키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공해가 없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 등으로 인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단독으로만 운전하는 독립형 발전 시스템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상용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운전하는 계통연계형 발전 시스템 두 종류가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버터와 인버터는 시스템 설계시 설정된 정격전압이나 정격전류에 따라 내부 회로 소자가 결정된다. 이 경우 용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량 확장이 요청되는 경우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므로 공간적, 소비전력 면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4214호(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은 전력변환부(PC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컨버터 및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발전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공간 및 소비전력을 개선하면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전력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비전력을 개선하면서 용량을 확장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인 것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운용 기술이 더욱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새로운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자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운용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과 연결된 기기의 사용량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충방전하며, 우선순위기반에 기반한 스케줄링 및 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외부의 발전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가 충전할 수 있는 전력(DC)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시스템(PCS)(120); 상기 배터리의 SOC(State Of Health)나 충, 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 및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30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00)이 추가되는 경우 해당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의 장치 식별자(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치 식별자를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 전송하며,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부터 해당 식별자 장치 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장치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설정된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을 운용하고,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분석서버(220)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서버(220)로부터 전력사용량에 따른 최적화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최적화알고리즘이 전송되면, 해당알고리즘에 따른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으로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을 운용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스마트전력량계(스마트 미터(AMI))(600)를 통해 사용량 정보가 측정되어 전송되면, 측정정보에 따른 기기별 전력소모량을 분석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전력공급이 필요한 경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의 충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전력제어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나 분석서버(220)는 각각 별도의 서버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서버(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500)는, 가전기기(510), 조명기기(520) 및 사무기기(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에너지저장시스템(100)에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연결되면(S100), 전력제어모듈은 연결된 장치의 식별자(ID)를 인식하는 단계(S110); 상기 인식된 장치식별자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20); 상기 서버(200)는 장치 정보를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설정 및 운용하는 단계(S140);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5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에 따라 전력공급 및 차단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20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여(S170),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고(S18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충, 방전을 운용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50)는, 별도의 스마트전력량계에서 수행하여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력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200)는 장치정보를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컨피그레이션 서버(210)와, 상기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기 위한 분석서버(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별 전력사용량을 전력사용량으로 계산하는 스마트 전력량계(600); 상기 스마트 전력량계(600)에서 계상된 전력사용량에 따른 사용자 기기별 전력수요에 따른 원격제어를 에너지저장시스템(100)으로 요청하는 스마트 그리드(700); 및 사용자 기기(500)의 기기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별 사용량 및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한 스케줄링으로 상기 스마트 그리드(700)로부터 요청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500)는, 가전기기(510), 조명기기(520) 및 사무기기(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은 사용자 기기(500)의 기기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S200); 스마트 전력량계(600)에서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100)에서 측정된 기기별 사용량을 받아 전력사용량으로 계산하여 이를 스마트 그리드(700)로 전송하는 단계(S210); 상기 스마트 그리드(700)는 전력수요에 따른 원격제어를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100)으로 요청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은 기기별 사용량 및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한 스케줄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500)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여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신규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록 시 해당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자의 자동 설정 및 운용이 가능하다.
둘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내외부 전력상태 분석을 통한 지능형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다.
셋째,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연결된 사용자 기기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넷째,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연결된 사용자 기기별 전력사용량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알고리즘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충방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저장시스템(ESS)(100)은 전력제어모듈(PCM : Power Control Module)(110)과, 전력변환시스템(PCS : Power Conditioning System)(120) 및 배터리관리시스템(BMS : Battery Managing System)(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력제어모듈(110)은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변환시스템(PCS)(30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00)이 에너지저장시스템(100)과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해당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의 장치 식별자(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치 식별자를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 전송하며,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부터 장치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장치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설정된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을 운용한다.
또한 전력제어모듈(110)은 가전기기(510), 조명기기(520) 및 사무기기(530) 등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직접분석하여 분석서버(220)로 전송하고, 분석서버(220)로부터 전력사용량에 따른 최적화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최적화알고리즘을 전력제어모듈(110)로 전송하면, 전력제어모듈(110)은 해당알고리즘에 따른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으로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을 운용한다.
한편 전력제어모듈(110)은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스마트전력량계(스마트 미터(AMI))(600)를 통해 사용량 정보가 측정되어 전송되면, 측정정보에 따른 기기별 전력소모량을 분석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전력공급이 필요한 경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의 충방전 스케줄을 조정한다. 그리고 전력제어모듈(110)은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기기별 자동전력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한다.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은 외부의 발전시스템(예로써 태양전지)등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가 충전할 수 있는 전력(DC)으로 변환한다.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은 배터리의 SOC(State Of Health)나 충, 방전을 관리한다.
한편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나 분석서버(220)는 각각 별도의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2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저장시스템(100)에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연결되면(S100), 전력제어모듈은 연결된 장치의 식별자(ID)를 인식한다(S110).
그리고 인식된 장치식별자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120).
그러면 서버(200)는 장치 정보를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한다(S130).
전력제어모듈은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설정 및 운용한다(S140).
이때, 스마트 전력량계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한다(S150).
전력제어모듈은 스마트전력량계에서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에 따라 전력공급 및 차단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160).
그리고 전력제어모듈은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를 분석서버(220)로 전송하면 분석서버(22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여(S170),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고(S180), 전력제어모듈은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충, 방전을 운용한다(S190).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너지저장시스템(100)과 스마트전력량계(600) 및 스마트 그리드(7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은 사용자 기기(500)의 기기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200).
스마트 전력량계(600)에서는 에너지저장시스템(100)에서 측정된 기기별 사용량을 받아 전력사용량으로 계산하여 이를 스마트 그리드(700)로 전송한다(S210).
스마트 그리드(700)는 전력수요에 따른 원격제어를 에너지저장시스템(100)으로 요청한다(S220).
그러면 에너지저장시스템(100)은 기기별 사용량 및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한 스케줄링으로 사용자 기기(500)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한다(S230).
이와 같은 본 발명 제2실시예 역시 기기별 우선순위에 따른 전력수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기기별 우선순위 기반의 스케줄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에너지저장시스템(ESS) 110 : 전력제어모듈(PCM)
120, 300, 310, 320, 330 : 전력변환시스템(PCS)
130, 400, 410, 420, 430 : 배터리관리시스템(BMS)
200 : 서버 210 : 컨피그레이션 서버
220 : 분석서버 500 : 사용자 기기
510 : 가전기기 520 : 조명기기
530 : 사무기기 600 : 스마트 전력량계
700 : 스마트 그리드

Claims (9)

  1. 외부의 발전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가 충전할 수 있는 전력(DC)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시스템(PCS)(120);
    상기 배터리의 SOC(State Of Health)나 충, 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 및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이 추가되는 경우 해당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의 장치 식별자(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치 식별자를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 전송하며,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로부터 장치 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장치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설정된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3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420)을 운용하고,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분석서버(220)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서버(220)로부터 전력사용량에 따른 최적화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최적화알고리즘이 전송되면, 해당알고리즘에 따른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으로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을 운용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5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스마트전력량계(스마트 미터(AMI))(600)를 통해 사용량 정보가 측정되어 전송되면, 측정정보에 따른 기기별 전력소모량을 분석하여 기기별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전력공급이 필요한 경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시스템(PCS)(120)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130)의 충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전력제어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피그레이션 서버(210)나 분석서버(220)는 각각 별도의 서버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서버(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500)는,
    가전기기(510), 조명기기(520) 및 사무기기(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4. 에너지저장시스템(100)에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연결되면(S100), 전력제어모듈은 연결된 장치의 식별자(ID)를 인식하는 단계(S110);
    상기 인식된 장치식별자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20);
    상기 서버(200)는 장치 정보를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변환시스템(PCS)이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설정 및 운용하는 단계(S140);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5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에 따라 전력공급 및 차단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수집된 기기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20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여(S170),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고(S180),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충, 방전을 운용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50)는,
    별도의 스마트전력량계에서 수행하여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력제어모듈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는 장치정보를 상기 전력제어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컨피그레이션 서버(210)와,
    상기 최적화된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기 위한 분석서버(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운용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18909A 2014-09-05 2014-09-05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68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09A KR101682412B1 (ko) 2014-09-05 2014-09-05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09A KR101682412B1 (ko) 2014-09-05 2014-09-05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14A KR20160029414A (ko) 2016-03-15
KR101682412B1 true KR101682412B1 (ko) 2016-12-05

Family

ID=5554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909A KR101682412B1 (ko) 2014-09-05 2014-09-05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89B1 (ko) * 2017-12-05 2019-03-08 주식회사 우암코퍼레이션 에너지 플랫폼 기반 실시간 업그레이드 및 시스템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형 ess-ems 관리 시스템
JP2019164643A (ja) 2018-03-20 2019-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165584A (ja) * 2018-03-20 2019-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048528B1 (ko) 2019-02-27 2019-11-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28881A (ko) * 2022-02-28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87B1 (ko) 2011-12-13 2012-1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디바이스 등록 방법
JP2013027214A (ja) 2011-07-24 2013-02-04 Denso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567A (ko) * 2010-12-24 2012-07-04 (주) 마이크로사이텍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기의 전력 분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7214A (ja) 2011-07-24 2013-02-04 Denso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196287B1 (ko) 2011-12-13 2012-1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디바이스 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14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930B (zh) 电力控制装置和电力控制方法
KR101682412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US9293923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11095716B (zh) 分布式电源系统
JP5857250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863141B1 (ko) 리튬이온배터리와 슈퍼캐패시터를 이용한 전력제어형 에너지관리시스템
KR20160001249A (ko)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845166B1 (ko)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2868173A (zh) 一种分布式独立光伏发电系统及发电方法
CN104092236A (zh) 混合型再生能源与储能系统供电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96094B1 (ko) 공동 주택의 지능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727356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2013038838A (ja) 集合住宅電力システム
US9853474B2 (en) Battery pack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119180A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모니터링 시스템
Sakagami et al. Performance of a DC-based microgrid system in Okinawa
JP6478032B2 (ja) 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配電システム
Sakagami et al. Simulation to optimize a DC microgrid in Okinawa
CN111641209B (zh) 基于5g通讯的分布式光伏组件工作模式切换方法及系统
JP2018166360A (ja)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JP2013116033A (ja) 電力供給装置
KR102601868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관리 시스템, 태양광 발전 장치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20026387A (ko)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환경 및 상태정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Zhang et al. Realizing an integrated system for residential energy harvesting and management
Seifi et al. An innovative demand side management for vulnerable hybrid micro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