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03B1 -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03B1
KR101682203B1 KR1020140062813A KR20140062813A KR101682203B1 KR 101682203 B1 KR101682203 B1 KR 101682203B1 KR 1020140062813 A KR1020140062813 A KR 1020140062813A KR 20140062813 A KR20140062813 A KR 20140062813A KR 101682203 B1 KR101682203 B1 KR 10168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eight
parts
modul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6150A (en
Inventor
전중규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03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일 슬래브모듈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10); 타 슬래브모듈을 일 슬래브모듈에 근접시키면서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가압하되 일 슬래브모듈과 타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충진공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ngle slab module, comprising the steps of: (S10) attach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mold substitute to a rim portion of a single slab module; (S20)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and side mold substitute while allowing the other slab module to approach the one slab module so that a fill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lab module and the other slab module; And filling the filling space with a filling material (S30). The filling material filling method of the modular bridge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Description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a modular bridg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본 발명은 복수의 슬래브모듈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형 교량에 있어 공장에서 기 제작된 슬래브모듈 간을 채움재 의해 조립하되 별도의 거푸집 설치없이 채움재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이에 사용되는 채움재의 경우도 조립시 긴장력 도입시점에서 설계기준에 충분한 압축강도가 발현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연결부의 각종 균열발생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기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충진성을 향상시켜 슬래브모듈 간에 밀실한 충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듈러교량의 시공성, 구조적 건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 modular bridg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it is possible to assemble a slab module manufactured by a factory with a filler material and to install the filler material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formwork, In the case of the filler material used,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is exhibited at the time of introducing the tensile force at the time of assembly so as to shorten the air and prevent various cracks at the joint portion, thereby ensuring durability.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of the modular bridge by allowing a clear filling between the slab modules.

교량상판은 교통하중을 메인 거더 또는 교각에 전달하는 구조로서 교통사고, 교통체증의 원인이 되며 보수보강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교량상판은 현장타설에 의해 시공될 수 있으며, 근래에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화 하여 제작. 운송. 설치됨으로 보다 경제적이며 공기 단축, 품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bridge top plate is a structure that transmits the traffic load to the main girder or the bridge, causing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congestion, and frequent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These bridges can be installed by field casting, and recently, they have been made into precast at the factory. transit. It is installed more economically, shortening the air and ensuring quality.

이렇게 교량상판을 모듈화하되, 각각의 모듈을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에서 시공할 시에는 상판을 이루는 슬래브모듈 간의 연결부의 시공이 중요하다. 일체식 현장타설 교량상판은 하중전달이 연속성을 가질 수 있으나, 모듈형 교량에서는 하중전달의 연속성이 없어 연결부가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체식 현장타설 교량상판과 같은 하중전달의 연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연결부의 처리가 가장 핵심적인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that form the top plate when modularizing the bridge top plate. In the case of integrated bridges, bridges can have continuity in load transfer, but in modular bridges, there is no continuity of load transfer, so the connection can act as a weak part. 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 same continuity of load transfer as in the case of a single-type spot-placed bridge top plate, the treat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the most important.

환언하면 모듈형 교량의 경우는 시공 후 각 슬래브모듈의 연결부에 수직하중이 작용할 때, 종.횡 방향거동은 일체식 현장타설 교량상판과 역학적 특성이 크게 다르다. 즉, 수직하중이 작용할 때는 모듈형 교량의 경우 수직하중이 연결부의 수직 전단력 및 휨에 의하여 인접부재에 전달되며 이에 연결부의 휨 강성은 하중분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modular bridges,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behavio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onolithic cast-in-place bridge deck when the vertical load acts on the connections of each slab module after construction. That is,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the vertical load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member due to the vertical shear force and the bend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case of the modular bridge,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greatly affects the load distribution.

이에 반해 일체식 현장타설 교량상판의 경우에는 주로 종방향으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하중이 분배될 것이나, 횡방향 및 종방향 휨강성이 일정하므로 어느 방향이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듈형 교량의 경우 이러한 연결부의 전단강성 및 휨 강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tegral type spot-placed bridge top plate, the load is distributed in the lateral direction mainly because the length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nding stiffness are fix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shear stiffness and flexural stiffness of these joints in the case of modular bridges.

한편 수평하중에 있어서도 현장타설 교량상판의 경우 상판블록의 길이로 인한 휨 전달률이 적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모듈형 교량의 경우 모듈의 크기에 따라 다르므로 그 연결부의 연속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orizontal load, since the warpage rate due to the length of the upper plate block is small in the case of the top-mounted bridge top plate, the continu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modular brid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ule size.

종래에는 모듈형 교량의 경우 모듈간 부착을 위해 연결부를 형성함에 있어 모듈간 거푸집을 설치하고 채움재를 충진하여 연결부를 시공하였는 바, 높은 곳에서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고 채움재 타설후 거푸집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 또한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modular bridge,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dules is formed by installing the mold between the modules and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form at a high place and there is a problem of safety accident Since the formwork has to be removed after the filler material is laid, it is cumbersome and also has a problem of safety accident.

또한 채움재로 일반 콘크리트나 무수축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 콘크리트나 무수축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초기강도가 작으므로 완전 양생 전에 교량상판 시공 시 진동이나 교통으로 인한 진동 및 변위 등으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은 재 진동이나 충격을 받지 않더라도 이미 균열이 발생한 상태이며 이는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교량전체의 내구성 저하로 연결되는 문제가 있다.
In general, concrete or non-shrinking mortar is used as a filler material. Since the initial strength is low when general concrete or shrinkage mortar is used, cracks due to vibration or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or traffic during constru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before full curing Lt; / RTI > Such cracks are already cracked even if they are not subjected to re-vibration or impact,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entire bridge over time.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3158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1583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모듈 간 연결부를 구성함에 있어 별도의 거푸집 설치가 필요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조기에 압축강도가 발현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초기강도를 만족하면서도 충진성이 확보되고, 조기경화에 의해서도 각종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ormwork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by expres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earl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securing filling property and controlling various cracks by early cu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은, 일 슬래브모듈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10); 타 슬래브모듈을 일 슬래브모듈에 근접시키면서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가압하되 일 슬래브모듈과 타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충진공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ler material for a modular bridg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S10) attach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mold substitute to a rim of a single slab module; (S20)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and side mold substitute while allowing the other slab module to approach the one slab module so that a fill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lab module and the other slab module; Filling the filling space with a filler (S30).

하나의 예로 슬래브모듈 간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상면 거푸집대체재를 게재시키는 단계(S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s an example, a step S40 of placing a top surface formwork substitute in the edge por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may be further included.

하나의 예로 상기 하면, 측면 및 상면 거푸집대체재는 채움재와 접하는 면에 소수성 계면활성제로 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ide and top surface formwork alternatives may be coated with a hydrophobic surfactant on the side contacting the filler.

하나의 예로 상기 S30단계에는, 상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슬래브모듈 간에 게재되는 주입몸체로 구성되는 주입구에 의해 채움재 조성물을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S30, the filler composition is fi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by an injection port formed of an upper body having a shape of increasing diameter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n injection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end being disposed between the slab modules. .

한편 본 발명은 채움재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는 바, 상기 채움재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모래 20 내지 80중량부, 팽창재 3 내지 5중량부, 수축저감제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며, 폴리아미드섬유가 전체체적 대비 0.05 내지 0.20vol%로 배합되어 설계기준강도(재령 28일강도)가 80MPa이상을 만족하고, 긴장력이 도입되는 시점(재령 7일강도)의 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80%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filler, wherein the filler comprises 20 to 80 parts by weight of s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panding agent,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a shrinkage reduc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ement, (Strength at 28 days of age) of 80 MPa or more and the strength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tensile force (7 days strength at the time of the year) is 80% or more of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

바람직하게 팽창재로 칼슘설파알루미나이트계(CSA)계 팽창재가 사용됨이 타당하다. Preferably, a calcium sulfaaluminate (CSA) based expansion agent is used as the expansion agent.

바람직하게 상기 수축저감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해 글리콜에테르 50 내지 100중량부, 우레아 20 내지 30중량부, 소포제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comprises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glycol ether, 20 to 30 parts by weight of urea,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de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xyalkylene alkyl eth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은 상기 조성들 외에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 0.1 내지 0.5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the fill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ntains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polysaccharide-based thicken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s.

이에 더하여 트리에탄올아민이 0.01 내지 0.05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이 타당하다.
In addition, 0.01 to 0.05 parts by weight of triethanolamine is further added.

본 발명은 슬래브모듈 간에 채움재 시공시 별도의 거푸집 시공이 필요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ormwork construction when the filler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thereby facilitating construction and preventing safety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모듈러 교량 조립시 슬래브모듈 간을 채움재 조성물에 의해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부는 조기에 설계기준에 충분한 압축강도가 발현되도록 하여 긴장력을 조기에 도입 하는 등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slab modules by a filler composition during the assembly of a modular bridge, and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ompressive strength sufficiently early in design standards, .

또한,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은 초기강도가 확보되면서도 충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이 향상되고 슬래브모듈 간에 밀실한 충진이 가능하여 견고한 연결부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ill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filling strength is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initial strength, workability is improved, and filling between the slab modules is possible, thereby providing a solid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은 조기 경화에도 각종 균열을 제어할 수 있어 내구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fill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kinds of cracks even in early curing,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이 적용된 슬래브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ab module to which a fill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일 슬래브모듈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10); 타 슬래브모듈을 일 슬래브모듈에 근접시키면서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가압하되 일 슬래브모듈과 타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충진공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installing a filler material of a modular bridg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is disclo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S20)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and side mold substitute while allowing the other slab module to approach the one slab module so that a fill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lab module and the other slab module; Filling the filling space with a filler (S30).

우선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슬래브모듈(10)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10)를 갖는다. 상기 거푸집대체재(30)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일 슬래브 모듈(10)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에 각각 하면거푸집대체재(31) 및 측면거푸집대체재(32)를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attach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mold substitute to a rim portion of the one-sided module 10. The formwork substitute 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formwork substitute 31 and the side mold substitute 32 are attached to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one slab module 10, respectively.

그 다음으로 타 슬래브모듈을 일 슬래브모듈에 근접시키면서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가압하되 일 슬래브모듈과 타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즉 거푸집대체재(30)가 부착된 일 슬래브모듈에 타 슬래브모듈을 배치하면서 타 슬래브모듈의 배치시 거푸집대체재(30)를 가압하여 슬래브모듈 간에 밀폐된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Next, the other slab module is brought close to the one slab module to press the bottom and side mold substitute, thereby forming a filling space between the one slab module and the other slab module (S20). In other words, the other slab module is disposed on one slab module to which the formwork substitute 30 is attached while pressing the formwork substitute 30 when the other slab module is placed, thereby forming a sealed space between the slab modules.

그 다음으로 충진공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단계(S30)를 갖는 바,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 슬래브모듈 간에 별도의 거푸집 설치가 필요가 없게 되는 것으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안전사고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S30) filling the filling space with the filler material, and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formwork between the slab modules by such a construction method, so that the construction method becomes easy, .

여기서 거푸집대체재(30)는 상기 S30단계후 채움재가 경화되면 하면거푸집대체재(31) 및 측면거푸집대체재(32)를 슬래브모듈(10) 간에서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슬래브모듈(10) 간에 게재시킨 상태에서 모듈러교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filler material is hardened after the step S30, the form replacement material 30 can be removed from the slab module 10 between the mold substitute material 31 and the side mold substitute material 32, So that a modular bridge can be formed.

이와 같이 거푸집대체재(30)가 슬래브모듈(10) 간에 게재된 상태로 교량을 완성하는 경우는 슬래브모듈(10) 간 즉 연결부에서 시공후에 슬래브모듈(10)과 연결부(20) 간에 조성차이에 기인하여 열팽창계수 차이로 슬래브모듈(10)과 연결부(20) 사이에 균열이 발생되어도 수밀성이 확보되어 외부에서 빗물 등의 유입에 의해 하자가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ormwork substitute 30 is complet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he bridges are completed due to the difference in composition between the slab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refore, even if cracks are generated between the slab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ater tightness can be ensured and defects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due to the inflow of rainwater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이에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S10단계 및 S30단계를 거친 후 슬래브모듈(10) 간의 테두리부분 상면에도 상면거푸집대체재(33)가 더 게재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upper surface formwork substitute material 33 is furth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por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10 after steps S10 and S30.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슬래브모듈(10) 간에는 채움재 조성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거푸집대체재(30)에 의해 전체 테두리가 폐쇄된 상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팽창계수 차이로 슬래브모듈(10)과 연결부(20) 사이에 균열이 발생되어도 거푸집대체재(30)가 슬래브모듈(10) 간 전체 테두리를 밀폐하고 있어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차단토록 하게 되어 균열이 확대되는 점, 균열부위에 수분에 의해 열화가 발생되는 점 등 내구성저하요인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entire frame is closed by the formwork substitute 30 in the state where the filler composition is fi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hat is, even if cracks are generated between the slab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e formwork substitute 30 seals the entire rim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o block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factors such as cracking, cracking, and deterioration due to moisture at crack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면, 측면 및 상면 거푸집대체재(31,32,33)는 채움재 조성물과 접하는 면에 소수성 계면활성제로 코팅층(34)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More preferably,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ating layer 34 is coated with a hydrophobic surfactant on the side of the side and top mold substitutes 31, 32, 3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ller composition.

이와 같이 코팅층(34)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거푸집대체재(30)가 게재된 상태에서 채움재 조성물을 충진하는 경우 채움재 조성물의 수소결합 과정에서 거푸집대체재(30)와 반응하여 채움재 조성물과 거푸집대체재(30)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coating layer 34 is formed is that when filling the filler composition with the formwork substitute 30 in place, the filler composition reacts with the formwork substitute 30 in the hydrogen bonding process of the filler composition, Is attached.

이렇게 채움재 조성물과 거푸집대체재(30)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유는 거푸집대체재(30)와 채움재 조성물의 일체거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채움재 조성물과 거푸집대체재(30)가 부착되어 일체거동을 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 차이로 슬래브모듈(10)과 연결부(20) 사이에 균열이 발생되어 슬래브모듈(10) 간을 밀폐하는 거푸집대체재(30)도 슬래브모듈(10)과 간극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코팅층(34)의 구성에 의해 거푸집대체재(30)와 채움재 조성물 간에는 부착력을 발생시키는 어떠한 화학작용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The reason for preventing the filling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formwork substitute 30 from adhering is to prevent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formwork substitute 30 and the filler composition. In other words, when the filler composition and the formwork substitute 3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perform an integrated behavior, cracks are generated between the slab module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is is because a gap 30 may also be generated between the slab module 10 and the sealing mold 30.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coating layer 34 is to block any chemical action between the formwork substitute 30 and the filler composition that creates an adhesive force.

한편 상기 소수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유도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SORBITAN FATTY ACID ESTER DERIVATIVES) 및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아민 유도체(POLYOXYETHYLENE OLEYLAMINE DERIVATIVES) 중 선택된 1 또는 혼합물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ydrophobic surfactant may be selected from among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derivatives, sorbitan fatty acid ester derivatives and polyoxyethylene oleylamine derivatives.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또한 상기 S30단계에는, 상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상부몸체(41)와, 상기 상부몸체(41) 하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슬래브모듈(10) 간에 게재되는 주입몸체(42)로 구성되는 주입구(40)에 의해 채움재 조성물을 슬래브모듈(10) 간에 충진하도록 할 수 있다. In step S30, an upper body 41 having a larger diameter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n injection body 42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41 and having a lower end dispos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he filler composition can be fi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by means of the injection port 40.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래브모듈(10)의 조립에 사용되는 채움재에 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채움재에 의해 슬래브모듈(10) 간에는 연결부(20)가 형성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fillers used for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10 are also presented. The connection part 20 is form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by the filling material.

상기 슬래브모듈(1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에서 조립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래브모듈(10)의 측면은 요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되는 바, 슬래브모듈(10) 간의 요홈으로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이 충진되어 슬래브모듈(10)을 잡아주게 되며 슬래브모듈(1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형 교량상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lab modul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assembled in the field by factory production. The side wall of the slab module 10 is formed with a groove (not shown). The fill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the groove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o hold the slab module 10 and the slab module 10 1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odular bridge upper plate.

여기서 상기 슬래브모듈(10)은 일반적으로 50MPa 이상의 강도가 발현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슬래브모듈(10) 간을 본 발명의 채움재 조성물을 충진시킴에 의해 조립한 후에는 횡방향(슬래브모듈(10)의 횡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slab module 10 generally has a strength of 50 MPa or more. Further, after the filling of the fill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10, it is appropriate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lateral direction of the slab module 10).

여기서 본 발명의 채움재는 시멘트, 모래, 팽창재, 수축저감제를 포함하되, 보강섬유로 폴리아미드 섬유가 배합되어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에 의해 경화체의 수축을 방지함과 더불어 보강섬유를 배합함으로써 수축제어에 의한 균열방지는 물론 가교작용에 의한 균열제어로 각종 균열의 발생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근원적으로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Here, the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ement, sand, an expansion material, and a shrinkage reducing agent. The polyamide fiber is blended with reinforcing fiber to prevent the shrinkage of the cured body by the expansion agent and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To prevent cracks caused by various cracks due to cracking control by cross-linking a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채움재의 배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모래 20 내지 80중량부, 팽창재 3 내지 5중량부, 수축저감제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며, 폴리아미드섬유가 전체체적 대비 0.05 내지 0.20vol%로 배합되어 설계기준강도(재령 28일강도)가 80MPa이상을 만족하고, 긴장력이 도입되는 시점(재령 7일강도)의 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80%이상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lend of the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lend includes 20 to 80 parts by weight of s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the expanding agent,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ment, (Strength at the age of 28 days) of 80 MPa or more and the strength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tensile force (7 days strength at the time of the year) is 80% or more of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모래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면서 W/B가 16%정도가 되도록 배합하는데, 이러한 재료의 배합비는 한일시멘트 고강도 그라우트 Remigrout-HP800에 따라 배합하도록 함으로써 설계기준강도(재령 28일강도)가 80MPa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end ratio of these materials is blended according to Remyrout-HP800 of Hanil Cement High Strength Grout so that the W / B ratio is about 16% while containing 20 to 80 parts by weight of sand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cement. Day strength) is preferably 80 MPa or more.

즉 슬래브모듈(10) 간의 연결부(20)에 80MPa이상의 강도가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한 힘의 분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strength of 80 MPa or more is express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0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hereby facilitating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s to the vertical load and the horizontal load.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에 있어 일 구성인 팽창재는 칼슘설파알루미나이트계(CSA)계 팽창재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칼슘설파알루미나이트계(CSA)계 팽창재는 4CaO·3Al2O3·CaSO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calcium sulfaaluminate (CSA) based expansion material can be used as a constituent of the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ium sulfaaluminate (CSA) based expansion material is a mineral material including 4CaO.3Al2O3CaSO4 Lt; / RTI >

즉 적정의 배합비에 의해 조기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칼슘설파알루미나이트계(CSA)계 팽창재가 배합되어 수축균열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order to prevent premature shrinkage by premature curing by proper blending ratio, a calcium sulfaaluminate (CSA) type expansion agent is added to control shrinkage crack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채움재에는 수축저감제가 더 첨가되도록 하여 연결부(20)의 수축균열을 제어토록 하는데, 상기 수축저감제는 에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축저감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한 바, 그 조성은 에테르계 화합물, 우레아, 소포제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경화 전, 후의 다양한 수축을 제어하며, 시공성의 저하없이 조기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 In addition,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is further added to the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shrinkage crack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a shrinkage reducing agent containing an ether compound, It is appropriate to control various shrinkage before and after curing by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including urea, antifoaming agent and water so a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early strength without deteriorating workability.

즉 조기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슬래브모듈(10) 간의 연결부(20)에 시공 후 양생초기 단계에서 차량 등의 반복하중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축저감제의 배합비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해 글리콜에테르 50 내지 100중량부, 우레아 20 내지 30중량부, 소포제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early strength and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cyclic loading of the vehicle or the like in the initial stage of curing after application to the connecting portion 20 between the slab modules 10. The blending ratio of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is preferably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glycol ether, 20 to 30 parts by weight of urea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de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xyalkylene alkyl ether.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는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로써 시멘트 페이스트 공극에 수분증발 시 모세관장력을 저하시킴으로서 내부 인장장력을 줄여 줌에 의해 경화 후 모르타르에 있어 건조수축 저감을 유도하므로 상기 배합범위 최저치이상의 첨가가 요구된다. 단,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의 첨가량이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면 과다 공기량 발생으로 인해 모르타르에 의한 경화체의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은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polyoxyalkylene alkyl ether is a type of surfactant that reduces the capillary tension when water evaporates in the voids of cement paste, thereby reducing the internal tensile tension, thereby inducing drying shrinkage reduction in the mortar after curing, Addition is required. However, if the addition amount of the polyoxyalkylene alkyl ether exceeds the above mixing range, the strength of the cured body due to the mortar may be sharply lowered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xcessive amount of air, so that the content thereof should be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blending range.

상기 글리콜에테르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에 의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모세관장력 저감에 의해 건조수축을 제어하는 작용을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를 첨가함에 의해 건조수축에 의한 수축저감율을 어느 정도 저하시킬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를 배합하는 경우 공기량의 과다로 압축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바, 이에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에 글리콜에테르를 부가함으로서 압축강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수축저감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glycol ether functions to control the drying shrinkage by reducing the capillary tension of the cement paste by polyoxyalkylene alkyl ether. That is, by adding polyoxyalkylene alkyl ether, shrinkage reduction rate due to drying shrinkage can be reduced to some extent. However, when a certain amount or more of polyoxyalkylene alkyl ether is blended, the compressive strength is excessively lowered in the amount of air, By adding the glycol ether to the polyoxyalkylene alkyl ether, the shrinkage reduction rate can be increased while preventing the compression strength from being lowered.

이에 글리콜에테르는 50중량부 이상의 첨가가 요구된다. 하지만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이 경우도 공기량이 과다로 인해 경화체의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글리콜에테르의 함량은 50 내지 100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e glycol ether is required to be added in an amount of 50 parts by weight or more. However, if it exceeds 100 parts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may be abruptly lowered due to excessive air amount, so that the content of the glycol ether is preferably limited to 50 to 100 parts by weight.

상기 글리콜에테르를 그 종류를 한정할 필요는 없느나,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MFD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PEG),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IPG),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부틸 에테르(IBG)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glycol ether is not limited in its kind bu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FDG),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PEG), ethylene glycol monoisopropyl ether (IPG), ethylene glycol monoisobutyl Ether (IBG)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러한 배합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움재에 의한 경화체의 건조수축을 제어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기해 경화초기의 소성수축 및 자기수축을 제어할 수 없으며, 초기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바, 이러한 기능을 보완하는 구성으로 우레아가 더 배합되는 것이다. By such a combination, drying shrinkage of the cured body by the filler can be controlled as mentioned above. However, due to such a structur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plastic contraction and autogenous shrinkage at the initial stage of curing, Bar, a composition that complements this function, is further compounded with urea.

상기 우레아는 물과 반응하는 보습제로서 수화반응에서 배합수가 시멘트와 반응하고 남은 잉여수들이 급격히 증발하여 건조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서 자기수축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시멘트 페이스트 표면의 건조에 의한 소성수축을 제어하게 됨은 물론 상기 에테르계 화합물의 사용에 따라 초기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urea is a moisturizing agent that reacts with water. In the hydration reaction, the compound water reacts with the cement, and the surplus water remaining therein is prevented from being rapidly evaporated to dryness, thereby controlling the autogenous shrinka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itial strength from being lowered by the use of the ether compound.

이렇게 소성수축 제어, 자기수축 제어 및 초기강도 증진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우레아는 5중량% 이상의 첨가가 요구된다. 하지만 20중량% 초과에서는 과다 보습에 의해 장기강도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우레아의 적정 사용량은 20 내지 30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이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소성수축 및 자기수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plastic shrinkage control, the autogenous shrinkage control and the initial strength enhancement effect, the urea is required to be added in an amount of 5 wt% or more. However,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20% by weight, the long-term strength may be lowered due to over-moisturizing, so that the proper amount of urea is limited to 20 to 30 parts by weight so as to control the plastic contraction and autogenous shrinkage while preventing initial strength and long- .

상기 우레아는 그 종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포름 우레아,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 우레아-d-글루코닉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type of the urea is not limited, it may preferabl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mal urea, hydroxyethyl urea and urea-d-gluconic acid.

한편 상기 소포제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과다해진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5중량부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부 이상에서는 유동성의 저하에 따른 시공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적정배합비를 5 내지 10중량부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ntifoaming agent is preferably blended in an amount of 5 parts by weight or more to control an excessively large amount of air due to the use of a surfactant. When the amount of the antifoaming ag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의 채움재에는 보강섬유를 배합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축제어에 의한 균열방지의 효과를 배가시키도록 하는 바, 적정의 배합비로 전체 체적대비 0.05 내지 0.25vol%의 배합비를 제시한다. 상기 보강섬유를 전체 체적대비 0.05vol%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보강섬유가 시멘트 페이스트 내에서 인성 및 내충격저항성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0.25vol%를 초과하는 경우는 경제성이 낮아지고 시멘트풀의 형성을 방해하므로 강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ing due to shrinkage control is doubled by adding the reinforcing fiber. As described above, the compounding ratio of 0.05 to 0.25 vol% based on the total volume is suggested at a suitable blending ratio. When the reinforcing fiber is added in an amount less than 0.05 vol% based on the total volume, reinforcing fibers have littl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toughness and impact resistance in the cement paste. When the reinforcing fiber is added in an amount exceeding 0.25 vol%,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The strength is lowered, and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strength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채움재에는 상기 폴리아미드섬유가 배합되되 시멘트페이스트와 폴리아미드섬유 간의 부착강도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보강섬유 첨가에 의한 균열저항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바, 본 발명의 채움재에는 상기 조성외에도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0.5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In addition, if the filler is blended with the polyamide fiber and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cement paste and the polyamide fiber is not ensured, crack resistance due to the addition of the reinforcing fiber can not be guarante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sition, Series thickener is further included, it is proper that the composition is further blended with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ment.

일반적으로 점성을 위해서는 수용성 폴리머 등과 같이 분자량이 높은 증점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현장여건 즉 온도, 시간경과 등에 따른 점성변화가 커 안정적인 시공에 있어 문제가 있는 바,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이 적으면서도 효과적인 재료분리 방지(시멘트페이스트와 보강섬유 간) 특성을 갖는 증점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Generally, it is advantageous to use a thickening agent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such as a water-soluble polymer for viscosity, but there is a problem in stable construction due to a change in viscosity depending on a site condition, that is, temperature and time elapsed. It is intended to use a thickener having properties of preventing effective material separation (between cement paste and reinforcing fiber).

이는 수용성 폴리머 등의 경우 선형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의 경우 무수한 곁가지가 발달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재료분리 방지특성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에 의해 온도, 시간경과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the polysaccharide-based thickener has a linea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polyurethane-based thickener has a feature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materials structur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numerous side chains. So that stabl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가 상기 배합범위로 한정되는 이유는 증점효과 및 유동성 저하의 문제를 고려하여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polysaccharide-based thickener is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ixing range is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of the thickening effect and the lowering of the fluidity.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조성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이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0.05중량부가 더 첨가되도록 하는 바, 이는 안정화제로서 유동성이 발현되도록 하면서도 초기 감수율을 향상시켜 고감수율에 의해 초기강도가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채움재가 슬래브모듈(10) 간에 충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초기강도가 발현되도록 하여 긴장재 도입시(재령 7일) 채움재의 설계기준강도의 80%이상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riethanolamine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0.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ment, so that the flowability is developed as a stabilizer while improving the initial water retention and securing the initial strength . That is, the fil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fi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10, and the initial strength is developed so that at least 80% of the design reference strength of the filler material is exhibited at the time of introducing the tensional material (for example, seven days).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강섬유를 첨가하되 친수성 섬유로 구성되도록 하여 시멘트와 강한 결합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가교작용에 의해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되, 보강섬유의 표면을 소수성 계면활성제로 코팅함으로써 너무 강한 결합력에 의해 섬유절단의 문제를 해결하여 내충격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ing fibers are added, but they are made of hydrophilic fibers so as to generate a strong bonding force with cement, thereby improving the crack resistance by the crosslinking action.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ber with a hydrophobic surfactan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lem of fiber cutting is solved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즉 친수성 섬유로 구성된 보강섬유를 첨가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수소결합력을 증대시킴에 의해 인성 등을 강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소결합력이 너무 커지면 시멘트 페이스트에 있어 차량 하중 등 반복적인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 시 너무 큰 결합력에 의해 섬유절단의 문제가 발생하여 내충격성 면에서 불리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친수성 섬유로 구성된 보강섬유(폴리아미드)에 소수성 계면활성제로 코팅을 함으로써 그 표면을 친유기 처리하여 보강섬유 고유의 탄성을 그대로 발휘하면서 일정 충격에 의한 변형발생시 뽑힘이 발생하도록 하여 내충격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That is, reinforcing fibers composed of hydrophilic fibers are added to strengthen the toughness by increasing the hydrogen bonding force with the cement paste. If the hydrogen bonding force is too large, the cement paste is deformed by repetitive external impact such as vehicle load (Polyamide) composed of such a hydrophilic fiber is coated with a hydrophobic surfacta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fiber composed of the hydrophilic fiber is treated with a hydrophilic treatment to form a reinforcing fiber So as to enhance the impact resistance by allowing the inherent elasticity to be exhibited as it is, and to be pulled out when a deformation due to a certain impact is generat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슬래브모듈 20 : 연결부
30 : 거푸집대체재 31 : 하면거푸집대체재
32 : 측면거푸집대체재 33 : 상면거푸집대체재
34 : 코팅층
10: Slab module 20: Connection
30: Formwork Alternative 31: Formwork Alternative
32: side mold substitute material 33: top mold substitute material
34: Coating layer

Claims (9)

일 슬래브모듈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10);
타 슬래브모듈을 일 슬래브모듈에 근접시키면서 하면 및 측면 거푸집대체재를 가압하되 일 슬래브모듈과 타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20);
충진공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단계(S30);
슬래브모듈 간에 있어 테두리부분에 상면 거푸집대체재를 게재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채움재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모래 20 내지 80중량부, 팽창재 3 내지 5중량부, 수축저감제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S10) attach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mold substitute to a rim of the one slave module;
(S20) of pressing the bottom surface and side mold substitute while making the other slab module approach the one slab module so that a fill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lab module and the other slab module;
Filling the filling space with a filling material (S30);
(S40) of placing an upper surface formwork substitute in the edge portion between the slab modu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r comprises 20 to 80 parts by weight of s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an expansion agent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shrinkage reduc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cement. W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측면 및 상면 거푸집대체재는 채움재와 접하는 면에 소수성 계면활성제로 코팅층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de and top formwork alternatives are coated with a hydrophobic surfactant on the side contacting the filler material, wherein the filler material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lab modu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에는,
상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슬래브모듈 간에 게재되는 주입몸체로 구성되는 주입구에 의해 채움재 조성물을 슬래브모듈 간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S30,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r composition is filled between the slab modules by means of an injection body consisting of an upper body having a shape whose diameter increases upwardly and an injection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end being disposed between the slab modul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filler material of a modular bridge formed by module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채움재에는,
폴리아미드섬유가 전체체적 대비 0.05 내지 0.20vol%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fillers,
Wherein the polyamide fibers are blended with 0.05 to 0.20% by volume of the total volume of the slab module.
제 5항에 있어서,
팽창재로 칼슘설파알루미나이트계(CSA)계 팽창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SA) -based expansion material is used as the expansion material, and a calcium sulfaaluminate (CSA) expansion material is used as the expansion materi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저감제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해 글리콜에테르 50 내지 100중량부, 우레아 20 내지 30중량부, 소포제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rink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glycol ether, 20 to 30 parts by weight of urea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defoam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oxyalkylene alkyl ether. Filler construction method.
제 5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 0.1 내지 0.5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thickener of a polysaccharide series is further added to the slab module.
제 8항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이 0.01 내지 0.05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슬래브모듈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모듈러교량의 채움재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mount of triethanolamine is 0.01 to 0.05 part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lab module.
KR1020140062813A 2014-05-26 2014-05-26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KR101682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13A KR101682203B1 (en) 2014-05-26 2014-05-26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13A KR101682203B1 (en) 2014-05-26 2014-05-26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50A KR20150136150A (en) 2015-12-07
KR101682203B1 true KR101682203B1 (en) 2016-12-05

Family

ID=5487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13A KR101682203B1 (en) 2014-05-26 2014-05-26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13B1 (en) *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strip-lining pipel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825B1 (en) * 1998-10-19 2002-06-20 남상국 Bridge deck system using precast concrete deck with internal tension
KR20130131078A (en) * 2012-05-23 2013-12-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The modula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formed by girder module assembly
KR20140031583A (en) 2012-09-05 2014-03-13 엠비텍 주식회사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13B1 (en) *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strip-lining pipeli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계면활성제(Ⅰ), 2005.04.09., 국립공주대학교, [2015.12.11.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cheric.org/files/education/cyberlecture/e200501/e200501-601.pd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50A (en)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206B1 (en) High-performance flowing cement mortar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composite
KR101975799B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waterproof layer using a hybrid type speedy elastic methyl methacrylate (MMA) resin and a basalt mesh geogrid to construct a road stretching joint side
KR101778210B1 (en)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elastic polymer concrete joint
CN105019365A (en) Structure for rapidly restoring hinge joint of hollow slab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22760B1 (en) Composition for repairing road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0700121B (en) Road and bridge crack repairing and fixing structure
KR20060107203A (en) Method of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crete
JP2019073416A (en) Self-repai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723976B1 (en) Reinforcement for cement- and steel-based structures
KR10054374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delayed composite effects
KR100313599B1 (en) Latex modified concrete composition for bridge surface
CN113863518A (en) Construction method for initiation joint of integral biochemical pool
KR10168220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material of modular bridge formed by slab module assembly and filling material for use in same
CN105821908A (en) Multiple water stop belt, water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terproof structure
KR101746409B1 (en) Expansion joint using hybrid elasticity polymer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020198291A1 (en) High performance elastomer-containing concrete material
CN104153302B (en) The reinforcement means of concrete bridge deck beam
CN105621998A (en) Building dry-mixed mortar technical field for repairing bridge-culvert damage diseases
WO2004011707A2 (en) Composite material
KR102274323B1 (en) Low-temperature and room-temperature fast-curing low-viscosity concrete structures with excellent thixotropic properties two-component polyurea resin composition for crack repair and reinforcement, and concrete structure crack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e same
JP2007169950A (en) Expansion body for bridge, and bridge expans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311885B1 (en) Method of constructing bridg girder with slab hunch and bridge upper structure using the bridge girder
KR101793432B1 (en)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water-soluble resin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and its structure, and it
JPH11315511A (en) Construction of cast-in-place concrete slab for bridge
JP2021143486A (en)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