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74B1 - 농기계 적재 케이스 - Google Patents

농기계 적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74B1
KR101681874B1 KR1020160112030A KR20160112030A KR101681874B1 KR 101681874 B1 KR101681874 B1 KR 101681874B1 KR 1020160112030 A KR1020160112030 A KR 1020160112030A KR 20160112030 A KR20160112030 A KR 20160112030A KR 101681874 B1 KR101681874 B1 KR 10168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dder
case
agricultural machin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식
김종원
박경상
조대현
이명찬
여문연
Original Assignee
창녕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녕군 filed Critical 창녕군
Priority to KR102016011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91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기 같은 농기계를 케이스에 수납하여 안전하게 보관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수납된 농기계가 유동되어 케이스 밖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케이스를 개폐하는 한편, 케이스를 개방하였을 때 농기계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되어주는 개폐사다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농기계를 케이스에 간단하게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한 농기계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적재 케이스는, 농기계가 수납되는 적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재 케이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을 개폐하는 사다리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수납된 농기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기계 적재 케이스{Agricultural Machinery storage case}
본 발명은 농기계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기 같은 농기계를 케이스에 수납하여 안전하게 보관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수납된 농기계가 유동되어 케이스 밖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케이스를 개폐하는 한편, 케이스를 개방하였을 때 농기계가 케이스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되어주는 개폐사다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농기계를 케이스에 간단하게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한 농기계 적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기는 채소나 원예 작물등의 관리작업에 다용도로 사용되는 기계로서 그 전후에 각종 부속기계(관리작업기) 들을 연결하여 중경, 제초, 시비, 파종, 복토, 배토 및 경운 작업등을 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농기계이다.
그러나 종래의 관리기는 그 구조상 보행형으로서 작업자가 직접 걸어다니면서 작업을 해야하고, 또한 작업을 해야하는 장소가 멀리 있을 경우에는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66511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는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농기계나 농산물을 저장하는 창고 또는 각종 화물을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한 가변식 복층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나 농산물 및 각종 화물이 적재되고, 종횡 확장 연결이 용이하도록 외부 돌출부가 없는 골격과 네모서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적재 베이스; 상기 적재 베이스를 복층으로 연결 할 때 상기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와 연결되어 지지와 레일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가 면접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절곡된 외면에 랫치부가 형성된 절곡기둥; 상기 절곡기둥과 볼트 체결되어 절곡기둥 내부를 가림과 동시에 절곡기둥의 지지력을 강화 시키기위한 'W'자 형상으로 된 절곡기둥 커버; 상기 적재 베이스와 상기 절곡기둥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되어 고정시키는 'ㄱ'자 형상의 절곡기둥 브래킷; 및 상기 절곡기둥을 외부에서 끼워 잇는 형태로 두개의 절곡기둥을 확장 연결하는 절곡기둥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은 절곡기둥 내부에서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적재 베이스와 절곡기둥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적재 베이스를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재, 조립 및 해체가 쉬워 농산물이나 농기계등을 쉽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은 절곡기둥의 확장 연결하는 구조로 인하여 창고나 적재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절고기둥 연결 부재의 구성이 견고함에 따라 안전하고 넉넉한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그 구조상 1층을 제외하고는 농기계를 적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1은 별도의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운반시 농기계가 탈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665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적재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농기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농기계가 케이스 운반시에도 탈락되지 않는 한편, 상기 케이스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로 농기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사다리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농기계가 적재된 층에 상관없이 농기계의 상하차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적재 케이스는, 농기계가 수납되는 적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재 케이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을 개폐하는 사다리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수납된 농기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 형태의 하부틀, 상기 하부틀의 우각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을 구비한 "ㄷ" 형태의 상부틀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사다리조립체는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개폐사다리, 상기 개폐사다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사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측면에는 트럭에 적재될 때,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트럭 적재함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간에는 간격바가 형성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를 통해 상기 적재 케이스를 이동시킬 때, 적재케이스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상면에는 산 모양의 상부고정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저면에는 상기 상부고정틀에 상응하는 형태의 하부고정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기계는 관리기이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의 미륜축을 고정하는 미륜축고정브라켓, 상기 사다리조립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의 핸들을 고정하는 핸들고정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미륜축고정브라켓은 서로 대칭된 형태의 한쌍의 고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고정브라켓은 상기 관리기의 핸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틀 형태의 고정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적재함이 더 형성되되, 상기 적재함은 수납된 관리기의 전방구와 핸들의 높이차가 발생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농기계 적재 케이스는 상기 고정장치가 형성됨으로써, 수납된 농기계가 3점지지 형태로 상기 적재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농기계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조립체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케이스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적재 케이스가 복층으로 적재되어 있어도 상기 케이스 내부로 농기계가 용이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림브라켓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케이스를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할 때, 상기 적재 케이스가 트럭 적재함 측면에 결합되어 안전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간격바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케이스를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할 때, 트럭 적재함의 일측을 개방할 필요없이 지게차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적재할 수 있고, 지게차로 상기 적재 케이스를 승강 시킬 때, 적재 케이스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틀 및 하부고정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케이스를 복층으로 적재할 때, 상기 적재 케이스를 고층으로 적재하여도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적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농기계 적재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농기계 적재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상부고정틀, 하부고정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부고정틀, 하부고정틀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도 3의 프레임을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도 2의 사다리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사다리조립체를 나타낸 작동도
도 10은 도 1의 농기계 적재 케이스가 트럭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 적재 케이스는 농기계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한편, 복층으로 적재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농기계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농기계 적재 케이스(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농기계가 수납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을 개폐하는 사다리조립체(20), 상기 적재 케이스(1)에 형성되어 농기계가 고정되는 고정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농기계를 관리기(A)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관리기(A)가 수납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은, 도 3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의 하부틀(11), 상기 하부틀의 우각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대(13),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을 구비한 "ㄷ" 형태의 상부틀(1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틀(11) 내부에는 하부틀보강대(111)가 형성되고, 또 상기 하부틀보강대(111) 상에 타이어로드(1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 내부로 관리기(A)가 수납될 때,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3) 측면에는 걸림브라켓(1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이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될 때,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트럭 적재함 측면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브라켓(131)은 "ㄱ"형태의 브라켓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트럭(T)의 적재함(T1)에 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 간에는 간격바(133)가 형성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P)를 통해 상기 적재 케이스를 이동시킬 때, 적재케이스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간격바(133)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3) 간에 형성되되, 그 형성 위치가 상기 상부틀(15)로부터 지게차 포크의 두께(t)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격바(133)를 통해 지게차의 포크(P)가 삽입되는 포크삽입구(135)가 한정되고, 이를 통해 지게차의 포크는 상기 포크삽입구(135)에 중간끼워맞춤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지게차의 포크(P)가 상기 포크삽입구(135) 중심부에 삽입되지 않고, 적재 케이스(1)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간격바(133)가 지게차의 포크(P)를 구속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을 지탱하고 있으므로, 상기 적재 케이스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틀(15) 내부에는 유동방지바(15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수납된 관리기(A)가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0)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틀(15) 측면에는 잠금장치(153)가 형성됨으로써, 하기 개폐사다리(21)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 상면에는 산 모양의 상부고정틀(17)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 저면에는 상기 상부고정틀에 상응하는 형태의 하부고정틀(1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케이스(1)를 적재할 때, 그 층에 상관없이 적재 케이스(1)가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고정틀(17)은, 도 5를 참조하면, 산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틀(18)은 상기 상부고정틀에 상응하는 형태의 산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틀 및 상기 하부고정틀의 길이(L)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고정틀(18) 양 단부에는 결합판(18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181)은 상기 하부고정틀(18)이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하부고정틀(18)에 결합되는 다른 적재 케이스의 상부고정틀(17)을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판(181)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고정틀(18) 상측으로는 프레임에 부착되는 수평면(183)을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상부고정틀(17)을 구속하는 돌출부(18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복층으로 적재되었을 때, 상기 상부고정틀(17) 및 하부고정틀(18)에 의해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결합판(181)에 의해 전후로의 유동도 방지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적재함(19)이 더 형성됨으로써, 관리기 수리부품 또는 관리기 수리도구등을 항상 구비해 놓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적재함(19)은, 도 7을 참조하면, 수납된 관리기(A)의 전방부(a)와 핸들(b)의 높이차(h)가 발생되는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관리기(A)가 상기 프레임(10) 내부로 수납되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관리기 유지에 필요한 물품을 구비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사다리조립체(20)는 상기 하부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10) 내부로 관리기가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다리조립체(20)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틀(11)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15)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개폐사다리(21), 상기 개폐사다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사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사다리(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폐사다리(21)는 상기 상부틀(15)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개폐바(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바(211)는 상기 상부틀(15)의 개방된 일측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에 중간끼워맞춤으로 삽입되는 것을 통해 상부틀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개폐바(211) 단부에는 걸림쇠(2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잠금장치(153)에 고정되므로, 상기 개폐사다리(21)는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사다리(21)는 사다리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관리기를 이끌고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개폐사다리(21)에는 상기 연장사다리(23)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관리기를 이동시키기 불편한 지형, 예를 들어 계단이 형성된 지형 또는 적재케이스가 트럭에 적재되어 있을 때에도 관리기(A)를 용이하게 상기 프레임(10)에서 상하차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사다리(23)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사다리(21)에 회전가능한 회전형(23a)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폐사다리에 중첩되게 회전시키면 보관 또는 이동이 용이하며, 반대로 상기 개폐사다리에 연장되게 일직선으로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상기 적재 케이스로부터 멀리 있어도 용이하게 관리기를 상하차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사다리(23)는 회전형(23a)뿐만 아니라 슬라이딩형(23b)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형 연장사다리(23)는 도브테일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사다리 상에서 슬라이딩 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사다리(23) 측면에는 사다리고정장치(2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사다리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는 개폐사다리에 중첩된 상태로 보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다리고정장치(231)는 자동걸쇠 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사다리는 자동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적재케이스(1)는 상기 사다리조립체(20)가 형성됨으로써, 도 10을 참조하면, 트럭(T)에 적재된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관리기(A)를 상하차 할 수 있으며, 트럭에 적재된 상황뿐만 아니라 계단이 형성된 지형등의 높이가 차이나고 이동이 불편한 지형에서도 간단하게 관리기를 상하차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30)는 관리기(A)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A)의 미륜축(c)을 고정하는 미륜축고정브라켓(31), 상기 사다리조립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A)의 핸들(b)을 고정하는 핸들고정브라켓(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륜축고정브라켓(31)은 서로 대칭된 형태의 한쌍의 고정판(311)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륜축을 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륜축고정브라켓(31)은 미륜축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 간의 지탱바(315)가 형성되고, 상기 지탱바(315)에 한쌍의 고정판(311)이 형성되되, 상기 지탱바(315)의 형성 위치는 상기 관리기의 전방부(a)와 상기 관리기의 미륜(d)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11) 간의 간격(t2)은 상기 미륜축(c)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륜(d)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미륜축고정브라켓(31)에 상기 미륜축(c)이 삽입된 관리기는 상하좌우 및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311)의 단부에는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313)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미륜축의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311) 외측에는 보강대(31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판(3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들고정브라켓(33)은 틀 형태로 형성되되, 그 크기가 상기 관리기(A)의 핸들(b)이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고정브라켓(33)은 틀 형태의 고정프레임(331)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331)은 상기 개폐바(211) 양단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31) 간의 간격이 상기 관리기(A)의 핸들(b) 간의 간격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개폐사다리(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331)에 상기 핸들(b)이 삽탈된다.
즉, 상기 개폐사다리(21)가 상기 프레임(10)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31)에 상기 핸들(b)이 삽입되어 상하좌우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개폐사다리(21)가 상기 프레임(10)을 개방할 때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31)에서 상기 핸들(b)이 탈락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사다리(21)가 상기 프레임을 개방할 때에는 상기 관리기(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사다리(21)가 상기 프레임을 폐쇄할 때에는 상기 고정장치(30)가 상기 관리기(A)의 양 핸들(b) 및 미륜축(c)을 고정하므로,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관리기(A)를 3점지지 형태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농기계 적재 케이스
10 : 프레임 11 : 하부틀
13 : 지지대 15 : 상부틀
17 : 상부고정틀 18 : 하부고정틀
19 : 적재함 20 : 사다리조립체
21 : 개폐사다리 23 : 연장사다리
30 : 고정장치 31 : 미륜축고정브라켓
33 : 핸들고정브라켓 A : 관리기

Claims (7)

  1. 농기계가 수납되는 적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재 케이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측을 개폐하는 사다리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수납된 농기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 형태의 하부틀,
    상기 하부틀의 우각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을 구비한 "ㄷ" 형태의 상부틀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사다리조립체는 상기 하부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틀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개폐사다리,
    상기 개폐사다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사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측면에는 트럭에 적재될 때,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트럭 적재함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간에는 간격바가 형성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를 통해 상기 적재 케이스를 이동시킬 때, 적재케이스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면에는 산 모양의 상부고정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저면에는 상기 상부고정틀에 상응하는 형태의 하부고정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는 관리기이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의 미륜축을 고정하는 미륜축고정브라켓,
    상기 사다리조립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리기의 핸들을 고정하는 핸들고정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미륜축고정브라켓은 서로 대칭된 형태의 한쌍의 고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고정브라켓은 상기 관리기의 핸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틀 형태의 고정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적재함이 더 형성되되,
    상기 적재함은 수납된 관리기의 전방구와 핸들의 높이차가 발생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 케이스
KR1020160112030A 2016-08-31 2016-08-31 농기계 적재 케이스 KR10168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30A KR101681874B1 (ko) 2016-08-31 2016-08-31 농기계 적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30A KR101681874B1 (ko) 2016-08-31 2016-08-31 농기계 적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74B1 true KR101681874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030A KR101681874B1 (ko) 2016-08-31 2016-08-31 농기계 적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31Y1 (ko) * 2000-09-28 2001-03-15 서정철 트레일러용 가교장치
KR20120063052A (ko) * 2010-12-07 2012-06-15 이현호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101366511B1 (ko) 2013-11-20 2014-02-26 조준호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101538606B1 (ko) * 2015-03-03 2015-07-2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파렛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31Y1 (ko) * 2000-09-28 2001-03-15 서정철 트레일러용 가교장치
KR20120063052A (ko) * 2010-12-07 2012-06-15 이현호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101366511B1 (ko) 2013-11-20 2014-02-26 조준호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101538606B1 (ko) * 2015-03-03 2015-07-2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419B2 (en) Modular pallet jack
US8267018B2 (en) Load support
US8616370B2 (en)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JPS5815296Y2 (ja) 剛性物品運搬容器
MX2011000315A (es) Caja plegable para semillas con base de horquilla elevadora.
JP2018512345A (ja) 容器アセンブリ
US11066089B2 (en) Wheeled container handle assembly
US6173842B1 (en) Multi-weeder rack for trucks/trailers
AU2015200297A1 (en) Stackable transport trolley
EP3397539B1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hinged middle beam
EP0517783B1 (en) Transportation carrier
US9452881B2 (en) Cargo locker with doors
KR101681874B1 (ko) 농기계 적재 케이스
JP2009040447A (ja) パレット
KR102329254B1 (ko) 리프트장치를 구비한 상자 이동대차
GB2045698A (en) Nestable wheeled container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KR100770733B1 (ko) U자형상 마루 프레임의 운반용 대차
EP3730419B1 (en) Container
JP3903259B2 (ja) 開放型コンテナ
US5662343A (en) Container base with three perpendicular fixing elements in the corners
JP2586076Y2 (ja) 搬送台車
KR101809228B1 (ko) 양봉 콘테이너
US2555537A (en) Delivery hopper for portable storage bins
US20230166905A1 (en) Commercial container cartrid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