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662B1 - 포장재 결속구 - Google Patents

포장재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662B1
KR101681662B1 KR1020150145064A KR20150145064A KR101681662B1 KR 101681662 B1 KR101681662 B1 KR 101681662B1 KR 1020150145064 A KR1020150145064 A KR 1020150145064A KR 20150145064 A KR20150145064 A KR 20150145064A KR 101681662 B1 KR101681662 B1 KR 10168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coupling
packaging material
injection
coupl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Original Assignee
박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배 filed Critical 박찬배
Priority to KR102015014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65D33/1625Small plates or the like made of one piece and presenting slits or a central aperture to jam the neck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구근류채소 또는 어패류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포장하는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하기 위한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다각형의 몸체에 관통형성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인입부를 구비하되, 결속부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간편하고 견고하게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할 수 있는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연결되어 절개형성되는 인입부가 구비되어, 간편하게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결속부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결속된 포장재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재 결속구 {Fastener for package}
본 발명은 과일, 구근류채소 또는 어패류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포장하는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하기 위한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다각형의 몸체에 관통형성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인입부를 구비하되, 결속부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간편하고 견고하게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할 수 있는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구근류채소 또는 어패류 등과 같은 농수산물(40')은 1.5~30kg로 소량단위부터 대량단위까지 포장되어 유통되는 제품으로써, 상기 포장에는 그물망 또는 비닐포장등 다양한 형태의 포장재(20')가 사용된다.
종래기술의 그물망 형태의 포장재(20')는, 제조과정에 있어 기계를 통해 포장재(20)가 제편된 다음 상기 포장재(20')의 결속끈 투입부(22')에 결속끈(30')이 삽입되어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수산물(40')이 포장재(20')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삽입된 결속끈(30')이 당겨지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좁아지며, 상기 주입부(21')가 결속되고, 상기 당겨진 결속끈(30')이 묶여 상기 포장이 완성이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제작과정에 있어, 상기 결속끈(30)이 결속끈 투입부(22')로 삽입되는 공정이 기계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람의 수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떨어져, 제작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묶여진 결속끈(30')은 풀어지거나 끊어질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 결속에 있어 견고하지 못하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는 한편, 상기 포장재(20')의 결속 후 상기 주입부(21')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포장재 결속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빵, 과자등을 포장하는 봉지(70')를 간편하게 결속하기 위해 결속부(61')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결속부(61')와 연결되어 절개형성된 인입부(62')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상기 봉지(70')를 결속하는 빵 봉지형 결속클립(60')의 기술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빵 봉지형 결속클립(60')은 약 1kg 미만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봉지(70')를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61')의 형태가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만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상기 농수산물(40')의 다양한 포장범위(1.5~30kg)에서, 5kg 이상의 농수산물(40')을 담은 포장재(20')를 포장 시 포장재가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빵 봉지형 결속클립(60')은 종이나 일반 플라스틱인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두께가 대략 0.1~0.2cm의 얇은 판 형태로 사용될 시, 10kg 정도의 굽힘하중 또는 뒤틀림하중으로 쉽게 변형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217호 (2003.06.1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855호 (2004.07.02) 등록특허공보 제10-1164347호 (2012.07.11) 등록의장공보 제40-48935호 (1984.8.30)
본 발명은 포장재의 결속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포장재 결속장치는 삽입끈을 사용할 경우, 사람의 수 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며, 제작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빵 봉지형 결속클립을 사용할 경우 결속부의 형태가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10kg이상의 내용물이 담긴 포장재가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 외주에서 상기 결속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되고, 포장재의 주입부를 상기 결속부로 안내하는 인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결속구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결속구는,
몸체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연결되어 절개형성되는 인입부가 구비되어, 간편하게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결속부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결속된 포장재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결속끈을 통해 포장재의 주입부를 결속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빵 봉지형 결속클립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결속구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결속구의 결속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결속구를 포장재에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결속구가 포장재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40)을 포장하는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결속하는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11) 및;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주에서 상기 결속부(11)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되고,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상기 결속부(11)로 안내하는 인입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11)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1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포장재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결속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몸체(10)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11) 및; 상기 결속부(11)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되는 인입부(12)가 포함되어,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결속하는 결속장치의 일종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 결속구는 홀(23)을 구비하지 않은 비닐포장, 종이포장등의 여러 형태 포장재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며, 이하에서는 홀(23)을 구비하는 그물망의 형태인 포장재(20)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사상과 관련된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3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관통형성되는 결속부(11)와 절개형성된 인입부(12)를 포함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다양한 두께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몸체(1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질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몸체(10)은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에 절개형성되는 인입부(12)는 몸체(10)의 일측 외주에서부터 절개되고 결속부(11)로 연장되어,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인입부(12)를 통해 통공된 결속부(11)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에 관통형성된 상기 결속부(11)는 결속부(11)로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인입되었을 때, 상기 주입부(21)가 수축되도록 하여, 상기 포장재(20)에 담긴 농수산물(40)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결속부(11)의 내주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10A)는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좁아진 주입부(21)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톱날형의 형상을 통해 상기 주입부(21)의 결속에 있어 파지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주안점인 복수 개의 톱날형의 결속돌기(10A)는 상기 결속부(11)의 내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느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돌출된 모서리 부분이 15°이상에서 45°이하로 좁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돌기(10A)는, 일변을 L1이라 하고, 타변을 L2라 하며, 상기 L1, L2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각을 ∠L12라 하였을 때, 15°≤∠L12 ≤45°로 상기 사이각∠L12을 정함으로서, 포장재(20) 주입부(21)의 결속에 있어 효율적인 파지력 및 내구강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다음 표 1은 상기 ∠L12의 각도에 따라 파지력, 내구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L12 15° 25° 35° 45° 55°
파지력(kg) - - >35 >35 26 17
내구강도(kg) 12kg 27 >35 >35 - -
이때, 실험조건에서 사용된 상기 포장재(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파망의 규격(넓이: 50cm x 80cm, 홀 크기: 60hole/㎠, 줄지름: 0.025cm)의 포장재(20)를 사용하였다.
한편, 몸체(10)의 재질은 아크릴(PMMA)소재(인장강도: 750kg/㎠), 인장신장률: 3%)를 사용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두께(T)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그물망 형의 포장재(60hole/㎠)중 어느 하나의 홀(23)의 변 크기(M)를 기준으로 하여, T/M 비율은 1.2로 하여 T를 0.15cm로 고정하고 실험하였다.
이때,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결속하는데 있어, 0.75cm의 반경(R1)을 가지는 고정부재(50)가 별도로 사용되었으며, 상기 결속부(11) 형상의 변수를 고정하는데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쌍의 결속돌기(10a)(10b)(10c)가 상기 결속부(11)에 포함되되, 결속돌기의 돌출길이를 L1, 결속부(11)의 내주에서 일측과 타측에 결속돌기 간의 형성된 폭 간격을 W1,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쪽의 결속돌기 간의 높이간격을 각각 H1, H2, H3 라 했을때, L1/R2 비율은 0.3, W1/R2 비율은 0.4, H1/R2, H2/R2, H3/R3의 비율은 0.25, 0.30, 0.35로 고정하였다.
이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수산물(40)을 담고 있는 그물망(20)의 주입부(21)는 고정부재(50)를 통해 수축되어 고정되고, 몸체(10)가 주입부(21) 방향으로 힘(F)이 가해 상기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로 인입되게 하여, 파지력 및 내구강도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 중 파지력에 대한 결과는, 인입 후 농수산물(40)의 무게(kg)에 따라 수직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그물망(20)이 빠지질 때의 무게, 내구강도의 결과는 수직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몸체(10)가 파손될 때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도출되었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를 형성하는 결속돌기의 각 변 L1, L2 간의 각도 ∠L12에 있어서, ∠L12가 5°이하에서는 20kg 이하의 하중에서 몸체(1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55°이상에서는 20kg 이상의 하중에서 상기 주입부(21)가 결속부(11)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결속하는데 있어, 본 발명의 결속돌기(10A)는 각 변 L1, L2 간의 사이각이 15° ≤∠L12 ≤45°가 됨으로써, 주입부(21)를 결속하기 위한 효과적인 파지력 및 내구강도를 가질수 있게 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25° ≤∠L12 ≤35°이 됨으로써, 35kg이상의 하중에서도 상기 주입부(21)를 결속하는데 있어, 몸체(10)가 파손되거나 포장재(20)가 빠지지 않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각 변 L1, L2 간의 사이각이 15° ≤∠L12 ≤45°가 됨으로써, 종래의 결속장치에서 발생하는 낮은 파지력 및 낮은 견고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두께(T)는 상기 포장재(20)의 그물망의 메쉬크기(M, Mesh)에 따라 T/M의 비율이 0.8~1.6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 2는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두께(T)에 따른 파지력, 내구강도, 안정성, 인입적합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T/M 0.4 0.8 1.2 1.6 2.0
파지력(kg) - - >35 25 16
내구강도(kg) 18 26 >35 - -
인입적합도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표 2의 실험조건에서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두께(T)를 제외한 변수들을 상기 표 1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표 2에서 도출된 파지력 및 내구강도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출하는 한편, 인입적합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20)을 상기 결속부(11)에 인입하는 실험을 하였을 때, 50회를 기준으로 하여, 50회 이하의 인입 회수에서 찢어지면 불량, 50회 이상의 인입 회수에서도 찢어지지 않으면 양호라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하에서 수행되는 다른 조건에서의 인입적합도 실험에서도 상기 50회를 기준으로 양호 또는 불량을 나타내었으며, 이하 표3 내지 8의 실험에서의 인입적합도 실험에 관련된 수행방법은 이하 동일하므로 생략하고자 한다.
표 2를 참조하면, T/M의 비율이 0.4 이하에서는 몸체(10)의 내구강도가 감소하여 20kg 이하의 하중에서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어나 하나 이상이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T/M의 비율이 2.0에서는 두께(T)가 도 6에 도시된 홀(23)에 들어가기에 적합하지 않은 치수를 가져, 20kg이하의 하중에서 포장재(20)가 상기 결속부(11)로부터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때, 상기 T/M의 비율이 1.2~1.6에서는 20kg이상의 파지력의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T/M의 비율이 1.0을 초과하는데도 상기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상기 포장재(20)의 홀(23)이 늘어날 수 있는 구조를 취해, T/M의 비율이 1.2~1.6에서도 상기 결속돌기(10A)가 상기 홀(23)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복 수개의 결속돌기(10A)의 두께(T)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T/M의 비율이 0.8~1.6, 더욱 바람직하게는 T/M의 비율이 1.2이 됨으로써, 본 발명은 포장재(20)의 주입부(21)룰 결속에 있어 우수한 파지력과 내구강도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표 1, 2에서의 결과를 통해 상기 결속돌기(10A)는, 상기 인입부(12)의 절개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형태가 아니여도 상기 ∠L12의 변화 또는 T/M의 비율의 변화에 따라, 본 발명의 파지력 및 내구강도의 결과값이 유사한형태로 변화되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상기 인입부(12)에 인접하지 아니한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돌기(10a, 10b)는 상기 결속돌기(10A)의 돌출된 모서리가 결속부(11)의 내주 방향으로 '
Figure 112015100516913-pat00001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상기 인입부(12)에 인접하지 아니한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돌기(10a, 10b)는, 결속돌기(10a, 10b)의 돌출된 말단인 모서리를 기준하여, 결속부의 안쪽에 위치된 일변(L1)이 수평한 형태로 구성되고, 결속부의 외부 쪽에 위치된 타변(L2)은 일변(L1)의 말단에서 90°보다 작은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
Figure 112015100516913-pat00002
'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일측인 왼측돌기를 기준으로하여, 인입부(12) 절개방향의 연장선인 H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의 L1에 대한 각을 ∠L1이라 하고, 인입부(12)의 절개방향선인 H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의 L2에 대한 각을 ∠L2라 했을때, ∠L1, ∠L2의 경사각의 관계가 ∠L2 > ∠L1 = 90°이 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의 타측인 오른측돌기를 기준으로하여, 인입부(12) 절개방향의 연장선인 H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의 L1에 대한 각을 ∠L1이라 하고, 인입부(12) 절개방향의 연장선인 H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의 L2에 대한 각을 ∠L2라 했을때, ∠L1, ∠L2의 경사각의 관계가 ∠L2 > ∠L1 = 90°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결속부(11)로 인입된 상기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상기 결속부(11)의 밖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음 표 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12)의 절개형성 방향을 중심으로 상호대칭되는 일측의 결속돌기와 타측의 결속돌기를 대칭형으로 하고, 상기 ∠L1, ∠L2의 각도에 따라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로 인입된 후, 흔듬으로 끈어질 때의 흔듬회수를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 실험 조건에 있어서, 표 3에 표시된 상기 ∠L1, ∠L2의 각도는 상기 왼측돌기를 기준으로, 첫 번째 형상에서 ∠L1= 90°, ∠L2=135°, 두 번째 형상에서 ∠L1=45°, ∠L2=135°, 세 번째 형상에서 ∠L1=45°, ∠L2=90°로 고정하였고, 이외 조건들을 상기 표 1, 및 2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실험하였다.
결속돌기 형상
(왼측돌기
기준)
Figure 112015100516913-pat00003

(∠L2 >∠L1 ≥ 90°)
Figure 112015100516913-pat00004

(∠L2 >90°>∠L1 )
Figure 112015100516913-pat00005

(90° >∠L1 ≥ ∠L2)
끊어지는 정도 인입 후 100회 이상
흔듬에서 끊어지지 않음
인입 후 60 회 이하
흔듬에서 끊어짐
인입 시
끊어짐
표 3을 참조하면, L2 > ∠L1 = 90°인 표 3의 첫 번째 형상에서는 인입 후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흔듬에도 움직이지 않아, 100회 이상의 흔듬에서도 끊어지지 않았으며, L2 > 90° > ∠L1의 두 번째 형상에서는 상기 주입부(21)가 인입된 후 흔들림에 따라 상기 주입부(21)가 용이하게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결속돌기(10a)(10b)와의 마찰로 인해, 약 60회 이하의 흔듬에서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90°= L2 > ∠L1의 세번째 형상에서는 90°= L2 의 각도조건으로 인해, 상기 주입부(21)가 상기 각 부분결속부(11a)(11b)로 용이하게 인입되지 않아 인입 시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결속돌기(10a)(10b)의 형상은 L2 > ∠L1 = 90°의 각도에서 가장 적합하게 상기 주입부(20)를 파지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된 결속돌기(10a)(10b)의 각도조건을 통해, 더욱 견고히 포장재(20)의 주입부(21)을 파지하였다.
즉, 상기 언급된 L1이 수평이 되는 ∠L1 = 90°각도를 통해 상기 각 각의 부분결속부(11a)(11b)(11c)로 분배된 주입부(21)는 다른 부분결속부로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결속될 수 있는 한편, L2 > ∠L1 = 90°의 L2변의 형태를 통해, 상기 주입부(21)는 상기 L2의 변을 통해 가이드되어 각 부분결속부(11a)(11b)(11c)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는 상기 인입부(12)의 절개방향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된 형태가 아니더라도, 표 3의 결과를 통해 상기 결속돌기(10a, 10b)의 L1, L2변이 L2 > ∠L1 = 90°각도에서 상기 주입부(21)를 더욱 견고히 결속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는 인입부(12)의 절개형성방향을 중심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하되, 상호 대칭된 일측 결속돌기군과 타측 결속돌기군이 각각 2 또는 3개의 결속돌기(10A)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 4은 상기 언급된 결속돌기군의 개수에 따른 파지력, 내구강도, 인입적합도의 실험결과이다.
돌기쌍의 수 0 1 2 3 4
파지력(kg) 2kg(빠짐) - >35kg >35kg >35kg
내구강도(kg) - 16kg(부서짐) >35kg >35kg >35kg
인입적합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표 4의 실험조건에서 결속부(11)의 형태는 상기 표 1의 결속부(11)의 형태와 동일하며, 파지력, 내구강도, 인입적합도는 상기 표 2의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상기 결속부(11)에 포함되어 있는 결속돌기군의 개수는 0~5로 변화시켜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돌기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파지력 및 내구강도가 증가하지만, 상기 결속돌기군의 개수가 4개 이상일 시에는 50회 이하의 인입 회수에서도 찢어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엇으며, 상기 결속돌기군의 개수가 1개 이하로 감소하면, 포장재(20)의 내부로 담긴 농수산물(40)의 무게가 20kg 이하의 무게에서도 상기 몸체(10)가 빠지거나 부서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결속돌기군의 개수가 2 또는 3개 일때, 상기 포장재(20)에 담긴 농수산물(40)이 20kg 이상의 무게에서도, 상기 주입부(21)의 인입에서 상기 포장재(20)가 찢어지지 않는 한편, 상기 주입부(21)의 파지력, 내구강도 및 인입적합도가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결속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되는 결속돌기(10a)(10b)(10c)를 통해, 복수 개의 부분결속부(11A)로 나누어지되, 상기 복수 개의 부분결속부(11A)에서 각 결속부(11a)(11b)(11c)의 각각의 높이가 상기 몸체(10)의 상측부터 하측방향으로 점점 높이가 높아지도록 H1<H2<H3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결속부(11)의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는 상기 주입부(21)가 상기 각 부분결속부(11A)에서 상기 결속부(11a)(11b)(11c)의 공간만큼 차등분배된 넓이로 인입되어, 상기 주입부(21)의 인입시 상기 결속돌기(10A)로 인해 결속부(11)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부분 결속부(11a)로 적게 인입되고, 상기 결속부(11)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부분 결속부(11c)로 많이 인입되는 현상에서 발생하는 파지력의 불균형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결속부(11A)가 세 개의 부분결속부(11a)(11b)(11c)를 가질때, 각각의 형태는 'ㅡ', '∠', '⊂'의 형상이 대칭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파지력의 불균형 현상을 더욱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부분 결속부(11A)의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기 부분결속부(11a)(11b)(11c)의 형태는 이 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인입부(12)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주 쪽 일부분(12b)의 폭이 상기 결속부(11)의 내주 쪽 일부분(12a)의 폭보다 넓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입부(12)는 상기 몸체(10)의 외주 쪽 일부분(12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수축될 시에 상기 외주 쪽 일부분(12b)의 경사진 형태로 인해 용이하게 수축되며, 상기 수축된 주입부(21)는 상기 외주 쪽 일부분(12b)보다 좁은 결속부(11) 내주 쪽 일부분(12a)을 통과하여 상기 결속부(11)로 인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입부(12)의 몸체(10)의 외주 쪽 일부분(12b) 및 결속부(11)의 내주 쪽 일부분(12b)의 구조를 통해 당업자는 포장재(20)의 주입부(21)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결속장치에서 발생하는 결속작업의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50)를 통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에 인입되기 쉽도록 임의의 반경으로 수축되어.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주입부(21)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인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재(50)를 상기 주입부(21)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결속과정이 마무리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50)의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상기 고정부재(50)에는 별도의 손잡이 또는 장치 등이 부가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이용한 결속과정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결속구는 상기 고정부재(50)의 사용없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상기 결속부(11)에 인입할 수 있고, 수작업으로 상기 주입부(21)를 접어 수축시키거나, 꼬아서 수축시킨 후 상기 상기 주입부(21)를 상기 결속부에 인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고정부재(50)를 통해 임의의 반경으로 수축할 수 있되, 도 3 또는 5에 도시된 상기 고정부재(50)의 내경을 R1, 상기 인입부(12)와 인접하지 않은 결속돌기(10a)(10b)의 돌출길이를 L1, 상기 인입부(12)와 인접하지 않은 결속돌기(10a)(10b)간의 폭을 W1라 할때, L1/R2의 비율이 0.1 이상, W1/R2의 비율이 0.3~0.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 5, 6은 상기 인입부(12)와 인접하지 않은 결속돌기(10a)(10b)의 돌출길이(L1)와 상기 결속돌기(10a)(10b)의 폭 간격(W1)의 크기에 따른 파지력 및 인입적합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 표 5, 6의 실험에서 다른 변수들은 상기 표 2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실험하였으며, L1에 대한 실험시 W1/R1 비율은 0.4로 고정, W1에 대한 실험시 L1/R1 비율은 0.15로 고정하여 실험하였다.
L1/R1 0.05 0.10 0.15 0.20 0.25
파지력(kg) 5 28 >35 >35 >35
인입적합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W1/R1 0.2 0.3 0.4 0.5 0.6
파지력(kg) - >35kg >35kg 32kg 10kg
인입적합도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돌기(10a)(10b)의 돌출길이(L1)에 따른 실험결과에서는 전체 조건에서 상기 주입부(21)의 인입에 따라 포장재(20)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L1/R1 비율이 0.05 이하 되었을 때, 짧은 상기 돌출길이(L1)로 인해 상기 결속부(11)의 파지력이 5kg 이하로 떨어졌다.
한편, 표 6를 참조하면, 상기 W1/R1 비율이 0.2 이하에서 상기 주입부(21)가 인입될 시에 상기 포장재(20)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상기 W1/R1 비율이 0.6 이상에서 상기 결속부(11)의 파지력이 10kg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결국, 상기 표 5, 6의 결과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 수개의 결속돌기(10A)의 L1길이는 L1/R1의 비율이 0.10 이상, W1/R1의 비율이 0.3~0.5가 됨으로써, 종래의 결속장치와 같이 짧은 결속돌기를 가지거나, 결속돌기 폭 간의 간격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보다 결속부(11)가 상기 주입부(21)를 결속하는데 있어 파지력 및 인입적합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인입부(12)의 결속부(11)의 내주 쪽 일부분(12a)의 절개간격을 W2라 하고, 상기 고정부재(50)의 반경을 R1라 했을때, W2/R1 비율은 0.1~0.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 7은 상기 주입부(21)의 반경크기(R1) 대비 상기 절개간격의 폭(W2)에 따라 W2/R1 비율의 결과를 이용하여, 인입적합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W2/R1 0.05 0.10 0.15 0.20 0.25
인입시 들어가는 힘(N) 980~1020 250~300 90~120 70~80 45~55
인입 평가 인입이 용이하지 않음. 인입이 용이하며 메쉬망이 빠져나오지 않음. 인입이 용이하며 메쉬망이 빠져나오지 않음. 인입이 용이하며 메쉬망이 빠져나오지 않음. 인입이 용이하나 메쉬망이 빠져나옴.
이 때, 표 7의 실험조건은 W2를 제외한 조건을 상기 표 2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하였다.
표 7를 참조하면, 상기 W2/R1 비율이 0.05 이하에서는 인입 된 상기 주입부(21)가 빠져나오지 않으나, 상기 주입부(21)의 인입시에는 대략 1000N(100kgf 이상)의 인입력(N)이 들어가야 되므로, 인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W2/R1 비율이 0.25 이상에서는 상기 주입부(21)의 인입이 용이하였으나, 상기 인입된 주입부(21)가 다시 빠져나온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인입부(12)의 결속부(11)의 내주 쪽 일부분(12b)의 절개간격 폭(W2)은 상기 고정부재(50)의 반경(R1)에 대비하여 W2/R1 비율이 0.10~0.20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는 인장강도가 500kg/㎠ 이상이며, 인장신장률이 10%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포장재(20)의 주입부(21)가 상기 결속부(11)에 결속되었을때, 상기 몸체(10)가 외부의 충격 또는 상기 포장재(20)에 담겨있는 농수산물(40)의 무게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표 8은 몸체(10)를 형성하는 재질의 인장강도(kg/㎠)에 따른 내구강도및 인장신장률(%)에 따른 파지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인장강도
(kg/㎠)
400 500 600 700 800
내구강도(kg) 17 25 31 32 >35
인장신장률
(%)
5 10 15 20 25
파지력(kg) >35 24 19 14 9
이 때 표 8의 실험조건은 상기 표 1, 2의 실험조건과 동일하게 하였다.
표 8을 참조하면, 인장강도가 400kg/㎠ 이하가 되면, 20kg 이하 하중에도 상기 몸체(10)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인장신장률이 15% 이상이 되면 파지력이 20kg 이하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결과는 인장률이 15% 이상이 되면 상기 인장신장률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10a)(10b)의 폭(W1)간격이 넓어져 파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재질에 있어, 인장강도는 500kg/㎠ 이상, 인장신장률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가 600kg/㎠ 이상, 인장신장률이 5% 이하이다.
결국, 본 발명의 재질을 상기 바람직한 재질로 할 경우, 종래의 결속장치에서 사용되는 PET(인장강도 : 450kg/㎠,인장신장률 : 50%이상), ABS Plastic (인장강도: 400kg/㎠ 인장신장률: 25%)등의 재질보다 높은 내구강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포장재(20)의 결속에 있어 적합한 내구강도 및 파지력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재질이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시에는, 용이하게 사출성형 또는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어, 종래의 결속끈(30')을 이용한 포장재(20')의 결속에 있어,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제작단가 및 결속작업의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종래의 빵 봉지형 결속클립(60')보다 개량화된 형태를 통해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결속하는데 있어 낮은 파지력 및 내구강도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
10A : 복수 개의 고정돌기
10a : 제1쌍 고정돌기 10b : 제2쌍 고정돌기 10c : 제3쌍 고정돌기
11 : 결속부
11A : 복수 개의 부분결속부
11a : 제1부분 결속부 11b : 제2부분 결속부 11c : 제3부분 결속부
12 : 인입부
12a : 결속부의 내주 쪽 일부분 12b: 몸체의 외주 쪽 일부분
20', 20 : 포장재 21', 21 : 주입부 22' : 결속끈 투입부 23 : 홀
30' : 결속끈 40' , 40 : 농수산물 50 : 고정부재
60' : 빵 봉지형 결속클립
61' : 결속부, 62' : 인입부
70' : 봉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결속부(11) 및;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주에서 상기 결속부(11)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되고, 포장재(20)의 주입부(21)를 상기 결속부(11)로 안내하는 인입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11)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톱날형 결속돌기(1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돌기(10A)는,
    일변을 L1이라 하고, 타변을 L2라 하며, 상기 L1, L2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각을 ∠L12라 하였을 때, 15°≤∠L12 ≤45°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 중 상기 인입부(12)에 인접하지 아니한 어느 하나 이상의 결속돌기(10a, 10b)는, 결속돌기(10a, 10b)의 돌출된 말단인 모서리를 기준하여, 결속부의 안쪽에 위치된 일변(L1)은 수평한 형태로 구성되고, 결속부의 외부 쪽에 위치된 타변(L2)은 일변(L1)의 말단에서 90°보다 작은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
    Figure 112016073235753-pat00013
    '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돌기(10A)의 두께(T)는 상기 포장재(20)의 그물망의 메쉬크기(M, Mesh)에 따라 T/M의 비율이 0.8∼1.6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결속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속돌기(10A)는,
    인입부(12)의 절개형성 방향을 중심하여 상호 대칭되는 일측 결속돌기군과 타측 결속돌기군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결속돌기군과 타측 결속돌기군 각각은 두 개 이상의 결속돌기(10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결속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12)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주 쪽 일부분(12b)의 폭이 상기 결속부(11) 내주 쪽 일부분(12a)의 폭보다 넓은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결속구.
KR1020150145064A 2015-10-19 2015-10-19 포장재 결속구 KR10168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64A KR101681662B1 (ko) 2015-10-19 2015-10-19 포장재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64A KR101681662B1 (ko) 2015-10-19 2015-10-19 포장재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662B1 true KR101681662B1 (ko) 2016-12-01

Family

ID=5757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064A KR101681662B1 (ko) 2015-10-19 2015-10-19 포장재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6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17Y1 (ko) 2003-03-28 2003-06-18 김진한 농산물 포장용 포대
KR200354855Y1 (ko) 2004-04-07 2004-07-02 이춘길 과일 재배용 과일보호구 및 결속밴드
KR101164347B1 (ko) 2010-06-18 2012-07-11 박성태 봉지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17Y1 (ko) 2003-03-28 2003-06-18 김진한 농산물 포장용 포대
KR200354855Y1 (ko) 2004-04-07 2004-07-02 이춘길 과일 재배용 과일보호구 및 결속밴드
KR101164347B1 (ko) 2010-06-18 2012-07-11 박성태 봉지 결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945A (ko) 스트랩 지지체를 가진 버클
US10556721B2 (en) Clasp for tethering
WO2018129027A1 (en) Tie-wrap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681662B1 (ko) 포장재 결속구
CN206031972U (zh) 蔬菜扎捆辅助器
US10421606B2 (en) Debris bundling device
AU2015101596A4 (en) Pack for fence posts or other elongate products
US7464442B2 (en) Bundling tie
US9908674B2 (en) Baling system buckles for securing a bale
JP6458992B2 (ja) 自己結合性を有する縛り紐および同紐を用いた果実袋
US20150274361A1 (en) Clasp For Tethering
KR101564081B1 (ko) 굴양식용 압착형 패각걸이
US20070079482A1 (en) Device for attachment to a rope
US2305514A (en) Sinker package
US6679669B2 (en) Fastener for wood having locking portion
JP4137742B2 (ja) ベルト噛合式結束バンド
KR200354855Y1 (ko) 과일 재배용 과일보호구 및 결속밴드
KR200416283Y1 (ko) 농작물용 결박구
JP5965784B2 (ja) 締付バンド
US9447844B2 (en) Cord connector and cord connecting methods
CN101451566B (zh) 一种箍扣装置
WO2007116241A1 (en) Quick tie strap
CN209921982U (zh) 一种用于pp塑料扎带上的快速锁扣
CN209852908U (zh) 一种高效捆绑绳
CN210762135U (zh) 一种龙虾捆扎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