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608B1 -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608B1
KR101680608B1 KR1020150122963A KR20150122963A KR101680608B1 KR 101680608 B1 KR101680608 B1 KR 101680608B1 KR 1020150122963 A KR1020150122963 A KR 1020150122963A KR 20150122963 A KR20150122963 A KR 20150122963A KR 101680608 B1 KR101680608 B1 KR 10168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session information
network session
illegal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엽
채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아이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아이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아이티랩
Priority to KR102015012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4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against software analysis or reverse engineering, e.g. by obfus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 구성원 정보기기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각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를 판단(예컨대, 네크워크 세션정보가 아예 없거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가지는 PM을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불법 소프트웨어로 판단)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조직 내에 소속된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를 입수/설치/운영한다 하더라도, 해당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가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일치여부 검증절차에 따라, 엄격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The system which detects a illegal software based on the network type licence circ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불법 소프트웨어의 은닉/사용을 감지하여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 구성원 정보기기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각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를 판단(예컨대, 네크워크 세션정보가 아예 없거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가지는 PM을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불법 소프트웨어로 판단)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조직 내에 소속된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를 입수/설치/운영한다 하더라도, 해당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가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일치여부 검증절차에 따라, 엄격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기술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0-30889호(명칭: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장치)(2000.6.5.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12322호(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발급에 의한 불법복제 방지 방법)(2005.2.2.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기술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 하에서, 라이선스 관리 서버(1) 측에서는 네트워크 망(4)을 매개로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을 구성하는 구성원에 의해 운영되면서, 소프트웨어(3,3a)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원 정보기기(2)>와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소프트웨어(3a) 측으로부터 라이선스 대여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이 경우,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는 조직에서 적법하게 구매한 라이선스의 개수일 수 있다)를 체크한 후, 현 소프트웨어(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상기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소프트웨어(3a) 측의 라이선스 사용을 허가(즉, 소프트웨어 측으로 라이선스를 대여)하거나, 제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가 20개이고, 현 소프트웨어(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19개일 경우, 라이선스 관리 서버(1) 측에서는 현 소프트웨어(3a)의 라이선스 사용을 허가하는 절차(즉, 현 소프트웨어 측으로 라이선스를 대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절차 하에서,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가 20개이고, 현 소프트웨어(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21개일 경우, 라이선스 관리 서버(1) 측에서는 현 소프트웨어(3a)의 라이선스 사용을 제한하는 절차(즉, 현 소프트웨어(3a) 측으로의 라이선스 대여를 거절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라이선스 관리 서버(1)의 기능수행 하에서, 각 구성원 측에서는 자가 구성원 정보기기(2) 내에 설치되어 있던 소프트웨어(3,3a)의 라이선스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즉,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획득이 실패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3,3a)를 정상적으로 실행/사용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조직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각 구성원에 의한 소프트웨어(3,3a)의 동시 실행/사용을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의 개수 이내에서(즉, 조직에서 적법하게 구매한 라이선스의 개수 이내에서)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선스 관리 서버(1) 측에서는 네트워크 망(4)을 토대로 파악되는 동시사용 라이선스 개수만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3,3a)의 실행/사용을 통제하기 때문에, 만약,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2)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3b)를 입수/설치한 후, 이 불법 소프트웨어(3b)를 별도의 라이선스 획득절차 없이 무단으로 실행/사용하게 될 경우, 라이선스 관리 서버(1) 측에서는 이를 전혀 파악하거나 통제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3b)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이 상황 하에서, 예를 들어,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3b) 사용이 감독기관에 의해 적발될 경우, 조직 측에서는 심각한 민/형사상의 책임을 고스란히 떠 안을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0-30889호(명칭: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장치)(2000.6.5.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12322호(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발급에 의한 불법복제 방지 방법)(2005.2.2.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선스 관리 서버, 구성원 정보기기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각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를 판단(예컨대, 네크워크 세션정보가 아예 없거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가지는 PM을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불법 소프트웨어로 판단)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조직 내에 소속된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를 입수/설치/운영한다 하더라도, 해당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가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일치여부 검증절차에 따라, 엄격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구성원 정보기기가 네트워크 망을 매개로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구성원 정보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 목록을 취득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상기 PM 목록을 토대로 상기 운영체제와 통신하여, 해당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와;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와 통신하여,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감지결과를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프로세스 중에서, 네트워크 세션정보 감시대상에 해당하는 PM이 기재된 PM 목록을 취득하는 PM 목록 취득모듈과; 상기 PM 목록을 판독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와 통신하면서, 상기 PM 목록에 기재된 PM이 구동되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PM이 구동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운영체제와 통신하여,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 구성원 정보기기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각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를 판단(예컨대, 네크워크 세션정보가 아예 없거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가지는 PM을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불법 소프트웨어로 판단)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조직 내에 소속된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를 입수/설치/운영한다 하더라도, 해당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는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일치여부 검증절차에 따라, 엄격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형 라이선스의 유통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채용한 네트워크형 라이선스의 유통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 하에서,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네트워크 망(14)을 매개로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을 구성하는 구성원에 의해 운영되면서, 소프트웨어(13,13a)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원 정보기기(12)>와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소프트웨어(13a) 측으로부터 라이선스 대여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이 경우,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는 조직에서 적법하게 구매한 라이선스의 개수일 수 있다)를 체크한 후, 현 소프트웨어(1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상기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소프트웨어(13a) 측의 라이선스 사용을 허가(즉, 소프트웨어 측으로 라이선스를 대여)하거나, 제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가 20개이고, 현 소프트웨어(1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19개일 경우,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현 소프트웨어(13a)의 라이선스 사용을 허가하는 절차(즉, 현 소프트웨어 측으로 라이선스를 대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절차 하에서, 기 설정되어 있던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 개수가 20개이고, 현 소프트웨어(13a)의 라이선스 사용에 의해 추가 카운트되는 총 라이선스 사용개수가 21개일 경우,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현 소프트웨어(13a)의 라이선스 사용을 제한하는 절차(즉, 현 소프트웨어(13a) 측으로의 라이선스 대여를 거절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의 기능수행 하에서, 각 구성원 측에서는 자가 구성원 정보기기(12) 내에 설치되어 있던 소프트웨어(13,13a)의 라이선스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즉,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획득이 실패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13,13a)를 정상적으로 실행/사용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조직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각 구성원에 의한 소프트웨어(13,13a)의 동시 실행/사용을 동시사용가능 라이선스의 개수 이내에서(즉, 조직에서 적법하게 구매한 라이선스의 개수 이내에서)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네트워크 망(14)을 토대로 파악되는 동시사용 라이선스 개수만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13,13a)의 실행/사용을 통제하기 때문에, 만약,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12)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13b)를 입수/설치한 후, 이 불법 소프트웨어(13b)를 별도의 라이선스 획득절차 없이 무단으로 실행/사용하게 될 경우,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측에서는 이를 전혀 파악하거나 통제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13b)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구성원 정보기기(12)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본 발명 고유의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10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불법 소프퉤어 감지시스템(100)을 구성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측에서는 네트워크 망(14)을 토대로 긴밀한 통신관계를 상호 형성하면서, <각 소프트웨어(13,13a,13b)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를 판단/탐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조직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 네트워크 망(14) 등을 매개로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에 접속한 후, 이의 데이터베이스(11a) 내에 <각 소프트웨어(13,13a,13b)의 프로세스 중에서, 네트워크 세션정보 감시대상에 해당하는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목록>을 갱신/저장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는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매개로 하여, 구성원 정보기기(12) 측 운영체제(12a), 구성원 정보기기(12) 측 소프트웨어(13,13a,13b),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등과 통신을 취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202), PM 목록 취득모듈(203),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204),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205),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6)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202)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운영체제(12a)의 등록정보, 소프트웨어(13,13a,13b)의 등록정보,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의 등록정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의 등록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 통신 세션의 형성/유지를 위한 통신자원 정보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측에서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와 통신하여, 각 소프트웨어(13,13a,13b)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목록을 취득한 후, 구성원에 의한 소프트웨어(13,13a,13b)의 실행 시, 상기 PM 목록을 토대로 운영체제(12a)와 통신을 취하여, 해당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 완료된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측으로 전송/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 경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로는 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Local IP address), 로컬 포트(Local port),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Remote IP address), 리모트 포트(Remote port) 등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와 연계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01), 네트워크 망(14) 등을 매개로 하여,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 등과 통신을 취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302),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303),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프로세스 기준정보 저장모듈(306),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30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302)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의 등록정보,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의 등록정보,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의 등록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 통신 세션의 형성/유지를 위한 통신자원 정보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프로세스 기준정보 저장모듈(306)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각 적법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각 버전 별 적법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 정보, 각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6 참조).
이 상황 하에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측에서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와 통신하여,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13,13a,13b)의 불법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감지결과를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 등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6 참조).
이하,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등의 연계 동작을 통한 본 발명 고유의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절차를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에 소속된 PM 목록 취득모듈(2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201)을 매개로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라이선스 관리 서버(11)의 데이터베이스(11a)에 접근하여, 이에 기 저장되어 있던 각 소프트웨어(13,13a,13b)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목록을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PM 목록에는 예컨대,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의 각 버전별 PM 이름(예컨대, XX 버전의 AA 소프트웨어의 경우, aa.exe, bb.exe, cc.exe 등) 등이 기재된다.
이렇게 하여,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의 각 버전별 PM 이름(예컨대, XX 버전의 AA 소프트웨어의 경우, aa.exe, bb.exe, cc.exe 등) 등이 기재된 PM 목록이 취득 완료되는 상황 하에서,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204) 측에서는 운영체제(12a), 소프트웨어(13,13a,13b)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PM 목록에 기재된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이 구동되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모니터링 절차 하에서, 구성원 측에 의한 구성원 정보기기(12) 전산조작에 의해, 소프트웨어(13,13a,13b)가 실행되고, 그에 따라, PM 목록에 기재된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이 구동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204) 측에서는 그 즉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205)과 통신을 취하여,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구동사실을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205)에게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에 따라,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구동사실이 통지되는 상황 하에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205) 측에서는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204)과 통신을 취하여,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구동사실을 확인한 후, 그 즉시, 운영체제(12)와 통신을 취하여, 현재 구성원 정보기기(12)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를 판독/취득한 후, 판독/취득 완료된 모든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과 비교하여, 해당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를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aa,exe라고 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은 <10.22.xxx.‥‥>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cc,exe라고 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은 <10.13.28.xxx.‥‥>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bb.exe라고 하는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은 그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가 아예 없을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에 따라,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가 취득 완료되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6) 측에서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205)과 통신을 취하여, 불법 감지대상 소프트웨어(13,13a,13b) 측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를 판독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포함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에는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버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PM 이름,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등이 포함/기재된다.
이렇게 하여,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버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PM 이름,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등이 포함/기재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가 생성 완료되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201), 네트워크 망(14) 등을 매개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와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를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가 전송되는 국면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300)를 구성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3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301), 네트워크 망(14) 등을 매개로 각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던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측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6)에 접근하여, 이에 의해 생성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를 수신/접수/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 측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6)에 의해 생성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가 수신/접수/취득 완료되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303) 측에서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저장루틴을 진행시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의 정보저장영역에 <각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200)로부터 전송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누적 저장/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6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206)에 의해 생성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가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의 정보저장영역에 누적 저장/관리되는 상황 하에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측에서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접근한 후,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이에 누적 저장되어 있던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프로세스 기준정보 저장모듈(306)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접근한 후,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이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세스 기준정보(예컨대, 각 적법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각 버전 별 적법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 정보, 각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등)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이렇게 하여,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의 정보저장영역에 누적 저장되어 있던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예컨대,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버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PM 이름,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등), 프로세스 기준정보 저장모듈(306)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프로세스 기준정보(예컨대, 각 적법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 각 버전 별 적법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 정보, 각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등) 등이 판독 완료되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비교루틴을 진행시켜, 소프트웨어(13,13a,13b)(즉, 불법여부 감지대상 소프트웨어) 측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와, 이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호 비교한 후, 그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소프트웨어(13,13a,13b)의 불법여부를 감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13a)(즉, 불법여부 감지대상 소프트웨어) 측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가 이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측에서는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13a)는 적법 소프트웨어이다>라는 감지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13a)(즉, 불법여부 감지대상 소프트웨어) 측 각 PM(예컨대, aa.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가 이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측에서는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13a)는 불법 소프트웨어이다>라는 감지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다른 예로, 소프트웨어(13a)(즉, 불법여부 감지대상 소프트웨어) 측 PM(예컨대, bb.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가 아예 없어, 이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 측에서는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13a)는 불법 소프트웨어이다>라는 감지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13,13a,13b)는 적법 소프트웨어이다>라는 감지결과, 또는 <구성원 정보기기(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13,13a,13b)는 불법 소프트웨어이다>라는 감지결과 등이 도출되는 상황 하에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307) 측에서는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도출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303),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취득/저장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예컨대,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이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버전,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대상 소프트웨어의 PM 이름, 각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예컨대, 로컬 아이피 어드레스, 로컬 포트, 리모트 아이피 어드레스, 리모트 포트 등),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등)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이렇게 하여,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305)에 의해 도출된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 감지결과,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303),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304) 등에 의해 취득/저장된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보고 메시지 등이 판독 완료되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307)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 감지결과, 불법/적법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불법/적법 소프트웨어의 이름 등이 기재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 감지결과, 불법/적법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불법/적법 소프트웨어의 이름 등이 기재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가 생성 완료되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307)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301), 네트워크 망(14) 등을 매개로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등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를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등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를 통해,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 감지결과, 불법/적법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원 정보기기(12)의 등록정보, 불법/적법 소프트웨어의 이름 등)가 전송되는 상황 하에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15)에 게시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를 주시하는 단순 절차만으로도,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여부를 엄격하게 감지/색출/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11), 구성원 정보기기(12) 등의 통신/프로그램 인프라 하에, <각 소프트웨어(13,13a,13b)의 실행 시 구동되는 PM(예컨대, aa.exe, bb.exe, cc.exe 등)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그 소프트웨어(13,13a,13b)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13,13a,13b)의 불법여부를 판단(예컨대, 네크워크 세션정보가 아예 없거나,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가지는 PM을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불법 소프트웨어로 판단)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조직 내에 소속된 일부 구성원이 자가 정보기기 내에 불법 소프트웨어를 입수/설치/운영한다 하더라도, 해당 불법 소프트웨어의 존재는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 일치여부 검증절차에 따라, 엄격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조직(예컨대, 회사, 학교, 공공기관, 단체 등), 또는, 이에 소속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자 측에서는 구성원의 불법 소프트웨어 은닉/사용에 따른 심각한 유/무형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라이선스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 라이선스 관리 서버
2,12: 구성원 정보기기
12a: 운영체제
3,3a,3b,13,13a,13b: 소프트웨어
4,14: 네트워크 망
15: 라이선스 관리자 정보기기
100: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200: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
201: 인터페이스 모듈
202: 운영정보 저장모듈
203: PM 목록 취득모듈
204: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
205: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
206: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
300: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시 서버
301: 인터페이스 모듈
302: 운영정보 저장모듈
303: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
304: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저장모듈
305: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
306: 프로세스 기준정보 저장모듈
307: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

Claims (4)

  1. 삭제
  2.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구성원 정보기기가 네트워크 망을 매개로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구성원 정보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소프트웨어 측 감시대상 프로세스(PM: Process which is Monitored) 목록을 취득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상기 PM 목록을 토대로 상기 운영체제와 통신하여, 해당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와;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와 통신하여, 상기 PM의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 여부를 감지한 후, 해당 감지결과를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측 프로세스 중에서, 네트워크 세션정보 감시대상에 해당하는 PM이 기재된 PM 목록을 취득하는 PM 목록 취득모듈과;
    상기 PM 목록을 판독한 후, 상기 소프트웨어와 통신하면서, 상기 PM 목록에 기재된 PM이 구동되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PM 구동여부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PM이 구동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운영체제와 통신하여,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 서버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처리 에이전트와 통신하여,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취득하는 PM 네트워크 세션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PM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상기 소프트웨어와 동일 버전을 가지는 적법 소프트웨어 측 라이선스 관련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세션정보와 비교하고, 해당 네트워크 세션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 여부를 감지하는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모듈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불법여부 감지결과가 반영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생성된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감지결과 메시지를 상기 라이선스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불법여부 통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KR1020150122963A 2015-08-31 2015-08-31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KR10168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3A KR101680608B1 (ko) 2015-08-31 2015-08-31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3A KR101680608B1 (ko) 2015-08-31 2015-08-31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608B1 true KR101680608B1 (ko) 2016-12-12

Family

ID=5757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63A KR101680608B1 (ko) 2015-08-31 2015-08-31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3919A (zh) * 2018-12-24 2019-04-26 广州微算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云手机应用安装和卸载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889A (ko) 2000-03-24 2000-06-05 유우영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방법및 장치
KR20050012322A (ko) 2003-07-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발급에 의한 불법복제 방지 방법
KR20150056244A (ko) * 2013-11-15 2015-05-26 (주)닥터소프트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889A (ko) 2000-03-24 2000-06-05 유우영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관리 방법및 장치
KR20050012322A (ko) 2003-07-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발급에 의한 불법복제 방지 방법
KR20150056244A (ko) * 2013-11-15 2015-05-26 (주)닥터소프트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3919A (zh) * 2018-12-24 2019-04-26 广州微算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云手机应用安装和卸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2688B2 (en) Blockchain based software licensing enforcement
US9143509B2 (en) Granular assessment of device state
US8769296B2 (en) Software signature tracking
US8381242B2 (en) Static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software program access to secure resources for computer systems
US8566949B2 (en) Software component, 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method, and software component management system
US20060174346A1 (en) Instrumentation for alarming a software product
CN103890771A (zh) 用户定义的对抗措施
CN106778246A (zh) 沙箱虚拟化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113868659B (zh) 一种漏洞检测方法及系统
CN103810426A (zh) 用于检测克隆的虚拟机实例的方法和系统
EP3563548B1 (en) Historic data breach detection
US20170193218A1 (en) Reducing Unregulated Aggregation Of App Usage Behaviors
CN110011953A (zh) 阻止被盗密码再用
Masri et al. Using dynamic information flow analysis to detect attacks against applications
KR101680608B1 (ko)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CN110086812B (zh) 一种安全可控的内网安全巡警系统及方法
JP2020194478A (ja) 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CN113868670A (zh) 一种漏洞检测流程检验方法及系统
US11611570B2 (en) Attack signature generation
KR101680605B1 (ko) 네트워크형 라이선스 유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감지시스템
CN109150863B (zh) 桌面云的访问控制方法、装置和桌面云终端设备
US11582248B2 (en) Data breach protection
Vieira et al. Introduction to software security concepts
Doinea Open Source Security–Quality Requests
Rowland et al. MANAGING CYBERSECURITY SUPPLY CHAIN RISKS FOR THE SECURITY OF RADIOACTIVE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