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251B1 - Static eliminator - Google Patents

Static elimi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251B1
KR101680251B1 KR1020140170854A KR20140170854A KR101680251B1 KR 101680251 B1 KR101680251 B1 KR 101680251B1 KR 1020140170854 A KR1020140170854 A KR 1020140170854A KR 20140170854 A KR20140170854 A KR 20140170854A KR 101680251 B1 KR101680251 B1 KR 10168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pace
foreign matter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6459A (en
Inventor
황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텍
Priority to KR102014017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251B1/en
Publication of KR2016006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4/00Cleaning and liquid contact with solids
    • Y10S134/902Semiconductor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가지며 전면 또는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통해 내부의 공간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공간 한쪽에 구비되며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품의 제전 및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 제거부와, 본체의 공간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집진 처리해주는 이물질 집진부와, 본체의 공간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의 자세를 정렬해주는 제품 정렬부 및 본체의 공간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자세 정렬부에서 낙하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제품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에 내부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이물질 집진부와 제품 정렬부와 제품 적재부를 통해 제품의 투입과 제전 및 이물질 제거와 정렬과 적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연속적인 제품의 투입에 따라 연속적인 제품의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수월한 작업성의 향상에 따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c elimi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tic eliminator having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therein and having at least one door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reof,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for dust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removing part, and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A product sorting unit for sorting the posture of the removed product, and a product stacking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the product dropped by the posture sorting unit is stack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removing foreign matter, aligning and loading the product through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a product aligning unit, and a product loading unit, The product can be quickly loaded,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easily.

Description

정전기 제거장치{STATIC ELIMINATOR}STATIC ELIMINATOR [0001]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해 제품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c eliminat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a product by static electricity.

일반적으로 정전기(Static Electricity)는 전하가 정지 상태로 있어 전하의 분포가 변화하지 않는 전기를 말하며, 정전기는 두 물질이 마찰하거나 움직이는 경우 발생을 하게 되며, 그 물질이 접지된 상태라면 정전기는 대지로 방출되지만 그 물질이 절연되어 있는 상태라면 정전기가 축적되어 그 물질은 고전위로 대전된다.Generally, static electricity is electricity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charge does not change because the charge is in a static state, and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two substances rub or move. If the substance is grounded, If it is released but the material is in an insulated state, static electricity builds up and the material is charged to the high potential.

이러한 정전기는 수지재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쉽게 발생되며, 특히 제품의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같은 이물질은 정전기에 의해 제품에 쉽게 부착된다.Such static electricity is easi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resin-made product, and particularly, foreign matter such as dust gener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of the product is easily attached to the product by static electricity.

따라서 종래에는 정전기를 통해 제품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10-0807151호에 선행기술로 개시된 바 있는 에어건을 이용하였다.Accordingly, in the past, an air gun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 Korean Patent No. 10-0807151 was used in order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a product through static electricity.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건을 이용한 제품의 이물질 제거는 개당 대략 5~7초의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많은 양의 제품을 처리하기에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 또한 불량하여 결국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However, it takes about 5 to 7 seconds per product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product using the air gun,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rocess a large amount of products and the workability is also poor,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별적으로 연속 투입되는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에어분사 및 집진장치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 후 어느 한 곳에 적재될 수 있도록 정전기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제품의 이물질 제거 및 적재의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tic eliminator capable of eliminating static electricity from a product continuously supplied continuous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atic eliminator which is capable of enhancing efficiency of removal and stacking of foreign matter in a product, thereby further improving productiv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가지며 전면 또는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통해 내부의 공간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본체 공간의 한쪽에 구비되며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품의 제전 및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 제거부와, 본체 공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집진 처리해주는 이물질 집진부와, 본체 공간의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의 자세를 정렬해주는 제품 정렬부 및 본체 공간의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제품 정렬부에서 낙하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제품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therein and having at least one door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reof to open and close an inner space through a door;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pace for collecting dust removed from the dust removing part, a dust collec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pace for discharging dust and foreign matter, A product sorting unit for sorting the posture of the removed product, and a product stacking unit,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pace and on which the product falling in the product sorting unit is stacked.

더 바람직하게 본체의 공간은 이물질 제거부가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공간과, 이물질 제거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며 이물질 집진부가 위치하는 이물질 집진공간과, 이물질 제거공간에서 제품의 진행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제품 정렬부가 위치하는 제품 정렬공간 및 제품 정렬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품 적재부가 위치하는 제품 적재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pace of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locate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space located below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in which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is located, And a product loading space in which the product loading unit is positioned below the product aligning space and the product aligning space.

더욱 바람직하게 이물질 제거부는 이물질 제거공간의 일측에서 개폐되는 투입도어와, 이물질 제거공간의 타측에서 개폐되는 배출도어와, 투입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제품을 배출도어쪽으로 이동시켜주는 이송부재와, 이물질 제거공간에 위치하며 이물질 제거공간으로 투입된 제품을 향해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여 제품의 정전기를 제전하는 이온 아이저 및 제품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may include an inlet door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 discharge door opened and cl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 transfer member for moving the product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oor to the discharge door, An ionizer for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of the product by spraying the ionized air toward the product placed in the spa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s, and an air jet nozzle for spraying air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더욱 바람직하게 이송부재는 구동수단에 각각 제자리 회전되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convey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rollers rotated in place by the driving mean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 에어 분사노즐은 제품의 전,후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상하방향 승강작용을 하면서 제품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air jet nozzle is configured to inject air into the product while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duct.

더 바람직하게 이물질 집진부는 이물질 제거공간의 저면과 연통되는 집진호퍼와, 집진호퍼와 연결되어 집진되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por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hopper communicating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hopper to remove foreign matter collected.

더 바람직하게 제품 정렬부는 이물질 제거부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놓여지며 제품의 자세가 정렬되면 회전에 의한 개방을 통해 제품 적재공간으로 제품을 낙하시키는 안착부와, 이물질 제거부에서 배출되어 안착부로 이동된 제품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스토퍼와, 스토퍼에 정지되면서 홀딩되는 제품의 홀딩부위를 안착부의 중심부로 밀어내어 제품의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푸쉬부 및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안착부의 개방에 따라 제품이 제품 정재공간의 정해진 위치에 낙하될 수 있도록 푸쉬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어 안착부에 놓여지는 제품을 이동시켜주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product aligning part includes a seat part for dropping the product from the foreign matter removing part and for dropping the product into the product loading space through opening by rotation when the posture of the product is aligned, A stopper for stopping the produc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ush portion for pushing the holding portion of the product held while stopped on the stopper to the center of the seat portion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product;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product by the pushing part so that the product can be dr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roduct fixing space, thereby moving the product placed on the mounting par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는 제품의 진행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제1연결축이 제품 정렬공간의 아래쪽 전방에 위치되고, 제1연결축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1안착봉이 제품 정렬공간 안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품 정렬공간의 아래쪽 후방에 제1연결축과 대향되도록 제2연결축이 위치되고, 제2연결축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2안착봉이 제품 정렬공간 안쪽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안착봉의 단부와 제2안착봉의 단부는 서로 엇갈리면서 일부 구간에서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제1연결축의 일단과 제2연결축의 일단은 제3연결축의 양단에 치합되어 제3연결축의 회전을 통해 제1연결축의 제1안착봉과 제2연결축의 제2안착봉이 동시에 하향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seat portion has a first connecting shaft, which is parallel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oduct, is located in front of a lower sid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and a plurality of first seating bar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ro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connecting shaft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irst connecting shaft at a lower rear portion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and a plurality of second placing bar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connecting shaft are disposed in the product aligning space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r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third connecting rod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rod overlap each other at some intervals And the second seating ro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shafts of the first connecting shaft are simultaneously rotated downwar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third connecting shaft.

더욱 바람직하게 위치조정부는 제1연결축과 제2연결축의 상부 안쪽에 대항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를 제품 정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각각 전후 이동시켜주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es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which are provided to oppose the upper inside of the first connecting shaft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and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nd an actuating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제품 정렬공간의 중심부로 모여지는 받침부재의 간격은 받침부재와 접면하게 되는 제품의 폭과 상응하게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gap of the support member, which is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product alignment sp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product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더 바람직하게 제품 적재부는 제품 정렬공간으로부터 낙하되는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사각의 함체의 가이드부재로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product load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guide member of a rectangular housing which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so as to accommodate the product falling from the product alignment space.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으로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정전기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순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정전기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제품의 이물질 제거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의 적재 효율성 또한 향상시켜 생산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tic eliminator that can continuously charge a product to which foreign matter is easily attached by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remove static electricity and foreign matter, and sequentially stack the static electricit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due to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roduct, And the efficiency of stacking of the product in which the foreign matters are removed can be also improved,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doubled.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o be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 effect described above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의 내부에서 제품이 이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의 제품 정렬부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의 내부에서 제품의 자세가 정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의 제품 정렬부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static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front elevatio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product in the static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illustrating a product aligning portion of the static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8 are side and sid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ligning a posture of a product inside the static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product alignment portion of the static elim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의 구성은 제품이 투입되어 정전기가 제거되는 제전 및 이물질이 제거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제품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이물질 집진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의 자세를 정렬해주는 제품 정렬부와, 정렬된 제품이 적재되는 제품 적재부와, 전술한 이물질 제거부와 이물질 집진부와 제품 정렬부와 제품 적재부를 내부의 공간에 분리시켜 내재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며,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structure of an electrostatic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nd a static eliminator for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a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product, And a main body for separating and integrating the above-described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the product aligning unit and the product stacking unit in the internal space,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체(100)는, In the main body 100,

도 1 및 도 2 내지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품이 연속적으로 투입된 후 순차적으로 제전 및 이물질이 제거되고 자세가 정렬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에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o 4,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static electricity and foreign matter are sequentially removed after the product is continuously charged, and the static electricity is sequentially stacked on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is aligned.

본체(100)의 형상은 전술한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략 사각 육면체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내부는 제품이 일측 상부로 투입되어 타측 하부에서 적재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간을 가진다.The shap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a square hexahedron so that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can be performed smoothly. The main body 100 has a plurality of spaces (not shown) .

본체(100)의 공간은 내부로 투입되는 제품의 제전과 이물질 제거를 위해 이물질 제거부(200)가 수용되는 이물질 제거공간(110)과, 제품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해 이물질 집진부(300)가 수용되는 이물질 집진공간(120)과, 제전 및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을 전달받아 적재를 위한 자세로 정렬시키고 정확한 적재를 위해 낙하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품 정렬부(400)가 수용되는 제품 정렬공간(140)과, 제품이 정렬되고 낙하지점이 결정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제품을 적재하기 위해 제품 적재부(500)가 수용되는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구분된다.The space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10 in whic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00 is accommodated for eliminating foreign matter and foreign mat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product. And a product sorting unit 400 for sorting the product in which the static elimination and debris removal products are received and placed in a posture for stacking and determining a drop point for accurate stacking are accommodated in the product sorting space 120. [ And a product loading space 140 in which the product loading unit 500 is accommodated to load a product dropped while the product is aligned and a drop point is determined.

본체(100)의 공간 배치는 본체(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내부의 일측 상부에 이물질 제거공간(110)이 위치하고, 내부의 일측 하부에 이물질 집진공간(120)이 위치하며, 내부의 타측 상부에 제품 정렬공간(140)이 위치하고, 내부의 타측 하부에 제품 적재공간(140)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 배치는 제품의 제전 및 이물질 제거와 집진과 정렬과 적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이며, 본체(100)의 공간 배치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없이 제품의 형태 및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in a space defin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1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roduct mounting space 140 may be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terior of the product placing space 140. Such a space arrangement may be used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of the product and for removing dust, And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main body 1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without needing to be determined by any one of them.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전술한 공간이 외부와 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어(도면 부호 미표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도어를 통해 구성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 및 적재된 제품의 인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door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bove-mentioned space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such doors,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components, It can be facilitated.

본체(100)의 저면에는 정지기능을 가지는 로울러나 바퀴와 같은 다수의 이동부재(도면 부호 미표시)를 설치하여 본체(100)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not shown) such as rollers or wheels having a stop functio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ensure the mobility of the main body 100.

이물질 제거부(200)는,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200,

본체(100)의 이물질 제거공간(110)으로 투입되는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Removes static electricity from the product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space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separates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product from the surface of the product.

이물질 제거부(200)의 구성은 제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한쪽에 형성되는 개방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투입도어(210)와, 제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공간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개방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출도어(220)와,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투입도어(210)를 통해 투입된 제품을 배출도어(220)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230)와, 이물질 제거공간(110)으로 투입된 제품에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해주는 이온 아이저(240)와 및 정전기가 제거된 제품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주는 에어 분사노즐(250)이 포함된다.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200 includes an inlet door 21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an opened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pace 110 so that the product can be introduced, A discharge door 2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an opened portion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so that the product can be discharged; An ionizer 240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by spraying ionized air to the product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10, a transfer member 230 for transferring the product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door 210 to the discharge door 220, And an air spray nozzle 250 for spraying air on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from which static electricity has been removed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surface of the product.

투입도어(210) 및 배출도어(220)는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개방된 부위를 전기나 유압 및 공압 등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 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The inlet door 210 and the outlet door 220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space 110 through a sliding method or a hiding method using electric power, driving force such as oil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투입도어(210)와 배출도어(2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ading door 210 and the discharging door 220 may be made of transparent, translucent or opaque material.

이송부재(230)는 개방된 투입도어(210)를 통해 투입된 제품을 배출도어(220)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으로서, 일 예로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바닥면에 제품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구동수단을 통해 제자리 회전되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수평로울러(231)와, 수평로울러(231)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되는 제품의 전후방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이송가이드(232)가 포함된다.The transferring member 230 is a transferr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product introduced through the opened input door 210 to the discharge door 220. The transferring member 23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pace 110, A plurality of horizontal rollers 231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space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riving means,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transport guides 232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이송부재(230)의 수평로울러(231)들이 이루는 간격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이송가이드(232)의 간격은 이송부재(230)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의 전후 폭에 따라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terval between the horizontal rollers 231 of the conveying member 230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conveying guides 232 facing each other may be variable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product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member 230 have.

이온 아이저(240)는 양극성 또는 음극성을 가지는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는 장치로, 생성한 이온화 공기를 제품에 공급함으로써, 제품의 정전기를 중화하여 제거해준다. The ionizer 240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ionized air having bipolar or negative polarity, and neutralizes and removes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product by supplying the generated ionized air to the product.

이물질 제거공간(110)에 위치하는 이온 아이저(240)는 제품에 이온화 공기를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onizer 240 located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10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evenly supply the ionized air to the product.

에어 분사노즐(250)은 이물질 제거공간(110)에 위치하는 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품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품으로부터 분리시켜 준다.The air injection nozzle 250 blows air to a product placed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space 110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에어 분사노즐(250)은 제품을 향하여 에어가 충분히 분사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형태로 설치되거나, 제품의 전후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통해 제품의 표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작용을 하면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ir injection nozzle 250 is installed in a fixed form on any one part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10 so that the air can be sufficiently sprayed toward the product, So that the air is blown up and down.

에어 분사노즐(250)로 에어를 공급하는 브로워(도면 부호 미표시)는 본체(100)의 내부 또는 필요에 따라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A blower (not shown)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injection nozzle 2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or outside as required.

이물질 집진부(300)는,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300,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서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집진공간(120)에 구비되며, 전술한 이물질 제거부(200)를 통해 제품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을 집진해준다.The dust collecting space 120 is disposed vertically below the dust removing space 110 in the main body 100 and collects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product through the dust removing unit 200 described above.

이물질 집진부(300)는 전술한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이물질 제거공간(11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집진호퍼(310)가 구성되며, 그러한 집진호퍼(310)는 이물질 집진공간(120)의 내부 한쪽에 위치하는 집진장치(320)와 연결됨에 따라 집진장치(320)가 작동되면 이물질 제거공간(110)에서 비산하고 있는 이물질이 집진호퍼(310)로 흡입되어 집진장치(320)에 집진된다.
The dust collecting unit 300 includes a dust collecting hopper 310 that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removing space 110 to absorb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dust removing space 11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120.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is operated,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dust removing space 110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pper 310 And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제품 정렬부(400)는,The product arranging unit (400)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서 이물질 제거공간(110)으로부터 제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수평한 측방향에 위치하는 제품 정렬공간(140)에 구비되며, 제전 및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을 전달받아 최종적인 적재를 위해 자세를 정렬한다.The product removing space 110 is provided in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l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from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pace 110 inside the main body 100, Arrange the posture for loading.

제품 정렬부(40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200)의 배출도어(220)를 통해 배출되는 제품이 이동되어 놓여지면서 자세의 정렬 후 개방을 통해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제품을 떨어뜨리는 안착부(410)와, 배출도어(220)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안착부(410)의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스토퍼(420)와, 스토퍼(420)에 의해 정지된 제품을 일시적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안착부(410)의 중심쪽으로 밀어내어 제품이 원하는 자세가 되도록 해주는 푸쉬부(430)와, 안착부(410)의 상면에 위치하여 푸쉬부(430)의 동작을 통해 원하는 자세가 된 제품을 안착부(410)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안착부(410)의 개방에 따라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떨어지는 제품이 제품 적재공간(14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조정부(440)가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to 8, the product aligning part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du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oor 220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200 is moved, A stopper 420 for stopping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oor 2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 410 and a stopper 420 for stopping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oor 2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ush portion 430 for pushing the stopped product to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410 in a state of temporarily holding the stopped product to make the product in a desired posture, The product falling into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loading unit 410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440 Can.

전술한 안착부(410)는 제품을 지지하고 있다가 수직 하방의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제품을 떨어뜨릴 수 있는 회전형 게이트 또는 슬라이드형 게이트 구조가 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410 may be a rotatable gate or a sliding gate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product and dropping the product into the product mounting space 140 vertically downward.

본 발명에서는 안착부(410)가 회전형 게이트의 형태로 예시되었으며, 그 실시 예를 보면, 제품 정렬공간(140)의 바닥면 전방에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연결축(411)이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제1연결축(4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품 정렬공간(140)의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제1안착봉(411a)이 일정한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art 410 is illustrated as a rotatable gat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is exten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duct in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And a plurality of first seating rods 411a are horizont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oduct alignment space 140. [

그리고 제품 정렬공간(140)의 바닥면 후방에는 제1연결축(411)과 대향되도록 제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2연결축(412)이 길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2연결축(412)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제품 정렬공간(140)의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제2안착봉(412a)이 일정한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된다.A second connecting shaft 412 is provid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duct so as to be opposed to the first connecting shaft 411 at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The second connecting shaft 412 also has a length A plurality of second seating rods 412a are horizont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er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alignment ribs 412a.

이때, 제1안착봉(411a)의 단부와 제2안착봉(412a)의 단부는 서로 일치되면서 접면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도 5 와 같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서로 교차되면서 일부 구간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rst seating rod 411a and the end of the second seating rod 412a may be configured so as to maintain a minute gap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seating rod 411a and the second seating rod 412a do not contact each other. However, Some sections may overlap each other.

안착부(410)는 도 5 에서와 같이 제1연결축(411) 일단과 제2연결축(412)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연결축(413)의 양단과 직선베벨기어와 같은 교차축기어의 형태로 연결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제3연결축(413)이 정회전 되면 제3연결축(413)의 회전력이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으로 동시에 전달되어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이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안착봉(411a)과 제2안착봉(412a)은 하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안착부(410)는 개방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5, the seating part 41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shaft 411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412,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When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is rotated forward by the driving mean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ng shaft 411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412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necting rod 411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412 are rotated together so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placing rods 411a and 412a are rotated downward, 410 are open.

반대로 제3연결축(413)이 역회전 되면 제3연결축(413)의 회전력이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에 동시 전달되어 제1안착봉(411a)과 제2안착봉(412a)은 상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안착부(410)는 초기 상태인 폐쇄상태가 된다.
Conversely, when the third connection shaft 413 is reversely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connection shaft 413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412, 2 The seating rod 412a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seating portion 410 is in an initial state of being closed.

전술한 스토퍼(420)는 도 4 에서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200)의 배출도어(220)로부터 배출된 제품이 제품 정렬부(400)의 안착부(410)로 이동될 때 제품을 안착부(410)의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제품의 진행방향에 직각형태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4, when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oor 220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00 is moved to the mounting portion 410 of the product aligning portion 400, 410, and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스토퍼(420)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제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stopper 420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roduct.

전술한 푸쉬부(430)는 도 6 내지 도 7 과 같이 배출도어(220)에서 배출되어 안착부(410)의 스토퍼(420)에 고정된 제품을 이후 제품 적재공간(140)에 정확하게 적재시키기 위하여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배출된 후 스토퍼(420)에 의해 멈춘 제품의 상단을 안착부(410)의 중심부로 밀어 넘어뜨려 제품이 안착부(410)에 수평하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6 to 7, the push portion 430 may be mounted on the stopper 420 of the mounting portion 410 to be accurately placed on the product mounting space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stopped by the stopper 420 is pushed down to the center of the mounting part 410 and then the product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mounting part 410 So that it can be put into place.

푸쉬부(430)는 스토퍼(420)에 의해 제품이 멈추면 연이어 동작되며, 푸쉬동작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이동된다.The push portion 430 is operated successively when the product is stopped by the stopper 420, and is mov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push operation.

푸쉬부(430)는 스토퍼(420)에 정지되는 제품의 상단이 자동적으로 끼워져 홀딩될 수 있는 대략 ┌┐ 형의 홀딩부재(4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홀딩부재(431)를 구동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제품이 회전되어 쓰러지면서 제품의 상단이 홀딩부재(431)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고, 제품은 뒤집어지는 상태로 안착부(410)에 놓여질 수 있다.
The push portion 430 may be provided with a holding member 431 of a substantially H-shaped typ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stopped at the stopper 420 can be automatically fitted and held.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naturally falls out of the holding member 431 while the product is rotated and collapsed so that the product can be placed on the seating part 410 in an inverted state.

전술한 위치조정부(440)는 푸쉬부(430)를 통해 제품이 안착부(410)에 수평하게 놓여질 때 제품이 안착부(410)의 설정된 지점이 정확히 놓여질 수 있도록 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44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oduct 410 when the product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mounting unit 410 through the push unit 430.

푸쉬부(430)를 통해 제품이 안착부(410)에 놓여진 후 안착부(410)가 개방되면 안착부(410)에 놓여진 제품이 낙하되면서 제품 적재부(500)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품이 안착부(410)의 동일한 지점에서 낙하되어야 제품 적재부(500)의 정확한 위치에 제품이 순차적으로 정확히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치조정부(440)는 제품을 안착부(410)의 설정된 지점에 놓여지도록 최종적으로 정렬을 해주게 된다.When the product is placed on the mounting part 410 through the push part 430 and then the mounting part 410 is opened, the product placed on the mounting part 410 falls down to the product mounting part 500. At this time, The product must be dropped at the same point of the part 410 so that the product can be accurately and sequentially load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roduct loading part 500. [ Therefore,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440 finally aligns the product so that the product is placed at the set point of the mount unit 410.

위치조정부(440)의 실시 예로는 도 7 에서와 같이 안착부(410)의 상면에 위치하며, 제품 정렬공간(140)의 앞쪽과 대향된 뒤쪽, 즉 제1연결축(411)의 안쪽과 제2연결축(412)의 안쪽에 대향된 상태로 놓여지고, 제품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의 폭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441)와, 그러한 받침부재(441)를 안착부(410)의 중심부쪽으로 각각 밀어주는 작동부재(442)로 구성될 수 있다.7,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410 and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i.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ng axis 411,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441 which are placed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the inside of the two connecting shafts 412 and have a width and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duct, And an actuating member 442 that pushes the movable member 410 toward the center of the unit 410, respectively.

작동부재(442)에 의해 안착부(410)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만들어지는 양쪽 받침부재(441) 사이의 간격은 안착부(410)에 수평으로 놓여지는 제품의 전후방향 폭과 상응하게 구성되며, 이러한 간격은 제품에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two support members 441 made by the operation member 442 while mov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eat portion 41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ront-rear width of the product placed horizontally on the seat portion 410 , And these intervals may be set at various intervals depending on the product.

위치조정부(440)는 안착부(4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형태는 물론 안착부(410)의 양쪽 측방에 설치되는 형태 및 전방과 후방 및 양쪽 측방에 함께 설치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410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ing part 410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ing part 410.

위치조정부(440)는 안착부(410)에 경사면의 형태로 구성되어 안착부(410)에 제품이 놓여질 때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on the mounting part 410 and adjust the position while being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product is placed on the mounting part 410.

제품 적재부(500)는,The product loading unit 500 is provided with:

도 8 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공간에서 전술한 제품 정렬공간(140)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제품 적재공간(140)에 구비되며, 전술한 안착부(410)의 개방에 따라 제품이 낙하되면 순차적으로 적재가 된다.The product placement space 140 is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100 and below the product alignment space 14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It is loaded sequentially.

제품 적재부(500)는 제품 적재공간(140)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낙하되는 제품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별도의 수용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품 정렬공간(140)으로부터 제품이 낙하될 때 수직 하방으로 정확히 떨어져 먼저 놓여진 제품에 정확하게 포개져 적재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사각 함체 형상의 가이드부재(510)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product loading unit 500 may be used as it is, but i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eceiving member for sequentially receiving the products to be dropp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ped guide member 5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so that the product can be precisely stacked and stacked on the product which is placed vertically downwardly when the product is dropped.

가이드부재(510)는 상면과 함께 전면 일부가 함께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면 가이드부재(510)의 내부로 적재되는 제품의 적재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5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opened together with the top surface. When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loading state of the product loaded in the guide member 510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제품 적재공간(140)에 위치한 가이드부재(51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도어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인출과정 및 인출 후 이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가이드부재(510)의 바닥면에는 구름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guide member 510 located in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can draw out the door formed on the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member 510 Means may also be further provided.

가이드부재(510)의 상단은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확장된 경사부(도면 부호 미표시)가 더 구비되어 가이드부재(510) 내부로 떨어지는 제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The upper end of the guide member 51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ded inclined portion (not shown) that is inclined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product falling into the guide member 510 may be more effectively guided.

가이드부재(510)의 내부 폭은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ner width of the guide member 510 may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duct.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전기 제거장치를 통해 제품이 투입되어 이물질이 제거 및 집진된 후 어느 한쪽에 적재되는 일련의 과정을 예시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product is charged through a static eliminato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and collected and then loaded on one si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 및 도 2 와 같이 본체(100)의 측면을 통해 제품이 진입되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품진입 확인센서에 의해 제품의 진입이 인식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일측 개방된 부위를 폐쇄하고 있던 투입도어(210)가 개방된다.First, when the product enter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ntry of the product is recognized by a product entry confirmation sensor (not shown) The closing door 210 which has closed the opened portion is opened.

이때, 제품은 이송부재(230)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세워져 진입되며, 이러한 진입형태는 제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 is erect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veying member 230, and this entry form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roduct.

투입도어(210)로 투입된 제품은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바닥면에서 자전하는 다수의 수평로울러(231)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도어(210)와 대향된 배출도어(220)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배출도어(22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제품은 배출도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품투입 확인센서에 의해 감지된다.The product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door 210 is transferred by the plurality of horizontal rollers 231 rota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pace 110 and moved toward the discharge door 220 opposed to the loading door 210, At this time, the discharge door 220 is kept closed so that the product is temporarily stopped by the discharge door, and is detected by a product input confirmation sensor not shown in the figure.

제품이 제품투입 확인센서에 감지되면 개방되어 있던 투입도어(210)는 폐쇄되며, 투입도어(210)와 배출도어(220)의 폐쇄됨이 확인되면 이물질 제거공간(110)의 상측에 위치하던 이온 아이저가 작동되면서 제품의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When the product is detected by the product input confirming sensor, the closing door 210 which is opened is closed and when the closing door 210 and the discharging door 220 are confirmed to be closed, the ion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pace 110 The child will operate and remove static electricity from the product.

또한,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품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던 에어 분사노즐(250)이 도 3 과 같이 제품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하강을 하게 되고, 그러한 하강 과정에서 에어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에어가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준다.In addition, the air spraying nozzle 250 positioned above the product is lowered alo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duct by separate driving means as shown in FIG. 3,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from the surface of the product.

여기서, 에어 분사노즐(250)은 하강은 물론 상승과정에서도 에어를 분사할 수도 있다.Here, the air injection nozzle 250 may inject air even during the descent as well as the ascending process.

아울러, 투입도어(210)와 배출도어(220)가 폐쇄됨이 확인되면 동시에 이물질 집진공간(120)에 위치한 이물질 집진부(300)의 집진장치(32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에어 분사노즐(250)에서 분사된 에어를 통해 제품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되는 이물질은 집진장치(320)와 연결된 집진호퍼(310)를 통해 흡입되어 집진장치(320)의 내부에 집진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closing door 210 and the discharge door 220 are close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300 located in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space 120 is driven,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product through the air inject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is sucked through the dust collecting hopper 310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20.

제품에 이온화 공기가 공급되고 에어가 분사되면서 집진이 이루어지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배출도어(220)와 투입도어(210)가 개방되고, 배출도어(220)에 의해 정지하고 있던 제품은 수평로울러(231)의 회전력에 의해 제품 정렬공간(140)쪽으로 이동되며, 개방된 투입도어(210)를 통해서는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새로운 제품이 투입된다.When the ionizing air is supplied to the product and the air is sprayed and the dust is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ischarge door 220 and the inlet door 210 are opened and the product stopped by the discharge door 220 is discharged to the horizontal rollers 231 To the product alignment space 140, and a new product with a foreign substance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ed input door 210.

한편, 배출도어(220)에서 배출되어 제품 정렬공간(140)으로 이동된 제품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품배출 확인센서에 감지되고, 그러한 감지에 따라 개방된 배출도어(220)는 다시 폐쇄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oor 220 and moved to the product sorting space 140 is sensed by a product discharge confirmation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discharge door 220 which is opened according to such detection is closed again.

제품 정렬공간(140)으로 이동된 제품은 도 4 및 도 6 과 같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품 정렬공간(140)의 한쪽에 위치한 스토퍼(420)에 걸려 멈추게 된다.The product moved to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is caught by the stopper 4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while being kept standing as shown in FIG. 4 and FIG.

스토퍼(420)에 걸려 멈춰진 제품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품집적 대기 확인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그러한 감지에 따라 푸쉬부(430)가 연이어 작동된다.The product stopped by the stopper 420 is sensed by the product integrated atmosphere confirmation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push portion 430 is operated in success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여기서 푸쉬부(430)는 도 7 과 같이 제품 정렬공간으로 이동된 제품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워져 있는 제품의 상단을 후방쪽으로 밀어주게 된다.7, the push portion 43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oduct moved to the product aligning space, and pushes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product toward the rear side.

푸쉬부(430)가 제품의 상단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세워져 있던 제품이 쓰러지게 되면서 제품 정렬공간(14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안착부(410)에 수평하게 놓여지게 된다.When the pushing part 430 pushes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backward, the upper product is collapsed and placed horizontally on the seating part 41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한편, 푸쉬부(430)의 작동에 따라 안착부(410)에 수평하게 놓여진 제품은 이후 안착부(410)의 개방에 따라 제품 정렬공간(140)의 수직 하방에 위치한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푸쉬부(430)의 작동에 따라 안착부(410)에 놓여지는 제품은 안착부(410) 상에서 매번 다른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The product placed horizontally on the seating part 4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part 430 is then moved to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product aligning space 140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seating part 410 At this time, the product placed on the seating part 4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part 430 is placed at a different position each time on the seating part 410.

따라서, 푸쉬부(430)의 작동에 따라 안착부(410)에 놓여지는 제품을 제품 적재공간(140)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떨어뜨리기 위하여 위치조정부(440)가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is operated to accurately drop the product placed on the seating part 410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part 430. [

즉, 푸쉬부(430)의 작동에 따라 제품이 안착부(410)에 수평하게 놓여지게 되면 안착부(410)의 전후방에 위치하고 있던 위치조정부(440)의 받침부재(441)가 작동부재(442)의 작동에 따라 중심을 향하여 좁혀지게 되면서 도 7 과 같이 제품의 전후면에 접면되고, 이 과정을 통해 제품은 안착부(410)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놓여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product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mounting part 4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part 430, the supporting member 441 of the position adjusting part 440, which was positioned before and behind the mounting part 410, 7, the produ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duct as shown in FIG. 7, and the product is accurately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10 through this process.

여기서, 위치조정부(440)의 양 받침부재(441)가 이루는 간격은 제품의 간격과 상응하며, 받침부재(441)가 이루는 간격의 중심은 제품 적재공간(140)에 위치한 제품 적재부(50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The center of the gap formed by the supporting member 441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oduct mounting unit 500 located in the product mounting space 140, The center of gravity.

위치조정부(440)의 받침부재(441)가 안쪽으로 서로 이동하여 안착부(410)에 놓여진 제품이 최종 위치에 정렬되면 이후 받침부재(441)는 제품으로부터 다시 이격되어 초기상태로 돌아간다.When the supporting member 441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moves inward to align the product placed on the seating unit 410 to the final position, the supporting member 441 is separated from the product again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위치조정부(440)의 초기상태가 확인되면 구동수단과 연결된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연결축(413)이 회전되고, 제3연결축(413)의 회전에 따라 제3연결축(413)과 치합되어 있는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이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연결축(411)의 제1안착봉(411a)과 제2연결축(412)의 제2안착봉(412a)이 하측으로 대략 90도 회전을 하여 개방되면서 안착부(410)에 놓여진 제품은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떨어지게 된다.When the initial stat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40 is confirmed,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is rotated as illustrated in FIG. 5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When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is rotated, the third connecting shaft 413 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412 which ar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412 simultaneously rotate, The product placed on the seating part 410 falls into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while the second placing rods 412a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rods 412 and 412 rotate downwar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이때, 안착부(410)의 개방되는 범위는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의 회전에 따른 제1안착봉(411a)과 제2안착봉(412a)의 회전각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며, 이때 제1안착봉(411a)과 제2안착봉(412a)의 회전각도는 90도로 한정될 필요 없이 제품에 따라 90도 전후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The opening range of the seating part 410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eating rod 411a and the second seating rod 412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axis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axis 412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rods 411a and 412a may be set to about 90 degrees depending on the product without being limited to 90 degrees.

안착부가 개방된 후에는 제품이 충분히 낙하될 수 있는 시간을 감안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3연결축(413)의 역회전에 따라 제1연결축(411)과 제2연결축(412)이 함께 역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안착봉(411a)과 제2안착봉(412a)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The first connection shaft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412 ar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hird connection shaft 413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rods 411a and 412a are rotated upward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안착부(410)의 개방에 따라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떨어진 제품은 도 8 에서와 같이 제품 적재공간(140)에 구비된 제품 적재부(500)에 놓여지게 되며, 제품 적재부(500)는 제품 적재공간(140)을 그대로 이용하여 떨어지는 제품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한 후 본체(100)로부터 인출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품의 적재 및 인출의 효율성을 위하여 제품 적재공간(140)으로 떨어지는 제품이 도 8 과 같이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사각의 함체의 가이드부재(510) 내부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적재 및 이후 본체(100)로부터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oduct that has fallen into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due to the opening of the loading unit 410 is placed on the product loading unit 500 provided in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as shown in FIG. The product loading space 140 may be used as it is to stack the products sequentially and then be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100. In this embodiment, 8, the falling product falls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510 of the rectangular housing, which is opened from the top and the front,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product can be easily loaded and then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에 내부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이물질 집진부(300)와 제품 정렬부(400)와 제품 적재부(500)를 통해 제품의 투입과 제전 및 이물질 제거와 정렬과 적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연속적인 제품의 투입에 따라 연속적인 제품의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수월한 작업성의 향상에 따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al of foreign matter, foreign matter removal and removal of products throug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00,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300, the product aligning unit 400 and the product stacking unit 500, And sequential loading and sorting, the continuous loading of the product can be performed promptly according to the continuous input of the product, and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이상에서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disclosed content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본체 110 : 이물질 제거공간
120 : 이물질 집진공간 130 : 제품 정렬공간
140 : 제품 적재공간 200 : 이물질 제거부
210 : 투입도어 220 : 배출도어
230 : 이송부재 231 : 수평로울러
232 : 이송가이드 240 : 이온 아이저
250 : 에어 분사노즐 300 : 이물질 집진부
310 : 집진호퍼 320 : 집진장치
400 : 제품 정렬부 410 : 안착부
411 : 제1연결축 411a : 제1안착봉
412 : 제2연결축 412a : 제2안착봉
413 : 제3연결축 420 : 스토퍼
430 : 푸쉬부 431 : 홀딩부재
440 : 위치조정부 441 : 받침부재
442 : 작동부재 500 : 제품 적재부
510 : 가이드부재
100: main body 110: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120: Foreign matter collecting space 130: Product alignment space
140: Product loading space 200: Foreign matter removal
210: input door 220: exhaust door
230: conveying member 231: horizontal roller
232: transport guide 240: ionizer
250: air jet nozzle 300: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310: Dust hopper 320: Dust collector
400: product aligning part 410: seat part
411: first connection shaft 411a: first seating rod
412: second connecting shaft 412a: second seating rod
413: third connecting shaft 420: stopper
430: push portion 431: holding member
440: Position adjusting section 441:
442: operating member 500: product loading unit
510: guide member

Claims (11)

내부에 다수의 공간을 가지며, 전면 또는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내부의 공간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 한쪽에 구비되며, 공간으로 투입되는 제품의 제전 및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 제거부;
상기 본체의 공간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집진 처리해주는 이물질 집진부;
상기 본체의 공간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제품의 자세를 정렬해주는 제품 정렬부; 및
상기 본체의 공간 또 다른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제품 정렬부에서 낙하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제품 적재부; 가 포함되고,
상기 제품 정렬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놓여지며, 제품의 자세가 정렬되면 회전에 의한 개방을 통해 상기 본체의 공간으로 제품을 낙하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배출되어 안착부로 이동된 제품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정지되면서 홀딩되는 제품의 홀딩부위를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로 밀어내어 제품의 자세를 변경시켜주는 푸쉬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부의 개방에 따라 제품이 상기 본체의 공간의 정해진 위치에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어 상기 안착부에 놓여지는 제품을 이동시켜주는 위치조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therein and having at least one door on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thereof so that an inner space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door;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nd foreign matter from the product introduced into the space;
A foreign matter collect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for performing a dust collecting treatment on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 product align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for aligning the posture of the product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And
A product load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the product dropped by the product sorting unit is loaded; / RTI >
The product sorting unit includes:
A seat for dropping the product into the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opening by rotation when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s placed,
A stopper for stopping the product,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nd moved to the mounting par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ush portion for pushing the holding portion of the product held while being stopped on the stopper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product,
A position adjustment unit which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changes a posture thereof by the push part so that the product can dro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pac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seating part, Wherein the electrostatic eliminator comprises an electrostatic chu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은,
이물질 제거부가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공간;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물질 집진부가 위치하는 이물질 집진공간;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에서 제품의 진행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품 정렬부가 위치하는 제품 정렬공간; 및
상기 제품 정렬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품 적재부가 위치하는 제품 적재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안착부 및 푸쉬부의 본체의 공간은, 제품 적재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of the main body
A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locate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space located below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in which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part is located;
A product sorting space located at one side of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oduct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in which the product sorting part is located; And
A product loading space located below the product aligning space and in which the product loading unit is located,
Where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of the seat portion and the push portion is a product mounting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해주는 투입도어;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해주는 배출도어;
상기 투입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제품을 상기 배출도어쪽으로 이동시켜주는 이송부재;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으로 투입된 제품을 향해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여 제품의 정전기를 제전하는 이온 아이저; 및
제품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eign-
An inle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 outle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ther opened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 transferring member for transferring a product introduced through the loading door to the discharge door;
An ionizer positioned 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of the product by spraying ionized air toward the product introduced in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And an air spray nozzle for spraying air onto the surface of the produ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구동수단에 각각 제자리 회전되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로울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rollers rotatably supported on the driving mean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노즐은,
제품의 전,후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상하방향 승강작용을 하면서 제품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injection nozzle
And is configured to inject air into the product while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du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집진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공간의 저면과 연통되는 집진호퍼; 및
상기 집진호퍼와 연결되어 집진되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집진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reign matter-
A dust collecting hopper communicating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pace; An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hopper to remove foreign matter collected therefrom.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제품의 진행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제1연결축이 상기 제품 정렬공간의 아래쪽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연결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1안착봉이 상기 제품 정렬공간 안쪽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품 정렬공간의 아래쪽 후방에 상기 제1연결축과 대향되도록 제2연결축이 위치되고, 상기 제2연결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2안착봉이 상기 제품 정렬공간 안쪽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봉의 단부와 상기 제2안착봉의 단부는 서로 엇갈리면서 일부 구간에서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축의 일단과 제2연결축의 일단은 제3연결축의 양단에 치합되어 상기 제3연결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연결축의 상기 제1안착봉과 상기 제2연결축의 상기 제2안착봉이 동시에 하향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 (1)
A first connection shaft which is parallel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oduct is positioned in front of a lower front side of the product alignment space, and a plurality of first placement rod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connection shaft is disposed at a lower rear side of the product alignment space so as to face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a plurality of second seating rod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sposed in the product alignment space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end of the first seating rod and the end of the second seating rod ar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at a certain interval,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r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third connection shaf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rods of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re simultaneously Wherein the electrostatic remov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rotated downwar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축의 상부 안쪽에 대항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제품 정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각각 전후 이동시켜주는 작동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 pair of support members installed to oppose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the upper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nd a pair of support members which are arranged to move the support members back and forth toward the center of the product alignment space, And an operation member is inclu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품 정렬공간의 중심부로 모여지는 상기 받침부재의 간격은 상기 받침부재와 접면하게 되는 제품의 폭과 상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ap of the receiving member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product aligning sp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product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적재부는,
상기 제품 정렬공간으로부터 낙하되는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duct load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opened to receive a product falling from the product alignment space.














KR1020140170854A 2014-12-02 2014-12-02 Static eliminator KR101680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54A KR101680251B1 (en) 2014-12-02 2014-12-02 Static elimi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54A KR101680251B1 (en) 2014-12-02 2014-12-02 Static elimi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59A KR20160066459A (en) 2016-06-10
KR101680251B1 true KR101680251B1 (en) 2016-11-29

Family

ID=5619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854A KR101680251B1 (en) 2014-12-02 2014-12-02 Static elimi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2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475B1 (en) * 2020-11-09 2022-01-06 주식회사 아이메디 Static electricity and dust removal system for upper mold of contact l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5818A (en) * 2018-06-28 2018-11-06 江阴名鸿车顶系统有限公司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CN114535216A (en) * 2021-12-25 2022-05-27 黄勇波 Automatic clean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22B1 (en) 2010-01-28 2012-02-06 하나제약 주식회사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ampoule
KR101384433B1 (en) 2012-07-12 2014-04-10 오천식 Wash stand of spray gun for pain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22B1 (en) 2010-01-28 2012-02-06 하나제약 주식회사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ampoule
KR101384433B1 (en) 2012-07-12 2014-04-10 오천식 Wash stand of spray gun for pain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475B1 (en) * 2020-11-09 2022-01-06 주식회사 아이메디 Static electricity and dust removal system for upper mold of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59A (en)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855B2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CA2865897C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using ionized air and optionally vacuum
KR101680251B1 (en) Static eliminator
CN204817334U (en) Online dust collector of electric energy meter
CN205599561U (en) Pole piece brush dust cleaner
JP2014083779A (en) Container treatment device
KR101328724B1 (en) Burring apparatus for plastic case
KR20170096935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recovering optical film, system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conveying and recovering optical film
EP2525676A2 (en) Method of removal of electrostatic charges from trays used for transporting rod shaped elements, tray protected against negative action of electrostatic field and device for unloading trays filled with rod shaped elements with simultaneous removal of electrostatic charges
KR101179853B1 (en) Collecting apparatus of oil-paint dust
KR20140056230A (en) Device and method for grouping articles
KR102046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apsules with loose material and for their sealing
KR101772736B1 (en) Polymer Cell Transfer Trey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And Method
JP2008104958A (en) Dust extractor of packaging material
CN113911470A (en) Online automatic dust removal recovery system of powder pocket
CN107215636B (en) Cleaning system for a conveying and storage device with adjustable capacity for rod-shaped elements of the tobacco industry
CN206051058U (en) Printing equipment
JP2004277136A (en) Front and back face aligning device of cap and cap processing device
KR20110088190A (en)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ampoule
KR100923906B1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OF GET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CN203803892U (en) Ionic wind blowing device for filling bag-making filling and sealing machine
CN1660671A (en) Medicament packing appts.
CN215871935U (en) Stop device that cigarette membrane destatics
JP6294734B2 (en) Waste sorting equipment
JP3154073U (en) Dust removal device for pack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