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220B1 -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220B1
KR101679220B1 KR1020150061658A KR20150061658A KR101679220B1 KR 101679220 B1 KR101679220 B1 KR 101679220B1 KR 1020150061658 A KR1020150061658 A KR 1020150061658A KR 20150061658 A KR20150061658 A KR 20150061658A KR 101679220 B1 KR101679220 B1 KR 10167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mounting
memory device
termina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461A (ko
Inventor
남영수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리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리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리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6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2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메모리 기능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거치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도중, 보조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거치장치에 결합된 메모리장치를 탈거한 후, 메모리장치를 휴대단말기에 연결하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보조 메모리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Mounting System with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 본연의 기능은 물론, 보조 메모리 기능도 구비하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메모리 장치는 USB 포트에 꽂아 쓰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이동형 저장 장치를 말한다. USB 메모리 장치는 크기가 매우 작아 높은 휴대성을 제공하며, 통신속도가 빠르고 저장용량이 커서, 컴퓨터, 카메라, 노트북, 휴대단말기 등의 다양한 외부장치의 보조 기억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USB OTG(On-The-Go)는 USB 포트를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태블릿, 스마트폰, 핸드폰 등의 일부 휴대단말기에는 USB OTG 기술이 적용된 USB 포트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면 PC를 거치지 않고 해당 기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그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Micro USB 포트가 적용되고 있는바, Micro USB 포트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일반 크기의 USB 포트가 적용된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젠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일부 USB 메모리 장치의 경우, 일측에는 Micro USB 포트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일반 USB 포트를 구비하여, 휴대단말기와 컴퓨터에 모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전화를 걸기 위한 휴대폰 고유의 기능은 물론, DMB나 MP3, 비디오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TV 수신이나 동영상 시청 등은 장시간 이루어지므로,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거치대가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는 거치 본연의 기능만 수행할 뿐, 보조 메모리 기능은 없어, 보조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USB 메모리 장치와 같은 별도의 보조 메모리 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75868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1928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메모리 기능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칩과, 상기 메모리칩을 커버하는 메모리본체와, 상기 메모리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메모리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 및 일측에 상기 메모리본체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면부가 구비되는 거치본체와, 상기 거치본체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기 거치본체가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본체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메모리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메모리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를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본체가 상기 삽입부의 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메모리장치의 한 쌍의 상기 단자 중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단자가 수용되도록 단자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본체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메모리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단자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USB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면부에는 휴대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착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가 상기 거치본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거치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궤도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거치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거치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기 거치본체와 결합되지 않은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거치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치본체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은 거치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도중, 보조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거치장치에 결합된 메모리장치를 탈거한 후, 메모리장치를 휴대단말기에 연결하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보조 메모리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가 거치본체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회전부가 거치본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림 위치되어, 회전부가 거치본체의 경사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는 거치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메모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가 거치장치의 삽입부에 삽입될 때, 메모리장치의 슬라이딩부가 거치장치의 슬라이딩안내부에 안내되면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모리장치를 거치장치의 삽입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거치장치의 개방부를 통하여 메모리장치를 직접 가압한 상태로 메모리장치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거치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에 구비되는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가 거치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가 거치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50)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칩(미도시)이 내장된 메모리장치(200)와, 메모리장치(2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휴대단말기(P: 도 9 도시)를 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거치장치(10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P)는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로, 예를 들면 휴대폰, 피디에이(PDA), 스마트폰, 카메라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메모리장치(200)는 거치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기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장치(100)는 휴대단말기(P)를 거치시키는 것으로, 거치본체(110)와 회전부(120)를 포함하며,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거치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치장치(100)의 거치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양측에 제 1 측부(111a)와 제 2 측부(111b)가 각각 구비되고, 제 1 측부(111a)와 제 2 측부(111b) 사이의 양 단부에 제 3 측부(111c)와 제 4 측부(111d)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 3 측부(111c)에 메모리장치(200)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삽입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112)는 제 4 측부(111d)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삽입부(112)에 메모리장치(200)가 삽입되는 구조는 하기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거치본체(110)의 제 1 측부(111a)와 제 2 측부(111b)에 회전부(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 3 측부(111c)와 가까운 제 1 측부(111a)와 제 2 측부(111b)의 단부에 후술하는 스토퍼(116)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부(120)는 그 일측이 거치본체(11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그 타측이 거치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서, 거치본체(110)가 비스듬하게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거치본체(110)의 제 1 측부(111a)를 따라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가 제 1 측부(111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지지부(122)와, 상기 제 1 지지부(122)와 대향되도록 거치본체(110)의 제 2 측부(111b)를 따라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가 상기 거치본체(110)의 제 2 측부(111b)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124)와, 거치본체(110)의 제 4 측부(111d)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되 상기 제 1 지지부(122)와 상기 제 2 지지부(124)의 상기 거치본체(110)와 결합되지 않은 타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치본체(110)의 제 4 측부(111d)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부(120)의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가 거치본체(110)의 제 4 측부(111d)에서 제 3 측부(111c)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부(120)의 연결부(126)가 거치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어, 거치본체(110)가 회전부(120)의 벌어진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지지된다. 이때, 거치본체(110)의 제 3 측부(111c)와 가까이 위치되는 거치본체(110)의 제 1 측부(111a)와 제 2 측부(111b)의 단부에 회전부(120)의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의 회전 궤도 방향으로 스토퍼(116)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거치본체(110)의 제 3 측부(111c)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가 상기 스토퍼(116)에 걸림 위치되며, 따라서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의 회전 각도가 스토퍼(116)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에 구비되는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메모리장치(200)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칩(미도시)이 실장된 기판(220)과, 기판(220)을 커버하되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메모리본체(210)를 포함한다.
기판(220)은 메모리칩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에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는 서로 다른 이종의 단자로 구성되어, 제 1 단자(222)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되는 미니 USB 단자로 구성되고, 제 2 단자(224)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의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되는 일반 USB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제 1 단자(222)가 일반 USB 단자로 구성되고, 제 2 단자(224)가 미니 USB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는 서로 동일한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본체(210)는 그 내부에 기판(220)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에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제 1 접속안내부(212)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 호스트 컴퓨터의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제 2 접속안내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20)의 제 1 단자(222)가 제 1 접속안내부(212)에 삽입된 상태로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기판(220)의 제 2 단자(224)가 제 2 접속안내부(214)에 삽입된 상태로 호스트 컴퓨터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이러한 메모리본체(210)는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있으며, 메모리칩을 사용하고자 할 때, 메모리본체(210)가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서 외부로 탈거되어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의 커넥터에 결합된다.
그리고 메모리본체(210)가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 슬라이딩 삽입되기 위하여 메모리본체(210)의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를 따라 오목하게 슬라이딩부(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는 슬라이딩부(216)를 안내하도록 슬라이딩부(216) 방향으로 볼록하게 슬라이딩안내부(113a: 도 6 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216)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딩안내부(113a)는 슬라이딩부(216)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슬라이딩부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딩안내부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가 거치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메모리장치가 거치장치에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장치(200)의 메모리본체(210)는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메모리본체(210)의 길이방향 상측과 마주보는 삽입부(112)의 상측을 따라 개방부(112a)가 형성되고, 메모리본체(210)의 길이방향 하측과 마주보는 삽입부(112)의 하측을 따라 폐쇄부(1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12)의 개방부(112a)와 폐쇄부(112b) 사이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삽입측부(113)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삽입측부(113)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메모리본체(200)의 슬라이딩부(216)를 안내하도록 슬라이딩부(216) 방향으로 볼록하게 슬라이딩안내부(113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슬라이딩안내부(113a)는 상호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본체(210)가 거치장치(100)의 삽입부(1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슬라이딩부(216)가 슬라이딩안내부(113a)에 안내되면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모리본체(210)가 삽입부(112)의 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삽입부(112)의 단부에는 메모리본체(210)에 돌츨 형성된 제 1 접속안내부(212) 및 제 1 접속안내부(212)에 삽입된 제 1 단자(222)가 수용되도록 단자삽입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본체(210)가 삽입부(112)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메모리본체(210)의 상측은 개방부(112a)를 통하여 삽입부(112)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리본체(210)를 삽입부(11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개방부(112a)를 통하여 메모리본체(210)를 직접 가압한 상태로 메모리본체(21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거치장치(100)의 폐쇄부(112b)의 외면에는 휴대단말기(P)가 거치되도록 거치면부(110a)가 구비된다. 그리고 거치본체(110)가 회전부(120)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세워지면, 휴대단말기(P)가 거치본체(110)의 거치면부(110a)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이때, 거치면부(110a)에 휴대단말기(P)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착부(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18)는 휴대단말기(P)가 거치면부(110a)에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거나 또는 점성을 가진 압착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의 거치장치에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50)의 거치장치(100)에 휴대단말기(P)를 거치하고자 할 때, 거치본체(110)의 제 4 측부(111d)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휴대단말기(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며, 이때, 회전부(120)의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가 스토퍼(116)에 걸림 위치되어, 회전부(12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회전부(120)의 연결부(126)는 지면에 지지되어, 회전부(120)가 거치본체(110)의 경사진 상태를 지지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P)는 거치본체(110)의 압착부(118)에 부착된 상태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P)를 통하여 DMB나 비디오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50')의 거치장치(100)에 휴대단말기(P)를 거치하고자 할 때, 회전부(120)의 연결부(126)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지지장치(100)를 휴대단말기(P)에 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120)가 휴대단말기(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며, 이때, 회전부(120)의 제 1 지지부(122)와 제 2 지지부(124)가 스토퍼(116)에 걸림 위치되어, 회전부(12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P)는 거치본체(110)의 압착부(118)에 부착된 상태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P)를 통하여 DMB나 비디오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모리장치(200)를 이용하고자 할 때, 거치장치(100)의 거치본체(110)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장치(200)를 거치본체(110)의 삽입부(112)에서 탈거한 후, 메모리장치(200)의 제 1 단자(222)를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에 삽입한다. 이때, 휴대단말기(P)의 커넥터에는 USB OTG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메모리장치(200)의 메모리칩에 있는 데이터와 휴대단말기(P)의 데이터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장치(100)의 거치본체(110)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장치(200)를 거치본체(110)의 삽입부(112)에서 탈거한 후, 메모리장치(200)의 제 2 단자(224)를 호스트 컴퓨터의 커넥터에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거치장치(1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P)를 거치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P)를 거치하는 도중, 보조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거치장치(100)에 결합된 메모리장치(200)를 탈거한 후, 메모리장치(200)를 휴대단말기(P)에 연결하면, 메모리장치(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P)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보조 메모리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200)는 거치본체(110)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메모리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0, 50': 거치 시스템
100: 거치장치 110: 거치본체
110a: 거치면부 111a: 제 1 측부
111b: 제 2 측부 111c: 제 3 측부
111d: 제 4 측부 112: 삽입부
112a: 개방부 112b: 폐쇄부
113: 삽입측부 113a: 슬라이딩안내부
114: 단자삽입홈 116: 스토퍼
118: 압착부 120: 회전부
122: 제 1 지지부 124: 제 2 지지부
126: 연결부 200: 메모리장치
210: 메모리본체 212: 제 1 접속안내부
214: 제 2 접속안내부 216: 슬라이딩부
220: 기판 222: 제 1 단자
224: 제 2 단자

Claims (9)

  1. 메모리칩과, 상기 메모리칩을 커버하는 메모리본체와, 상기 메모리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메모리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 및
    일측에 상기 메모리본체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거치면부가 구비되는 거치본체와, 상기 거치본체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기 거치본체가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본체가 상기 삽입부의 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메모리장치의 한 쌍의 상기 단자 중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단자가 수용되도록 단자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장치의 한 쌍의 상기 단자 중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단자는 미니 USB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본체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메모리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메모리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를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본체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메모리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단자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USB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부에는 휴대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착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거치본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거치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궤도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거치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거치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기 거치본체와 결합되지 않은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거치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치본체가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만큼 비스듬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KR1020150061658A 2015-04-30 2015-04-30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KR10167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658A KR101679220B1 (ko) 2015-04-30 2015-04-30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658A KR101679220B1 (ko) 2015-04-30 2015-04-30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461A KR20160129461A (ko) 2016-11-09
KR101679220B1 true KR101679220B1 (ko) 2016-11-24

Family

ID=5752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658A KR101679220B1 (ko) 2015-04-30 2015-04-30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143B1 (ko) * 2002-11-07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Uim 카드 결합장치
KR101475868B1 (ko) * 2013-06-18 2014-12-23 주식회사 바른전자 오티지 유에스비 메모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284A (ko) 2013-03-28 2014-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거치용 접이식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143B1 (ko) * 2002-11-07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Uim 카드 결합장치
KR101475868B1 (ko) * 2013-06-18 2014-12-23 주식회사 바른전자 오티지 유에스비 메모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461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9792B1 (en) Detachable adapter and handheld device
US7832645B2 (en) Flash memory card expander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824154B2 (en) Chip card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JP3149987U (ja) チップカードを挿入可能なカード型アダプタ
CN102480892B (zh) 芯片卡固持机构及具有该固持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WO2008079424A2 (en) Flash memory card expander
US20090137137A1 (en) Portable memory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US8204541B2 (en) Holding bas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0040025A (ja) カードリーダー
KR101107247B1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JP2009282951A (ja) カードリーダー
KR101679220B1 (ko)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거치 시스템
AU2013385745B2 (en) Memory device having heterogeneous terminals
WO2021056818A1 (zh) 卡托组件、卡连接器及终端
CN204103192U (zh) 多端口式移动存储器
KR101400113B1 (ko) 카드형 유에스비 오티지 메모리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TWI458207B (zh) 資料存儲裝置
CN112904935A (zh) 扩展装置、电子设备及设备组件
KR200459568Y1 (ko) 카드 타입 usb 메모리 장치
TW201624171A (zh) 拆分式電腦裝置及其插拔組件
CN204538414U (zh) 一种多功能转接头u盘
CN219020426U (zh) 移动终端保护壳及电子设备
TW201807536A (zh) 攜帶式儲存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