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291B1 - 고정용 앵커 - Google Patents

고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291B1
KR101678291B1 KR1020150011013A KR20150011013A KR101678291B1 KR 101678291 B1 KR101678291 B1 KR 101678291B1 KR 1020150011013 A KR1020150011013 A KR 1020150011013A KR 20150011013 A KR20150011013 A KR 20150011013A KR 101678291 B1 KR101678291 B1 KR 10167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und
hollow
t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000A (ko
Inventor
박선호
이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2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43Anchors foldable or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021/265Anchors securing to bed by gravity embedment, e.g. by dropping a pile-type anchor from a certa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에 삽입되는 날개를 장착한 피스톤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한 후, 피스톤을 당기면 구조적으로 개방부에 삽입된 날개가 일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여 날개와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증가와 마찰력 증가로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고, 지중에 앵커가 박힌 후 팁이 자동 또는 인위적으로 폭발하도록 하여 팁의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팁과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및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앵커의 몸체에 나선부를 장착하여 앵커가 지중에 박힌 후 나선부와의 접촉에 의해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 단부는 지중(地中)을 향하는 팁(tip)이 구비되어 폐쇄되고, 타측 단부는 슬라이드 홀이 구비되어 일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中空)이 형성되어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중공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팁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바디, 바디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며 슬라이드 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고정용 앵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용 앵커{Anchor for fixing}
본 발명은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에 삽입되는 날개를 장착한 피스톤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한 후, 피스톤을 당기면 구조적으로 개방부에 삽입된 날개가 일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여 날개와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증가와 마찰력 증가로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고, 지중에 앵커가 박힌 후 팁이 자동 또는 인위적으로 폭발하도록 하여 팁의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팁과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및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앵커의 몸체에 나선부를 장착하여 앵커가 지중에 박힌 후 나선부와의 접촉에 의해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앵커(anchor)는 선박, 부선 등에서 일시적으로 필요시에 해저에 투하하여 해저의 니질 또는 사니질 표피에 적당히 자연상태로 침하시킨 후 선상에서 로프 또는 체인을 당겨 니질 등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영구히 매몰 고정하여 로프 등에 의해 결속된 대상물이 위치변동없이 반영구적으로 정위치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앵커는 삽입되는 깊이에 한계가 있고, 어느 정도의 깊이로 삽입되었다 하더라도 해저의 니질 또는 사니질과의 결합관계가 약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돌망태, 콘크리트 블록 등을 보조적으로 활용하기도 하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니질이 아닌 사질, 자갈로 된 저면 등에는 앵커가 깊이 삽입되지 않아 고정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어렵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앵커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어 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물론, 운반 등의 작업상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4691호(2004.7.5.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지중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용 앵커는 일측 단부는 지중(地中)을 향하는 팁(tip)이 구비되어 폐쇄되고, 타측 단부는 슬라이드 홀이 구비되어 일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中空)이 형성되어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중공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팁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바디, 바디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며 슬라이드 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개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바디의 외주면에는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펼쳐지는 날개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바디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의 중공 일측 단부에 접촉했을 때 하우징의 개방부에 바디의 날개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개방부의 일측 단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날개의 펼침 각도는 임계값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에 삽입되는 날개를 장착한 피스톤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한 후, 피스톤을 당기면 구조적으로 개방부에 삽입된 날개가 일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여 날개와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증가와 마찰력 증가로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앵커가 박힌 후 팁이 자동 또는 인위적으로 폭발하도록 하여 팁의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팁과 지중이 접하는 표면적 및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앵커의 몸체에 나선부를 장착하여 앵커가 지중에 박힌 후 나선부와의 접촉에 의해 앵커를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땅에 박힌 후 앵커에서 날개(18)가 펼쳐지는 형태로, 날개(18)와 지중(地中)과의 표면적 및 마찰력 증가로 앵커를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는 하우징(2)과 피스톤(10)을 포함한다.
하우징(2)은 고정용 앵커의 외형을 유지하고 피스톤(10)을 수용하며, 팁(tip) (4), 슬라이드 홀(6), 중공(8), 및 개방부(9)를 포함한다.
팁(4)은 하우징(2)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지중을 향한다. 하우징(2)의 일측 단부(도 1 기준으로 하단)는 팁(4)에 의해 폐쇄된다.
슬라이드 홀(6)은 하우징(2)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지중의 반대 방향을 향한다. 하우징(2)의 타측 단부(도 1 기준으로 상단)는 슬라이드 홀(6)에 의해 일부 개방된다.
중공(8)은 하우징(2)의 내부에 형성되어 피스톤(10)을 수용한다. 중공(8)은 하우징(2)이 피스톤(10)에 대한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개방부(9)는 하우징(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2에는 편의상 2개의 개방부(9)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개방부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방부(9)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개방부(9)의 일측 단부(도 1에서 하단)는 수직면을 이루나, 타측 단부(도 1에서 상단)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스톤(10)의 돌출부(16)가 당겨질 때 개방부(9)에 삽입된 날개(18)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피스톤(10)은 하우징(2)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에 의해 날개(18)가 펼쳐지도록 한다. 피스톤(10)은 바디(12), 연결부(14), 돌출부(16), 날개(18), 및 회동중심(20)을 포함한다.
바디(12)는 하우징(2)의 중공(8)에 삽입되어 중공(8) 내부에서 슬라이드된다. 이를 위해 바디(12)는 중공(8)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2)의 일측 단부(도 1 기준으로 하단)는 팁(4) 방향을 향하고, 타측 단부(도 1 기준으로 상단)는 슬라이드 홀(6)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연결부(14)는 바디(12)와 돌출부(16)를 연결한다. 연결부(14)는 바디(1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홀((6)을 통해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2) 내부로 삽입되거나(도 1 참조) 하우징(2) 외부로 노출된다(도 2 참조).
돌출부(16)는 연결부(14)에 연결되어 하우징(2) 외부에 노출된다. 돌출부(16)는 슬라이드 홀(6)을 통해 하우징(2)의 중공(8)에 삽입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홀(6)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6)는 체인이나 로프 등을 통해 고정하고자 하는 선박 등과 연결된다. 따라서, 체인이나 로프를 당기면 돌출부(16)가 당겨지면서 피스톤(10)이 슬라이드되어 도 2의 상태가 되면서 지중에서 날개(18)가 회동하여 펼쳐진다.
날개(18)는 바디(1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날개(18)는 바디(12) 외주면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날개(18)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개방부(9)의 타측 단부와 부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2)의 일측 단부(도 1 기준으로 하단)가 하우징(2)의 중공(8) 일측 단부(도 1 기준으로 중공의 하단)에 접촉했을 때 하우징(2)의 개방부(9)에 바디(12)의 날개(18)가 삽입된다(도 1 참조).
회동중심(20)은 바디(12)의 외주면에 날개(18)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회동중심(20)은 날개(18)의 회동 각도를 임계값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6)를 당김에 따라 날개(18)가 회동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면 지중에 앵커를 단단히 고정시키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일례로, 회동중심(20)은 롤러나 톱니바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회동중심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땅에 박힌 후 팁(104)이 폭발하면서 팁(104)의 형상이 변형(106)되어 지중과의 표면적 및 마찰력 증가로 앵커를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팁(104)이 폭발하는 원리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일례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폭발하도록 한다든지 인위적으로 폭발을 유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팁의 폭발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앵커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땅에 박히면서 나선부(206)에 의해 회전하고, 땅에 박힌 후에는 나선부(206)에 의해 보다 강하게 지중에 고정된다.
나선부(206)는 도 5와 같이 수직면과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나선부의 형상이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선부(206)는 몸체(2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지중과의 표면적과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하우징 4 - 팁
6 - 슬라이드 홀 8 - 중공
9 - 개방부 10 - 피스톤
12 - 바디 14 - 연결부
16 - 돌출부 18 - 날개
20 - 회동중심

Claims (3)

  1. 일측 단부는 지중(地中)을 향하는 팁(tip)이 구비되어 폐쇄되고, 타측 단부는 슬라이드 홀이 구비되어 일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中空)이 형성되어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어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중공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팁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바디, 바디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홀을 통해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거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며 슬라이드 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개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바디의 외주면에는 하우징 외주면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펼쳐지는 날개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바디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의 중공 일측 단부에 접촉했을 때 하우징의 개방부에 바디의 날개가 삽입되고,
    개방부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개방부의 일측 단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날개의 펼침 각도는 임계값 이하로 제한되고,
    하우징의 외주면 일부에 나선부가 구비되어 땅에 박히면서 나선부에 의해 회전하고 땅에 박힌 후에는 나선부에 의해 지중에 고정되어 지중과의 표면적과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고정용 앵커.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1013A 2015-01-23 2015-01-23 고정용 앵커 KR10167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13A KR101678291B1 (ko) 2015-01-23 2015-01-23 고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13A KR101678291B1 (ko) 2015-01-23 2015-01-23 고정용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00A KR20160091000A (ko) 2016-08-02
KR101678291B1 true KR101678291B1 (ko) 2016-11-21

Family

ID=5670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13A KR101678291B1 (ko) 2015-01-23 2015-01-23 고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847B (zh) * 2019-02-21 2020-12-11 河海大学 一种增加贯入深度和抗拔性能的动力锚
KR102160514B1 (ko) * 2020-06-16 2020-09-28 최충호 연약 지반 설치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12173009B (zh) * 2020-09-09 2021-08-03 佛山安可锚链有限公司 一种带液压辅助的船锚
CN114435538B (zh) * 2022-01-26 2023-05-05 南京林业大学 一种反拉脱壳增长式鱼雷锚的装置与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923A (en) 1975-09-30 1978-03-28 Margrete Stinnes Anchor with pivotal secondary flukes
JP2005299258A (ja) * 2004-04-13 2005-10-27 Takao Kimura 開閉式再利用可能杭
JP2007132068A (ja) 2005-11-10 2007-05-31 Hiroshi Narahara プレート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653A (ja) * 1994-06-06 1995-12-19 Hidekazu Tanaka 基礎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923A (en) 1975-09-30 1978-03-28 Margrete Stinnes Anchor with pivotal secondary flukes
JP2005299258A (ja) * 2004-04-13 2005-10-27 Takao Kimura 開閉式再利用可能杭
JP2007132068A (ja) 2005-11-10 2007-05-31 Hiroshi Narahara プレート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00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291B1 (ko) 고정용 앵커
US7878137B2 (en) Torpedo pile with enhanced clamping strength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ES2371299T3 (es) Herramienta de anclaje.
BRPI0416527A (pt) método de ativar um tampão localizado dentro de um furo de poço subterráneo e dardo para ativar um tampão subterráneo localizado dentro de um furo de poço subterráneo
KR100814107B1 (ko) 제거식 선단정착 앵커
US4189879A (en) Earth anchor
AU2016259335B2 (en) Gravitation anchor for offshore anchoring of ships and platforms
CN207672566U (zh) 一种端头为扩体式结构的预应力锚杆
US4251963A (en) Earth anchor
KR101722198B1 (ko) 앵커링 장치
ES2331238T3 (es) Mejora en el terreno.
CN206319688U (zh) 电杆防撞装置及电杆
JP2015209760A (ja) 多段拡張型アースアンカーアセンブリ
JPH11303073A (ja) 地中アンカ
KR101694828B1 (ko) 해상 발전설비용 고정앵커
RU42500U1 (ru) Анкерная свая
CL2018002307A1 (es) Un tapón de seguridad.
RU2006113714A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промежутков в скважине с расширенной зарядной полостью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2119325B1 (ko)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RU175809U1 (ru) Забойка
KR200397338Y1 (ko) 지중경사계의 진동방지 장치
CN102748047A (zh) 胀壳式锚索
RU2190079C2 (ru)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важи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пускаемого на колонне труб
KR101722184B1 (ko) 앵커링 장치
KR101722166B1 (ko) 앵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