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027B1 -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027B1
KR101678027B1 KR1020160053992A KR20160053992A KR101678027B1 KR 101678027 B1 KR101678027 B1 KR 101678027B1 KR 1020160053992 A KR1020160053992 A KR 1020160053992A KR 20160053992 A KR20160053992 A KR 20160053992A KR 101678027 B1 KR101678027 B1 KR 101678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construc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맥
Priority to KR102016005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서브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서브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로서, 서브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서브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서브 통신단말기; 메인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되어, 메인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메인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통신단말기; 및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서브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관제정보와 결합하여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장비를 관제하는 시스템으로서, 건설 현장에 있는 건설 장비들을 관제할 수 있는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휠로더, 지게차 등과 같은 고가의 건설 기계(이하 "건설 장비"로 약칭함)들은 오지의 작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작업 현장 또는 건설 현장에서는 이들을 감시할 수 있는 특별한 대책이 없다.
특히, 고유가로 인해 불특정인한테 장비를 도난당하거나 장비의 연료를 도난당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비를 비치해 둔 현장에 CCTV를 설치하거나 혹은 연료 캡에 자물쇠를 채우는 등의 방안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도 도난 후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연료 도난의 방식 또한 지능화되어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건설장비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굴삭기, 휠 로더 등의 건설장비는 차량제어장치와 연결된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이나 위성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 측으로 건설장비의 정보를 전송하고, 관제 서버는 건설장비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플랜트 건설현장,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는 수많은 건설 장비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수많은 건설 장비들이 일일이 관제 서버와 통신할 경우 데이터 전송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들과 일일이 각각 통신해야 하므로 통신 부하 및 연산 처리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신비를 절약하고 관제 서버의 통신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건설장비와 관제 서버 간의 새로운 통신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7320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설장비들의 관제에 사용되는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설장비의 연료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서브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서브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로서, 서브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서브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서브 통신단말기; 메인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되어, 메인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메인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통신단말기; 및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서브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관제정보와 결합하여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복수의 메인 통신단말기 중에서 가장 센 신호 세기를 가지는 메인 통신단말기를 선택하여 선택한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상기 관제 서버에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메인 통신단말기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 메인 통신단말기 중에서 가장 센 신호를 보내는 메인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서브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서브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서브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서브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서브 관제정보 생성부;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서브 관제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마다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서브 통신단말기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 서브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 서브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메인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제 서버와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부; 메인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메인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메인 관제정보 생성부; 상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합 관제 메시지 생성부;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의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는, 엔진 정지 중에 연료가 감소하는 연료 도난 경보상황을 포함한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상기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이 발생하자마자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를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의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까운 건설장비끼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게 하고 대표되는 하나의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관제를 위한 통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료 도난 등의 긴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건설현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노드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단계 노드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건설현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노드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단계 노드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건설장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건설장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레미콘 차량, 타설 장비, 포크레인, 화물트럭 등의 다양한 건설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 위치하는 건설장비들은 10m 이내의 근접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건설현장에는 이와 같이 다양한 수많은 건설장비가 있을 수 있는데, 각 건설장비에는 통신단말기가 마련된다. 관제 서버(300)가 이들 각각의 통신단말기와 통신을 할 경우 통신 비용 증가와, 통신 과부하로 인해 관제 서버(30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장비 중에서 하위레벨인 서브노드의 건설장비를 서브 건설장비로 설정하고, 상위레벨인 상위노드의 건설장비를 메인 건설장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1,2,3,4,5,6건설장비가 있는 경우, 제1,2,4,6건설 장비는 서브 건설장비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3,5건설장비는 메인 건설장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브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이하, '서브 통신단말기'라 함)는 관제 서버(300)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이하, '메인 통신단말기'라 함)하고만 통신하여, 서브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된 메인 통신단말기(200)는, 자신의 메인 관설장비의 관제정보인 메인 관제정보에 서브 관제정보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300)에 통합 관제 정보로 전송한다.
따라서 결국, 메인 통신단말기(200)와 관제 서버(300)만 이동 통신을 하게 되어 통신비를 절약하며, 동시에 관제 서버(300)의 통신 부하를 덜 수 있다.
이러한 서브노드와 메인노드간의 관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노드에 있는 서브 건설장비1,2,3의 서브 관제정보1,2,3을 각각의 서브 통신단말기(101,102,103)가 메인노드에 있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메인노드에 있는 메인 통신단말기(200)는 수신한 서브 건설장비1,2,3의 서브 관제정보1,2,3과 자신의 메인 관제정보를 결합하여 관제 서버(300)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제2서브노드에 있는 서브 건설장비5의 서브 통신단말기5(105)은 상위 레벨의 제1서브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1(101)로 서브 건설장비5의 서브 관제정보5를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2서브노드에 있는 서브 건설장비6의 서브 통신단말기6(106)은 상위 레벨의 제1서브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1(101)로 서브 건설장비6의 서브 관제정보6을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제1서브 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1(101)은, 자신의 서브 관제정보1과 하위단에서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5,6을 묶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1서브 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2(102)은, 자신의 서브 관제정보2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1서브 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3(103)은, 자신의 서브 관제정보3과 하위단에서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7을 묶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1서브 노드에 있는 서브 통신단말기4(104)은, 자신의 서브 관제정보4와 하위단에서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8을 묶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노드에 있는 메인 통신단말기(200)는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1,2,3,4,5,6,7,8과 자신의 메인 관제정보를 결합하여 관제 서버(300)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2단 구성, 3단 구성 외에도 더 많은 레벨단을 구성하여도 마찬가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통신단말기(100), 메인 통신단말기(200), 및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서브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서브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이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서브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서브 관제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서브 관제정보로는 서브 건설장비의 연료량, 장비의 엔진 RPM(Radius Per Minute), 배터리 전압, 냉각수 온도, 오일 온도, 각종 스위치 온/오프(ON/OFF) 감지 정보, 솔레노이드나 릴레이들의 온/오프(ON/OFF) 감지 정보, 고장 정보(Error Code), 작업 모드별 가동 시간, 엔진 가동 시간, 필터/오일 사용 시간, 펌프 및 실린더 압력, 연료 정보, 부하율 정보, 위치정보 등과 같은 건설장비의 다양한 장비 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이다. 이러한 관제정보는, 메인 건설장비의 메인 관제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수집한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인접한 복수의 메인 통신단말기(200) 중에서 가장 센 신호 세기를 가지는 메인 통신단말기(200)를 선택하여 선택한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한다. 서브 통신단말기(100) 주위에 하나가 아닌 복수개의 메인 통신단말기(20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가장 센 신호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하기 위함이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서브 관제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데,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블루투스(bluetooth)란 근거리 스마트폰, 이어폰, 노트북 등의 휴대 기기간의 사진, 음성 등을 정보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서브 통신단말기(100)에 대해서는 도 5와 함께 상세하게 후술한다.
메인 통신단말기(200)는, 메인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되는 통신단말기로서, 메인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메인 관제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관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서브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와 결합되어 통합 관제 메시지로 생성된다. 생성된 통합 관제 메시지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서 관제 서버(300)에 전송된다. 이러한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대해서는 도 6과 함께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동통신망은,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으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망으로서, 3G, 4G(LTE), 5G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메인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다. 관제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통합 관제 메시지 내의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를 저장하고, 정렬하여 통계로서 표시하며, 이상 징후 발견시에 관리자에게 실시간 알람을 발송한다. 또한 건설장비들의 과거 관제정보의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으며, 건설장비의 과거 고장 이력에 대한 정보, 건설장비 가동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1100), 서브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0), 서브 관제정보 생성부(1300), 및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1100)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단말기 식별정보는, 단말기 일련번호, 단말기 제조번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11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서브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0)는, 인접한 메인 통신단말기(200) 중에서 가장 센 신호를 보내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한다. 건설 현장에 위치하는 건설장비들은 10m 이내의 근접 거리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서브 통신단말기(100)와 메인 통신단말기(200)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만약, 건설 현장의 특성상 블루투스 통신 범위를 벗어나서 건설 장비들이 위치하게 된다면, 건설장비들 사이에 블루투스 중계기를 도처에 구비하여, 서브 통신단말기(100)와 메인 통신단말기(200)간에 블루투스 중계기를 경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연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신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 요청을 위한 근거리 통신 개시 요청 신호를 교환한다. 서브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200)는, 수신한 근거리 통신 개시 요청 신호 중에서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1100)에 할당된 메인 통신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단말기가 있다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인접한 단말기 중에서 메인 통신단말기(200)가 복수개로 여러개가 있다면, 가장 센 신호를 보내는 메인 통신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을 진행한다.
서브 관제정보 생성부(1300)는, 서브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서브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서브 관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브 건설장비의 연료량을 감지한 경우, 해당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연료량이 포함된 서브 관제정보를 생성한다.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1400)는,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서브 관제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마다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연료량이 포함된 서브 관제정보를 매일 아침 7시와 저녁 7시마다 주기적으로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메시지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메인 통신단말기(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2100), 메인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0), 이동 통신부(2300), 메인 관제정보 생성부(2400), 통합 관제 메시지 생성부(2500), 및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2100)는, 서브 통신단말기(100)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단말기 식별정보는, 단말기 일련번호, 단말기 제조번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메인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0)는, 인접한 서브 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한다. 만약, 건설 현장의 특성상 블루투스 통신 범위를 벗어나서 건설 장비들이 위치하게 된다면, 건설장비들 사이에 블루투스 중계기를 도처에 구비하여, 서브 통신단말기(100)와 메인 통신단말기(200)간에 블루투스 중계기를 경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23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제 서버(300)와 이동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관제 서버(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모뎀 및 코덱을 가지는 데이터처리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거나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변조 및 부호화하여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코덱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패킷 등을 처리하여 음성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 관제정보 생성부(2400)는, 메인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메인 관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인 건설장비의 연료량을 감지한 경우, 해당 메인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연료량이 포함된 메인 관제정보를 생성한다.
통합 관제 메시지 생성부(2500)는,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한다. 통합 관제 메시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 필드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헤더 필드에는 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목적지 주소, 소스 주소 등이 기록되며, 데이터 필드에는,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서브 관제 정보와 메인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메인 관제 정보가 기록된다.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2600)는, 생성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매일밤 10시마다 주기적으로 관제 서버(300)에 통합 관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해진 주기마다 통합 관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지만, 도난, 화재발생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정해진 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 발생한 실시간으로 통합 관제 메시지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한다. 그래야만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를 위하여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1400)는, 엔진 정지 중에 연료가 감소하는 연료 도난 경보상황을 포함한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이 발생하자마자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서브 통신단말기(100)는, 서브 건설장비의 엔진으로부터 엔진 온/오프 정보와, 주유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다가, 엔진 오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주유량이 감소하고 있는 경우 연료 도난이라고 판정하여,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1400)는, 긴급 상황으로서,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통신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통신단말기(200)의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2600)는,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300)에 즉시 전송한다. 따라서 관제 서버(300)는 긴급상황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 알람 전송하여, 보안 요원이 건설 현장에 급파되어 긴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서브 통신단말기
200:메인 통신단말기
300:관저 서버
400:이동통신망

Claims (7)

  1. 서브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서브 건설장비에 탑재된 통신단말기로서, 서브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서브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서브 통신단말기;
    메인노드로서 설정된 건설장비인 메인 건설장비에 탑재되어, 메인 건설장비의 관제정보인 메인 관제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통신단말기; 및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하되, 복수의 메인 통신단말기 중에서 가장 센 신호 세기를 가지는 메인 통신단말기를 선택하여 선택한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상기 서브 관제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며,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서브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브 관제정보를 메인 관제정보와 결합하여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되, 상기 관제 서버에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는,
    메인 통신단말기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 메인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
    메인 통신단말기 중에서 가장 센 신호를 보내는 메인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서브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서브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서브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서브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서브 관제정보 생성부; 및
    서브 건설장비의 아이디와 서브 관제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마다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는,
    서브 통신단말기의 고유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 서브 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저장부;
    서브 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메인 통신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관제 서버와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부;
    메인 건설장비의 장비 상태를 감지하여, 메인 건설장비 아이디와 장비 상태가 포함된 메인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메인 관제정보 생성부;
    상기 서브 관제정보와 메인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합 관제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브 통신단말기의 서브 관제정보 전송부는,
    엔진 정지 중에 연료가 감소하는 연료 도난 경보상황을 포함한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상기 서브 관제정보 전송 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이 발생하자마자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를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통신단말기의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부는,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합 관제 메시지 전송주기가 아니더라도 긴급상황의 서브 관제정보가 포함된 통합 관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KR1020160053992A 2016-05-02 2016-05-02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KR101678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992A KR101678027B1 (ko) 2016-05-02 2016-05-02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992A KR101678027B1 (ko) 2016-05-02 2016-05-02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027B1 true KR101678027B1 (ko) 2016-11-21

Family

ID=5753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992A KR101678027B1 (ko) 2016-05-02 2016-05-02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0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199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초고속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한 건설중장비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3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1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안전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5198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건설중장비의 고장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0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건설중장비의 이상징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2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209A (ko) 2008-12-23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에 장착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1649A (ko) * 2010-12-23 2012-07-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원격관리장치
KR20150009216A (ko) * 2013-07-16 2015-01-26 세진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이 용이한 원격검침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209A (ko) 2008-12-23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에 장착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1649A (ko) * 2010-12-23 2012-07-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원격관리장치
KR20150009216A (ko) * 2013-07-16 2015-01-26 세진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이 용이한 원격검침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199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초고속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한 건설중장비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3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1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안전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35198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건설중장비의 고장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0A (ko) 2022-03-15 2023-09-25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건설중장비의 이상징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30135202A (ko) 2022-03-15 2023-09-25 도평건기 주식회사 타워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027B1 (ko) 건설장비 관제 시스템
CN101171878B (zh) 移动通信系统和移动设备
US20120143397A1 (en) Ass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CA248144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telematics store and forward messaging for peer-to-peer and peer-to-peer-to-infrastructur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5516664A (zh) 一种基于云存储的智能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02821354A (zh) 定位告警系统及方法
CN103281337A (zh) 设备集中管理的方法、服务端和系统
CN111491303B (zh) 基于LoRa-Mesh的楼宇通讯系统及楼宇通讯自组网方法
CN102833674A (zh) 网络接入系统及方法
CN107306212B (zh) 智能家居告警方法、装置、智能防控终端及家庭智能网关
KR102422614B1 (ko) 비콘 및 이를 이용한 도난감지방법
CN204463414U (zh) 大型工程机械设备的多信道全方位监控系统
WO2006023841A2 (en) Roadside-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3139544A (zh) 嵌入即时通讯工具的网络摄像机
CN105187504A (zh) 一种基于融合通信技术的车辆远程监控方法及系统
CN104503417A (zh) 一种水电站监测系统
EP1220555A2 (en) Autonomous sms remote management device for printers, copiers and fax machines
US20110298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lert Notification System
CN103390298A (zh) 远程门禁信息采集系统
CN105230058A (zh) 用于控制蜂窝自组网中远程无线电设备的丢失和盗窃的技术
JP491160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464607B1 (ko)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을 이용한 다목적 문제차량 알림시스템
CN203086605U (zh) 嵌入即时通讯工具的网络摄像机
KR20210025311A (ko) 건설장비 사고방지 안전 대응용 엘티이/5지 통신 및 아이오티 기반 지능형 관제 모니터링시스템
CN101552957B (zh) 为企业提供邮件推送服务的方法和邮件推送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