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99B1 - Humidifi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umidifi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99B1
KR101677499B1 KR1020130004218A KR20130004218A KR101677499B1 KR 101677499 B1 KR101677499 B1 KR 101677499B1 KR 1020130004218 A KR1020130004218 A KR 1020130004218A KR 20130004218 A KR20130004218 A KR 20130004218A KR 101677499 B1 KR101677499 B1 KR 10167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water
wa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2026A (en
Inventor
장길상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99B1/en
Publication of KR2014009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2003/026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the devices being located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24F2006/1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using pressurised water for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컵홀더 기능과 가습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하고, 물을 항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 전체에 걸쳐 고른 가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습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가습장치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차량의 컵 홀더부에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내벽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벽이 상기 컵 홀더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한된 차량 실내의 공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컵 홀더부의 공간 안에서 가습 기능 및 컵 홀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되고, 살균 효율을 극대화 가능하며, 웰빙 기능이 추가되어 승객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cup holder function and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capable of maintaining water at all times in a clean state and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uniform humidification throughout the vehicle interior. The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humidifier portion having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a cup holder portion of a vehicl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and converting water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into water vapor, And a hollow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to receive water for humidifying the sp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ccordingly, the humidification function and the cup holder func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space of the cup holder portion without occupying a separate space in the limited vehicle interior space,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maximizing sterilization efficiency, Not only the comfort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차량용 가습장치{HUMIDIFIER FOR VEHICLE}[0001] HUMIDIFIER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 히터의 사용 등으로 인해 건조해진 차량 실내에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습도를 증가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한 공조 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provides a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to a passenger by increasing the humidity by supplying water vapor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that has been dried due to use of a heater in winter.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차량 실내의 건조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용 가습장치가 설치된다. 선 출원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008103호(2006.01.12)에는 차량용 조명 부착 분무기가 개시된바 있다.Generally, a humid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improve the dry environment of the vehicle interior.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008103 (Jan. 12, 2006) discloses an atomizer equipped with a vehicle ligh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조명 부착 분무기는 창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와, 공기 유통부가 형성된 바닥 뚜껑과, 팬과, 내부통과, 액체 공급부(5a)와 초음파 진동부(5b)로 구성된 액체 유도 수단(5)과, 액체 탱크(6)와, 공기 유출입구(7a)가 형성된 공기 유동통(7)과, 공기 유입구(8a)와 미립자 유출구(8b)가 형성되고 초음파 진동부(5b)를 내장한 미립자 유동통(8)과, 조명 수단(9)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sprayer with a vehicle illumination light has a body case with a window, a bottom lid with an air flow portion, a liquid with a fan, an internal passage, a liquid supply portion 5a and an ultrasonic vibration portion 5b An air flow passage 7 in which an air flow outlet 7a is formed and an air flow inlet 8a and a fine particle outlet 8b are formed and an ultrasonic vibration section 5b, A microfluidic flow tube 8 with a built-in microfluidic device 9, and a lighting means 9.

한편, 선 출원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55138호(2005.09.22)에는 차량용 간이 가습 겸 방향기가 개시된바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간이 가습기는 알루미늄 캔(1)의 상부에 간단히 개방할 수 있는 뚜껑(2)을 설치하고, 알루미늄 캔(1)의 내부에 흡수재(3)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알루미늄 캔(1)의 뚜껑(2)을 열고 음료병(4)을 장착할 수 있으며, 방향제 액체를 흡수재(3)에 흡수시키고 에어컨 송풍구에 장착된 드링크 홀더에 장전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255138 (2005.09.22) fil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s a simple humidifying and directing device for a vehicle. 2, a conventional humidifier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lid 2 which can be easily opened on an upper part of an aluminum can 1, and an absorber 3 is mounted inside the aluminum can 1 . As a result, the lid 2 of the aluminum can 1 can be opened and the beverage bottle 4 can be mounted, and the perfume liquid can be absorbed into the absorbent 3 and loaded into the drink holder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가습장치는 차량 실내의 공간을 일정 부분 점유하여 공간 활용 효율이 떨어지며, 컵홀더에 장착하는 구조의 경우 컵홀더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습장치 내의 물이 오염되기 쉽고, 이로 인해 세균이 발생하여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습된 습기가 차량 실내 먼 곳까지 공급되지 못하고 실내 일부에만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umid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occupies a certain portion of a space in a vehicle interior, resulting in a low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is mounted on a cup holder, the function of the cup holder can not be used. In addition, water in the humidifier is liable to be contaminated, thereby causing bacteria to generate hygiene problems, and humidified moisture can not be supplied to a remote part of the vehicle, and the humidification is concentrated only in a part of the room.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008103호(2006.01.12)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008103 (2006.01.12)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55138호(2005.09.22)Patent Document 2: JP-A-2005-255138 (September 22, 200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컵홀더 기능과 가습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하고, 물을 항시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 전체에 걸쳐 고른 가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습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function and the humidifying function are combined, the water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an improved structure And a humidifying device for humidifying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는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차량의 컵 홀더부에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내벽에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벽이 상기 컵 홀더부에 삽입된다.The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midifier portion having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a cup holder portion of a vehicl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and converting water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into water vapor, A hollow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to receive water for humidifying the sp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는 제한된 차량 실내의 공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컵 홀더부의 공간 안에서 가습 기능 및 컵 홀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되고, 살균 효율을 극대화 가능하며, 웰빙 기능이 추가되어 승객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humid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in a limited vehicle interior space but simultaneously performs a humidifying function and a cup holder function in the space of the cup holder portion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 well-being function is added, which not only improves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but is also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조명 부착 분무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간이 가습 겸 방향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가 설치되는 컵홀더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에 음료 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심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심지부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의 몸체와 뚜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sprayer with a light for a vehicle,
Fig. 2 shows a conventional humidifying and directing device for a vehicle,
FIG. 3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unit in which a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humidify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everage container is mounted on a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re portion of a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ly cut-away sectional view of a shroud section of a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ody and a lid of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가습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device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차량의 좌측 좌석(101)과 우측 좌석(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의 컵 홀더부(103)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본체부(130) 및 가습부로 구성된다.3 to 11, a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holder por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seats 101 and 102) of a vehicle installed between a left seat 101 and a right seat 102 103, and includes a main body 130 and a humidifier.

본체부(130)는 차량의 컵 홀더부(103)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컵 홀더부(103)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좌석(101)과 우측 좌석(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밖의 차량 실내 다른 곳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컵 홀더부(103)는 음료 용기(199)를 수용하거나 거치하는 기능을 한다.The main body part 130 is insertable into the cup holder part 103 of the vehicle. The cup holder 10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seat 101 and the right seat 102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installed elsewhere in the vehicle. The cup holder 103 serves to receive or hold the beverage container 199.

가습부는 상기 본체부(13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여, 차량 실내를 가습하는 기능을 한다. 가습부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The humidifying unit converts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130 into water vapor to humidify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체부(130)는 내벽과 외벽을 구비하며, 내벽에 안착홈(131)이 형성된다. 안착홈(131)은 본체부(130)의 내벽을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음료 용기(199)를 수용한다. 본체부(13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중공의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공간부(111)에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된다. 본체부(130)의 외벽은 컵 홀더부(103)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30 has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a seating groove 131 is formed on the inner wall. The seating groove 131 is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130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199 by forming a space. A hollow space 11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130, and water for humidifying is received in the space 111.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13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103.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본체부(130)가 내벽과 외벽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이중 구조의 벽 사이에 공간부(111)를 형성하여 가습을 위한 물을 수용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컵 홀더부(10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습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컵 홀더부(103)에 삽입된 상태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홈(131)에 음료 용기(199)를 안착시켜 컵 홀더의 기능을 겸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차량 실내의 공간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컵 홀더부(103)의 공간 안에서 가습 기능 및 컵 홀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된다.As a result, in the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30 has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a space portion 111 is formed between the walls of the double structure, The user can perform the humidifying func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103 of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103, The beverage container 199 is seated, and the function of the cup holder is combined. Therefore,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humidifying function and the cup holder function in the space of the cup holder 103 without occupying a separate space in the limited vehicle interior space.

즉, 본체부(130)는 내벽 및 외벽이 상기 컵 홀더부(103)에 대응되는 원형 컵 형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체부(130)는 내벽과 외벽이 결합되어,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공간부(111)를 가지며, 본체부(130)가 전체적으로 폐곡선 형태의 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본체부(130)는 몸체(110)와 뚜껑(120)으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뚜껑(12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121)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부재(115)로 결합되어 몸체(1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That is, the main body 130 has a circular cup shape with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103.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30 is coupled with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has a space portion 111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the body portion 130 has an annular shape as a whole. The main body 130 includes a body 110 and a lid 120. The body 110 is formed such th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closed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space portion 11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The lid 120 has a closed upper part and an opened lower part and is formed with a space part 121. The upper part of the lid 1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by the fastening member 115, Thereby enabling opening and closing.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체부(130)가 컵 홀더부(103)에 원활히 안착 삽입됨과 아울러 본체부(130) 내부로 음료 용기(199)를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컵 홀더부(103)의 한정되고 비교적 좁은 공간 안에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본체부(130)의 구조를 통해 집약적인 설계가 가능하며, 최적의 공간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The main body part 130 is smoothly seated in the cup holder part 103 and the beverage container 199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part 130. The cup holder part 103 It is possible to form a sufficient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in a limited and relatively narrow spa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sign intensively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30, and to have an optimum space utilization.

참고로, 본체부(130)는 원형 컵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도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안착홈(131)에는 음료 용기(199) 이외에도 다른 물건을 보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3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the shape of a circular cup, and other types of articles may be stored in the seating groove 131 in addition to the beverage container 199.

또한, 가습부는 초음파 진동자(160)와, 심지부(140)를 포함한다.The humidifying unit includes an ultrasonic vibrator 160 and a wick 140.

초음파 진동자(160)는 본체부(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을 진동하여 수증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초음파 진동자(160)는 뚜껑(120)에 설치되며,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초음파 진동자(160)를 결합하기 위한 거치홈(121)이 뚜껑(120)에 형성된다. 초음파 진동자(160)는 심지부(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심지부(140)로부터 흡수된 물을 진동시켜 발생된 수증기를 차량 실내로 보내도록 구성된다.The ultrasonic transducer 160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30 and functions to convert water into steam by vibrating the water. The ultrasonic transducer 160 is installed on the lid 120. In this case, the lid 120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21 for connecting the ultrasonic transducer 160 as shown in FIG. The ultrasonic transducer 16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ick 140 and is configured to send water vapor generated by vibrating water absorbed from the wick 140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심지부(140)는 초음파 진동자(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체부(130)의 공간부(111)로 삽입된다. 상기 심지부(140)는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초음파 진동자(160)로부터 본체부(130)의 공간부(111)를 향해 하부로 수직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심지부(140)는 모세관력에 의해 공간부(111) 내의 물을 흡수하여 초음파 진동자(160)까지 상부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비교적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초음파 진동자(160)까지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The wrinkle portion 140 is disposed below the ultrasonic vibrator 160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30. The wick 140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ultrasonic vibrator 160 toward the space 111 of the body 130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1. [ The wick 140 absorbs the water in the space 111 by the capillary force and feeds the water up to the ultrasonic vibrator 160.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pace 11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30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ultrasonic vibrator 160 through the relatively small width.

또한, 상기 심지부(140)는 심지와 심지 커버로 구성된다. 심지는 스펀지 등의 흡착 성질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 초음파 진동자(160)로부터 하부를 향해 길게 형성되어 공간부(111)의 물을 흡수한다. 심지 커버는 심지를 감싸고 있으며, 다수의 관통공(143)이 형성된다. 관통공(143)은 심지 커버의 내부에 수용된 심지를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과 통하게 한다. 따라서, 심지는 물의 유동에 의해서도 그 형태를 보존할 수 있고, 심지 커버에 형성된 관통공(143)을 통해 심지가 물을 흡착하여 초음파 진동자(160)까지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The wick 140 is composed of a wick and a wick cover. The wic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dsorption properties such as sponge and is formed to be long from the ultrasonic vibrator 160 to absorb water of the space portion 111. The core cover surrounds the cor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3 are formed. The through hole 143 allows the wick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wick cover to communicate with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30. Accordingly, the wick can preserve its shape by the flow of water, and the wick can adsorb the water through the through-hole 143 formed in the wick cover and smoothly transfer it to the ultrasonic vibrator 160.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심지 커버는 제1 커버(141)와, 제2 커버(142)로 구성된다. 제1 커버(141)는 본체부(130) 중 뚜껑(1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외측면에 돌출부를 갖는다. 이 경우, 뚜껑(120)에는 제1 커버(141)의 돌출부를 결합 지지하기 위한 단턱홈(122)이 형성되며, 제1 커버(141)의 상단은 초음파 진동자(160) 측까지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커버(142)는 제1 커버(141)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8 and 9, the wick cover is constituted by a first cover 141 and a second cover 142. In addition, The first cover 141 is fixed to the lid 120 of the main body 130 and has a protrusion on the upper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lid 120 is formed with a step groove 122 for engaging and supporting the protrusion of the first cover 14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141 extends upward to the side of the ultrasonic vibrator 160 have. The second cover 142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41.

또한, 제2 커버(142)는 제1 커버(141)에 대해 인입 가능하게 이루어져, 심지 커버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 커버(142)는 제1 커버(141)의 하단 개구부로 삽입되어 제1 커버(14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제1 커버(141)가 제2 커버(142)의 내부에서 상승 시 심지 커버의 전체 길이는 축소되고 제1 커버(141)가 제2 커버(142)의 내부에서 하강 시 심지 커버의 전체 길이는 신장된다. 이 경우, 제1 커버(141)와 제2 커버(142)의 사이에는 스프링(144)이 개재되며, 스프링(144)은 양측이 각각 제1 커버(141)의 단턱(1411)과 제2 커버(142)의 단턱(1421)에 지지된다.The second cover 142 is configured to be pivotable relative to the first cover 141 so that the core cover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cover 142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first cover 14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irst cover 141, and the first cover 14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ver 142 The overall length of the wicking cover is reduced and the entire length of the wicking cover is extended when the first cover 141 is lowered inside the second cover 142. [ In this case, a spring 144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141 and the second cover 142, and both ends of the spring 144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step 1411 of the first cover 141, (Not shown).

따라서, 제2 커버(142)는 제1 커버(14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심지 커버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본체부(130)의 형상에 대응되어 적용 가능하고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적절히 심지 커버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심지 커버에는 신장 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와 홈 형태의 스토퍼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144)이 심지 커버를 신장된 상태로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물의 요동이 있을 때 심지 커버를 물의 하부까지 항시 뻗어 있게 유지하여 물의 흡수력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ver 142 can be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130 having various heights, as the length of the core cover is adjusted while being vertically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141, The humidify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re cover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1 of the indoor unit 130. In this case, the wick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and a groove-shaped stopper means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wrist. In addition, the spring 144 may be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widened cover in a stretched state, so that when the water swings, the widening cover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to the bottom of the water to maintain the water absorption pow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살균 램프(190)를 더 구비한다. 살균 램프(190)는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살균 램프(190)는 뚜껑(1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뚜껑(120)의 하부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 살균 램프(190)는 단일개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살균 램프(190)는 뚜껑(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램프(190)의 구성을 통해 본체부(130)에 수용된 물을 항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탑승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umid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rilizing lamp 190. The sterilizing lamp 190 functions to steril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1 of the main body 130. The sterilizing lamp 19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120 to steril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lower space portion 111 of the lid 120. In addition, although the sterilizing lamps 190 are shown as a single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rilizing lamps 190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120. Thus,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130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terilizing lamp 190, and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can be improved by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레벨 센서(150)를 더 구비한다. 레벨 센서(150)는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삽입되어,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레벨 센서(150)는 심지부(14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부가 뚜껑(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가 본체부(130)의 공간부(111) 하부까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체부(13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정확히 측정 가능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물의 교체 시기를 탑승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vel sensor 150. The level sensor 15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30 and functions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portion 111. The level sensor 150 is dispos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wedge portion 140 and extends vertically to a low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30 while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lid 12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130 can be accurately measured and displayed externally, and the passeng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water replacement tim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기능성 액체부를 더 구비한다. 기능성 액체부는 본체부(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향료, 비타민, 아로마, 치유액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능성 액체부는 본체부(13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본체부(130)에 수용된 물에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액체부의 액체가 본체부(130)에 수용된 물과 함께 차량 실내로 공급되거나 가습된 수분과 함께 차량 실내로 혼합 공급되어 탑승자의 웰빙, 고기능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unctional liquid portion. The functional liquid par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30 and is made of at least one of perfume, vitamin, aroma, and healing liquid or a mixture thereof. The functional liquid portion may be separately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30 or may be mixed with water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130. Therefore, the liquid of the functional liquid portion can be su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together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130 or mixed with moisture humidif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ereby satisfying the well-being and high-functioning desire of the occupant.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를 더 구비한다.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는 본체부(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는 뚜껑(120)의 공간부(121) 내에 수용되게 설치된다.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여, 가습과 이온발생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된 이온이 가습장치의 분출력에 의해 차량 실내로 멀리 날아갈 수 있으며, 차량 실내 전체의 가습 및 이온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는 본 실시 예와 같이 본체부(130)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고, 별도로 가습장치 옆에 장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uster ion generator 186. The cluster ion generator 186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130 and in this embodiment the cluster ion generator 186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121 of the lid 120. The cluster ion generator 186 functions to generate ions to simultaneously generate humidification and ion generation. The ions generated by the cluster ion generator 186 can be blown away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the minute output of the humidifier. The supply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e cluster ion generator 186 may be housed inside the main body 13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beside the humidifier.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30)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각각의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부(130)의 몸체(110)는 공간부(111)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 몸체(110a) 및 제2 몸체(110b)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본체부(130)는 2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30)가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여, 각 구획된 공간부에 다양한 기능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각 구역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량만큼만 대응하고 나머지는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ain body 1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s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body 110 of the body part 130 has the space part 111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s to form the first body 110a and the second body 110b. In this case, the main body 130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zones. In this manner, the main body 130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liquid in the various functions can be received in the partitioned spaces, and the water level of the received water is formed differently for each area, Can be stored.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120)은 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몸체(110)의 상단에는 슬라이드 홈(117)이 둘레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며, 뚜껑(120)의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홈(1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뚜껑(120)은 몸체(110)에 대해 원주 방향, 즉,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20)에 장착된 살균 램프(190)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정이 가능하고, 심지부(140)를 구획된 본체부(130)의 서로 다른 용액에 선택적으로 담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 방향을 탑승자가 원하는데로 돌려 선택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lid 1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10. The lower end of the lid 1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7 so that the lid 1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the sterilizing lamp 190 mounted on the lid 120 can be set in various directions, and the wick 140 can be selectively carried on different solutions of the partitioned main body 130. 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direction can be selected by turning to the desired direction of the passenger,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가습장치(100)는 본체부(130)에 제어회로(185)와, 온오프 스위치(180)와, 램프(170)를 구비한다.The humid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circuit 185, an on-off switch 180, and a lamp 170 in a main body unit 130.

제어회로(185)는 본체부(130) 중 뚜껑(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초음파 진동자(160)에 전력을 공급하고 가습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온오프 스위치(180)는 본체부(130) 중 뚜껑(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원할 때 메뉴얼로 가습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170)는 뚜껑(120)의 상단에 설치되며, 물의 교체 시기 등을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초음파 진동자(16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습된 수분이 차량 실내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The control circuit 185 is installed inside the lid 120 of the main body 130 and supplies power to the ultrasonic vibrator 16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er. The on / off switch 1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20 of the main body 130 so that the occupant can manually control the on / off of the humidifying device when desired. The lamp 17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id 120, and functions to displa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water and the like externally. In addition, the ultrasonic oscillator 16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units. As a result, the humidified moisture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습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humidifica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merely an example,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가습장치 103 : 컵 홀더부
110 : 몸체 120 : 뚜껑
111 : 공간부 130 : 본체부
131 : 안착홈 140 : 심지부
141 : 제1 커버 142 : 제2 커버
143 : 관통공 150 : 레벨 센서
160 : 초음파 진동자 170 : 램프
180 : 온오프 스위치 190 : 살균 램프
100: Humidifier for vehicle 103: Cup holder part
110: body 120: lid
111: space part 130:
131: seat groove 140:
141: first cover 142: second cover
143: Through hole 150: Level sensor
160: ultrasonic vibrator 170: lamp
180: on-off switch 190: sterilizing lamp

Claims (11)

음료 용기(199)를 수용하는 차량의 컵 홀더부(103)에 삽입 설치되는 본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3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는 내벽에 음료 용기(199)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3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1)에 가습을 위한 물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부(130)의 외벽이 상기 컵 홀더부(10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And a humidifying portion for conver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dy portion 130 into water vapor, the humidifying portion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130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ortion 103 of the vehicle that houses the beverage container 199, In the apparatus,
The main body 130 has a seating groove 131 for receiving the beverage container 199 on the inner wall thereof and a hollow space 111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130, Wherein water for humidification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 (111), and an outer wall of the body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art (10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는 내벽 및 외벽이 상기 컵 홀더부(103)에 대응되는 원형 컵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벽과 외벽이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111)를 갖는 폐곡선 형태의 고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art 130 is formed in a circular cup shape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part 103 and has an annular shape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coupled with the space part 111 therebetween Wherein the humidity adjusting device compri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을 진동하여 수증기로 변환하는 초음파 진동자(160);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130)의 공간부(111)로 삽입되어 모세관력에 의해 물을 흡수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자(160)까지 이송시키는 심지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ying portion includes:
An ultrasonic vibrator 160 formed on the main body 130 to convert water into water vapor by vibrating the water; And
And a wick 140 disposed below the ultrasonic vibrator 160 and inserted into the space 111 of the body 130 to absorb water by the capillary force and deliver the water to the ultrasonic vibrator 160 And a humidifying device for humidifying the vehic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140)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심지와, 상기 심지를 감싸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43)이 형성된 심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ck 140 includes a wick for absorbing water and a wick cover for covering the wick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143 formed therei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커버는 상기 본체부(130)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커버(141)와, 상기 제1 커버(141)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커버(142)를 구비하고, 제2 커버(142)가 제1 커버(141)에 대해 인입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r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141 fixed to the main body 130 and a second cover 142 slidab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141. The second cover (142) is configured to be retractable relative to the first cover (141),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살균 램프(1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rilizing lamp (190) for sterilizing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1) of the main body (13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의 공간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레벨 센서(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evel sensor (150) inserted into the space (111) of the main body (130) and detecting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1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의 내부에 향료, 비타민, 아로마, 치유액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액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능성 액체부는 상기 본체부(130)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본체부(130)에 수용된 물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al liquid portion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130 or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30. The functional liquid portion may include a functional liquid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erfume, vitamin, aroma, ) Is mixed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humidifying apparatu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클러스터 이온발생기(18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uster ion generator (186) for generating ions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13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개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각각의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art (130) is separable in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directions, and spaces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0)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111)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120)은 몸체(110)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art 130 includes:
And a lid 1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lid 12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is rotatabl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10).
KR1020130004218A 2013-01-15 2013-01-15 Humidifier for vehicle KR101677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18A KR101677499B1 (en) 2013-01-15 2013-01-15 Humidifi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218A KR101677499B1 (en) 2013-01-15 2013-01-15 Humidifi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026A KR20140092026A (en) 2014-07-23
KR101677499B1 true KR101677499B1 (en) 2016-11-18

Family

ID=5173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218A KR101677499B1 (en) 2013-01-15 2013-01-15 Humidifi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0187A (en) * 2015-07-07 2015-10-21 常州市拓源电缆成套有限公司 Humid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N204956032U (en) * 2015-09-08 2016-01-13 林增通 Vehicle -mounted humidifier
CN107702262A (en) * 2017-09-27 2018-02-16 芜湖迈特电子科技有限公司 The humidifier of office
CN108749530A (en) * 2018-06-04 2018-11-06 芜湖明透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mounted air purification humidifier
DE102019114281A1 (en) * 2019-05-28 2020-12-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91Y1 (en) 2002-12-23 2003-04-11 성두창 Potable type cooling and heating box
KR200381874Y1 (en)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portable multifunctional humidifier
KR101032325B1 (en) 2010-03-05 2011-05-06 주식회사 세고라디칼 A humidifier being able to sterilize for portable and c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806U (en) * 1994-12-28 1996-07-20 Console box of car for installation of humidifier
JP2005255138A (en) 2004-03-14 2005-09-22 Michio Kuroo Simplified on-vehicle humidifier-cum-aroma device
JP2006008103A (en) 2004-05-26 2006-01-12 Narusa Tokyo:Kk On-vehicle spray with illumin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91Y1 (en) 2002-12-23 2003-04-11 성두창 Potable type cooling and heating box
KR200381874Y1 (en) 2005-02-03 2005-04-15 주식회사 프로네트텔레콤 portable multifunctional humidifier
KR101032325B1 (en) 2010-03-05 2011-05-06 주식회사 세고라디칼 A humidifier being able to sterilize for portable and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026A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499B1 (en) Humidifier for vehicle
US10143770B2 (en) Photocatalytic apparatus and HVAC equipment for vehicle comprising same
KR100876061B1 (en) Electronic heating type humidification
KR20060085043A (en) Appratus for generating mist for beauty
JP2003056873A (en) Electric space heater with humidifying function
JP2013032867A (en) Humidifier, and hot-air humidifier including the same
CN211977247U (en) Electric water heater
KR20160144678A (en) An humidification filter assembly
KR101261157B1 (en) Ultrasonic humidifier discharging vapor downward
KR200378534Y1 (en) A humidifier for car
JP6505509B2 (en) Pe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et mat
KR20140135425A (en) A natural evaporation type natural humidifier
KR101940646B1 (en) Naturally humidifiers installed in cars
WO2022075008A1 (en) Photocatalyst system
KR200491898Y1 (en) The heating device which is composed of the heater and hot air device
KR20160001555U (en) A humidifier for car
JP2013032866A (en) Humidifier, and humidified hot air heater with the same
WO2014030539A1 (en) Air conditioner
KR20140103752A (en) Humidifier with multi-hole
KR102199370B1 (en) Vehicle air purifier with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CN112665061A (en) Humidify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2008030534A (en) Vehicular air cleaner
KR102036616B1 (en) Humidification module
KR101566322B1 (en) Humidifier for vehicle
KR101515884B1 (en) Vehicles fragrance radi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