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162B1 -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 Google Patents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162B1
KR101676162B1 KR1020150046359A KR20150046359A KR101676162B1 KR 101676162 B1 KR101676162 B1 KR 101676162B1 KR 1020150046359 A KR1020150046359 A KR 1020150046359A KR 20150046359 A KR20150046359 A KR 20150046359A KR 101676162 B1 KR101676162 B1 KR 10167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case
hinge hole
outer cas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74A (ko
Inventor
남상용
조광현
남상우
Original Assignee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filed Critical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1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육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흔들려도 다육식물이 수용된 화분이 수직된 형태로 복원되어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고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띠가 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공간부에 내설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다육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Flowerpot of a fleshy plant for decoratirve purpose}
본 발명은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육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흔들려도 다육식물이 수용된 내부케이스가 수직된 형태로 복원되어 다육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외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들은 대부분 화분에 식재되어 것으로, 즉 일정한 크기의 화분에는 식물에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배양토가 채워져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배양토에 화초가 식재되어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상용 화분은 지속적인 관리와 애정을 쏟을 수 있도록 화분의 크기 및 무게는 한 손으로 드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작은 크기에서부터 여러 사람이 같이 합쳐야지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부피 및 크기가 큰 화분 등 여러 가지의 화분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화분을 휴대하기에 간편할 정도로 미니로 작게 제작하여 액세서리처럼 열쇠에 매달고 다니게 되면 항상 화분에 생식되는 화초와 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분 안에 있는 화초와 대화 및 친근해질 수 있어 정서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288931호의 휴대용 선인장 재배기는 상부면에 다수개의 공기홀(1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걸고리(30)가 고정되며 몸체 하부 끝단의 내측에 환형으로 내주 면에 돌출되게 걸림턱(22)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10)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2)과 접촉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몸체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요홈(16)과 저면에 배수 홀(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28)의 상부로 일정한 높이로 배양토(20)가 삽입되고, 상기 배양토(20)에 중앙으로 일정한 크기의 홀(24)이 형성된 스펀지(18)가 끼워 고정되는 하부 커버(12)를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1998-0013331호의 관상용 선인장 케이스는 관상용 선인장 케이스는 관상용 선인장을 자체 내에 보유하기 위한 관상용 선인장 케이스에 있어서, 관상용 선인장(14)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재료를 자체내에 보유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상부에 결합되어 덮여있고 공기의 통풍을 위한 공기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휴대하기에 간편할 정도로 미니로 작게 제작하여 액세서리형태로 제작하여 가방, 목걸이 등과 같은 휴대 및 작은 공간에 놓여져 관상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화분은 휴대하여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흔들림에 의해 내부에 식재된 식물이 원상으로 복귀되지 않고 거꾸로 있거나 옆으로 누워져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28893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001333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며,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회전시 다육식물이 식재된 내부케이스가 원상으로 복귀될 수 있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고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띠가 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공간부에 내설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다육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 상단 둘레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 상단 양측면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힌지공이 결합되어 지지함과 회전할 수 있도록 수평축방향으로 힌지축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 상단 양측면과 하단 중심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심부에는 제2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힌지공과 지지대의 제2힌지공에는 양측면에 회전베어링이 구비된 회전유도지지대의 일측단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유도지지대의 타측단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은 다육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흔들려도 다육식물이 수용된 내부케이스가 수직된 형태로 복원되어 다육식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육식물이 수용된 내부케이스가 수직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어 액세서리로 사용시 착용자와 다육식물의 표면이 맞닿지 않아 용이하게 액세서리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는 도 6a에 대한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도 7a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9a에 대한 평면도.
도 9c는 도 9b에 대한 "A" 확대도.
도 10a, 10b는 도 9a에 대한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1)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고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띠(12)가 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구형태의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공간부(14)에 내설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다육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무게추(24)가 설치된 내부케이스(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수용부(22) 상부에는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고정함과 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는 배양부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중심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24)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외주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외주가 반원형과 내부 하부중심부에 무게추(24)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충격 및 흔들림이 상기 내부케이스(20)에 전달되어 흔들려도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무게추(24)와 반구형에 의해 수직된 형태로 원상복귀하여 식재된 식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배양부재는 다육식물에 영양소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스펀지 또는 배양토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케이스(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외부케이스(10)는 상기 내부케이스(20)가 내설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통풍공이 형성된 구형태로 이룬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기가 더욱더 원활함과 내부의 식재된 식물을 쉽게 관찰 및 영양공급이 용이함과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나의 이상의 띠(1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구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가 구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충격과 흔들림이 발생시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곡선으로 따라 이동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하부 중심부에 위치함과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무게추(24)에 의해 수직된 형태로 원상복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0)에 식재된 식물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1)은 가방이나 목걸이 등에 걸어 사용될 수 있으나 책상, 탁상 등에 놓여 관상을 할 경우 상기 외부케이스(10)가 구형인 경우 충격에 의해 다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케이스(10)에 내설된 내부케이스(20)가 다양한 각도로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가 일정방향 축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내부케이스(20)는 구형태보다 빠르게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 및 충격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흔들림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 상단 둘레면에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탄성스프링(3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20)가 흔들리며,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20)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0)에 의해 1차적인 충격을 완충함과 복원이 더욱더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 내부에 내설되는 상기 내부케이스(20)를 더욱더 보호함과 상기 내부케이스(20)에 식재된 다육식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외주 상단 양측면에 힌지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힌지공(26)이 결합되어 지지함과 회전할 수 있도록 수평축방향으로 힌지축(16)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힌지축(16)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심부에 지지 및 회전되어 충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시 다육식물의 가시나 꽃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것을 방지 및 다육식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내부케이스(20)가 회전될 수 있어 충격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가 회전시 상기 내부케이스(20) 또한 회전되어 복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가 충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더욱더 안전하고 회전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도 9a, 9b,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외주 상단 양측면과 하단 중심부에는 힌지공(26)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지지대(28)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8)의 상부 중심부에는 제2힌지공(28-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0)의 힌지공(26)과 지지대(28)의 제2힌지공(28-2)에는 양측면에 회전베어링(42)이 구비된 회전유도지지대(40)의 일측단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유도지지대(40)의 타측단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가이드 홈(18)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1)은 도 10a,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도지지대(40)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지지되고 상기 회전유도지지대(40)의 회전베어링(42)과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무게추(24)의 작용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수직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가 충격에 의해 회전 및 이동되더라도 상기 회전유도지지대(40)의 회전베어링(42)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가이드 홈(18)에 따라 이동 및 회전되므로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언제라도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에 수직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은 다육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장식용 또는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이동 및 충격에 의해 흔들려도 다육식물이 수용된 내부케이스가 수직된 형태로 복원되어 다육식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육식물이 수용된 내부케이스가 수직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어 액세서리로 사용시 착용자와 다육식물의 표면이 맞닿지 않아 용이하게 액세서리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10 : 외부케이스 12 : 띠
14 : 공간부 16 : 힌지축
18 : 가이드 홈
20 : 내부케이스 22 : 수용부
24 : 무게추 26 : 힌지공
28 : 지지대 28-2 : 제2힌지공
30 : 탄성스프링
40 : 회전유도지지대 42 : 회전베어링

Claims (5)

  1.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고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띠가 구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공간부에 내설되며 내부 중심부에는 다육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 상단 둘레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탄성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 상단 양측면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힌지공이 결합되어 지지함과 회전할 수 있도록 수평축방향으로 힌지축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 상단 양측면과 하단 중심부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심부에는 제2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힌지공과 지지대의 제2힌지공에는 양측면에 회전베어링이 구비된 회전유도지지대의 일측단이 삽입되며 상기 회전유도지지대의 타측단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KR1020150046359A 2015-04-01 2015-04-01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KR10167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59A KR101676162B1 (ko) 2015-04-01 2015-04-01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59A KR101676162B1 (ko) 2015-04-01 2015-04-01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74A KR20160118074A (ko) 2016-10-11
KR101676162B1 true KR101676162B1 (ko) 2016-11-14

Family

ID=5716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359A KR101676162B1 (ko) 2015-04-01 2015-04-01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219A (ko) 2022-07-20 2024-01-29 김주희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관상용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181B1 (ko) * 2016-09-13 2018-12-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157U (ko) * 1985-02-20 1986-08-28
JPH0312860U (ko) * 1989-06-23 1991-02-08
KR100230498B1 (ko) 1996-07-25 1999-11-15 전주범 방송 프로그램별 음성등화 자동설정 시스템
KR100288931B1 (ko) 1998-10-13 2001-05-02 구자홍 유도가열조리기의 대기소비전력제어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219A (ko) 2022-07-20 2024-01-29 김주희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관상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74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162B1 (ko) 관상용 다육식물 화분
US20100095585A1 (en) Flower arrang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706775A (zh) 一种旋转免浇花盆
KR102433381B1 (ko) 통기성침대매트리스장치
CN205567210U (zh) 一种旋转免浇花盆
KR101920061B1 (ko) 무동력 천정 녹화 장치
KR20200039372A (ko) 수경 재배 용기
KR100843749B1 (ko) 화분거치대
KR200427858Y1 (ko) 화분거치대
US8201359B1 (en) Plant protection system
CN2511119Y (zh) 旋转式花盆托盘
JP3910980B2 (ja) 植木鉢転倒防止具
KR20110007697U (ko) 식물반지 세트
CN203827789U (zh) 防倒花盆
KR100531553B1 (ko) 장식용 꽃꽂이장치
JPS6023198Y2 (ja) 水中造花の装飾用容器
WO2015033571A1 (ja) 水耕栽培装置
TWM542932U (zh) 旋轉花盆結構
CN208317592U (zh) 一种新型林木育苗用营养钵
JP6293413B2 (ja) 植物栽培装置
CN207666371U (zh) 一种升降花架
CN203934397U (zh) 一种陶瓷花盆
KR20220074448A (ko) 쿨링 부케박스
TWM624100U (zh) 植栽之根域溫度隔絕容置結構
CN205993183U (zh) 可转动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