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967B1 -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967B1
KR101675967B1 KR1020100040434A KR20100040434A KR101675967B1 KR 101675967 B1 KR101675967 B1 KR 101675967B1 KR 1020100040434 A KR1020100040434 A KR 1020100040434A KR 20100040434 A KR20100040434 A KR 20100040434A KR 101675967 B1 KR101675967 B1 KR 10167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unit
analyz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030A (ko
Inventor
이동훈
정명영
이동윤
김종만
김비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8Switch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5Motion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를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안구의 이동에 따라 촬상 영역이 변화되어 촬상된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양안 정보를 분석하고 정보 경합/오버래핑을 분석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영상 정보 통합부;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 변화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를 분석하여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저장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4D image cognitive processor}
본 발명은 스마트 아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를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기록을 남기려는 인간의 욕구는 그림 및 문자를 통한 기록에서 영상을 원형 그대로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까지 발전하였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카메라는 카메라 본래의 기능인 촬영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촬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렌즈와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필름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타입과,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별도로 필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촬영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그 응용 범위가 극도로 확대되어 다양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는데,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상에서 화상 채팅을 지원하기 위한 캠코더와 일반적인 카메라의 기능인 스냅사진을 촬영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동영상 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적용은 휴대폰에까지 확대되어 기본적으로 휴대폰에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휴대폰이 단지 휴대폰의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촬영기능까지 포함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만 보유하고 있으면 휴대폰 기능과 함께 카메라 기능까지 더불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이와 같은 영상 기록 장치들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편리성 및 고효율성을 추구하는 수요자의 요구는 계속되고 있고, 인간과 영상 기록 장치가 분리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수요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현재 개발되고 있는 라이프로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기록 장치들 역시 인간 중심이 아닌 기계 중심적 형태를 갖고 있어 기술 개발에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라이프로그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ETRI의 라이프로그 시스템은 상용 카메라 모듈과 안경 부착형 영상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계 중심적인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동경대의 라이프로그 시스템 역시 기계중심적인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용 카메라 모듈을 채택하고 있고 입는 기기(Wearable Device) 기반으로 모자 부착형 영상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ylifeblts 역시 상용 카메라 모듈과 센서를 탑재한 목걸이 부착형 영상 인식 모듈을 갖는 것으로 기계 중심적인 형태이다.
그리고 미국 눈 연구소의 인공박막의 경우에도 상용 카메라 모듈을 갖고 이식형 전자칩 및 안경 부착형 영상 인식 모듈을 갖는 기계 중심적인 형태이다.
또한, 획득된 영상 신호의 처리에 있어서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신호 처리를 하기 때문에 영상속 물체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영상 기록 장치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과 영상 기록 장치가 분리된 형태가 아니고, 인간의 신체 영역 속으로 영상 기록 장치가 하나의 영역으로 결합되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 기록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를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 중심 결합이 아닌 인간 중심 결합의 새로운 개념의 영상 기록 장치를 구현하여 라이프로그 시스템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투명 형상 기억 소재를 사용하여 영상 소자를 제작하고, 인지공학기반 정보 처리 기술 및 저장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안구의 이동에 따라 촬상 영역이 변화되어 촬상된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양안 정보를 분석하고 정보 경합/오버래핑을 분석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영상 정보 통합부;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 변화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를 분석하여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저장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는,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부와,입력 영상의 특징 정보 추출(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색상 정보 추출(color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형상 정보 추출(shape information extraction)을 수행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2D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정보 통합부는,좌/우안 영상 정보의 불일치도를 분석하는 양안 정보 분석부와,양안 영상 정보의 경합, 오버래핑(Overlapping)을 분석하는 정보 경합/오버래핑 분석부와,좌/우안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3D 이지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는,눈동자의 움직임(saccadic eye movement)에 의한 중심시 대상의 변화를 분석하는 중심시 대상 변화 분석부와,시간에 따른 대상의 공간적 위치이동 및 움직임 정보 분석을 위한 움직임 정보 분석부와,시간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변화가 기록되는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4D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는,중심시/주변시 정보의 빈도를 분석하는 분도 분석부와,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는 가중치 부과부와,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 분석에 의해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인간의 신체 영역의 하나로 영상 기록 장치가 결합되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인지 능력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인간 중심 결합의 새로운 개념의 영상 기록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를 구현하여 인지심리학적 이용 가능성을 높인다.
넷째, 인간 중심 결합의 새로운 개념의 영상 기록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를 구현하여 라이프로그 시스템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인간 중심 결합의 새로운 개념의 영상 기록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를 구현하여 개인 일상 및 중요 사실 기록 특성을 높이고, 방범 및 범죄 기록/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라이프로그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관찰자의 중심시 패턴 변화 특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투명 형상 기억 소재를 사용하여 영상 소자를 제작하고, 인지공학기반 정보 처리 기술 및 저장 기술을 구현하여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4D는 3D 영상에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은 도 2에서와 같이 안구 부착 영상 인식 소자로, 눈 움직임에 따른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획득된 영상은 무선 전송되어 인지적 영상 정보 모듈을 통하여 중심시 정보의 인지적 분류 및 태깅 과정을 거친다.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콘택트 렌즈형 플렉시블 기판으로 본체가 구성되고 영상 인식 소자 및 플렉시블 태양전지 등으로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소자 그리고 데이터 송신을 위한 RF 송신부가 포함된다.
RF 송신부를 통한 데이터 송신은 지그비(Zigbee),와이파이(WiFi),블루투스(Bluetooth) 기술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은 도 4에서와 같이 투명하면서 플렉시블한 폴리머 기판상에 초미세 영상 인식 소자를 형성하고, 패키징 과정을 거쳐 안구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기판으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광도전성 폴리머로 선택적 파장 인식 특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이용한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영상 인식 소자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은 운동자의 움직임(Eye movements)에 따라 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빈도,위치 변화,움직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RF 송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무선 전송되는 영상 신호는 좌안에 장착된 아이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영상과 우안에 장착된 아이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영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투명 플렉시블 기판은 눈동자에 대응되는 중앙 영역이 오픈되는 렌즈 형태이고, 안구 장착의 체온을 기준으로 장착시의 형상을 기억한다.
즉, 안구 밀착 과정에서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은 체온 등에 의해 눈동자 형상에 맞게 형상 기억을 하게 된다.
사람이 사물을 볼때 사물의 전체가 한번에 인지되는 것이 아니고, 중심시의 이동에 따라 사물이 인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심시'는 사람의 동공이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물체를 지각할 수 있는 시각장(field of vision)을 뜻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동작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관찰자의 중심시 패턴 변화 특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도 5a에서와 같이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을 안구에 장착하고 아이 트랙킹을 시작하는 단계와 운동자의 움직임(Eye movements)에 따라 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빈도,위치 변화,움직임 정보를 갖는 영상을 획득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5b에서와 같이, 투명 플렉시블 기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아이 모듈을 안구에 장착하고(S501), 아이 트랙킹을 시작한다.(S502)
그리고 안구의 이동에 따라 촬상 영역이 변화되어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한다.(S503)
여기서, 획득되는 영상은 시간에 따른 중심시를 기준으로 한 대상 정보,빈도 정보,위치 변화 정보,움직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외부로 무선 전송한다.(S504)
여기서, 투명 플렉시블 기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아이 모듈을은 좌안과 우안에 모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로 무선 전송되는 영상은 좌안에 장착된 아이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영상과 우안에 장착된 아이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영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영상 획득 과정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촬상하는 동작과는 다르게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가 이용된다.
도 6에서 보면, 동일한 대상을 촬상하는 경우에도 특별한 요구가 없는 경우의 중심시의 이동은 도 6의 (a)에서와 같다.
그리고 등장인물 및 사물의 위치를 기억할 것을 관찰자에게 요구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의 중심시의 이동이 도 6의 (b)에서와 같다.
그리고 등장 인물의 경제 수준을 추정할 것을 관찰자에게 요구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의 중심시의 이동이 도 6의 (c)에서와 같다.
그리고 등장 인물의 연령 추정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관찰자의 중심시의 이동이 도 6의 (d)에서와 같다.
이와 같이 같은 그림에 대하여 그림 관찰자의 관심에 따라서 '중심시'의 패턴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은 사람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인간중심적,사실적 영상 인식 소자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을 스마트 아이 시스템에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은 도 7에서와 같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도 8에서와 같이, 크게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블록과 4D 입력 영상의 인지적 정보 추출 및 저장 블록으로 구성된다.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양안 부등 정보에 따른 3D 영상 신호 처리, 3D 영상의 시간(t)에 따른 변화 정보 추출, 영상 획득 빈도, 중심시 대상의 종류,공간적위치 이동, 움직임 정보 등에 기초한 신호 처리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도 9a에서와 같이,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91)와, 양안 정보를 분석하고 정보 경합/오버래핑을 분석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영상 정보 통합부(92)와, 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 변화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93)와,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를 분석하여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저장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9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91)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초당 10 ~ 60 frame으로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부(91a)와, 입력 영상의 특징 정보 추출(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색상 정보 추출(color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형상 정보 추출(shape information extraction)을 수행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2D 이미지 형성부(91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영상 정보 통합부(92)는 좌/우안 영상 정보의 통합을 위한 것으로, 좌/우안 영상 정보의 불일치도를 분석하는 양안 정보 분석부(92a)와, 양안 영상 정보의 경합, 오버래핑(Overlapping)을 분석하는 정보 경합/오버래핑 분석부(92b)와, 좌/우안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3D 이지미 형성부(92c)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93)는 시간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눈동자의 움직임(saccadic eye movement)에 의한 중심시 대상의 변화를 분석하는 중심시 대상 변화 분석부(93a)와, 시간에 따른 대상의 공간적 위치이동 및 움직임 정보 분석을 위한 움직임 정보 분석부(93b)와, 시간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변화가 기록되는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4D 이미지 형성부(93c)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94)는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 분석을 위한 것으로, 중심시/주변시 정보의 빈도를 분석하는 분도 분석부(94a)와,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는 가중치 부과부(94b)와,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 분석에 의해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94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는 이전의 영상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정적 2D 영상(static 2D image)의 형태, 위치, 색상등의 물리적 정보분석에만 치중하는 것에 비하여 양안 부등시에 대한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양안에 의한 영상 신호 입력시에 양안 부등시에 대한 정보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좌/우 시각에 맺힌 영상의 비주얼 각도(Visual angle), 초점 포인트(focal points) 등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2D 정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 및 통합하여 3D 이미지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정도를 고려하여 신호처리를 한다.
시간 도메인의 정보, 즉, 중심시 정보의 이동, 대상 물체의 형태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물체의 정체성(identity)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형태변화가 빈번한 대상은 사람, 동물, 차량 등의 움직이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입력 영상에서 형태 변화는 없고, 비주얼 각도(visual angle)에 따른 변화만 기록되는 대상은 집기, 건물 등 정적인 물체로 인식한다.
만약, 입력된 영상의 빈번히 나타나는 정보인 경우, 사용자의 주의(attention)가 집중된 정보이므로, 중심시야에 주로 맺히며, 이는 추후 정보인출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 시스템의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은 도 9b에서와 같다.
먼저,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에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2D 이미지를 형성하고(S901), 양안 정보의 불일치도를 분석한다.(S902)
그리고 정보 경합/오버래핑을 분석하여(S903) 3D 이미지를 형성한다.(S904)
이어, 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 변화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S905) 4D 이미지를 형성한다.(S906)
그리고 중심시/주변시 정보를 분석하여(S907),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저장한다.(S908)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 투명 형상 기억 소재를 사용하여 영상 소자를 제작하고, 인지공학기반 정보 처리 기술 및 저장 기술을 구현하여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중심시를 기준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신호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1.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
92. 영상 정보 통합부
93.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
94.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

Claims (5)

  1. 안구의 이동에 따라 촬상 영역이 변화되어 촬상된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
    좌/우안 영상 정보의 불일치도를 분석하는 양안 정보 분석부와, 양안 영상 정보의 경합, 오버래핑(Overlapping)을 분석하는 정보 경합/오버래핑 분석부와, 좌/우안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형성하는 3D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통합부;
    시간에 따른 중심시 대상 변화 및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를 분석하여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저장하는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 수신부는,
    중심시 기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부와,
    입력 영상의 특징 정보 추출(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색상 정보 추출(color information extraction), 입력 영상의 형상 정보 추출(shape information extraction)을 수행하여 2D 이미지를 형성하는 2D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변화 기록부는,
    눈동자의 움직임(saccadic eye movement)에 의한 중심시 대상의 변화를 분석하는 중심시 대상 변화 분석부와,
    시간에 따른 대상의 공간적 위치이동 및 움직임 정보 분석을 위한 움직임 정보 분석부와,
    시간에 따른 영상 정보의 변화가 기록되는 4D 이미지를 형성하는 4D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추이 기준 정보 처리 및 저장부는,
    중심시/주변시 정보의 빈도를 분석하는 분도 분석부와,
    영상 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는 가중치 부과부와,
    획득된 영상 종류의 단위시간당 빈도 분석에 의해 영상 정보의 시간적 추이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고려하여 처리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KR1020100040434A 2010-04-30 2010-04-30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KR10167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34A KR101675967B1 (ko) 2010-04-30 2010-04-30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34A KR101675967B1 (ko) 2010-04-30 2010-04-30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30A KR20110121030A (ko) 2011-11-07
KR101675967B1 true KR101675967B1 (ko) 2016-11-30

Family

ID=4539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434A KR101675967B1 (ko) 2010-04-30 2010-04-30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4555B (zh) * 2015-07-31 2017-09-29 盐城工学院 4d影片视频的动感文件采编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804A (ja) * 2002-02-28 2003-09-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視野映像生成装置、視野映像生成方法、視野映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804A (ja) * 2002-02-28 2003-09-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視野映像生成装置、視野映像生成方法、視野映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30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7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act and high resolution mind-view communicator
AU2016262576B2 (en) Privacy-sensitive consumer cameras coupled to augmented reality systems
CN102301316B (zh) 用户界面装置以及输入方法
CN110139028B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头戴式显示设备
JP2024504027A (ja) ポーズ推定方法及び関連する装置
CN109804357A (zh) 服务器、客户端、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71765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51904B2 (en) Gaze-driven recording of video
CN114419073B (zh) 一种运动模糊生成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6464287B (zh) 成像装置以及由成像装置实施的方法
EP3087727B1 (en) An emotion based self-portrait mechanism
CN105227828B (zh) 拍摄装置和方法
US117263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75967B1 (ko) 4d 영상 인지 프로세서
CN111385481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9867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CN114399622A (zh) 图像处理方法和相关装置
KR101709254B1 (ko) 선택적 파장 인식 원리를 이용한 플렉시블 형상 기억 아이 모듈
CN107426522B (zh) 基于虚拟现实设备的视频方法和系统
CN112114659A (zh) 用于确定用户的精细的注视点的方法和系统
CN108965850B (zh) 人体形态的采集装置及方法
WO2024046162A1 (zh) 一种图片推荐方法及电子设备
US20240137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Display Contents
KR20240057994A (ko) 입체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