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81B1 -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381B1
KR101675381B1 KR1020130063664A KR20130063664A KR101675381B1 KR 101675381 B1 KR101675381 B1 KR 101675381B1 KR 1020130063664 A KR1020130063664 A KR 1020130063664A KR 20130063664 A KR20130063664 A KR 20130063664A KR 101675381 B1 KR101675381 B1 KR 10167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connection
target service
session
q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077A (ko
Inventor
최용석
이숙진
박윤옥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381B1/ko
Priority to US14/293,903 priority patent/US9510279B2/en
Publication of KR2014014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지능형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구동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MAC}
본 발명은 멀티모드 단말에서 효율적인 지능형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적인 망의 변경이 없어도, 끊김없이 여러 멀티 무선망을 액세스 할 수 있는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 모드 단말은 복수의 모드가 존재 하는 단말로써 상황에 따라 모드를 달리 하면서 무선 접속을 할 수 있다.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예를 들면 3G와 Wi-Fi에 연결할 수 있는 두가지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09-0080320호는 현재의 멀티모드 단말은 각각의 모드를 단순 통합한 형태로 한가지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멀티모드 단말이지만 운용 중에는 한가지 모드만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모드 단말에서 동시에 여러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서비스의 트래픽 효율을 높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망의 변경없이, 여러 멀티 무선망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상이한 무선 액세스 방식에서 MAC 계층이 이미존재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핸들링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구동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MAC를 통하여 무선망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AT MAC는,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무선망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RAT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스케줄러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QoS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세션별 QoS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QoS를 기반으로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 단위로 연결 RAT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RAT에게 IP Packet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커넥션 컨트롤부,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자원관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세션 컨트롤부,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플로우 컨트롤부 및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MAC를 통하여 무선망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AT MAC는,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무선망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원관리부는, 상기 RAT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스케줄러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세션별 QoS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로우 컨트롤부는, 상기 QoS를 기반으로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단부는, 세션 단위로 연결 RAT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 RAT에게 IP Packet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모드 단말에서 동시에 여러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서비스의 트래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망의 변경없이, 여러 멀티 무선망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상이한 무선 액세스 방식에서 MAC 계층이 이미존재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핸들링 할 수 있다.
도 1은 멀티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MAC 구동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본 발명에 따른 MAC 구동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액세스가 가능한 구조에서 단말이 동시에 다른 무선액세스를 통해 각각의 무선자원을 수집 이용하여 단말 전체의 대역폭을 증가 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기종망은 서로 다른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므로 무선할당 방식이 상이하고 QoS(Quality of Service)를 조정하는 방법도 다르다. 향후 이동통신시스템의 셀 구조는 계층구조로 발달할 가능성 크다. 즉 여러 방식의 셀 구조가 공존하는 환경이 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은 서로 다른 셀을 넘나 들면서 해당 셀에 다이나믹하게 연결 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같은 액세스망과 네트워크 부분을 변경하거나 망 구조 자체의 변경이 필요하다. 이것은 비용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존재하는 단말 MAC 계층의 통합 기술을 통해 기존망의 변경 없이 무선 및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방법은 두 개의 계층으로 구성 되어 상이한 구조와 여러 QoS의 조건을 만족 하게끔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방법은 추가적인 망의 변경이 없어도, 끊김 없이 여러 멀티 무선망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여러 다양한 무선액세스 방식이 존재하는 셀 구조에서 자유롭게 무선 액세스 방식을 변경 할 수 있도록 발전해야 하는 이동통신 발전 방향에 부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방법은 여러 상이한 무선 액세스 방식에서 MAC 계층이 이미 존재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핸들링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멀티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MAC 구동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모드 단말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MAC 구동방법은 멀티 모드를 지원하지만, 동시에 2이상의 모드를 구동하지 못하고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도 1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예를들어, LTE, Wimax, Wlan 중 일순간에서의 작동은 LTE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역시 LTE MAC(10), WIMAX MAC(20), WLAN MAC(30) 중 LTE MAC/L2/L3(10)만이 작동한다. 즉, 일반적인 멀티 모드 단말은 각각의 모드(LTE, Wimax, Wlan)를 단순 통합한 형태로 한가지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멀티 모드 단말이지만 운용 중에는 한가지 모드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에 불과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장치(100)는 멀티 모드 단말의 각각의 모드인 LTE, Wimax, Wlan을 통합하여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중인 트래픽의 송수신을 여러 다른 모드를 통해서 동시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의 트래픽 송수신 성능이 각 모드의 성능을 합친 것 만큼 확장 할 수 있게 되며 서비스 트래픽 용량 증대로 실행중인 서비스의 QoS 조건을 더욱 쉽게 만족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S10),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단계(S30),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S40),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S50) 및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들어 단말기가 Power-On을 하게되면 단말이 지원 가능한 모든 RAT의 MAC에게 무선망을 연결하는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고, 접속 절차 수행 요청을 받은 각 RAT의 MAC들은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해당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실시한다. 여기서 각 RAT의 MAC란 각각의 RAT에 대응되는 MAC로서 예를 들어 WIBRO MAC, WLAN MAC, LTE MAC/L2/L3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각각을 RAT MAC라 칭한다.
이 때, 이와 같은 무선망 접속 절차는 각 RAT 별로 접속이 완료 될 때까지 계속되며, 이 과정이 완료 되면 단말은 자신이 지원하는 RAT를 통해 각 무선망에 필요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S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상기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는 상기 RAT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스케줄러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RAT 스케줄러들은 자신의 고유한 무선 액세스 방식에 따라 자신의 가용 자원 여부와 무선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RAT 마다 존재하는 별도의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RAT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RAT 정보란, 각 RAT의 가용자원 여부와 무선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S20 단계 이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를 확인하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S30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QoS를 확인하는 단계(S30)는 후술할 연결대상 서비스의 세션별 QoS를 확인할 수 있다. 시그날링 절차를 진행하여 서비스별 세션을 연결하면, 서비스 시작을 위해 시그날링 절차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별 세션이 연결되게 된다. 이 때, 설정된 세션을 관리를 할 수 있다.
S30단계 이후 상기 연결 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게 된다(S40). 세션별 서비스는 그 종류와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QoS를 가지게 된다.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는 상기 QoS를 기반으로 하여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란, 단말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VoIP 서비스, WEB, 메일 서비스, SNS 서비스, LBS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등이 있을 수 있다. 연결된 세션과 상기 세션별 QoS를 매핑하며, 이를 통해 세션별 QoS를 관리하게 관리하며 세션의 서비스별 우선 순위를 둘 수 있게 된다. 단말이 서비스 되기 위해서는 단말이 해당 무선방식이 정한 절차에 따라 호 접속 절차가 수행되며, 이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되게 된다. 단말 서비스의 데이터는 기 설정된 세션에 따라 송수신 되게 되며 이를 서비스 플로우라고 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는 각기 서비스 특성에 따르는 QoS를 가지게 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의 QoS에 따라 서비스에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이 후 S50단계에서는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한다. 여기서 연결 RAT란 S40단계에서 정해진 우선 연결 대상 서비스를 무선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RAT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우선연결대상 서비스가 SNS 서비스일 수 있고, 이러한 SNS 서비스를 무선망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LTE RAT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S50단계는 세션 단위로 연결 RAT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S60단계에서는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개시한다. 상기 S60단계는 상기 연결 RAT에게 IP Packet을 전달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커넥션 컨트롤부(110),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자원관리부(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세션 컨트롤부(130),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플로우 컨트롤부(140),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판단부(150)를 포함한다.
각 RAT의 MAC(210,220,230)는 하부에 RAT 별 무선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해당 RAT의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RAT 스케줄러가 존재한다. 각 RAT를 처리하는 MAC는 해당하는 무선접속 방식에 따른 고유의 무선 액세스 기법이 있다. 즉, 각 RAT 별로 무선 액세스 기법이 상이하다. 따라서 후술할 판단부(150)는 각 RAT의 스케줄러와 연동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각 RAT의 스케줄러는 가용자원 등 무선자원 정보를 주기적으로 판단부(150)에 보고한다. 상기 판단부(150)는 각 RAT의 스케줄러가 제공하는 무선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RAT별 가용 자원 상태를 알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장치(100)가 기존의 한가지 RAT만을 국한하여 관리하던 무선자원의 범위를 넘어서 단말이 지원하는 모든 RAT의 무선자원(310,320,330)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커넥션 컨트롤부(110)는 각 RAT의 무선 연결의 설정, 해제, 유지 관리를 하는 기능으로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모든 RAT에게 무선통신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예를들어 단말기가 Power-On을 하게되면 단말이 지원 가능한 모든 RAT의 MAC에게 무선망을 연결하는 접속 절차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고, 접속 절차 수행 요청을 받은 각 RAT의 MAC들은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해당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실시한다. 여기서 각 RAT의 MAC란 각각의 RAT에 대응되는 MAC로서 예를 들어 WIBRO MAC(210), WLAN MAC(220), LTE MAC/L2/L3(230)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각각을 RAT MAC라 칭한다. 상기 각 무선통신망의 예로는 Wibro(310), Wlan(320), LTE(330) 등이 있을 수 있다.
자원관리부(120)는 단말의 RAT 별 무선상태와 가용한 자원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생성하며 관리한다. 또한 이 정보를 후술할 판단부(150)에게 전달하여 개별 RAT 뿐만 아니라 단말 전체 RAT의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스케줄링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세션 컨트롤부(130)는 서비스 세션과 RAT 커넥션 간의 매핑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를 확인한다. 서비스 시작을 위해 시그날링 절차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별 세션이 연결 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세션 컨트롤부(130)는 설정된 세션을 관리한다. 세션별 서비스는 그 종류와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QoS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설정된 세션과 QoS 조건을 매핑하여 세션의 서비스별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란, 단말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VoIP 서비스, WEB, 메일 서비스, SNS 서비스, LBS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등이 있을 수 있다.
플로우 컨트롤부(140)는 단말의 서비스에 QoS에 기반하여 서비스 플로우와 RAT 셀렉션 및 매핑을 담당한다. 즉,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한다. 단말이 서비스 되기 위해서는 단말이 해당 무선방식이 정한 절차에 따라 호 접속 절차가 수행되며, 이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된다. 단말 서비스의 데이터는 기 설정된 세션에 따라 송수신 되며, 이를 서비스 플로우라고 칭한다. 서비스 플로우는 각기 서비스 특성에 따르는 QoS를 가지게 된다. 상기 플로우 컨트롤부(140)는 서비스의 QoS에 따라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판단부(150)는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한다. 결정된 정보를 상기 플로우 컨트롤부(140)에 전달하고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110)에 전달하여 서비스 플로우가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110)는 데이터 전달을 위해 해당 RAT의 서비스 전송 절차를 수행하고, 설정된 세션 정보를 세션 컨트롤부(130)에 전달한다. 상기 세션 컨트롤부(130)는 이를 기반으로 세션과 RAT 커넥션 정보를 매핑 시키며, 이 정보를 플로우 컨트롤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플로우 컨트롤부(140)는 서비스 플로우와 세션간을 매핑하며, 이 정보를 상기 판단부(150)에게 전달한다. 이 때 상기 판단부(150)는 각 세션 단위로 서비스 되는 데이터의 특성과 QoS를 기반으로 가장 적절한 RAT를 선택하여 IP Packet을 선택된 RAT에게 전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지능형 MAC 구동장치
110: 커넥션 컨트롤부
120: 자원관리부
130: 세션 컨트롤부
140: 플로우 컨트롤부
150: 판단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QoS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세션별 QoS를 확인하고,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망에 연결된 세션과 상기 확인된 세션별 QoS을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세션별 QoS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고,
    상기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RAT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정된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연결 RAT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구동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MAC를 통하여 무선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AT MAC는,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무선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A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RAT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스케줄러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RAT를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 단위로 연결 RAT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RAT에게 IP Packet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방법.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무선망을 연결하는 커넥션 컨트롤부;
    상기 RAT의 가용자원 및 무선상태를 포함하는 RAT 정보를 수집하는 자원관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상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세션 컨트롤부;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는 플로우 컨트롤부; 및
    상기 QoS 및 상기 RAT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연결 RAT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세션별 QoS를 확인하고,
    상기 플로우 컨트롤부는
    상기 무선망에 연결된 세션과 상기 확인된 세션별 QoS을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세션별 QoS에 기반하여 상기 연결대상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선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RAT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선정된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연결 RAT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구동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 RAT를 통하여 상기 우선 연결대상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MAC를 통하여 무선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RAT MAC는,
    자신의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시그날링을 통해 무선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부는,
    상기 RAT의 자원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RAT에 대응되는 RAT 스케줄러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세션 단위로 연결 RAT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컨트롤부는,
    상기 연결 RAT에게 IP Packet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MAC 구동장치.
KR1020130063664A 2013-06-03 2013-06-03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7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4A KR101675381B1 (ko) 2013-06-03 2013-06-03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US14/293,903 US9510279B2 (en) 2013-06-03 2014-06-02 Intelligent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4A KR101675381B1 (ko) 2013-06-03 2013-06-03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77A KR20140142077A (ko) 2014-12-11
KR101675381B1 true KR101675381B1 (ko) 2016-11-11

Family

ID=5198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64A KR101675381B1 (ko) 2013-06-03 2013-06-03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10279B2 (ko)
KR (1) KR101675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81B1 (ko) * 2013-06-03 2016-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6817747A (zh) 2015-11-30 2017-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无线接入技术的数据处理方法及传输节点
CN106937356B (zh) * 2015-12-30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11006355B2 (en) * 2017-09-21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technology (RAT) selection based on device usage patterns
CN111247839B (zh) * 2018-06-06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09246231B (zh) * 2018-09-29 2022-11-18 北京深度奇点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路由方法及智能路由设备
CN113395777A (zh) * 2020-03-11 2021-09-14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4244A2 (ko) * 2011-04-01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5175B2 (en) * 2005-12-28 2012-06-05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verifications and fast QoS establishment
KR101418592B1 (ko) * 2007-11-13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통신 망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20090098638A (ko) * 2008-03-14 200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망간 핸드 오버 방법
KR20100072581A (ko)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라디오 액세스 테크놀로지 선택 방법
KR101638668B1 (ko) * 2009-08-21 2016-07-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다운링크 업링크를 분리하기 위한 멀티 무선 액세스 기술 계층에 대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24855A (ko) 2009-09-03 2011-03-09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통신망을 지원하는 멀티밴드 멀티모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처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
KR20110068700A (ko) 2009-12-16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는 멀티모드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US9049643B2 (en) 2010-07-22 2015-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KR20120035871A (ko) * 2010-10-05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94379A (ko)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US8805375B2 (en) * 2012-03-09 2014-08-12 Blackberry Limited Methods to enable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14028691A1 (en) * 2012-08-15 2014-02-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hancements to enable fast security setup
KR101675381B1 (ko) * 2013-06-03 2016-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4244A2 (ko) * 2011-04-01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0279B2 (en) 2016-11-29
US20140355521A1 (en) 2014-12-04
KR20140142077A (ko)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381B1 (ko)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US10419288B2 (en) Network operating system client architecture for mobile user equipment
KR101584922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련된 방법들
CN110536262A (zh) 一种直通链路通信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38345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delink qos
US8830971B1 (en) Control of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local device connections for a mobile hotspot
US20210314830A1 (e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03987088B (zh) 基于异构网络融合的动态上行和下行流量卸载方法及系统
US20140050085A1 (en) Object-to-object intelligent network (o2n)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transmission channels,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system
US20130148596A1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entralized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08058998A1 (en) Reservation and admission of access resources for access selection in multi-access networks
CN111586624B (zh) 一种终端能力的确定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34815A1 (en) VEHICLE OPERATION STATE AWARE CONNECTION, MOBILITY, QoS, AND BEARER MANAGEMENT
US116012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differentiated retransmissions
WO2015131343A1 (zh) 数据转发的控制方法、系统、控制器及接入设备
KR20120096802A (ko) 혼합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EP2381734B1 (en) Handling QOS flows when moving between systems
EP4013110A1 (en) Sidelink radio bear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KR20120050805A (ko)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
JP6248380B2 (ja) 無線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WO2016000165A1 (zh) 无线资源的指示方法和设备
WO2017080515A1 (zh) 应用驱动网络的通信系统、组网方法及控制器
KR20120052047A (ko)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102667781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트래픽 전환 방법 및 장치
WO2012097698A1 (zh) 一种多连接业务控制系统及多连接业务流量分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