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619B1 -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619B1
KR101674619B1 KR1020160033296A KR20160033296A KR101674619B1 KR 101674619 B1 KR101674619 B1 KR 101674619B1 KR 1020160033296 A KR1020160033296 A KR 1020160033296A KR 20160033296 A KR20160033296 A KR 20160033296A KR 101674619 B1 KR101674619 B1 KR 10167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resource
virtualization
virtualization server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김명진
손동현
Original Assignee
(주)한위드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위드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한위드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03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 virtual computing platform, e.g. logically partition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화 서버에 게스트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가상화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의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자원의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상화 서버의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필요한 망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CB(Conection Broker) 매니저,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응하여 할당된 가상 머신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머신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스트 에이전트가 구비되며, 상기 CB 매니저는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VIRTUALIZED SERVICES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SUPERVISORY CONTROL FUNCTION OF CLIENT TERMINAL}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화 서버에 게스트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가상화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의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자원의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상화 서버의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필요한 망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화 서비스는 최근 기업들과 연구소 등에서 내부 영업비밀 및 고객 정보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분산된 PC 관리를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어 중앙 집중화된 컴퓨터 환경을 통하여 효율적인 사용과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기술 분야이다.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시스템은 가상화 매니저 장치 및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화 매니저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에 가상화 서버를 할당하고 가상 머신의 생성, 관리, 소멸 및 마이그레이션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상화 매니저 장치는 연결모듈(110), 할당모듈(120), 관리모듈(130) 및 웹 서버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모듈(110)은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에 대하여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와 가상화 서버의 연결을 허용한다. DaaS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으로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가상화 서버와 연결시켜주는 연결모듈(110)과 접속을 한다.
이 때, 연결모듈(110)은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접속을 하게 된 사용자에 한하여 사용자의 요청 정보와 현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 정보를 통해서 임의의 가상 머신의 할당을 허용한다.
또한, 연결모듈(110)은 가상화 서버의 할당 이후, 할당된 가상 머신의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한 가상화 환경의 연결 기능 및 화면 리다이렉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하여 할당된 가상 머신의 사용이 끝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다시 접속 가능하도록 사용자 계정에 따른 현재 환경 설정을 저장하고 가상화 연결 기능을 제거하고 화면 리다이렉션 기능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할당모듈(120)은 가상화 서버의 운용 상태를 파악해서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에 최적의 가상화 서버를 할당한다. 이 때, 할당모듈(120)은 연결모듈(110)을 통해 가상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원격 사용자에게 최상의 가상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상 머신을 할당하기 위해서 가상화 서버들의 자원 사용 및 가상 머신의 할당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가상 머신 프로비져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할당모듈(120)은 DaaS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상화 서버들의 자원 할당 상태, 사용 정보 및 생성된 가상 머신들의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 할당모듈(120)은 원격 사용자에게 최상의 사용자 맞춤형 가상화 서버를 제공하며, 가상 머신에 대한 문제 발생시 실시간으로 다른 가상 머신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할당모듈(120)은 가상머신의 운용을 위한 이미지와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사용자용 디스크 이미지를 분리하여 가상화 서버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관리모듈(130)은 가상화 서버 및 가상 머신의 운용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가상화 서버의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웹 서버모듈(140)은 사용자에게 웹 기반의 관리 툴 GUI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존의 가상화 매니저 장치는 상기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에 최적의 서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를 모니터링할 뿐, 이후 할당된 서버의 자원 사용 상태에 따라 자원 할당 재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상화 서버에 대한 자원 최적 활용을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와 가상화 서버 간에 자원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가 가상화 서버를 통하여 접속하는 망 접속 이력을 모니터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가상화 클라이언트 장치의 망 접속을 제한할 수 없고, 불필요한 망 접속을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697호(2014. 03. 10. 공개, 발명의 명칭 : 가상화 시스템을 위한 데스크탑 가상화 매니저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상화 서버에 게스트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가상화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의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자원의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상화 서버의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필요한 망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CB(Conection Broker) 매니저,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응하여 할당된 가상 머신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머신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스트 에이전트가 구비되며, 상기 CB 매니저는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모니터링하는 망 접속 모니터링부 및 상기 CB 매니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가상화 서버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자원을 변경 할당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에이전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B 매니저는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 및 망 접속 모니터링부를 모니터링하고 이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화 서버에 게스트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가상화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의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자원의 재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상화 서버의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클라이언트 단말의 불필요한 망 접속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상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상화 매니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상화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 가상의 PC 환경을 구축하여 다양한 단말을 통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업무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1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접속을 인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가상화 서버(30)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CB(Conection Broker) 매니저(20)와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에 가상 머신(33)을 통해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데스크탑, 노트북과 같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은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가 탑재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가상화 서버(30)로부터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자원 정보를 전송하여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자원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미도시)에 대한 자원 정보 역시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가상화 서버(30)의 자원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자원 정보를 상기 가상화 서버로 전송하여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B 매니저(20)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가상화 서버(30)를 할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CB 매니저(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상기 가상화 서버로의 접속을 인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B 매니저(20)는 클라이언트 인증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과 가상화 서버(30)의 연결을 허용하는 인증모듈(21)과 가상화 서버(30)의 운용 상태를 파악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가상화 서버(30)를 할당하는 서버할당모듈(23)과 상기 가상화 서버(30)의 운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모듈(21)은 권한이 있는 유저만 가상화 서버(30)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접속을 원하는 유저의 로그인 인증을 통해 유저의 접속 권한을 확인하고, 접속할 가상화 서버(30)의 가상 머신 정보를 통해서 임의의 가상 머신의 할당을 허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인증모듈(21)은 유저에게 할당된 가상 머신의 사용이 종료한 경우 유저가 원하는 시점에 다시 접속 가능하도록 유저 계정 정보에 따른 환경을 설정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할당 모듈(23)은 모니터링 모듈(25)을 통한 가상화 서버(30)의 실시간 운용상태를 파악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 최적의 가상화 서버를 할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25)은 가상화 서버들의 자원 할당 상태, 사용 정보 및 생성된 가상 머신들의 사용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서버할당 모듈이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최적인 가상화 서버를 할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가상화 서버(30)에 구비되는 게스트 에이전트(31)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할당 자원의 재조정이 가능하게 하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한 불필요한 망 접속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CB 매니저(20)의 인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상기 가상화 서버(30)에 접속이 되면, 상기 가상화 서버(30)는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에 가상 머신(33)을 통하여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화 서버(30)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345)를 통해 가상 머신(33)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가상화 서비스 실행을 위한 가상 머신(230)을 지정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머신(230)에서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가상화 서버(3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게스트 에이전트(3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화 서버(3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대응하여 할당된 가상 머신(33)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머신(33)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스트 에이전트(31)가 구비된다.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사용 상태 및 자원 보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할당 자원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상황을 감시하여 불필요하고 허용되지 않은 망 접속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는 기본적으로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 및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구비되는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관리한다.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에이전트(1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 정보도 수집하여 저장관리하기 때문에, 이 디바이스 정보 역시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에 전달되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에 의하여 모니터링되어 수집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디바이스 정보 포함)는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로 전달되고, 이 모니터링 모듈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가상화 서버 간의 자원 공유가 필요한지 판단한다.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과 별개로, 상기 가상화 서버(30)의 자원 정보 역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자원 정보를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로 전달한다.
결국,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와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와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자원 공유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자원 공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하여 자원 공유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특정 자원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성능(버전)이 상기 가상화 서버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성능보다 더 높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해당 자원이 상기 가상화 서버로 전송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한다. 반대로 특정 자원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성능(버전)이 상기 가상화 서버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성능보다 더 낮다면 상기 가상화 서버 내의 해당 자원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만 보유하고 있는 특정 자원이 있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내의 특정 자원이 상기 가상화 서버로 전송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할 수도 있고, 반대의 경우라면, 상기 가상화 서버 내의 특정 자원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면 인증 절차를 거쳐 가상 머신을 할당하고, 자원을 할당해준다.
상기 자원은 CPU, 메모리, 디스크 등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상기 가상화 서버(30) 내에서 가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가상화 서버에 접속 인증된 후 최초로 할당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상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할당된 자원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고, 반대로 거의 모두 사용되어 자원이 부족한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는 상기 가상화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25)로 전달한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 역시 상기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의 조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할당된 자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원을 감소시켜 재할당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한다.
반대로,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할당된 자원을 대부분 사용하여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원을 증가시켜 재할당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해 가상화 서비스를 받는 것이 시작되면, 상기 가상화 서버(30)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망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즉 망 접속 이력 정보를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로 전달한다.
즉, 상기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상기 가상화 서버(30)를 통해 망 접속을 수행하면, 그 이력을 수집하여 상기 모니터링 모듈(25)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망 접속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망 접속을 제한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B 매니저(20)는 정책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특정 싸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망 접속 예를 들어 인터넷, 이더넷, 인트라넷에 접속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망 접속 모니터링부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을 수집하여 이를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기존에 설정된 망 접속 제한 정책을 참고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CB 매니저(20)는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 및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는 상기 CB 매니저(20)의 모니터링 모듈(25)에 의하여 모니터링되고 제어된다.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 및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에서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상화 서버 간의 자원 공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하여 자원 공유, 할당 자원 조정, 망 접속 제한 등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는 상기 CB 매니저(20),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모듈(25)의 제어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과 상기 가상 서버(30)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자원을 변경 할당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망 접속이 제한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는 자원 공유 실행부(31e), 할당 자원 조정부(31f) 및 망 접속 차단부(31g)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의 제어를 받아 자원 공유, 할당 자원 조정 및 망 접속 차단 또는 제한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31e)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로부터 특정 자원에 대한 공유 실행에 관한 제어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게 특정 자원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31e)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특정 자원을 가져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특정 자원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반대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특정 자원을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특정 자원 수신 요청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한다.
전자인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특정 자원을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31e)로 전송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에서 상기 특정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가상 머신은 상기 새롭게 공유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후자인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공유를 원하는 경우에 수신 허락 메시지를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에 전송하고, 공유를 원하지 않은 경우에 수신 거부 메시지를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로 전송한다. 상기 자원 공유 실행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 허락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상기 특정 자원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상화 서버에 존재하지 않거나 버전이 낮은 특정 자원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품질이 향상된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할당 자원 조정부(31f)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로부터 특정 할당 자원에 대한 조정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할당된 자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조정된 할당 자원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의 조정은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25)의 판단에 따라, 상기 서버 할당 모듈(23)이 상기 자원 할당을 조정하여 변경된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할당 자원 조정부는 상기 조정된 할당 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새롭게 할당된 자원 내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가상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망 접속 차단부(31g)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로부터 망 접속 차단 또는 제한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인터넷, 인트라넷, 이더넷 등의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하고, 더 나아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을 상기 CB 매니저에 전송하며, 상기 CB 매니저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가 가상화 서버의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정책에 따라 망 접속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CB 매니저(20)는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31a),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31b) 및 망 접속 모니터링부(31c)를 모니터링하고 이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31)에 구비되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31d)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25)은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가상 서버의 자원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특정 자원의 공유가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원 공유가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상기 할당 자원 사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할당 자원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자원 할당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이 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망 접속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이력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망 접속 제한 또는 차단에 관한 정책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망 접속의 차단 또는 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 또는 특정 싸이트 접속이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가상화 서버에 게스트 에이전트를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상화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정책에 따라 인터넷 접속이 제한 또는 차단되거나, 특정 싸이트에 대한 접속을 차단한 경우, 효율적으로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상 머신에 있는 게스트 에이전트는 중앙 집중 관리 및 가상 머신 내부의 보안 강화 및 QoS를 위하여 가상 머신 사용자(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하여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을 차단 관리하고, 사전에 허용되지 않는 프로그램 설치 및 프로그램 접근의 차단을 할 수 있도록 CB 매니저와 연계하여 중앙집중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전에 허용되지 않은 외부 통신을 차단하여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클라이언트 단말 11 : 클라이언트 에이전트
20 : CB 매니저 21 : 인증 모듈
23 : 서버 할당 모듈 25 : 모니터링 모듈
30 : 가상화 서버 31 : 게스트 에이전트
31a :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 31b :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
31c : 망 접속 모니터링부 31d : 에이전트 제어부
31e : 자원 공유 실행부 31f : 할당 자원 조정부
31g : 망 접속 차단부 33 : 가상 머신
35 : 하이퍼바이저

Claims (3)

  1.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가상화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CB(Connection Broker) 매니저, 상기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상화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응하여 할당된 가상 머신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머신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게스트 에이전트가 구비되며, 상기 CB 매니저는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되,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와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수집한 정보를 상기 CB 매니저에 구비되는 모니터링 모듈로 전달하는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와 자원 할당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로 전달하는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망 접속 이력 정보를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로 전달하는 망 접속 모니터링부 및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가상화 서버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자원을 변경 할당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이 제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에이전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CB 매니저의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단말 자원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자원 정보와 상기 가상화 서버의 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화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특정 자원의 공유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특정 자원의 공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특정 자원의 공유가 진행되도록 하고, 상기 할당 자원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할당된 자원의 사용 정보와 자원 할당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의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자원 할당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자원 재할당이 진행되도록 하며, 상기 망 접속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받은 망 접속 이력 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망 접속 제한 또는 차단에 관한 정책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차단 또는 제한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망 접속의 차단 또는 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망 접속을 제한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033296A 2016-03-21 2016-03-21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7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96A KR101674619B1 (ko) 2016-03-21 2016-03-21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96A KR101674619B1 (ko) 2016-03-21 2016-03-21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619B1 true KR101674619B1 (ko) 2016-11-09

Family

ID=5752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96A KR101674619B1 (ko) 2016-03-21 2016-03-21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6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404B1 (ko) 2017-11-20 2018-12-05 (주)한위드정보기술 인메모리 기반 이중화 지원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57884A (ko) 2017-11-21 2019-05-29 (주)한위드정보기술 이기종 가상화 서버 기반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88063A (ko) * 2016-11-30 2019-07-25 지티이 코포레이션 리소스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10442B1 (ko) *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가상 머신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N117591248A (zh) * 2024-01-18 2024-02-23 杭州筋斗腾云科技有限公司 基于容器化虚拟机的终端系统处理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072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정보를 이용한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8697A (ko) 2012-08-30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시스템을 위한 데스크탑 가상화 매니저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KR101506223B1 (ko) * 2014-12-10 2015-03-27 (주)한위드정보기술 가상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정상적인 접속 차단시 자동 재접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072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정보를 이용한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8697A (ko) 2012-08-30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시스템을 위한 데스크탑 가상화 매니저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KR101506223B1 (ko) * 2014-12-10 2015-03-27 (주)한위드정보기술 가상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정상적인 접속 차단시 자동 재접속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063A (ko) * 2016-11-30 2019-07-25 지티이 코포레이션 리소스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86129B1 (ko) 2016-11-30 2021-08-05 지티이 코포레이션 리소스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25404B1 (ko) 2017-11-20 2018-12-05 (주)한위드정보기술 인메모리 기반 이중화 지원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57884A (ko) 2017-11-21 2019-05-29 (주)한위드정보기술 이기종 가상화 서버 기반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0442B1 (ko) *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가상 머신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N117591248A (zh) * 2024-01-18 2024-02-23 杭州筋斗腾云科技有限公司 基于容器化虚拟机的终端系统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7591248B (zh) * 2024-01-18 2024-05-03 杭州筋斗腾云科技有限公司 基于容器化虚拟机的终端系统处理方法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619B1 (ko) 클라이언트 단말의 감시 제어 기능을 구비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314866B1 (en) Controlling user access to command execution
JP6235017B2 (ja) モバイル通信コンピューティング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328193B1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29650B2 (en) System and method of security management for a virtual environment
US9210173B2 (en) Securing appliances for use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8272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mote desktop access
US9104672B2 (en) Virtual security zones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
US9003411B2 (en) Automated provisioning and configuration of virtual and physical servers
US8000260B2 (en) Method for dynamic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provisioning
KR101880407B1 (ko) 리소스 관리 방법, 호스트 및 엔드포인트
WO2016003646A1 (en) Enterprise management for secure network communications over ipsec
US10237252B2 (en) Automatic creation and management of credential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140067917A1 (en) Daas manager and daas client for daas system
US201300141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management method
KR20160136489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기반 자원 관리 방법
AU2012316078A1 (en) Clou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10083084A (ko) 가상화를 이용한 서버 운영 장치 및 방법
US9898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data of portable terminal
CN109857464B (zh) 用于平台部署与操作移动操作系统的系统及其方法
CN112073555A (zh) Ip地址的配置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40143953A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
US20150381597A1 (en) Enterprise management for secure network communications over ipsec
CN109040066B (zh) 一种云安全管理平台与云安全产品的对接方法及装置
KR101662801B1 (ko) 가상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바이스 리다이렉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