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29B1 -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29B1
KR101673929B1 KR1020160099503A KR20160099503A KR101673929B1 KR 101673929 B1 KR101673929 B1 KR 101673929B1 KR 1020160099503 A KR1020160099503 A KR 1020160099503A KR 20160099503 A KR20160099503 A KR 20160099503A KR 101673929 B1 KR101673929 B1 KR 10167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voltage
insec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호
Original Assignee
(주)성광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유니텍 filed Critical (주)성광유니텍
Priority to KR102016009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0Mechanical actuation by pressure on floors, floor coverings, stair treads, counters, or ti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에 일정간격으로 절연코팅된 도선을 설치하여 침입에 의한 도선 절단을 감지하여 불법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침입발생시 사용자나 보안업체,경찰서등으로 이상발생을 알려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창문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며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100)과; 상기 방충망(100)의 금속망에 직조형태로 형성되어 금속망의 일부로 형성되고 절연 코팅되어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선(110)과;상기 방충망(100)에 형성되는 도선에 기설정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 손상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감지수단(200)과;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스마트폰(500)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계수단(300)과;중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상발생정보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측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서버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insect net security system to prevent intrusion and theft}
본 발명은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에 일정간격으로 절연코팅된 도선이 설치되며, 방충망과 도선이 분체도장으로 형성되어 도난 및 침입자가 도선의 설치를 알 수 없도록 함으로, 침입자가 방충망 절단시 도선으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됨으로 전류의 차단을 감지하여 사용자스마트폰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 등으로 감지상황을 알려줌으로 미연에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순한 목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의 내부로 침입하려는 외부인의 주 침입경로가 개폐나 파손이 용이한 창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창틀이나 창틀의 인접한 곳에 감지용센서를 부착하여 창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도난 방지 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외부인의 무단침입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종래 제공되고 있는 도난 방지 수단으로 양방향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파이프 등으로 창문에 방벽을 설치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양방향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이 고가이고 대면센서의 각도가 미세한 변동에도 쉽게 동작이 중지되어 오보를 발생하게 됨으로 보안업체 직원이 잘못 출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난방지 장치의 구조가 센서의 동작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 무단침입에 대하여 완벽히 대처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침입자가 센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고, 침입을 목적으로 한 센서의 제거도 수월하여 창문을 통한 침입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파이프 등으로 방벽을 설치하게 되는 경우, 외관상 좋지 못하며 자재수급에 따른 비용관계로 인하여 경제적으로도 이롭지 못할 뿐만아니라, 내부화재난 기타 위급상황시 신속한 탈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개폐를 위한 별도의 시건장치가 요구되는 등 구조적으로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참고문헌>
출원번호 20-2000-0021930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출원번호 10-2000-0069941 방충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조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절연코팅 된 도선이 방충망과 함께 분체도장으로 일체형화되도록 형성하여 도난 및 침입자가 도선의 설치를 알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방충망 절단시 도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차단을 감지하여 사용자스마트폰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에 감지상황을 알려줌으로 도난 및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충망에 흐르는 전류를 임의적으로 가변시켜 침입자가 점프선을 이용한 방충망 절단시도에도 완벽히 침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법시스템은,
창문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며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100)과;
상기 방충망(100)의 금속망에 직조형태로 형성되어 금속망의 일부로 형성되고 절연 코팅되어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선(110)과;
상기 방충망(100)에 형성되는 도선에 기설정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 손상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감지수단(200)과;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스마트폰(500)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계수단(300)과;
중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상발생정보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측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서버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직조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도선이 방충망과 함께 분체 도장되어 도난 및 침입자가 도선의 설치를 알 수 없도록 함으로, 방충망 절단시 도선으로 흐르는 전류의 차단을 감지하여 사용자스마트폰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에 감지상황을 알려줌으로 도난 및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직조도선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복수 방충망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스템에 대한 각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6은 점프선을 이용한 침입시도시의 직조도선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직조도선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복수 방충망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한 각 수단의 블록도이고, 도6은 점프선을 이용한 침입시도시의 직조도선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법시스템은,
창문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며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100)과;
상기 방충망(100)의 금속망에 직조형태로 형성되어 금속망의 일부로 형성되고 절연 코팅되어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선(110)과;
상기 방충망(100)에 형성되는 도선에 기설정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 손상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감지수단(200)과;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스마트폰(500)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계수단(300)과;
중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상발생정보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측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서버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철선과 복수의 도선(110)이 직조방식으로 그물망을 이루도록 제조된다. 즉, 제조시 방충망(100)에 일정간격을 두고 도선(110)이 배치되도록 제조되며, 상기 도선(110)은 그물망을 이루는 철선과 절연 상태가 되도록 절연 코팅되며 직렬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선(110)이 설치되는 방충망(100)은 분체도장을 함으로 육안으로 확인시 철선과 도선이 구분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도난 및 침입자가 도선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선(110)은 직렬로 연결되어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감지수단(200) 의 접촉단자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도선(110)에 기설정된 복수의 전압 중 어느 한 전압을 인가하여 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불법 침입에 의한 방충망(100)에 형성된 도선(110)의 절단 여부를 감지하며,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중계수단(300) 측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침입자가 도선(110)에 점프선을 이용해 침입 시도시에도 변화되는 전류값을 감지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수단(300)은 감지수단(200)에서 이상발생신호를 전송받아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으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전송하여 불법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수단(400)은 중계수단(300) 측에서 전송하는 이상발생정보를 실시간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며, 이상발생정보를 시간별, 일자별 통계치를 생성하여 보안업체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수단(400)은 중계수단(300) 측에서 전송하는 이상발생정보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안업체와 경찰서(600)로 동시에 전송되거나,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중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수단(400)은 상기 중계수단(300)이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도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200)은 도선(110)에 인가되는 전압이 시간에 따라 자동 변경되어 인가되도록 형성되는 전압인가콘트롤부(210)와;
상기 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선(110)에 전압 인가시 도선(1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220)와;
도선(110)에 인가되며 시간에 따라 자동 변경되는 전압값에 대한 정보와 도선(110)의 임피던스 값에 대한 정보와 정상적인 경우 도선에 흐르는 정상전류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30)와;
전류감지부(220)에서 감지한 전류값에 기초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100) 손상으로 판단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240)와;
상기 판단부(240)가 생성한 이상발생신호를 중계수단(300) 측으로 송신하기 위해 형성되는 송신부(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00)은 스피커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부(260)는 판단부(240)의 이상발생신호 생성시 침입자에게 경고음성이나 경고알람을 제공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인가콘트롤부(210)는 도선(110)에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가되는 전압은 시간에 따라 전압값이 자동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은 침입자가 방충망을 절단하여 침입을 시도하게 되면 방충망에 직조되어 있는 도선도 절단되어 감지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이 경우 전류 흐름이 없으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침입자가 점프선을 이용하여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방충망이 절단 되었음에도 감지전류는 계속 흐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불법 침입을 감지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서는 인가되는 전압을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화시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에 인접한 도선의 두 지점(P1,P2)에 점프선을 연결하고 침입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해 절단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시에도 전류는 흐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선에 인가하는 전압을 수시로 변화시키고 해당 인가전압에 대한 감지전류를 측정하여 불법침입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선(110)은 방충망에 직조되어 있는 정상상태에서 일정 길이를 갖는다. 즉, 일정길이에 대한 고유한 임피던스값을 갖는다. 예들 들어 도선의 길이가 10m라 가정한다. 그러나 침입자가 점프선을 이용하여 방충망의 일부를 절단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전체 도선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예들 들어 점프선을 포함하여 짧아진 도선 전체 길이를 3m라 가정한다.
이 경우 정상적인 경우의 도선길이(예들 들어 10m)와 침입시 도선길이(3m)는 다르게 되고 임피던스값도 다르게 된다. 이 경우 도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한 한 상태에서 도선에 흐르는 전류는 정상적인 경우와 침입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정상적인 전류값이 아닌 다른 전류값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점프선을 이용하여 침입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침입자가 인가전압을 알고 있는 경우(일반적인 상시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침입자가 인가전압을 알 수 있을 확율이 높음)에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도선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정상적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다.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절단한 도선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점프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가되는 전압을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침입자는 수시로 변경되는 전압값은 알 수 없다.
즉, 방충망에 직조되어 있는 도선의 전체 임피던스값은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전압을 인가하면 변경되는 인가전압에 대해 흐르는 전류도 수시로 변화된다.
본 발명의 감지수단(200)은 수시로 인가되는 전압값에 대한 정보와 방충망에 직조되어 있는 도선의 임피던스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인가전압에 대응해 흐르는 정상적인 전류값을 알 수 있다. 만약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면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압인가콘트롤부(210)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상시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부(211)와;
상기 전원부(211)의 전압을 시간에 따라 변경시켜 도선(110)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변환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211)는 감지수단(200) 내부에 형성되는 배터리이거나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시전원일 수 있다.
상기 변환부(212)는 도선(11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시간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변경 전압값은 저장부(230)에 저장된 전압공급스케줄표에 따라 변환하여 도선(110) 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부(220)는 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선(110)에 전압 인가시 도선(110)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부(220)는 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인가콘트롤부(210)에서 제공하는 전압을 도선(110)에 인가되도록 형성되는 접촉단자(221)와;
접촉단자(221)에 전압 인가시 도선(11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2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단자(221)는 방충망(100)에 직조된 도선과 연결되어 감지수단(200)과 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2개의 접촉단자로 형성되며, 접촉단자(221)를 통해 전원부의 전압이 인가되면 방충망(10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전류감지센서(222)는 접촉단자(221)를 통해 방충망(100)에 흐르는 전류값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단자를 통해 도선(110)에 인가되는 가변 전압에 대응한 전류값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센서(222)를 통해 감지되는 전류의 값은 정상적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방충망의 절단등) 다른 값을 갖는다.
도선(110)의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라 전류감지센서는 각기 다른 전류값을 감지한다.
도선의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는 경우로는 불법 침입에 의한 방충망의 절단이나 파손을 들 수 있다.
방충망(100)의 찢어짐 또는 절단 등의 파손이 있게 되면 도선도 절단되어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갖게 되어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점프선을 이용한 방충망 절단 시도의 경우에도 전체 도선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는데 이 경우 방충망에 직조되어 있는 도선의 임피던스값보다 작게된다. 그 이유는 절단된 부위의 도선 길이보다 점프선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도선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 결과가 되어 정상적인 도선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되고 결국, 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값은 정상적인 경우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감지센서(222)는 정상적인 경우에는 이미 알고 있는 정상전류값을 감지하게 되고 비정상적인 경우(방충망 절단에 의한 침입)에는 0 또는 정상적인 전류값과 다른 전류값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230)에는 전압인가콘트롤부(210)를 통해 도선(110) 측으로 인가되는 가변 전압값에 대한 정보와 도선(110)의 임피던스값과 정상적인 경우 도선에 흐르는 전류값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저장된다. 도선의 임피던스값은 방충망의 물리적 크기(면적 등)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충망에 직조된 도선의 임피던스값을 저장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230)에는 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값을 나타내는 전압공급스케줄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스케줄표에 따라 도선에 인가되는 전압은 자동으로 시간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인가전압의 가변 시간 간격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1분, 2분, 3분 5분 등과 같은 분 단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방충망에 복수의 감지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는 각 감지수단의 고유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고유정보는 감지수간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상기 판단부(240)는 전류감지센서(222)가 감지한 전류값을 이용하여 방충망(100)의 파손이나 절단 등으로 인한 침입을 판단하는 것으로, 방충망(100)의 단순 절단에 의한 침입이나 점프선 또는 특수장비를 이용한 절단에 의한 침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감지센서(222)를 통해 감지되는 전류는 크게 3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정상전류의 감지이다.
정상전류란 이미 저장부에 저장된 인가전압값과 도선의 임피던스값에 따른 전류값이다. 저장부에는 시간에 따라 가변되는 인가전압값이 기 저장되어 있고 현재 사용하는 방충망에 직조된 도선의 임피던스값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정상적인 경우의 전류값을 알 수 있다. 전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전류값이 정상전류값이면 판단부는 정상상황으로 판단한다.
둘째 0인 전류의 감지이다.
전류감지센서(222)를 통해 감지된 전류값이 0이라는 것은 도선이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해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선이 절단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판단부는 침입상황으로 판단한다.
세째 정상전류와 다른 전류의 감지이다.
정상전류와 다른 전류가 감지된다는 것은 방충망에 직조된 도선(110)의 임피던스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선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이유는 침입자가 도선에 점프선을 이용하여 불법침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우도 판단부는 침입상황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240)는 침입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전송부(250)를 통해 중계수단으로 전송하거나 스피커부(260)가 구비되는 경우 스피커부로도 전송한다.
상기 송신부(250)는 판단부(240)에서 생성한 이상발생신호를 중계수단(300)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00)은 스피커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피커부(260)는 판단부(240)로부터 이상발생신호를 제공 받게 되면 상기 스피커부(260)는 경고음성 또는 경고 알람을 침입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부(260)가 구비되는 경우 저장부(230)에는 경고음성이나 경고알람이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고음성 또는 경고알람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경고음성 또는 경고알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경고음성과 경고알람이 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고음성은 "당신은 현재 불법침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불법침입 사실이 경찰서에 전송되었습니다" 등일 수 있으며, 경고알람은 "싸이렌 또는 호각소리"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방충망(100)에 복수의 감지수단(200)이 형성되는 경우, 중계수단(300) 측으로 전송되는 이상발생정보에는 각 감지수단(200)의 고유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정보는 감지경고수단(200)의 고유번호일 수 있으며 상기 고유정보는 저장부(230)에 사전에 저장되어진다.
이 경우 중계수단(300) 측으로 전송되는 이상발생정보와 감지수단 고유정보는 "감지수단고유번호 _ 이상발생여부"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_ 이상발생", "03 _ 이상발생"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 감지수단 고유번호는 예를 들어 01은 베란다 방충망 감지경고수단, 02는 안방 방충망 감지경고수단, 03은 작은방 방충망 감지경고수단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중계수단(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이상발생신호를 전송받기 위해 형성되는 정보수신부(310)와;
상기 감지수단(200)에서 전송된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방충망(100) 손상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손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이상발생정보생성부(320)와;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정보전송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수신부(310)는 감지수단(200) 측에서 전송하는 생성한 이상발생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200)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상발생신호와 함께 감지수단(200)의 고유정보를 더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이상발생정보생성부(320)는 정보수신부(310)를 통해 전송받은 감지수단(200)의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이상발생정보는 이상발생 시간정보와 이상발생 특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시 30분에 절단에 의한 칩입발생" 또는 "11시에 점프선을 이용한 침입발생" 등일 수 있다.
또한, 감지수단(200)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상발생정보는 감지수단(200)의 고유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측 방충망 10시 30분에 절단에 의한 칩입발생" 또는 "안방측 방충망 11시에 점프선을 이용한 침입발생" 등 일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부(330)는 이상발생정보생성부(320)에서 생성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중계수단(300)은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할 사용자 스마트폰의 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스마트폰번호설정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번호설정부를 통해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할 스마트폰번호가 설정되면 중계수단은 설정된 스마트폰으로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수단(400)은 중계수단(300) 측에서 전송되는 이상발생정보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측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전송하여 불법침입등에 신속히 대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수단(4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안업체에만 전송 또는 경찰서에만 전송 또는 보안업체와 경찰서 동시전송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수단(400)은 상기 중계수단(300)이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도 이상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 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은 카메라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700)는 방충망(100) 손상을 알리는 이상발생신호가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제공시 촬영을 시작하여 방충망(100) 주변의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상기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중계수단(300)은 상기 영상정보를 정보전송부(330)를 통해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200)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700)도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방충망 110 : 도선
200 : 감지수단 210 : 전압인가콘트롤부
211 : 전원부 212 : 변환부
220 : 전류감지부 221 : 접촉단자
222 : 전류감지센서 230 : 저장부
240 : 판단부 250 : 송신부
300 : 중계수단 310 : 정보수신부
320 : 이상발생정보생성부 330 : 전송부
400 : 서버수단
500 : 사용자 스마트폰
600 :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
700 : 카메라부

Claims (7)

  1.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법시스템에 있어서
    창문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며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방충망(100)과;
    상기 방충망(100)의 금속망에 직조형태로 형성되어 금속망의 일부로 형성되고 절연 코팅되어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도선(110)과;
    상기 방충망(100)에 형성되는 도선에 기설정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 손상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는 감지수단(200)과;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스마트폰(500)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계수단(300)과;
    중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상발생정보를 보안업체 또는 경찰서(600) 측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서버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200)은,
    도선(110)에 인가되는 전압이 시간에 따라 자동 변경되어 인가되도록 형성되는 전압인가콘트롤부(210)와;
    상기 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선(110)에 전압 인가시 도선(1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220)와;
    도선(110)에 인가되며 시간에 따라 자동 변경되는 전압값에 대한 정보와 도선(110)의 임피던스 값에 대한 정보와 정상적인 경우 도선에 흐르는 정상전류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30)와;
    전류감지부(220)에서 감지한 전류값에 기초하여 방충망(10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충망(100) 손상으로 판단시 이상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240)와;
    상기 판단부(240)가 생성한 이상발생신호를 중계수단(300) 측으로 송신하기 위해 형성되는 송신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콘트롤부(210)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상시전원을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부(211)와;
    상기 전원부(211)의 전압을 시간에 따라 변경시켜 도선(110)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변환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부(220)는,
    도선(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압인가콘트롤부(210)에서 제공하는 전압을 도선(110)에 인가되도록 형성되는 접촉단자(221)와;
    접촉단자(221)에 전압 인가시 도선(11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수단(300)은,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이상발생신호를 전송받기 위해 형성되는 정보수신부(310)와;
    상기 감지수단(200)에서 전송된 이상발생신호를 이용하여 이상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이상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상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이상발생정보생성부(320)와;
    생성된 이상발생정보를 서버수단(400)이나 사용자 스마트폰(500)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정보전송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은 카메라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700)는 방충망 손상을 알리는 이상발생신호가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제공시 촬영을 시작하여 방충망 주변의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상기 중계수단(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중계수단(300)은 상기 영상정보를 정보전송부(330)를 통해 서버(400)나 사용자 스마트폰(6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감지수단(200)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는 감지수단(200)의 고유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카메라부(700)도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수단에서 중계수단으로 전송되는 이상발생신호에는 감지수단의 고유정보가 더 포함되며
    이상발생정보생성부(320)에서 생성되는 이상발생정보에는 감지수단(200)의 고유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KR1020160099503A 2016-08-04 2016-08-04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KR10167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503A KR101673929B1 (ko) 2016-08-04 2016-08-04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503A KR101673929B1 (ko) 2016-08-04 2016-08-04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29B1 true KR101673929B1 (ko) 2016-11-08

Family

ID=5752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503A KR101673929B1 (ko) 2016-08-04 2016-08-04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68A (ko)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190036762A (ko)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73Y1 (ko) * 2000-08-01 2000-12-15 에취디전자주식회사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KR20110120038A (ko) * 2010-04-28 2011-11-03 정진교 유리창 파손 감지 장치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 유리창 제조방법
KR101350820B1 (ko) * 2012-12-07 2014-01-14 윤준호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한 방범창 방범시스템
KR20160002496U (ko) * 2015-01-07 2016-07-15 김융 경보 장치를 구비한 디자인 방범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73Y1 (ko) * 2000-08-01 2000-12-15 에취디전자주식회사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KR20110120038A (ko) * 2010-04-28 2011-11-03 정진교 유리창 파손 감지 장치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 유리창 제조방법
KR101350820B1 (ko) * 2012-12-07 2014-01-14 윤준호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한 방범창 방범시스템
KR20160002496U (ko) * 2015-01-07 2016-07-15 김융 경보 장치를 구비한 디자인 방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768A (ko)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190036762A (ko) 2017-09-28 2019-04-05 장희선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719B1 (en) Cloud-based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KR20170118803A (ko) 스마트 배리어 경보 장치
US11802920B2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CN107301753A (zh) 智能安防监控系统及方法
US20150338379A1 (en) Device and system for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cable for a physical disturbance
KR101673929B1 (ko)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JP2006163659A (ja) 侵入検知システム
US20240078882A1 (en) Smart security barrier sensor
US9251677B1 (en) Powered entrance barrier alarm device and system using same
KR101527371B1 (ko) 아날로그 전류감응식 주소형 화재 감지시스템
CN204348013U (zh) 一种门窗用被动红外探测的防盗报警监控装置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0927422B1 (ko)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3930B1 (ko)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한 도난 및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 방범시스템
KR102252262B1 (ko) 접지선 도난방지 및 이상유무 감시 시스템
CN107170185A (zh) 一种基于无线接入设备的安防报警方法、无线接入设备
CN201435119Y (zh) 电器防盗报警装置
KR20070108662A (ko) 방범 알림 장치
CN106910305A (zh) 智能无线网络门磁防盗报警装置
CN10799340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报警系统
KR100991363B1 (ko) 케이블의 훼손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훼손감지 방법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CN106971475B (zh) 一种矿山火工库入侵警讯自动报警系统及使用方法
KR101712891B1 (ko) 어린이 보호용 방충망 접촉 감지 경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린이 보호용 방충망 안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