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623B1 -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 Google Patents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623B1
KR101673623B1 KR1020110075856A KR20110075856A KR101673623B1 KR 101673623 B1 KR101673623 B1 KR 101673623B1 KR 1020110075856 A KR1020110075856 A KR 1020110075856A KR 20110075856 A KR20110075856 A KR 20110075856A KR 101673623 B1 KR101673623 B1 KR 10167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rip
gear
shift lever
ro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3920A (en
Inventor
최지혁
홍종호
허춘녕
이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6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1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2Mechanical shift gates or similar guiding means during selection and sh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는 모터(3)로 구동되는 어퍼노브(11)와 로어노브(15)로 이루어진 변형노브(10)를 갖추고, 운전자가 노브(1)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어퍼노브(11)와 로어노브(15)가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위치 변화되어 노브(1)의 형상을 다르게 변경시켜줌으로써, 시각으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주시 시야 분산이나 청각으로 인한 불쾌함 및 소음에 의한 인지능력저감 같은 현상 없이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제어동작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The transmission type shift lev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knob 11 driven by a motor 3 and a deformation knob 10 composed of a lower knob 15. When the operator holds the knob 1, Since the front and rear knobs 11 and 15 are chang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knob 1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naturally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the information that the driver is aware of without any phenomenon such as reduction in cognitive ability.

Description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본 발명은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에게 변속상태와 이에 관련된 정보를 촉각으로 인지시켜줄 수 있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lev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capable of giving a driver a tactile sense of a shift state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일반적으로 고유가 및 환경규제로 인해 연비향상이 높은 차량 개발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development of high-fuel-efficiency vehicles is inevitable due to high oil price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various developments are being carried out.

연비향상을 높이기 위한 예로서 운전자에게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을 알려주는 기술이 있다.As an example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there is a technique that informs the driver of the optimal shift point for fuel economy improvement.

이를 위한 적용기술로는 운전자에게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을 로직으로 판단한 다음, 이 시점을 클러스터에서 시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또는 경보음과 같은 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전자의 변속레버조작 에 대한 판단을 제공해주는 방식이 있다.As an application technique for this, an optimal shift point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is determined as a logic for a driver, and the driver is notified of this point of time as a visual signal in a cluster or an audible signal such as an alarm sound to inform the driver, There is a way to provide judgment about the operation.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주행중인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을 제공해줌으로써 원치 않는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However, such a method can not provide undesirable inconvenience by providing the driver with visual or auditory sense while driving.

일례로, 시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변속시점을 알려주는 방식은 원치 않게 운전자의 전방 주시 시야 확보를 분산시키게 되고, 특히 클러스터의 표시창을 활용해 주행 모드 상태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경우 운전상태에서는 이에 대한 인지가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게 된다.For example, the method of informing the driver of the shift time point by the visual signal may disperse the driver's front view visibility unintentionally. In particular, when the driving mode state is transmitted to the driver using the cluster window, It becomes more and more difficult.

또한, 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변속시점을 알려주는 방식은 운전자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주행차량의 기타 실내소음과 겹칠 때 운전자의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그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forming the driver of the shifting point by the audible signal not only can cause discomfort to the driver, but also reduces the driver's cognitive ability when it overlaps with other indoor noise of the driving vehicle.

한편, 변속레버는 변속단위치를 지시하는 게이트패턴(Gate Pattern)을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통상 운전자가 손으로 잡도록 게이트패턴(Gate Pattern)에서 돌출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hift lever is a mean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shift stage desired by a driver by changing its position along a gate pattern indicating a shift unit value, and is a means for normally protruding from a gate pattern (gate pattern) .

상기와 같이 변속레버는 특히 수동변속기에서 변속을 위해 항시 손으로 잡고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위로서, 운전자는 거부감 없이 변속레버의 촉감을 가장 친숙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shift lever is a part where a manual operation is always required to be performed by hand for shifting, particularly in a manual transmission, and the driver must feel the touch of the shift lever most intimately without any sense of resistance.

그러므로, 변속레버를 이용해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면, 시각이나 청각으로 인한 운전자의 불편이나 미 인식과 같은 효능저하 없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게 된다.
Therefore, if the shift lever is used to provide the driver with the optimum shift time point for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there is a convenience of providing the function without deteriorating the driver's discomfort or unrecognized performance due to visual or auditory sense.

국내특허공개 10-2004-0094903(2004.11.10)는 촉각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도 1 및 4쪽 1줄내지 17줄 참조.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94903 (Nov. 10, 2004) relates to a tactile transmission, which is shown on lines 1 to 17 of FIGS.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잡은 상태에서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이 포함된 주행모드상태를 촉각으로 느끼도록 함으로써, 시각으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주시 시야 분산이나 청각으로 인한 불쾌함 및 소음에 의한 인지능력저감같은 현상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a vehicle occupant detection apparatus, And to provide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capable of solving all phenomena such as unpleasantness due to hearing and reduction in cognitive ability due to noi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는 변속을 수행하는 시프트 및 셀렉트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로드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잡는 노브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which is connected to a lever rod for transmitting a shift and select operation force for shifting and is held by a driver;

상기 노브의 내부로 구비되고, 상기 노브를 운전자가 잡은 상태에서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이 포함된 다양한 주행모드상태를 촉각으로 느끼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진 노브변형수단;At least one knob deformation means provided inside the knob and configured to feel various driving mode states including an optimum shift timing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in a tactile sense when the knob is held by a driver;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변형수단은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로드축과, 상기 노브의 외관 일부를 이루고 상기 로드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노브에 대한 위치를 변형하여 운전자에게 다른 느낌의 촉각을 제공해주는 변형그립과, 상기 노브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축의 회전정도를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센서유닛으로 구성되어진다.The knob deforming means includes a motor controlled by a controller, a rod shaft rotated through the motor, and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knob. The knob deforms a position of the knob through rotation of the rod shaft,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d shaft within the knob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degree of rotation to the controller.

상기 로드축에 결합된 기어축의 외주면으로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가 상기 변형그립이 갖는 상기 노브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A gear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gear shaft coupled to the rod shaft, and the gea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deformable grip with respect to the knob.

상기 변형그립은 상기 기어의 좌우양쪽으로 대칭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시 상기 노브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어퍼그립과 로어그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어퍼그립과 상기 로어그립이 상기 노브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게 된다. Wherein the deformation grip is composed of an upper grip and a lower grip that are symmetrical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ear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knob when the gear rotates and 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are assembled to the knob .

상기 어퍼그립과 상기 로어그립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의 한쪽부위에서 돌출 연장된 부위로 기어단을 갖추고, 상기 기어단에는 상기 기어축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가공되어진다. 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each have a gear stage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semi-circular body, and the rack gear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of the gear shaft.

상기 로드축에 결합된 캠축의 외주면으로 중앙을 점점으로 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한쌍의 범프가 구비되고, 상기 범프가 상기 변형그립이 갖는 상기 노브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 A pair of bumps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shaft coupled to the rod shaft is provided and the bump changes the position of the deformation grip relative to the knob.

상기 변형그립은 한쌍의 상기 범프의 좌우양쪽으로 대칭되어 상기 범프의 회전시 상기 노브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어퍼그립과 로어그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어퍼그립과 상기 로어그립이 상기 노브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게 된다. Wherein the deformable grip is composed of an upper grip and a lower grip that are symmetrical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bumps and protrude out of the knob when the bump rotates, and wherein when 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are assembled to the knob Diagonal to the knob.

상기 어퍼그립과 상기 로어그립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캠바디를 이루고, 상기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중앙부위를 최대정점으로 하여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범프를 타고 지나가는 프로파일면을 갖추게 된다.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each have a semicylindrical cam body. 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m body with the central point as a maximum vertex, and have a profile surface passing over the bump.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로드축의 위쪽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로드축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센서PCB로 구성되어진다.
The sensor unit is disposed above the rod axis and detects a rotation angle of the rod shaft. A sensor PC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ler .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잡고 변속이 이루어지는 변속레버를 통해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에 대한 촉감을 제공하므로, 시각을 제공할 때 발생되는 운전자의 전방 주시 시야 분산이나 청각을 제공할 때 발생되는 불쾌함 및 소음에 의한 인지능력저감같은 현상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ctile sensation for an optimal shifting time point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of a vehicle through a shift lever which is shifted by a driver and provides a driver with forward viewing field distribution or hearing when a tim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olve all the phenomena such as the unpleasantness generated and the reduction in the cognitive ability due to the nois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잡고 변속이 이루어지는 변속레버를 통한 촉감을 제공하므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다양한 주행모드등을 제공하고 이를 개인에게 특화시켜줄 수 있어 상품성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ctile sensation through a shift lever that a driver holds and shifts, various driving mod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can be provided, and it can be customized for an individual,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가),(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기어축과 변형그립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캠을 이용한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변형례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using gear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 and 2 (b) are views showing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transformer type shift using the c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modification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using gea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장치는 시프트 및 셀렉트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로드(2)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아 움켜쥐는 노브(1)와, 운전자가 잡은 상태에서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이 포함된 주행모드상태를 촉각으로 느끼도록 노브(1)의 형상에 변화를 가하는 노브변형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hift lever device includes a knob 1 connected to a lever rod 2 for transmitting a shift and select operation force and gripping the knob 1 by hand, And knob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knob 1 so as to feel the traveling mode state including the knob 1 in a tactile sense.

상기 노브변형수단은 동력원인 모터(3)와, 노브(1)의 내부로 이어져 모터(3)를 통해 회전되는 로드축(4)과, 외주면으로 기어를 갖추고 로드축(4)에 결합되어진 기어축(5)과, 노브(1)의 외관 일부를 이루고 기어(5)를 통해 회전되어 노브(1)에 대한 위치를 변형하도록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으로 이루어진 변형그립과, 노브(1)의 내부에서 로드축(4)의 회전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유닛(20)과, 센서유닛(20)의 검출신호를 전송받아 모터(3)의 정역회전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되어진다.The knob deforming means includes a motor 3 serving as a power source, a rod shaft 4 connected to the knob 1 and rotated through the motor 3, gears 4, And an upper grip 11 and a lower grip 15 which are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ob 1 and which are rotated through the gear 5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change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knob 1 A sensor unit 20 for detec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d shaft 4 in the knob 1 and a sensor unit 20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0 and detecting the forward / And a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30.

상기 센서유닛(20)은 회전되는 로드축(4)의 위쪽으로 구비되어 로드축(4)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21)와, 센서(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21)의 검출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센서PCB(22)로 구성되어진다.The sensor unit 20 includes a sensor 21 provided above the rod shaft 4 to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d shaft 4 and a sensor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21, And a sensor PCB 22 for converting the detection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ler 30.

상기 컨트롤러(30)는 주행중인 차량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현 주행차량에 대한 상태를 촉각으로 인지시켜줄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지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노브(1)에 대한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모터(3)로 제어신호를 보내 구동시켜주게 된다.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iver should recognize the state of the current driving vehicle with a tactile sense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hicle under driving, A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motor 3 so that the shape of the low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is deformed.

또한, 상기 컨트롤러(30)는 모터(3)의 구동으로 회전되어진 로드축(4)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유닛(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센서유닛(20)의 정보에 따라 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d shaft 4 rotated by the motor 3, 3 is controlled.

상기 컨트롤러(30)가 센서유닛(20)의 정보를 이용해 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모드를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모드의 다양성은 변형그립의 개수를 보다 다양화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촉각으로 제공되는 정보도 더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30 can control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3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0 so that the control mode can be more variously implemente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actile sense to the driver can be further diversified.

이와 같은 변형그립의 수량증가는 이후 도 5에서 상세 기술되어진다.Suc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eformation gri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30)는 ECU(Engine Control Unit)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 적용되어진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 ECU (Engine Control Unit) or a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30.

한편,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기어축과 변형그립의 구성을 나타낸다.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gear shaft and the deformed grip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가)와 같이, 기어축(5)은 피니언타입 기어가 형성되며, 로드축(4)의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로드축(4)과 결합되어진다.As shown in Fig. 2 (A), the gear shaft 5 is formed with a pinion type gear, and is direct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shaft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with the rod shaft 4.

또한, 상기 기어축(5)은 노브(1)의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변형그립을 구성하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에 대해서도 중앙부위로 위치되어진다.The gear shaft 5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nob 1 so that the gear shaft 11 and the lower grip 15 constituting the deformation grip are located above the center.

도 2(나)와 같이, 변형그립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노브(1)에 조립된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으로 구성되고, 기어축(5)의 폭에 대해 양쪽으로 위치되고 길이에 대해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진다.As shown in FIG. 2 (B), the deformed grips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composed of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ssembled to the knob 1, and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gear shaft 5 And is installed at a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length.

상기 어퍼그립(11)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의 한쪽부위에서 돌출 연장된 부위로 기어단(12)을 갖추고, 상기 기어단(12)에는 기어축(5)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가공되어진다.The upper grip 11 is provided with a gear stage 12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semicircular body to a gear stage 12 and a rack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of the gear shaft 5 Processed.

또한, 상기 로어그립(15)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의 한쪽부위에서 돌출 연장된 부위로 기어단(16)을 갖추고, 상기 기어단(16)에는 기어축(5)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가공되어진다.The lower gear 15 is provided with a gear stage 16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body of semicircular shape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gear rack 16 engaging with the pinion gear of the gear shaft 5, Gears are machined.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선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은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만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이 노브(1)에 조립되면 노브(1)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When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re assembled to the knob 1, 1). ≪ / RTI >

즉, 노브(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그립(11)은 로드축(4)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a)으로 위쪽경사를 이루는 반면, 상기 로어그립(15)은 로드축(4)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a)으로 아래쪽경사를 이루게 된다.That is, the upper grip 11 is inclined upwards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with respect to the rod shaft 4 while the lower grip 11 is assembled to the knob 1, And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3 shows an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가 주행중인 차량에서 검출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현 주행차량에 대한 상태를 운전자에게 촉각으로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고 판단하면, 컨트롤러(30)는 모터(3)로 제어신호를 보내 모터(3)를 구동(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주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current traveling vehicle should be recognized by the tactile sense to the driver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vehicle under driving,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motor 3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drive the motor 3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이어, 모터(3)의 구동으로 로드축(4)과 기어축(5)도 함께 회전됨으로써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노브(1)에 대한 형상변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노브(1)를 움켜지고 있던 운전자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의 형상변화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When the motor 3 is driven to rotate the rod shaft 4 and the gear shaft 5 together,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spread in opposite directions to change the shape of the knob 1 The driver gripping the knob 1 can feel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s a touch.

이러한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의 형상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3)의 회전으로 로드축(4)과 기어축(5)이 회전되면, 상기 기어축(5)의 회전은 피니언기어를 매개로 이에 맞물린 랙기어로 전달됨으로써 랙기어를 형성한 랙기어단(12,16)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When the rod shaft 4 and the gear shaft 5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 and the gear shaft 5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 Is transmitted to the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whereby the rack gear stages 12 and 16, which form the rack gear, move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와 같은 랙기어단(12,16)의 움직임은 랙기어단(12,16)을 각각 구비한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은 로드축(4)의 좌우 양쪽으로 벌려짐으로써 노브(1)에 대한 초기형상에서 보다 튀어나온 형상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rack gear stages 12 and 16 is transmitted to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respectively having the rack gear stages 12 and 16, The grip 15 is opened to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d shaft 4, thereby causing the knob 1 to change its shape protruding from the initial shape.

결과적으로, 노브(1)의 매끄럽던 외관형상이 형상변경된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으로 인해 들어가 함몰된 부위와 튀어 나와 돌출된 부위를 갖는 울붕불퉁한 외관형상으로 변화되어진다.As a result, the smooth outer appearance of the knob 1 is changed to a wobbly outer shape having a reces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nd a protruding portion.

이에 따라, 운전자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의 형상변화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촉감변화는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를 깨우쳐 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feel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s a tactile feel, and such a tactile change can be preset so as to remind the driver of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한편,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캠을 이용한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using a c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캠을 이용한 변속레버장치도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변속레버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ift lever device using the c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shift lever device using the ge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다만, 노브변형수단의 구성에서 피니언기어를 갖춘 기어축(5)대신 범프(51,55)를 갖춘 캠축(50)이 적용되고, 한쌍의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에 피니언기어와 맞물린 랙기어를 형성하는 대신 범프(51,55)를 따라 변화되는 프로파일면(63,67)을 형성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knob deforming means, the camshaft 50 having the bumps 51 and 55 is used instead of the gear shaft 5 having the pinion gear, and the pair of upper grips 11 and the lower grip 15 are provided with pinion gears Instead of forming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bumps 51,55.

즉, 상기 캠축(50)은 그 외주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돌출되어진 한쌍의 범프(51,55)를 형성하며, 상기 범프(51,55)는 중앙부위를 최대정점으로 하여 볼록하게 바깥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캠축(50)의 직경을 그 만큼 확대하게 된다.That is, the camshaft 50 forms a pair of bumps 51 and 55 which are protruded to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shaft 50. The bumps 51 and 55 protrude outward Thereby enlarging the diameter of the camshaft 50 by that much.

상기 캠축(50)도 제1 실시예와 같이 노브(1)의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변형그립을 구성하는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에 대해서도 중앙부위로 위치되어진다.The camshaft 5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nob 1 as well as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constituting the deformation grip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상기 어퍼그립(61)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진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진 프로파일면(63)을 갖추고, 상기 프로파일면(63)은 중앙부위를 최대정점으로 하여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진 형성을 이룸으로써 캠축(50)의 범프(51)를 타고 지나가는 위치변화로 노브(1)에 대한 어퍼그립(61)의 형상을 변형시켜주게 된다.The upper grip 61 has a profile surface 63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micylindrical cam body. The profile surface 63 has a central portion as a maximum vertex, So that the shape of the upper grip 61 relative to the knob 1 is deformed by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am shaft 50 passing through the bumps 51. As a result,

그리고, 상기 로어그립(65)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진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진 프로파일면(67)을 갖추고, 상기 프로파일면(67)은 중앙부위를 최대정점으로 하여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진 형성을 이룸으로써 캠축(50)의 또 다른 범프(55)를 타고 지나가는 위치변화로 노브(1)에 대한 로어그립(65)의 형상을 변형시켜주게 된다.The lower grip 65 has a profile surface 67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mi-circular cam body. The profile surface 67 has a central portion as a maximum vertex, So that the shape of the lower grip 65 relative to the knob 1 is deformed by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am shaft 50 passing through another bump 55. [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도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이루고 노브(1)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는 상태로 조립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so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nd are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diagonal with respect to the knob 1.

즉, 노브(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그립(61)은 로드축(4)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a)으로 위쪽경사를 이루는 반면, 상기 로어그립(65)은 로드축(4)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a)으로 아래쪽경사를 이루게 된다.That is, the upper grip 61 i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with respect to the rod shaft 4 while the lower grip 61 is assembled to the knob 1, And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캠을 이용한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5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using the c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가 주행중인 차량에서 검출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현 주행차량에 대한 상태를 운전자에게 촉각으로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고 판단하면, 컨트롤러(30)는 모터(3)로 제어신호를 보내 모터(3)를 구동(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주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current traveling vehicle should be recognized by the tactile sense to the driver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vehicle under driving,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motor 3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drive the motor 3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이어, 모터(3)의 구동으로 로드축(4)과 캠축(50)도 함께 회전됨으로써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노브(1)에 대한 형상변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노브(1)를 움켜지고 있던 운전자는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의 형상변화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The rod 3 and the camshaft 50 are rotated together by driving the motor 3 so that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spread in opposite directions to change the shape of the knob 1 The driver gripping the knob 1 can feel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as a touch.

이러한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의 형상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3)의 회전으로 로드축(4)과 캠축(50)이 회전되면, 상기 캠축(50)의 회전은 범프(51,55)를 매개로 이를 따르는 프로파일면(63,67)의 움직임을 만들어주게 된다.When the rod shaft 4 and the camshaft 50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 the rotation of the camshaft 50 Thereby making the movement of the profile surfaces 63 and 67 following the bumps 51 and 55. [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면(63,67)의 움직임은 프로파일면(63,67)을 각각 구비한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은 로드축(4)의 좌우 양쪽으로 벌려짐으로써 노브(1)에 대한 초기형상에서 보다 튀어나온 형상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profile surfaces 63 and 67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respectively having the profile surfaces 63 and 67 so that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are opened to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d shaft 4, thereby causing a change to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itial shape on the knob 1. [

결과적으로, 노브(1)의 매끄럽던 외관형상이 형상변경된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으로 인해 들어가 함몰된 부위와 튀어 나와 돌출된 부위를 갖는 울퉁불퉁한 외관형상으로 변화되어진다.As a result, the smooth outer appearance of the knob 1 is changed to a rugged outer shape having a reces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and a protruding portion.

이에 따라, 운전자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의 형상변화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촉감변화는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를 깨우쳐 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feel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as a tactile feel, and such a tactile change can be preset so as to remind the driver of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컨트롤러(30)는 모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되며, 이는 로드축(4)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유닛(20)의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implementing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which measures the rotation degree of the rod shaft 4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0.

즉, 모터(3)를 통해 로드축(4)이 회전되면, 상기 로드축(4)의 위쪽으로 구비된 센서(21)는 로드축(4)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센서PCB(22)로 보내주고, 센서PCB(22)는 센서(21)에서 보내준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 컨트롤러(30)로 보내주게 된다.That is, when the rod shaft 4 is rotated through the motor 3, the sensor 21 provided above the rod shaft 4 transmits a signal,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change of the rod shaft 4, And the sensor PCB 22 converts the signal sent from the sensor 2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sends it to the controller 30.

컨트롤러(30)는 입력된 센서PCB(22)의 신호를 이용해 현재 모터(3)의 회전수를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모터(3)의 회전수를 더 증가시키거나 또는 더 감소시켜줌으로써 모터(3)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rent motor 3 by using the signal of the sensor PCB 22 inputted and further increases or decrea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3 if necessary,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는 어퍼그립(11,61)과 로어그립(15,65)의 형상변화로 운전자가 다른 느낌의 촉감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촉감변화로 운전자는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provide different touch feelin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upper grip 11, 61 and the lower grip 15, 65, The driver is able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river in advance.

운전자의 인식 확인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일례로,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가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시점에 대한 것일 경우, 촉감변화를 느낀 운전자는 변속단제어와 같은 동작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 driver's recognition recognition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previously recognized by the driver is about the optimal shift point for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naturally.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다.6 shows a modification of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노브는 변형노브(10)와 함께 다수의 변형노브(100,101,102,103)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변형노브(10,100,101,102,103)는 노브(1)에 대한 위치를 각각 달리하고 변형된 위치도 각각 달리하도록 구성되어진다.As shown, the deformation knob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eformation knobs 100, 101, 102, 103 together with a deformation knob 10, and the plurality of deformation knobs 10, 100, 101, 102, So that the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로 인해 다수의 변형노브(10,100,101,102,103)들로 구성된 경우는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deformation knobs 10, 100, 101, 102, and 103 are configured, more vario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일례로, 제1변형노브(10)는 운전자에게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로 설정하고, 제2변형노브(100)는 주행속도감속을 알려주는 정보로 설정하며, 제3변형노브(101)는 주행속도가속을 알려주는 정보로 설정하고, 제4변형노브(102)는 차량제동을 알려주는 정보로 설정하며, 제5변형노브(103)는 차량선회를 알려주는 정보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deformation knob 10 may be set to information informing the driver of an optimal shift point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the second deformation knob 100 may be set to be information indicating a deceleration of the running speed, The fourth deformation knob 102 is set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hicle braking, and the fifth deformation knob 103 is set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turning speed of the vehicle. Can be set.

상기와 같이 제1변형노브(10)내지 제5변형노브(103)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일례로 모터(3)로 회전되는 로드축(4)에 구비된 범프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주고, 어퍼그립과 로어그립의 프로파일면도 상기 범프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주는 경우가 있다.The first modified knob 10 to the fifth modified knob 10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inform the user of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bump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profile of the upper grip and the lower grip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bumps.

또한, 컨트롤러(30)는 상기 제1변형노브(10)내지 제5변형노브(103)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이를 위한 정보를 컨트롤러(30)에 제공하는 센싱수단도 각각의 기능에 맞춰 통상적인 수단을 이용해 설치되어진다.The controller 30 independently controls the first to the fifth deformation knob 10 to the fifth deformation knob 103. The sensing means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controller 30 to the controller 30 is also commonly used Or by means of the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는 모터(3)로 구동되는 어퍼노브(11,61)와 로어노브(15,65)로 이루어진 변형노브(10,60)를 갖추고, 운전자가 노브(1)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어퍼노브(11,61)와 로어노브(15,65)가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른 위치 변화로 노브(1)의 형상을 다르게 변경시켜줌으로써, 시각으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주시 시야 분산이나 청각으로 인한 불쾌함 및 소음에 의한 인지능력저감 같은 현상 없이 기 설정되어 운전자가 인지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제어동작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cludes the upper knobs 11 and 61 driven by the motor 3 and the deformation knobs 10 and 60 composed of the lower knobs 15 and 65 The upper knobs 11 and 61 and the lower knobs 15 and 65 change the shape of the knob 1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according to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driver holds the knob 1,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vehicle can be smoothly carried out using the information previously recognized by the driver without any phenomenon such as the driver's front sight divergence due to vision, unpleasantness due to auditory sense, and noise reduction.

1 : 노브 2 : 레버로드
3 : 모터 4 : 로드축
5 : 기어축 10,60,100,101,102,103 : 변형노브
11,61 : 어퍼그립 12,16 : 기어단
63,67 : 프로파일면 15,65 : 로어그립
20 : 센서유닛
21 : 센서 22 : 센서PCB
30 : 컨트롤러
50 : 캠축 51,55 : 범프
1: Knob 2: Lever rod
3: motor 4: rod axis
5: gear shaft 10, 60, 100, 101, 102, 103:
11, 61: Upper grips 12, 16:
63,67: Profile face 15,65: Lower grip
20: Sensor unit
21: Sensor 22: Sensor PCB
30: Controller
50: camshaft 51,55: bump

Claims (10)

변속을 수행하는 시프트 및 셀렉트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로드(2)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잡는 노브(1)와; 상기 노브(1)의 내부로 구비되고, 상기 노브(1)를 운전자가 잡은 상태에서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한 최적의 변속 시점이 포함된 다양한 주행모드상태를 촉각으로 느끼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진 노브변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변형수단은 컨트롤러(30)로 제어되는 모터(3)와, 상기 모터(3)를 통해 회전되는 로드축(4)과, 상기 노브(1)의 외관 일부를 이루고 상기 로드축(4)의 회전을 통해 상기 노브(1)에 대한 위치를 변형하여 운전자에게 다른 느낌의 촉각을 제공해주는 변형그립과, 상기 노브(1)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축(4)의 회전정도를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센서유닛(2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A knob (1) connected to a lever rod (2) for transmitting shift and select operation force for performing shifting and held by a driver;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the knobs 1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knob 1 so as to feel various driving modes including an optimum shift point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in a tactile sense, A knob deformation means,
The knob deforming means includes a motor 3 controlled by a controller 30, a rod shaft 4 rotated through the motor 3 and a rod shaft 4 constituting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knob 1, A deformation grip which deforms the position of the rod shaft 4 with respect to the knob 1 by rotation of the knob 1 to provide a tactile sense of a different feeling to the driver, (20) for transmitting to the sensor unit (30) Wherein the shift lever device is a transmission type shift lever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축(4)에 결합된 기어축(5)의 외주면으로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가 상기 변형그립이 갖는 상기 노브(1)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gear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gea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gear shaft (5) coupled to the rod shaft (4), and the gea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deformed grip with respect to the knob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형그립은 상기 기어의 좌우양쪽으로 대칭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시 상기 노브(1)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어퍼그립(11)과 로어그립(15)으로 구성되며, 상기 어퍼그립(11)과 상기 로어그립(15)이 상기 노브(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1)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ear and protrude out of the knob (1) when the gear is rotated, 11 and the lower grip 15 form a diagonal line with respect to the knob 1 in a state where the lower knob 1 and the lower grip 15 are assembled to the knob 1.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퍼그립(11)과 상기 로어그립(15)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의 한쪽부위에서 돌출 연장된 부위로 기어단(12,16)을 갖추고, 상기 기어단(12,16)에는 상기 기어축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가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grip (11) and the lower grip (15) have gear stages (12, 16) projecting from one side of a semicircular body, 16) has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of the gear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축(4)에 결합된 캠축(50)의 외주면으로 중앙을 점점으로 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한쌍의 범프(51,55)가 구비되고, 상기 범프(51,55)가 상기 변형그립이 갖는 상기 노브(1)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bump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bumps (51, 55)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shaft (50) coupled to the rod shaft (4)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eformable grip with respect to the knob (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형그립은 한쌍의 상기 범프(51,55)의 좌우양쪽으로 대칭되어 상기 범프(51,55)의 회전시 상기 노브(1)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어퍼그립(61)과 로어그립(65)으로 구성되며, 상기 어퍼그립(61)과 상기 로어그립(65)이 상기 노브(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1)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b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forming grip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bumps (51,55) so that an upper grip (61) protruding out of the knob (1) And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form a diagonal line with respect to the knob 1 in a state where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are assembled to the knob 1. [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퍼그립(61)과 상기 로어그립(65)은 각각 반원형상으로 캠바디를 이루고, 상기 캠바디의 안쪽면에서 중앙부위를 최대정점으로 하여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범프(51,55)를 타고 지나가는 프로파일면(63,67)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bump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upper grip (61) and the lower grip (65) each form a cam body in a semicircular shape and protrude convex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m body , 55 passing through the profile surfaces (63, 6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20)은 상기 로드축(4)의 위쪽으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20) is provided above the rod shaft (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20)은 상기 로드축(4)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21)와, 상기 센서(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21)의 검출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센서PCB(22)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타입 변속레버장치.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nsor unit (20) comprises: a sensor (21)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d shaft (4) And a sensor PCB (22)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controller (30).
KR1020110075856A 2011-07-29 2011-07-29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KR101673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56A KR101673623B1 (en) 2011-07-29 2011-07-29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56A KR101673623B1 (en) 2011-07-29 2011-07-29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920A KR20130013920A (en) 2013-02-06
KR101673623B1 true KR101673623B1 (en) 2016-11-08

Family

ID=4789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856A KR101673623B1 (en) 2011-07-29 2011-07-29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6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56A (en) 2014-10-22 2016-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ssion perception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756A (en) 2000-08-18 2002-02-26 Alps Electric Co Ltd By-wire system vehicle shift lever device
JP2002257236A (en) * 2001-03-02 2002-09-11 Tokai Rika Co Ltd Shift device
JP2010196640A (en) * 2009-02-26 2010-09-09 Honda Motor Co Ltd Fuel consumption reduction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4117A (en) * 1988-02-08 1989-08-16 Seijirou Ootani Hand touch indicator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904823B2 (en) 2002-04-03 2005-06-1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hifting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756A (en) 2000-08-18 2002-02-26 Alps Electric Co Ltd By-wire system vehicle shift lever device
JP2002257236A (en) * 2001-03-02 2002-09-11 Tokai Rika Co Ltd Shift device
JP2010196640A (en) * 2009-02-26 2010-09-09 Honda Motor Co Ltd Fuel consumption reduction sup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920A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208B2 (en) Gear shift lever apparatus of electronic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US10443709B2 (en) Dial shifter
JP6052214B2 (en) Vehicle shift device
US10288172B2 (en) Motion demonstration electronic gear shif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30630A1 (en) Attachable electronic shift lever
US9322469B2 (en) Folding fa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WO2016042949A1 (en) Vehicular shifter device
US9500275B2 (en) Fla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KR101982859B1 (en) Rotating-type electronic shift lever
WO2008107728A1 (en) A vehicle rear-view mirror shifting system implemented with aim to eliminate the dead angle
KR101673623B1 (en) Transformer type Shift Lever Device
US9423021B2 (en) Fla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ontrol method
KR101478679B1 (en) Moving apparatus and method of shift lever
US10422423B2 (en) Operating element of a motor vehicle
KR101283139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724953B1 (en) Control console of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724959B1 (en) Electronic shift system
JP4940513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JP2021146881A (en) Shif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ifter
JP4935951B2 (en) Shift control device
JP6123767B2 (en) Vehicle shifter device
CN101846174A (en) The hand-operating device that is used for gearshift of vehicle transmission
KR101714258B1 (en) Movable switch module
KR101662540B1 (en) Position variabl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oin lever
JP6064983B2 (en) Vehicle shif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