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542B1 -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 Google Patents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542B1
KR101673542B1 KR1020160058170A KR20160058170A KR101673542B1 KR 101673542 B1 KR101673542 B1 KR 101673542B1 KR 1020160058170 A KR1020160058170 A KR 1020160058170A KR 20160058170 A KR20160058170 A KR 20160058170A KR 101673542 B1 KR101673542 B1 KR 10167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rank
pneumatic
for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류재홍
정은경
류욱현
Original Assignee
정은경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경, 류욱현 filed Critical 정은경
Priority to KR102016005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08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of cotton
    • A01D46/1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of cotton pneu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3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flui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8Devices to shake the branches pneumatically powe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관련되며, 이때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는 소형 경량구조에서 피스톤 행정거리로 인한 출력 증대와 회전관성력을 이용한 출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공압 항타기능과 왕복이송력을 이용한 작물털이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크랭크핀(10)(10'), 공압피스톤(20), 중량피스톤(30), 상쇄피스톤(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Crops harvested Combine driving pile machine}
본 발명은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경량구조에서 피스톤 행정거리 확장으로 인한 출력 증대와 회전관성력을 이용한 고출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공압 항타기능과 왕복이송력을 이용한 작물털이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항타기는 해머형식으로 계속적인 하중을 주어 파일 등을 박거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장치로서, 주로 크랭크 축의 편심회전력에 의해 커넥팅로드에 연결된 해머가 직선 왕복운동되고, 해머를 이용하여 파일을 때려 박거나, 해머 전방에 쐐기봉을 설치하여 피파쇄물을 파쇄하도록 구비되지만, 해머가 직접 타격물에 충돌되어 타격력이 발생되므로, 피로하중으로 인해 장비수명이 크게 단축되면서 휴대성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33200호에서, 배부식 엔진의 회전력을 크랭크축, 커넥팅로드, 압축 피스톤과 타격 피스톤의 유기적인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말뚝에 고속으로 강력한 타격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크랭크축의 편심회전력 및 단일 커넥팅로드의 왕복 직선운동력에 의해 진동력이 심하게 발생되어 작업피로도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러한 진동력은 엔진 회전수에 비례하게 증가되므로 고속운전 및 타격력 증대에 한계가 따랐다.
또, 피스톤 행정거리가 길수록 압축력은 증가되나, 진동력 및 클랭크암의 회전반경이 함께 증가되면서 장비 사이즈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는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시 출력이 저하되고, 고출력을 설계시 장비 사이즈가 증가되어 휴대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소형 경량구조에서 피스톤 행정거리로 인한 출력 증대와 회전관성력을 이용한 출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공압 항타기능과 왕복이송력을 이용한 작물털이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크랭크축(1)에 의해 편심회전되고, 180°크랭크각을 이루는 한 쌍의 크랭크핀(10)(10'); 상기 어느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이송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압축 및 흡입 공압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공압피스톤(20); 상기 공압피스톤(20) 공압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왕복이송되며 타격력을 제공하는 중량피스톤(30); 상기 다른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공압피스톤(20)과 평행선상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공압피스톤(20)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상쇄하도록 구비되는 상쇄피스톤(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10)(10')은 고정베어링(52)에 지지되는 크랭크 휠(50)을 중심으로 180°크랭크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어느 일측 크랭크핀 또는 크랭크 휠(50) 측으로 크랭크축(1)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 휠(50)은 크랭크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핀홀(54)이 형성되고, 크랭크핀은 피스톤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지지용 베어링(56)이 끼워진 상태로 핀홀(54)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피스톤(30) 전방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량피스톤(30)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로드(60)와, 타격로드(60) 단부에는 해머(H) 또는 쐐기(W)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쇄피스톤(40)은 단부에 작물수확용 진동대를 포함하는 진동전달수단(70)이 탈부착가능하도록 조인트부(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180°크랭크각을 이루는 한 쌍의 크랭크핀에 의해 공압피스톤 및 상쇄피스톤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이송되면서 항타기 및 작물털이 작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진동이 상쇄되어 고출력 장시간 작업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크랭크휠이 크랭크축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운동되고, 크랭크휠상에서 180°크랭크각을 이루는 한 쌍의 크랭크핀에 커넥팅로드가 연결되어 공압피스톤과 상쇄피스톤이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크랭크핀의 직경 소형화가 가능하여 피스톤 행정거리 대비 크랭크핀 편심회전반경이 축소되면서 항타기 전체 사이즈가 경량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의 크랭크휠 결합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의 타격로드 교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진동전달수단이 연결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공기구멍과 슬리브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의 타결로드와 해머, 쐐기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의 고소작업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에 관련되며, 이때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는 소형 경량구조에서 피스톤 행정거리로 인한 출력 증대와 회전관성력을 이용한 출력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공압 항타기능과 왕복이송력을 이용한 작물털이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크랭크핀(10)(10'), 공압피스톤(20), 중량피스톤(30), 상쇄피스톤(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핀(10)(10')은 크랭크축(1)에 의해 편심회전되고, 180°크랭크각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크랭크축(1)은 예초기 엔진, 충전식 전동기를 포함하는 외부동력장치와 연결되도록 일단에 조인트가 구비되고, 타단에 크랭크핀(10)이 편심회전되도록 연결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 크랭크핀은 크랭크암을 통하여 크랭크축(1)에 직접 연결되고, 도면부호 10'크랭크핀은 후술하는 크랭크휠(50)을 통하여 도면부호 10크랭크핀과 180°크랭크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이에 상기 크랭크축(1)이 회전시 공압피스톤(20)과 상쇄피스톤(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면서 편심 진동력이 상쇄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면부호 10 크랭크핀 및 크랭크암 구성과 도면부호 10'크랭크핀, 크랭크휠(50) 구성은 동일한 형상 및 중량으로 형성되어, 간단하게 편심 진동력 상쇄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10)(10')은 고정베어링(52)에 지지되는 크랭크 휠(50)을 중심으로 180°크랭크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어느 일측 크랭크핀 또는 크랭크 휠(50) 측으로 크랭크축(1)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크랭크휠(50)은 도 2와 같이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항타기 본체 하우징(2)에 볼트체결되는 고정베어링(52)에 탑재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바, 이때 고정베어링(52)은 내,외륜 사이에 복수개의 볼이 구름운동되도록 설치되는 규격화된 베어링을 적용하여 장기간 무주유운전이 가능하면서 베어링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처럼, 상기 크랭크휠(50)이 크랭크축(1)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운동되고, 크랭크휠(50)상에서 180°크랭크각을 이루는 한 쌍의 크랭크핀(10)(10')에 커넥팅로드가 연결되어 공압피스톤(20)과 상쇄피스톤(40)을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 2처럼 크랭크핀(10)(10')의 직경 소형화가 가능하여 피스톤(20)(40) 행정거리 대비 크랭크핀(10)(10') 편심회전반경이 축소되면서 항타기 전체 사이즈가 경량 소형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피스톤(20)(40) 형정거리 확장으로 실린더(22) 내부에서 작용하는 흡입 및 압축 공압이 증가되어 강한 타격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휠(50)의 회전 관성에 의해 크랭크축(1)의 회전력 불균형이 방지되는바, 즉 크랭크휠(50)이 탄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회전하려는 힘인 회전관성력에 의해 공압피스톤(20)과 상쇄피스톤(40)의 왕복 직선운동력에 필요한 힘이 고르게 전달되면서 진동이 감소된다.
한편, 도 1에서는 크랭크암을 통하여 도면부호 10 크랭크핀에 크랭크축(1)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크랭크휠(50)상에 기어를 형성하여, 크랭크축(1) 동력이 크랭크휠(50) 측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10)(10')은 크랭크휠(50)상에 일체로 가공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크랭크휠(50)상에 결합되는바, 상기 크랭크 휠(50)은 크랭크핀(10)(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핀홀(54)이 형성되고, 크랭크핀(10)은 공압피스톤(2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지지용 베어링(56)이 끼워진 상태로 핀홀(54)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3처럼 도면부호 10 크랭크핀은 크랭크축(1)과 연결되어 커넥팅로드 지지용 베어링(56)을 끼우고, 이어서 크랭크휠(50)의 핀홀(54)에 크랭크핀(10)이 삽입설치되므로, 한 쌍의 크랭크핀(10)의 편심배치에 따른 조립이 간편하고, 특히 크랭크핀(10)의 소형화 및 커넥팅로드 지지용 베어링(56)을 상기 고정베어링(52)과 동일타입의 베어링으로 적용하여 장기간 무주유 운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피스톤(20)은 어느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이송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압축 및 흡입 공압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공압피스톤(20)은 커넥팅 로드를 통하여 크랭크핀(10)과 연결되어 실린더(22)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송되고, 이때 실린더(22) 내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흡입 공압에 의해 중량피스톤(30)이 실린더(22) 내에서 직선 왕복이송된다.
즉, 도 4 (a)와 같이 공압피스톤(20)이 상사점으로 이송시 실린더(22) 내부에 흡입력이 작용하여 중량피스톤(30)이 함께 상사점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공압피스톤(20)이 방향전환되어 하사점으로 이동시 실린더(22) 내부로 압축력이 작용하며, 이때 중량피스톤(30)이 실린더(22) 내부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하사점으로 이동하여 타격력이 제공되며, 이러한 상기 작동을 반복 수행하여 타격력이 연속 발생된다.
또한, 상기 중량피스톤(30) 전방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량피스톤(30)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로드(60)와, 타격로드(60) 단부에는 해머(H) 또는 쐐기(W)가 구비된다. 중량피스톤(30)이 설치되는 실린더(22) 하부에는 멀티캡이 교체가능하게 체결되며, 멀티캡 내에는 타격로드(60)가 중량피스톤(30) 이송방향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머작업 시에는 해머(H)가 설치된 타격로드(60)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암석 파쇄작업 시에는 쐐기(W)가 설치되는 타격로드로(60) 교체하게 된다. 한편 해머(H) 또는 쐐기(W)를 타격로드(60) 단부에 교체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타격로드(60) 단부에 원추형 돌기(60a)가 형성되어 해머(H) 또는 쐐기(W)에 형성되는 원추형 홈(60b)에 끼움결합되고, 원추형 돌기(60a) 및 홈(60b)은 고정핀(70)과 장공(72) 결합에 의해 타격력 전달 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도 8과 같이 장공(72)은 타격로드(60)의 타격력 전달방향으로 확장형성되고, 고정핀(70)과의 결합으로 타격로드(60)상에 결합된 해머(H) 또는 쐐기(W)가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하므로, 타격로드(60)의 타격 하중이 고정핀(70) 측으로 직접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원추형 돌기(60a) 및 홈(60b)에 의해 타력로드에서 해머(H) 또는 쐐기(W)로 전달되는 타격력 전달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장기간 반복 사용에도 타격로드(60)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서로 끼여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고정핀(70)이 장공(72) 내에서 유동성이 확보되어 타격력에 의한 휨이나 부러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쇄피스톤(40)은 다른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공압피스톤(20)과 평행선상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공압피스톤(20)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상쇄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상쇄피스톤(40)은 커넥팅로드를 통하여 도면부호 10'크랭크핀에 연결되고 공압피스톤(20)의 행정방향과 반대방향 즉, 180°등각위치에 구비되는 보조 실린더(41) 내에서 직선 왕복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10)(10')이 편심회전시 공압, 상쇄 피스톤(20)(40)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면서 편심 진동력이 상쇄되어 장시간 작업에도 피로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쇄 피스톤(40)이 수용되는 보조 실린더(41)는 캡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하는 진동전달수단(70)을 체결시에 캡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상쇄피스톤(40)은 단부에 작물수확용 진동대를 포함하는 진동전달수단(70)이 탈부착가능하도록 조인트부(42)가 구비된다. 진동전달수단(70)은 막대형으로 일단부에는 조인트부(42)와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에는 과수에 끼워지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이에 상쇄피스톤(40)의 조인트부(42)에 진동전달수단이 결합되고, 진동전달수단을 대추과수에 끼운상태로 크랭크축(1)이 회전되면 상쇄피스톤(40)에 의해 진동전달수단(70)이 직선 왕복이송되면서 대추를 털어내는 진동작업기로 사용되고, 이때 압축, 상쇄 피스톤(20)(40)의 상호 역방향 직선 왕복이송력에 의해 항타기 본체의 자체 진동력이 감소되어 노약자도 휴대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공압피스톤(20) 및 중량피스톤(30) 작동 구간에는 실린더(22) 내부로 공기를 흡배기하는 에어홀(22a), 보조에어홀(22b)을 포함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공기구멍은 실린더(22)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리브(23)에 의해 본체 하우징(2)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중량피스톤(30)이 상사점에서 방향전환되어 하사점으로 이동되는 구간 어느 일측에는 실린더(22)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되도록 실린더(22)상에 에어홀(22a)이 구비된다. 에어홀(22a)은 공압피스톤(20)이 하사점에서 방향전환되어 상사점으로 이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중량피스톤(30) 타격력이 상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공압피스톤(2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력이 더이상 증가되지 않는 시점에서 중량피스톤(30)이 에어홀(22a)을 통과하면서 외부공기가 실린더(22a) 내부로 유입되므로, 공압피스톤(20)이 하사점에서 방향전환된 후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간섭받지 않고 중량피스톤(30)이 하사점으로 이동하면서 고출력의 타격력이 발생된다. 한편 에어홀(22a)과 이격된 상측위치(공압피스톤 상사점 방향)에는 보조 에어홀(22b)이 더 형성되어, 공압피스톤(20)이 상사점으로 이동시 실린더(22) 내부로 외부공기가 추가 유입됨으로, 이후 하사점으로 방향전환되어 이동시 실린더(22) 내부 압축공기량이 증가되어 반복작동에 따른 타격력 저하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22a)과 보조에어홀(22b)은 실린더(22)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리브(23)에 의해 본체 하우징(2)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슬리브(23)는 실린더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로 일측은 본체 하우징(2) 내부로 연결된다.
이에 본체 하우징(2)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실린더(22) 작동에 필요한 압축공기로 이용됨에 따라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에 노출된 농촌 작업환경에서도 실린더(22)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실린더(22) 내부 오염 및 피스톤 기밀링 손상이 방지되어 메인터넌스(maintenance) 기간이 장구히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2), 본체 하우징(2)을 포함하는 항타기 몸체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조인트부(82)와, 조인트부(82)에 연결되는 연장바(8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작업대(80)가 구비된다. 도 9에서 조인트부(82)는 클램프타입으로 형성되어 실린더(22)에 외주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항타기 몸체 어느 일측에 볼팅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바(84)는 길이 조절 및 조인트부(82) 상에서 각도조절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고소작업대(80)를 연결하여 항타기를 높이 들어 올려 해머(H)가 말뚝 상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위치시켜 타격력이 전달되므로 작업자 신장보다 높은 2m이상의 말뚝 항타작업이 사다리 없이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10, 10': 크랭크핀 20: 공압피스톤
30: 중량피스톤 40: 상쇄피스톤
50: 크랭크휠 60: 타격로드
70: 진동전달수단

Claims (8)

  1. 크랭크축(1)에 의해 편심회전되고, 180°크랭크각을 이루는 한 쌍의 크랭크핀(10)(10');
    상기 어느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이송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압축 및 흡입 공압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공압피스톤(20);
    상기 공압피스톤(20) 공압에 의해 실린더(22) 내에서 왕복이송되며 타격력을 제공하는 중량피스톤(30);
    상기 다른 일측 크랭크핀(10')에 연결되어, 공압피스톤(20)과 평행선상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면서 공압피스톤(20)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을 상쇄하도록 구비되는 상쇄피스톤(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10)(10')은 고정베어링(52)에 지지되는 크랭크 휠(50)을 중심으로 180°크랭크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어느 일측 크랭크핀 또는 크랭크 휠(50) 측으로 크랭크축(1)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휠(50)은 크랭크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핀홀(54)이 형성되고, 크랭크핀은 피스톤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지지용 베어링(56)이 끼워진 상태로 핀홀(54)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피스톤(30) 전방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량피스톤(30) 타격력을 전달하는 타격로드(60)와, 타격로드(60) 단부에는 해머(H) 또는 쐐기(W)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피스톤(40)은 단부에 작물수확용 진동대를 포함하는 진동전달수단(70)이 탈부착가능하도록 조인트부(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피스톤(20) 및 중량피스톤(30) 작동 구간에는 실린더(22) 내부로 공기를 흡배기하는 에어홀(22a), 보조에어홀(22b)을 포함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공기구멍은 실린더(22)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리브(23)에 의해 본체 하우징(2)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2), 본체 하우징(2)을 포함하는 항타기 몸체 어느 일측에 체결되는 조인트부(82)와, 조인트부(82)에 연결되는 연장바(8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작업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로드(60) 단부에 원추형 돌기(60a)가 형성되어 해머(H) 또는 쐐기(W)에 형성되는 원추형 홈(60b)에 끼움결합되고, 원추형 돌기(60a) 및 홈(60b)은 고정핀(70)과 장공(72) 결합에 의해 타격력 전달 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KR1020160058170A 2016-05-12 2016-05-12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KR10167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0A KR101673542B1 (ko) 2016-05-12 2016-05-12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0A KR101673542B1 (ko) 2016-05-12 2016-05-12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542B1 true KR101673542B1 (ko) 2016-11-09

Family

ID=5752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70A KR101673542B1 (ko) 2016-05-12 2016-05-12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5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736B2 (en) * 2003-03-21 2009-05-19 Black & Decker Inc.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for power tool and power tool incorporating such apparatus
KR100952537B1 (ko) * 2009-09-04 2010-04-12 동국정밀주식회사 굴토 및 조경수 이식용 진동삽
JP4778630B2 (ja) * 2000-05-02 2011-09-21 ヒルティ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打撃電動手工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8630B2 (ja) * 2000-05-02 2011-09-21 ヒルティ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打撃電動手工具装置
US7533736B2 (en) * 2003-03-21 2009-05-19 Black & Decker Inc.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for power tool and power tool incorporating such apparatus
KR100952537B1 (ko) * 2009-09-04 2010-04-12 동국정밀주식회사 굴토 및 조경수 이식용 진동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930B1 (ko) 원형 크랭크실이 구비된 더블 피스톤 항타기
US7682102B1 (en) Asphalt tamper
AU2019200648B2 (en) Crusher belt tensioning apparatus
JP4793755B2 (ja) 電動工具
US7832130B2 (en) Multiple mounting bracket for a mobile processor attachment mounted on a hydraulic excavator
US20120118598A1 (en) Impact tool
CA2556728A1 (en) Stroke-variable engine
JP5767511B2 (ja) 往復動式作業工具
KR101673542B1 (ko) 진동저감장치가 구비된 작물털이 겸용 항타기
GB2430638A (en) Vibration damping in rotary power tools
KR20170119071A (ko) 마찰계수 저감과 공기 누설을 방지하여 타격력을 향상시킨 내부 순환식 항타기의 실린더 구조
EP2864549B1 (en) Hammering device meant for hammering poles and other longish objects into the ground
KR101650906B1 (ko) 단동식 저진동 과수털기 겸용 항타기
JPS6334865Y2 (ko)
WO2012089879A1 (es) Sistema triturador de piedras y similares
US2736156A (en) hardman
KR101685690B1 (ko) 기계식 공압 항타기
CA2461785A1 (en) Walk-behind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US9402339B2 (en) Soil processing device for creating cavities in soil
CN211051631U (zh) 一种全自动振磨机
CN112427967B (zh) 电动工具
JP7257040B2 (ja) 動力作業機
JP4341602B2 (ja) 衝撃工具
JP6904145B2 (ja) 電動工具
KR20180028138A (ko) 고하중 공압 항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