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89B1 -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89B1
KR101673489B1 KR1020160086337A KR20160086337A KR101673489B1 KR 101673489 B1 KR101673489 B1 KR 101673489B1 KR 1020160086337 A KR1020160086337 A KR 1020160086337A KR 20160086337 A KR20160086337 A KR 20160086337A KR 101673489 B1 KR101673489 B1 KR 10167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needle
cold
holder
heat
thermoelectric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16008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8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with Pelti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thermo-electric, e.g. Peltier effect, thermocouples, semi-condu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에 필요에 따라 열감이나 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치료부위에 자입되는 의료용 바늘 및 상기 의료용 바늘과 연결되고, 상기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상기 치료부위에 열감 또는 냉감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냉온 전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APPARATUS OF TRANSFERRING COLD OR WARMTH FOR MEDICAL NEEDLE}
본 발명은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에 필요에 따라 열감이나 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의 치료부위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침과 같은 바늘을 꽂는 일명 침술은 한방 뿐만 아니라 양방에서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양방에서는 IMS(intramuscular stimulation) 시술에 침과 같은 바늘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한의학 혹은 한방에서의 침자리(경혈, 경락)는 인체의 에너지(기)가 전달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한의학은 에너지 순환의 관점에서 인체의 질병 치료를 위한 많은 노력을 하여 왔고, 이러한 점에서 에너지 순환의 관문인 침자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침술은 이러한 침자리를 자극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자극요업이다. 이러한 침술은 현대 의학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는 만성질환과 같은 질병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최근까지 대체 의학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었던 미국 식품의약청도 1997년 침술을 허가하게 되었다.
침술의 도구가 되는 의료용 바늘은 주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만들어지며, 그 구조는 길이와 두께의 차이는 있지만 끝부분이 연마되어 환자의 경혈까지 꽂을 수 있도록 하는 첨단 형태로 형성되는 침체와, 그 침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침술에서 침자리에 열감을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질병에 관계없이 모든 침자리에 열감을 전달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때에 따라, 다시 말해, 질병에 따라, 침자리에 냉감을 전달할 필요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침술에서, 침자리에 냉감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혹은 고려는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116호(2013.06.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에 필요에 따라 열감이나 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치료부위에 자입되는 의료용 바늘 및 상기 의료용 바늘과 연결되고, 상기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상기 치료부위에 열감 또는 냉감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냉온 전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 전달부는 복수 개의 N형 반도체와 복수 개의 P형 반도체가 도체를 매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 하로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은 주위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복수 개의 상기 N형 반도체 및 복수 개의 상기 P형 반도체 내부로 이동되어 흡열이 일어나 냉각면이 되고, 다른 한 면은 전자의 에너지 방출에 의해 방열이 일어나 열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온 전달부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로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D.C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C 공급부는 상기 직류전류의 공급 방향 전환을 통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냉각면, 상기 제2 면이 상기 열면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열면, 상기 제2 면이 상기 냉각면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온 전달부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의료용 바늘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를 연결시키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방열 혹은 흡열 현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냉기 혹은 온기가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의료용 바늘에 전도되도록 상기 냉기 혹은 온기의 공급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상기 홀더 및 상기 유로의 표면에는 단열재가 피복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의료용 바늘의 침병 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의 바닥면 중 상기 결합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노즐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노즐은 상기 의료용 바늘의 첨단에 수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 예컨대, 의료용 바늘이 한방 침으로 적용되는 경우, 침을 꽂은 부위, 즉, 침자리에 필요에 따라 열감이나 냉감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온열요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용 바늘에 온기를 전도시키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에 열감을 전달하여, 혈액순환 증진, 경련성 근육 이완, 통증 감소 등의 효과를 구현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고, 냉각요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용 바늘에 냉기를 전도시키고, 이를 통해, 치료부위에 냉감을 전달하여, 염좌나 좌상, 타박상의 치유력 증진 및 근육의 긴장 완화 등의 효과를 구현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키기 위해,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의료용 바늘에 냉기를 전도시키는 경우 환경을 파괴하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의료용 바늘에 온기를 전도시키는 경우 안정적으로 온기 전달이 가능하며, 진동과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바늘이 장착되는 냉온 전달부의 홀더에 형성되어, 의료용 바늘의 첨단 방향으로 냉기 또는 온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의료용 바늘에 대한 온기 또는 냉기의 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치료부위 주변까지 열감 또는 냉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에어 커튼 역할을 함에 따라, 의료용 바늘에 대한 외기의 접촉이 차단 혹은 최소화되어, 의료용 바늘에 전도된 냉기 또는 온기의 지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소자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홀더 및 하우징과 홀더를 연결하는 유로의 표면을 단열재로 피복함으로써, 열전소자 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냉기 혹은 온기가 의료용 바늘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열전소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냉온 전달부를 구성하는 홀더 및 이에 결합된 의료용 바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홀더 및 이에 결합된 의료용 바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열전소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냉온 전달부를 구성하는 홀더 및 이에 결합된 의료용 바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의료용 바늘(110)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의료용 바늘(110)이 자입되는 환자의 치료부위에 필요에 따라 열감이나 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의료용 바늘(110) 및 냉온 전달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의료용 바늘(110)은 환자의 치료부위에 자입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110)는 한방 뿐만 아니라 양방의 시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의료용 바늘(110)은 한방에 적용되는 경우, 한방 침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양방에 적용되는 경우, 예컨대, IMS(intramuscular stimulation) 시술용 침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양방의 기타 다른 침술(acupuncture)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료용 바늘(110)이 한방 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양방에도 적용되는 바, 본 발명에서 의료용 바늘(110)을 특별히 한방 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의료용 바늘(110)은 냉온 전달부(120)와 연결되어, 이에 의해, 냉기 또는 온기로 전도된다. 이러한 의료용 바늘(110)은 침체(111)와 침병(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침체(111)는 환자의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의료용 바늘(110)의 일측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매우 얇은 약 0.2㎜ 정도의 바늘 형태로 형성된다. 침병(112)은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핸들링하는 의료용 바늘(110)의 타측 부분으로, 침체(11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침병(112)은 냉온 전달부(120)의 홀더(124)에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침병(112)은 휨 변형이 가능하도록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침체(111)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 및 압착되며 이에 감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침병(11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침체(1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냉온 전달부(120)는 의료용 바늘(110)과 연결된다. 또한, 냉온 전달부(120)는 의료용 바늘(110)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한방 침으로 적용되는 의료용 바늘(110)을 통해 의료용 바늘(110)이 꽂히는 부위, 즉, 침자리에 열감 또는 냉감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냉온 전달부(120)는 열전소자 모듈(121)을 포함한다.
반도체를 매개로 금속이 상호 접지되어 형성된 루프에 전류를 흘리면 페르미 에너지 차이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자가 한쪽 금속면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가지고 가기 때문에 냉각(흡열)이 일어나는 반면, 다른 금속면은 상기 전자가 가지고 온 에너지만큼 열 에너지를 내놓기 때문에 가열(방열)이 일어나는데, 이를 펠티에르 효과(Peltier effect)라고 한다. 이때, 반도체의 종류,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흡열과 방열의 위치가 결정되며, 재질에 따라서도 그 효과에 차이가 발생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반도체(N)와 P형 반도체(P)가 도체(M)를 매개로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 직류전류(D.C)가 가해지면, (-)로 대전된 금속/반도체 접점(1, 2)에서는 주위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반도체 내부로 이동되어 흡열이 일어나고, (+)로 대전된 접점(3, 4)에서는 전자의 열 에너지 방출에 의한 방열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전류의 방향을 역으로 하면, 흡열 및 방열 부위가 뒤바뀌게 된다. 또한, 반도체(N, P)의 재질에 따라서도 열전 효율에 차이가 생기므로, 반도체(N, P)로는 열전지수가 우수한 BiTe계, PbTe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도체(N, P)의 재질을 최적화하더라도 N형 반도체(N)와 P형 반도체(P)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경우, 공급 전력당 흡열 및 방열량은 매우 미미하다.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N형 반도체(N)와 P형 반도체(P)를 하나의 열전쌍이라고 할 때, 복수 개의 열전쌍이 도체(M)에 의해 직렬 회로를 이루는 열전소자 모듈(121)을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복수 개의 열전쌍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도체(M)를 제1 면(121a),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도체(M)를 제2 면(121b)으로 정의한다.
열전소자 모듈(121)에 직류전류가 공급되면, 제1 면(121a) 및 제2 면(121b) 중 어느 한 면은 주위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복수 개의 N형 반도체(N) 및 복수 개의 P형 반도체(P) 내부로 이동되어 흡열이 일어나 냉각면이 된다. 또한, 제1 면(121a) 및 제2 면(121b) 중 다른 한 면은 전자의 에너지 방출에 의해 방열이 일어나 열면이 된다.
냉온 전달부(120)는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 모듈(121)로 직류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열전소자 모듈(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공급부(122)를 포함한다.
D.C 공급부(122)는 열전소자 모듈(121)에 인가되는 직류전류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켜, 열전소자 모듈(121)의 제1 면(121a)이 냉각면, 제2 면(121b)이 열면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열전소자 모듈(121)의 제1 면(121a)이 열면, 제2 면(121b)이 냉각면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온 전달부(120)는 D.C 공급부(122)의 직류전류 공급에 의해 열전소자 모듈(121)이 작동되어, 제1 면(121a)이 냉각면 또는 열면이 되고, 이에 따라, 제1 면(121a) 측에 형성된 냉기 또는 온기를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시키기 위해, 하우징(123), 홀더(124) 및 유로(12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3)은 내부에 열전소자 모듈(121)을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123)의 내부에는 열전소자 모듈(121)의 작동에 따라, 가열되거나 냉각될 공기가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 모듈(121) 작동 시 열전소자 모듈(121)의 제1 면(121a)이 냉각면이 되면, 제2 면(121b)은 열면이 되고, 제1 면(121a)이 열면이 되면, 제2 면(121b)은 냉각면이 된다. 이에 따라, 냉각면에 의한 냉기 또는 열면에 의한 온기를 온전히 의료용 바늘(110) 측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제1 면(121a) 측의 공기와 제2 면(121b) 측의 공기 간의 교류 혹은 순환이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23)의 내부는 열전소자 모듈(121)을 경계로, 상, 하 2개의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의료용 바늘(110)에 냉기와 온기를 동시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냉기나 온기를 전달한다. 이때, 열전소자 모듈(121)의 제1 면(121a) 및 제2 면(121b) 모두, D.C 공급부(122)의 직류전류 공급 방향에 따라, 열면이 되거나 냉각면이 될 수 있다. 즉, 제1 면(121a) 및 제2 면(121b) 중 어느 한 면만이 온기 또는 냉기 발생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소자 모듈(121)은 하우징(123)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하우징(123)의 내부는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 모듈(121)의 제1 면(121a)이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될 온기나 냉기 생성에 사용되는 경우, 제2 면(121b) 측의 하부 공간에도 온기나 냉기가 생성되므로, 하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이러한 공기를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121)이 하우징(123)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된 경우에도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하우징(123)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3)의 일측에는 열전소자 모듈(121)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냉기나 온기를 홀더(124) 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구(123a)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구(123a)은 홀더(124)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나 온기의 유속 향상을 위해,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24)는 의료용 바늘(110)을 고정한다. 이러한 홀더(124)는 하우징(123)과 연결되어, 하우징(123)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나 온기로 의료용 바늘(110)을 전도시킨다. 이를 위해, 홀더(124)의 내부는 하우징(123)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나 온기를 수용하는 중공(124a)으로 형성되고, 홀더(124)의 일측에는 하우징(123)과의 연통을 위한 유입구(124b)가 형성된다. 또한, 홀더(124)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의료용 바늘(110)의 침병(112) 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124c) 형성된다. 이때, 홀더(124)의 중공(124a)에 수용되는 냉기나 온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의료용 바늘(110)의 침병(112)의 일 부분은 결합홀(124c)을 통과하여, 중공(124a)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홀(124c)에 결합될 수 있다.
유로(125)는 하우징(123)과 홀더(124)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123)과 홀더(124)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유로(125)는 하우징(12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열전소자 모듈(121)의 방열 혹은 흡열 현상에 의해 하우징(123) 내부에 형성된 냉기 혹은 온기가 홀더(124)를 통해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되도록 하우징(123)의 배출구(123a)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혹은 온기의 이동 혹은 공급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123), 홀더(124) 및 유로(125)의 표면에 단열재(126)가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23), 홀더(124) 및 유로(125)의 표면에 단열재(126)가 피복되어 있으면, 열전소자 모듈(121)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냉기 혹은 온기가 의료용 바늘(110)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기와 열교환되어, 그 온도가 변환되는 것을 최소화 혹은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전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의료용 바늘(110)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의료용 바늘(110)을 통해 치료부위, 예컨대, 침자리에 열감 또는 냉감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열전소자 모듈(12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이러한 열전소자 모듈(121)을 통해, 온열요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용 바늘(110)에 온기를 전도시키고, 이를 통해, 침자리에 열감을 전달하여, 혈액순환 증진, 경련성 근육 이완, 통증 감소 등의 효과를 구현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고, 냉각요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용 바늘(110)에 냉기를 전도시키고, 이를 통해, 침자리에 냉감을 전달하여, 염좌나 좌상, 타박상의 치유력 증진 및 근육의 긴장 완화 등의 효과를 구현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의료용 바늘(110)에 냉기를 전도시키기 위해 환경을 파괴하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의료용 바늘(110)에 온기를 전도시키는 경우 안정적으로 온기 전달이 가능하며, 진동과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100)는 열전소자 모듈(121)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냉기나 온기를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시키기 위해, 열전소자 모듈(121)을 수용하는 하우징(123), 의료용 바늘(110)을 고정하는 홀더(124) 및 이들을 연통시키는 유로(125)만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냉기 및 온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냉매를 이용하는 에어컨 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온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이용한 저항 발열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이때, 이들 에어컨 장치와 저항 발열장치는 그 자체로도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냉기와 온기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장치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구성이나 구조가 요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냉기나 온기 발생수단으로 열전소자 모듈(121)을 구비하면, 하우징(123), 홀더(124), 유로(125) 및 열전소자 모듈(121)의 작동을 위한 D.C 공급부(122)만 구비하면 되므로, 장치의 단순화 혹은 간소화를 이룰 수 있어, 복잡하고 협소한 병실에서도 별다른 공간적인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장치의 오작동도 줄어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의 홀더 및 이에 결합된 의료용 바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는 복수 개의 노즐(224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홀더에 복수 개의 노즐이 추가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노즐(224d)은 홀더(224)의 중공(124a)과 연통되고, 홀더(224)의 바닥면 중 결합홀(124c)의 둘레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노즐(224d)은 의료용 바늘(110)을 이루는 침체(111)의 첨단에 수렴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복수 개의 노즐(224d)은 의료용 바늘(110)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노즐(224d)을 통해, 홀더(224)의 중공(124a)에 채워져 있는 냉기나 온기는 의료용 바늘(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의료용 바늘(110)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홀더(224)에 복수 개의 노즐(224d)이 형성되면, 의료용 바늘(110)의 전 영역에 냉기나 온기가 접촉되어, 의료용 바늘(110)에 대한 온기 또는 냉기의 전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침자리 주변까지 열감 또는 냉감을 전달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224)에 복수 개의 노즐(224d)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냉기나 온기가 분사되면, 이들이 에어 커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복수 개의 노즐(224d)로부터 분사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의료용 바늘에 대한 외기의 접촉이 차단되거나 최소화되어, 의료용 바늘(110)에 전도된 냉기 또는 온기의 지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노즐(224d)을 통해 분사되는 냉기나 온기가 의료용 바늘(110)에 대한 에어 커튼 역할을 하게 되면, 침자리에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치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110: 의료용 바늘
111: 침체 112: 침병
120: 냉온 전달부 121: 열전소자 모듈
121a: 제1 면 121b: 제2 면
122: 전원 공급부 123: 하우징
123a: 배출구 124: 홀더
124a: 중공 124b: 유입구
124c: 결합홀 125: 유로
126: 단열재 224d: 노즐

Claims (10)

  1. 환자의 치료부위에 자입되는 의료용 바늘; 및
    상기 의료용 바늘과 연결되고, 상기 의료용 바늘에 온기 또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전도시켜, 상기 치료부위에 열감 또는 냉감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냉온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 전달부는 복수 개의 N형 반도체와 복수 개의 P형 반도체가 도체를 매개로 직렬 연결되어 있는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냉온 전달부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의료용 바늘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를 연결시키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방열 혹은 흡열 현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냉기 혹은 온기가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의료용 바늘에 전도되도록 상기 냉기 혹은 온기의 공급통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 하로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은 주위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복수 개의 상기 N형 반도체 및 복수 개의 상기 P형 반도체 내부로 이동되어 흡열이 일어나 냉각면이 되고, 다른 한 면은 전자의 에너지 방출에 의해 방열이 일어나 열면이 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전달부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로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D.C 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 공급부는 상기 직류전류의 공급 방향 전환을 통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냉각면, 상기 제2 면이 상기 열면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열면, 상기 제2 면이 상기 냉각면이 되도록 제어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홀더 및 상기 유로의 표면에는 단열재가 피복되어 있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의료용 바늘의 침병 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바닥면 중 상기 결합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노즐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즐은 상기 의료용 바늘의 첨단에 수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KR1020160086337A 2016-07-07 2016-07-07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KR10167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37A KR101673489B1 (ko) 2016-07-07 2016-07-07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37A KR101673489B1 (ko) 2016-07-07 2016-07-07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489B1 true KR101673489B1 (ko) 2016-11-07

Family

ID=5752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37A KR101673489B1 (ko) 2016-07-07 2016-07-07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7B1 (ko) * 2019-01-30 2020-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침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침 시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95Y1 (ko) * 2001-08-08 2001-11-26 이정화 침술용 온/냉열 치료기
KR100697956B1 (ko) * 2006-02-28 2007-03-23 최성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의료용 냉각기
KR100734901B1 (ko) * 2006-06-15 2007-07-12 (주)엘앤비메디칼 열전 소자를 이용하는 의료용 전기 및 냉온 자극 장치
JP2010506681A (ja) * 2006-10-16 2010-03-04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投薬制御装置を含む眼科用注射装置
KR101274116B1 (ko) 2008-12-16 2013-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한방용 자기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95Y1 (ko) * 2001-08-08 2001-11-26 이정화 침술용 온/냉열 치료기
KR100697956B1 (ko) * 2006-02-28 2007-03-23 최성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의료용 냉각기
KR100734901B1 (ko) * 2006-06-15 2007-07-12 (주)엘앤비메디칼 열전 소자를 이용하는 의료용 전기 및 냉온 자극 장치
JP2010506681A (ja) * 2006-10-16 2010-03-04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投薬制御装置を含む眼科用注射装置
KR101274116B1 (ko) 2008-12-16 2013-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한방용 자기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7B1 (ko) * 2019-01-30 2020-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침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침 시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839B1 (ko)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0855319B1 (ko) 의료용 피부 급냉 기기
US20020107543A1 (en) Physiotherapeutic device
US20180369015A1 (en) Thermal therapy device for providing controlled heating and cooling via an applied tissue interacting device
US2013017296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person
KR100734901B1 (ko) 열전 소자를 이용하는 의료용 전기 및 냉온 자극 장치
JP2009518111A (ja) 患者の身体の局所温度を制御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US202102363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blockade of nerves
WO2017223417A1 (en) Dual temperature, dual reservoir contrast programmable therapy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150372B1 (ko) 의료용 전기 및 냉온 자극 생성 장치
KR101673489B1 (ko) 의료용 바늘 냉온 전달장치
KR101315403B1 (ko) 탈착식 한랭 자극부를 갖는 휴대용 열/진동 복합 자극밴드
KR20170122624A (ko) 냉온찜질사우나마스크
KR20050074406A (ko) 원적외선 온열 좌욕기
KR101679747B1 (ko) 뜸질기
CN201001668Y (zh) 远红外线温热座浴器
RU2641849C2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е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шейно-воротниковой зоны
KR101718371B1 (ko) 휴대 가능한 전자온열 뜸기
EP4076632B1 (en) Apparatus for thermal blockade of nerves
US20110084054A1 (en) Massage stone warming apparatus
CN205286900U (zh) 中药熏蒸床
EP2687174B1 (en) Head end for device for cool therapy
KR100968464B1 (ko) 피부 미용기기
KR200396915Y1 (ko) 원적외선 온열 좌욕기
KR200186504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립선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