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179B1 -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 Google Patents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179B1
KR101673179B1 KR1020140085237A KR20140085237A KR101673179B1 KR 101673179 B1 KR101673179 B1 KR 101673179B1 KR 1020140085237 A KR1020140085237 A KR 1020140085237A KR 20140085237 A KR20140085237 A KR 20140085237A KR 101673179 B1 KR101673179 B1 KR 10167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nut
height
downward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5997A (en
Inventor
김성일
김현민
손만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1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0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하는 신축 잭부재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지지 높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높이를 록킹 너트에 의한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받침의 전체 높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록킹 너트를 이용한 높이 고정기능을 가지는 높이조절형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부판(1), 하부판(2), 및 완충부재(3)를 포함하여, 하부판(2)에는 하향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 록킹 너트(5)가 하향 돌출부(21)에 상하 이동하도록 나사결합되어 구비되고; 하부판(2)의 아래쪽에는 높이조절판(4)이 위치하는데, 높이조절판(4)에는 상향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판(2)을 밀어주는 신축 잭부재(42)가 상향 돌출부(41)에 구비되어 있고, 상향 돌출부(41)에는 하부 록킹 너트(6)가 구비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41)의 신장에 의해 하부판(2)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 중의 하나 또는 모두가 이동하여 서로 접하여서 하부판(2)의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by means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can be fixed mechanically by the locking nut, To a height-adjustable bridge support having a height fixing function using a locking nut.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1, a lower plate 2 and a cushioning member 3 and a lower protrusion 21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2 so that the upper locking nut 5 is downward Screw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projection 21; A height adjusting plate 4 is located below the lower plate 2 and an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is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late 4. An extension jack member 42 for pushing the lower plate 2 is provided on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41 And the lower locking nut 6 is provided on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so that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5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2 is lifted by the extension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41, One or both of the locking nuts 6 are moved and abutt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raised state of the lower plate 2.

Figure R1020140085237
Figure R1020140085237

Description

록킹 너트를 이용한 높이 고정기능을 가지는 높이조절형 교량받침{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a height fixing function using a locking nu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처럼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여 상부구조물로부터의 하중을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물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압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신축 잭부재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지지 높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높이를 록킹 너트에 의한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받침의 전체 높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록킹 너트를 이용한 높이 고정기능을 가지는 높이조절형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upport used to support an upper structure located on an upper side, such as an upper plate of a bridge, and to transmit a load from the upper structure to a lower structure positioned below, A locking nut whic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supporting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by a member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mechanically by a locking nut to thereby stably maintain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To a height-adjustable bridge support having a height-fixing function using a bridge.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 또는 기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교량받침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교량받침에는 상부판(1), 하부판(2), 및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구비된 완충부재(3)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교량받침에서는 디스크부재가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완충부재(3)는 이러한 디스크부재 이외에, 슬라이딩하는 구성 등 매우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교량받침이 교량에 사용될 경우,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서 상부판(1)은 교량의 거더나 바닥판 등과 같은 상부구조물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부판(2)은 교각과 같은 하부구조물의 하면에 고정된다. Bridge supports are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and the piers or between other superstructures and substructures. 1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bridge support. The conventional bridge support includes an upper plate 1, a lower plate 2, and a buf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 and the lower plate 2, (3). Although the disk member is shown as being used as the cushioning member 3 provided between the top plate 1 and the bottom plate 2 in the conventional bridge support shown in Fig. 1, the cushioning member 3 is not limited to such a disk member , And a configuration for sliding are known. When a conventional bridge support is used for a bridge, generally, in the prior art, the upper plate 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such as a girder or a bottom plate of the bridge, and the lower plate 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

한편, 교량받침을 교체하거나 또는 기타 필요에 의해 상부구조물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받침 자체의 높이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는 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4030호에는 이러한 높이가변형 교량받침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354030호에 개시된 종래의 교량받침의 경우, 작동부재를 회전시켜서 상부판을 승하강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량 등과 같이 교량받침이 지지하고 있는 상부구조물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pe with a situa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needs to be adjusted by replacing the bridge support or other necessity, it is necessary to vary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itself.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4030, An example of a variable bridge support is disclos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ridge support disclos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54030, since the operation member is rotated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plate, a large load acts on the upper structure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such as a bridg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u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030호(2004. 06. 23. 공고) 참조.Se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4030 (2004. 06. 23.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높이를 필요에 따라 쉽게 가변시켜서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높이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받침의 전체 높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교량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support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height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as required and adjusting the height to be fixed mechanically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height of the support, .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교량받침으로서, 하부판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록킹 너트가 하향 돌출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판의 아래쪽에는 높이조절판이 위치하는데, 높이조절판에는 상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신축하여 하부판을 밀어주는 신축 잭부재가 상향 돌출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향 돌출부에는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하부 록킹 너트가 구비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가 신장하여 하부판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부 록킹 너트와 하부 록킹 너트 중의 하나 또는 모두가 이동하여 서로 접하여서 하부판의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idge support provided at an interval between an upper structure and a lower structure including a top plate, a lower plate, and a buffer member provided between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 protruding downward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an upper locking nut is screwed to the downward protrusion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 lower locking nut which is screwed to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and is vertically moved is provided on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jacket member, Wherein one or both of the upper locking nut and the lower locking nut are moved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raised state of the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and upper plates are lif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being extended, / RTI >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상향 돌출부의 중앙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 내에 신축 잭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며; 높이조절판에는 중앙의 오목홈과 연통되는 압력주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가 오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력주입통로를 통해서 가압유체가 주입되면 가압유체가 신축 잭부재의 하면 아래쪽의 오목홈에 채워지면서 신축 잭부재의 하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신축 잭부재가 상승하여 하부판을 상승시키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더 나아가 하향 돌출부의 하면에는 신축 잭부재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오목끼움부가 형성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ave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A telescopic jack member is inserted in the recessed groove; The height regulating plate is formed with a pressure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cave groove; When the pressurized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pressure injection passage in a state where the telescopic jack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he pressurized fluid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so that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The jack member may be raised to raise the bottom plate. Further,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fitting portion on which a top end of the stretchable jack member can be fitted.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에서는, 하부판을 인상시킨 후, 상,하부 록킹 너트의 회전에 의한 나사 이동에 의해 하부판의 인상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상부구조물을 교량받침이 지지하고 있는 높이를 필요에 따라 쉽게 가변시켜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그 높이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시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bridg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lower plate is lifted, the lifting state of the lower plate is mechanically maintained by the screw movement due to the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ocking nuts,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is required So that the height can be fixed in a mechanical manner and can be kept very stable.

또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는 하부판의 인상 높이 유지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가압유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가압유체의 가압 공급을 위한 펌프 등의 작동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펌프 등을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도 있고 펌프 운용에 따른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the pressurized fluid to maintain the pull-up height of the lower plate,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for pressurized supply of the pressurized fluid, It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and the cost for operating the pump can be greatly reduc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록킹 너트가 상부와 하부의 2개로 이루어져 상,하향 양측에서 나사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판의 인상된 높이가 커지더라도, 그로 인하여 교량받침 전체의 연직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nut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screw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even if the raised height of the lower plate is increased, the increase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bridge support is minimiz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각각 교량받침의 높이 조절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bridge support.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bridge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5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FIGS. 7 to 1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along line BB of FIG. 4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bridge support,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대상을 "교량받침"이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교량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거더 또는 바닥판과 같이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 등의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물(U)로부터의 연직한 하중을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구조물(L)로 전달할 목적으로 다양한 사용처를 가지고 있는 받침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clai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ridge support ", but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ridge. That is,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installed between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a lower structure such as a bridge, such as a girder or a bottom plate, and a vertical load from an upper structure (U) Is used to mean all of the pedestals having various uses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m to the underlying substructure (L).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은, 상부판(1)과 하부판(2), 그리고 완충부재(3)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하부판(2)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 록킹 너트(5)가 하향 돌출부(2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판(2)의 아래쪽에는 신축 잭부재(42)가 구비된 높이조절판(4)이 구비되어 있는데, 높이조절판(4)에는 상부로 돌출된 상향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유압에 의해 연직하게 신축하여 하부판(2)을 밀어주는 신축 잭부재(42)가 상향 돌출부(41)에 구비되어 있고, 상향 돌출부(41)에는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되는 하부 록킹 너트(6)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The bridg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1, a lower plate 2 and a cushioning member 3. The lower plate 2 is formed with a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protruding downward, The locking nut 5 is screwed to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and a height regulating plate 4 having a telescopic jack member 42 is provided below the lower plate 2 An upwardly projecting upwardly projecting portion 41 is formed on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and a stretchable jack member 42 for vertic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by the hydraulic pressure to push the lower plate 2 is provided on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41 And a lower locking nut 6 screwed to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and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is provided.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와 도 3은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교량받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량받침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S. 2 and 3 are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show a bridg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hav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schematic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Sectiona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line CC of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상부판(1)은 상부구조물(U)에 결합되지만 하부판(2)은 직접 하부구조물(L)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판(2)의 아래에는 높이조절판(4)이 배치되고, 높이조절판(4)이 하부구조물(L)에 결합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1 is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U, but the lower plate 2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tructure L, but a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provided below the lower plate 2 And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coupled to the lower structure L. As shown in Fig.

우선 높이조절판(4)부터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높이조절판(4)은 하부구조물(L)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부앵커(48)에 의해 하부구조물(L)에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높이조절판(4)의 상면에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돌출된 상향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향 돌출부(41)의 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록킹 너트(6)가 상향 돌출부(41)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부 록킹 너트(Locking Nut)(6)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록킹 너트(6)의 연직방향 높이는 상향 돌출부(41)의 높이 즉, 높이조절판(4)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부(41)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록킹 너트(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에 의해 하부 록킹 너트(6)는 상향 돌출부(41)에 체결된 상태로 상향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하부 록킹 너트(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향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9는 하부 록킹 너트(6) 및 상부 록킹 너트(5)를 회전시킬 때, 막대형 손잡이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끼울 수 있도록 하부 록킹 너트(6) 및 상부 록킹 너트(5)에 형성될 수 있는 끼움공(61)이다. 즉, 끼움공(61)에 막대형 손잡이 부재를 끼우게 되면, 손잡이 부재를 이용하여 록킹 너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a member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L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L by a lower anchor 48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protruding upward.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6 are screw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41. [ The lower locking nut 6 is a ring-shaped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lower locking nut 6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height of the upward protrusion 41, that is, the height of the upward protrusion 4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otruding height. When the lower locking nut 6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lower locking nut 6 is upwardly moved by being fastened to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by screw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locking nut 6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Downward movement.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9 designates a lower locking nut 6 and an upper locking nut 5 so as to be able to insert a rod-shaped pull member (not shown) when the lower locking nut 6 and the upper locking nut 5 are rot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when the rod-shaped pull member is fitted to the fitting hole 61, the locking nut can be easily rotated using the pull member.

상향 돌출부(41)에는, 압력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하는 신축 잭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상향 돌출부(41)의 중앙에는 오목홈(43)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43) 내에 기둥형상의 신축 잭부재(42)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높이조절판(4)에는 중앙의 오목홈(43)과 연통되는 압력주입통로(44)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42)가 오목홈(4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력주입통로(44)를 통해서 압력오일 등과 같은 가압유체가 주입되면 가압유체가 신축 잭부재(42)의 하면 아래쪽의 오목홈에 채워지면서 신축 잭부재(42)의 하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신축 잭부재(42)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압력주입통로(44)를 통해서 가압유체를 배출하게 되면 가압유체에 의해 오목홈에서 가압유체의 의하여 신축 잭부재(42)의 하면에 작용하던 힘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신축 잭부재(42)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7은 압력주입통로(44)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주입노즐(47)이다. The upwardly project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jack member 42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pressure. Concret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a concave groove 4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41, and a columnar expansion jack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3 have.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formed with a pressure injection passage 44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cave groove 43 so that the pressure injection passage 44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3. [ The pressurized fluid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jack member 42 so that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jack member 42 so that the elastic member 42, . Of course, when the pressurized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e injection path 44, the force ac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pansion jack member 42 by the pressurized fluid in the recessed groove due to the pressurized fluid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descend.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7 is an injection nozzle 47 that can be used as needed to supply fluid to the pressure injection path 44.

그러나 위와 같이 압력주입통로(44)를 구비하여 가압유체의 주입에 의해 신축 잭부재(42)가 신축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예이며, 신축하여 하부판(2)을 상승시키는 신축 잭부재(42)는 이와 같은 가압유체에 의한 승하강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기어 등의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신축 잭부재(42)가 상향 돌출부(41)에서 연직하게 신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injection of the pressurized fluid with the pressure injection path 44 as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that expands and contracts and lifts the lower plate 2, Is not limited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thod by the pressurized fluid. For example, the telescopic jack member 42 can be vertically extended and retracted from the upward projecting portion 41 by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gear.

다음으로 높이조절판(4) 위에 놓이는 하부판(2)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판(2)의 하면에서 상향 돌출부(41)와 연직하게 마주하는 위치에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향 돌출부(41)와 상하로 마주하도록 하향 돌출부(21)가 하부판(2)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향 돌출부(41)와 마찬가지로, 하향 돌출부(21)의 측면에도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부 록킹 너트(5)가 하향 돌출부(21)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록킹 너트(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에 의해 상부 록킹 너트(5)는 하향 돌출부(21)에 체결된 상태로 하향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상부 록킹 너트(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상부 록킹 너트(5)의 연직방향 높이도 하향 돌출부(21)의 높이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lower plate 2 placed on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will be described. A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a position facing vertically with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 That is,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so as to face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vertically. A screw portion is also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21 and an upper locking nut 5 made of a ring member is screw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21. [ Therefore, when the upper locking nut 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upper locking nut 5 is moved downward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by screwing, and conversely, the upper locking nut 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moves up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upper locking nut 5 is not more than the height of the downward projection 21.

신축 잭부재(42)가 상승하면서 신축 잭부재(42)가 하부판(2)을 상향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신축 잭부재(42)가 이탈하지 않고 하부판(2)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신축 잭부재(42)의 상면이 직접 접하게 되는 하향 돌출부(21)의 하면에는 신축 잭부재(42)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오목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목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신축 잭부재(42)의 상단이 소정 깊이로 오목끼움부(2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축 잭부재(42)가 승하강하게 되므로, 신축 잭부재(42)의 승하강 과정에서 신축 잭부재(42)가 하향 돌출부(21)의 중심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lifted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pushes the lower plate 2 upwardly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kept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2 The lower end of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21 to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42 directly contacts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22 capable of fitting the upper end of the telescopic jack member 42 desirable. When the concave fitting portion 2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fitting portion 22 at a predetermined dep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21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rocess of the jack member 42. [

하부판(2)의 상면에는 완충부재(3)가 배치되고, 완충부재(3) 위에는 상부판(1)이 위치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가 하부판(2) 위에 설치되는 것이고, 그 위에는 상부구조물(U)과 결합되는 상부판(1)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완충부재(3)로서 디스크부재가 이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완충부재(3)의 구성은 도면에 예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공지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하부판(2)의 상면 위쪽의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의 완충부재(3) 및 상부판(1)이 구비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A cushioning member 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and an upper plate 1 is disposed on the cushioning member 3. That is, a buffer member 3 provided on a conventional general bridg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2, and an upper plate 1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U is installed thereon. Although the disk member is used as the buffer member 3 in the figure, the buffer member 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various known types can be us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and various types of buffer members 3 and the upper plate 1 may be provided.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판(1)이, 상부구조물(U)에 결합 설치되는 제1상판(11)과, 그 하면에 구비되는 중간판(12), 그리고 완충부재(3) 위에 놓이는 제2상판(13)으로 이루어지고, 제2상판(13)의 상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부재(14)가 구비되어 있어서, 돌기부재(14)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상부판(1)의 구성에 대한 일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top plate 1 includes a first top plate 11 coupled to the top structure U, an intermediate plate 1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buffer member 3 And a protruding member 1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13 and extends in a specific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13. The protruding member 14 is extended It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plate 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 8 내지 도 13은 각각 도 7에 대응되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7과 함께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높이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다음에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높이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FIGS. 8 to 1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corresponding to FIG. 7,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height adjustment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FIG.

도 8 및 도 10은 각각 하부판(2)을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펌프(P) 및 이와 연결된 압력주입통로(44)를 통해서 압력오일 등과 같은 가압유체가 주입되어 높이조절판(4)의 오목홈(43)에 압력이 가해지면 신축 잭부재(42)가 상승하면서 하부판(2)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하부판(2)이 원하는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에는, 상부 록킹 너트(5)나 하부 록킹 너트(6), 또는 이 두 개 모두를 회전시켜 나사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가 서로 마주 접하게 함으로써, 하부판(2)이 인상된 위치를 유지한다. 8 and 10 show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2 is lifted and a pressurized fluid such as pressure oil or the like is injected through the pump P and the pressure injection path 44 connected to the pump P,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groove 43,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jack member 42 rises and pushes the lower plate 2 upward. After the lower plate 2 is lifted to a desired height,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or both are rotated to screw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plate 2 is pulled up.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하부 록킹 너트(6)를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상부 록킹 너트(5)를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것인데, 만일 신축 잭부재(42)의 신장에 의해 하부판(2)이 들어 올려진 높이가 작을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록킹 너트(6)만을 회전시켜 상향 돌출부(41)를 따라 상향 이동하게 만들어서 하부 록킹 너트(6)가 상부 록킹 너트(5)에 접하게 하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록킹 너트(5)만을 회전시켜 하향 돌출부(21)를 따라 상향 이동하게 만들어서 상부 록킹 너트(5)가 하부 록킹 너트(6)에 접하게 할 수 있다.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locking nut 6 is moved in the state of FIG. 8,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locking nut 5 is moved in the state of FIG. The lower locking nut 6 is rotated to move upward along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lower locking nut 6 The upper locking nut 5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locking nut 5 or by rotating only the upper locking nut 5 as shown in Figure 11 to move it upward along the downward projection 21 so that the upper locking nut 5 is moved to the lower locking nut 6 ).

그러나 신축 잭부재(42)의 신장에 의해 하부판(2)이 들어 올려진 높이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록킹 너트(6) 또는 상부 록킹 너트(5)의 연직 높이보다 큰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 모두를 회전시켜 나사 이동시켜서 서로 마주 접하게 함으로써, 하부판(2)이 인상된 위치를 유지하게 만든다. 물론 신축 잭부재(42)의 신장에 의해 하부판(2)이 들어 올려진 높이가 하부 록킹 너트(6) 또는 상부 록킹 너트(5)의 연직 높이 미만인 경우에도,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 모두를 나사 이동시켜서 도 13의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서 하부판(2)을 인상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However, when the lifted height of the lower plate 2 by the extension of the stretchable jack member 42 is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wer locking nut 6 or the upper locking nut 5 as shown in Fig. 12, Both of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are rotated and screw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plate 2 is pulled up.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5 can be securely locked to each other even when the lifted height of the lower plate 2 is l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wer locking nut 6 or the upper locking nut 5, All of the nuts 6 may be screwed into the state shown in Fig. 13 so that the lower plate 2 may be pulled up and suppor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는, 유체 가압에 의해 하부판(2)을 인상시킨 후, 상,하부 록킹 너트(5, 6)의 회전에 의한 나사 이동에 의해 하부판(2)의 인상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상부구조물(U)을 교량받침이 지지하고 있는 높이를 필요에 따라 쉽게 가변시켜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그 높이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시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state of the lower plate 2 is mechanically (mechanically) lifted by the screw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ocking nuts 5, 6 after the lower plate 2 is pulled up by fluid pressurization.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U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can be easily adjusted and adjusted as required. Further,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U can be mechanically fixed to be maintained in a very stable manner .

본 발명의 교량받침에서,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가 나사 이동에 의해 서로 마주 접하여 하부판(2)의 인상된 높이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오목홈(43)의 압력을 저하시켜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부판(2)의 인상 높이 유지를 위해서 오목홈(43)에 지속적으로 가압유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면, 그 만큼 가압유체의 가압 공급을 위한 펌프(P) 등의 작동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펌프(P) 등을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도 있고 펌프 운용에 따른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bridg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screw movement to maintain the raised height of the lower plate 2 in a mechanical manner, ) May be lower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the pressurized fluid to the concave groove 43 in order to maintain the lifting height of the lower plate 2, the operation of the pump P or the like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pressurized fluid So that the pump P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and the cost of pump operation can be greatly reduc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록킹 너트가 상부와 하부의 2개로 이루어져 상,하향 양측에서 나사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판(2)의 인상된 높이가 커지더라도, 그로 인하여 교량받침 전체의 연직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하부판(2)을 인상시킬 수 있는 최대 높이는 록킹 너트의 연직높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의 2개의 록킹 너트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부판(2)을 인상시킬 수 있는 최대 높이가 하나의 록킹 너트를 구비한 경우보다 더 커지게 된다. 즉, 본 발명과 같이 록킹 너트가 상부와 하부의 2개로 이루어져 상,하향 양측에서 나사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하나의 록킹 너트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가진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높이로 하부판(2)을 인상시킨다면, 본 발명의 경우는 상,하부 록킹 너트 각각이 연직하게 나사이동해야 할 거리가, 하나의 록킹 너트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크게 줄어들게 되며, 이는 결국 각각의 상,하부 록킹 너트에 대해 요구되는 연직높이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하부 록킹 너트의 연직높이가 작아지면 그만큼 교량받침의 전체적인 연직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부판(2)을 인상해야 할 높이가 크더라도, 교량받침 전체의 연직 높이는 작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nut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screw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even if the raised height of the lower plate 2 is increased,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bridge support is increased And the like. The maximum height that the lower plate 2 can be pulled up to is determined by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cking n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o locking nuts, i.e.,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are provided, ) Is larger than the case where one locking nut is provided. That i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cking nu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nut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part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screwed, and the case in which the locking nut has a single locking nut, The distance by which the upper and lower locking nuts are to be vertically screwed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locking nut is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required vertical height for the lower locking nut is reduced. As the vertical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locking nuts becomes smaller, the overall vertical height of the bridge support becomes relatively small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entire bridge support can be kept small even if the height to raise the bottom plate 2 is large.

1: 상부판
2: 하부판
3: 완충부재
4: 높이조절판
5: 상부 록킹 너트
6: 하부 록킹 너트
21: 하향 돌출부
41: 상향 돌출부
42: 신축 잭부재
1: Top plate
2:
3: buffer member
4: Height adjustment plate
5: Upper locking nut
6: Lower locking nut
21: downward protrusion
41: Upward protrusion
42: Elastic jack member

Claims (3)

상부판(1), 하부판(2), 및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3)를 포함하여, 상부구조물(U)과 하부구조물(L) 사이의 간격에 구비되는 교량받침으로서,
상부판(1)은, 상부구조물(U)에 결합 설치되는 제1상판(11)과, 그 하면에 구비되는 중간판(12)과, 완충부재(3) 위에 놓이는 제2상판(13)으로 이루어지고, 제2상판(13)의 상면에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부재(14)가 구비되어 있어서, 돌기부재(14)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판(2)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하향 돌출부(21)의 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록킹 너트(5)가 하향 돌출부(2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판(2)의 아래쪽에는 높이조절판(4)이 위치하는데, 높이조절판(4)의 상면에는 하향 돌출부(21)와 연직하게 마주하는 위치에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돌출된 상향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향 돌출부(41)의 중앙에는 오목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하여 하부판(2)을 밀어주는 신축 잭부재(42)가 오목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향 돌출부(4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향 돌출부(41)의 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록킹 너트(6)가 상향 돌출부(4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하향 돌출부(21)의 하면 중앙에는 신축 잭부재(42)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오목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42)는 상단이 오목끼움부(22)에 삽입되어 있고 하단은 상향 돌출부(41)의 오목홈(4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향 돌출부(41) 및 하향 돌출부(21)의 중심 위치를 유지한 채로 승하강하며;
하부 록킹 너트(6)의 연직방향 높이는, 높이조절판(4)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부(41)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 이하이고;
상부 록킹 너트(5)의 연직방향 높이는, 하부판(2)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부(21)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 이하이며;
신축 잭부재(42)가 신장하여 하부판(2)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부 록킹 너트(5)와 하부 록킹 너트(6) 중의 하나 또는 모두가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서로 접하여서 하부판(2)의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The upper plate 1 and the lower plate 2 and the buffer member 3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 and the lower plate 2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structure U and the lower structure L A bridge support comprising:
The upper plate 1 includes a first upper plate 11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U, an intermediate plate 1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upper plate 13 placed on the buffer member 3 And a protrusion member 14 which is elong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late 13 and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 member 14 can be allow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member 14 extends Have;
A downward protrusion 21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The downward protrusion 21 is formed with a thread on the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locking nut 5 is screwed to the downward protrusion 21 So as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A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plate 2. An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at a position facing vertically to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43 at the center thereof and a retractable jack member 42 for retracting and pushing the lower plate 2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And the lower locking nut 6 is screwed to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21 has a recessed portion 22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allowing the upper end of the stretchable jack member 42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While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3 of the upward protruding portion 41,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41 and the downward protruding portion 21 while maintaining the center position thereof;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locking nut 6 is not more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upward protrusion 41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The height of the upper locking nut 5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more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downward projection 21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
One or both of the upper locking nut 5 and the lower locking nut 6 are moved by rotation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late 2 is lif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ower plate 2, Wherein the bridge support has a configuration that maintains the state of the bridg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판(4)에는 중앙의 오목홈과 연통되는 압력주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축 잭부재(42)가 오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력주입통로를 통해서 가압유체가 주입되면 가압유체가 신축 잭부재(42)의 하면 아래쪽의 오목홈에 채워지면서 신축 잭부재(42)의 하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신축 잭부재(42)가 상승하여 하부판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 is formed with a pressure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cave groove;
When the pressurized fluid is injected through the pressure injection passage in the state where the stretchable jack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he pressurized fluid is filled in the recessed groove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tretchable jack member 42,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jacket is raised so that the jack member (42) is raised and the lower jacket is raised.
삭제delete
KR1020140085237A 2014-07-08 2014-07-08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KR101673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237A KR101673179B1 (en) 2014-07-08 2014-07-08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237A KR101673179B1 (en) 2014-07-08 2014-07-08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97A KR20160005997A (en) 2016-01-18
KR101673179B1 true KR101673179B1 (en) 2016-11-08

Family

ID=5530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237A KR101673179B1 (en) 2014-07-08 2014-07-08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1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125B1 (en) * 2017-07-27 2018-04-06 이경한 Bridge upper plate increase device for bridge bearing change
KR102369386B1 (en) * 2021-08-03 2022-03-04 케이플랜 주식회사 Sear key apparatus for bridge with spa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480B (en) * 2019-06-17 2021-11-19 南京博瑞吉工程技术有限公司 Elevation adjusting method for beam body at bridge support
KR102246225B1 (en) * 2019-08-30 2021-04-29 (주)에스티특수보강 Improved Steel Bracket With Hydraulic Jack For Bridge Lift And Bridge Raising Method Using This
KR102198681B1 (en) * 2020-06-09 2021-01-07 (주)대림이엔씨 Lifting jack using double lock and nut, and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217725B1 (en) * 2020-09-24 2021-02-22 주식회사 선익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bridge bearing by apparatus of rising girder according to the direct installation method of assembling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and the single acting cylinder
KR102309150B1 (en) * 2020-09-24 2021-10-06 주식회사 선익 Apparatus of rising girder according to the direct installation method of assembling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and the single acting cylinder
CN114180276B (en) * 2021-12-27 2024-03-26 浙江博民机电股份有限公司 Lifting adjusting mechanism of vibration disk
CN116889831B (en) * 2023-07-13 2024-04-26 溧阳市裕达机械有限公司 Be applied to mounting structure between quenching and tempering ware and granul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994A (en) * 1999-04-14 2000-10-24 Yasuo Fukuma Low machine height type hydraulic jack and bridge pivotal bearing exchanging method using it
KR100997423B1 (en) * 2010-07-07 2010-12-01 심규숙 Bridge lifting method and lifting apparatus with temporary bear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030Y1 (en) 2004-03-11 2004-06-23 주식회사 케이.알 Bridge support for level adjus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994A (en) * 1999-04-14 2000-10-24 Yasuo Fukuma Low machine height type hydraulic jack and bridge pivotal bearing exchanging method using it
KR100997423B1 (en) * 2010-07-07 2010-12-01 심규숙 Bridge lifting method and lifting apparatus with temporary bearing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125B1 (en) * 2017-07-27 2018-04-06 이경한 Bridge upper plate increase device for bridge bearing change
KR102369386B1 (en) * 2021-08-03 2022-03-04 케이플랜 주식회사 Sear key apparatus for bridge with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97A (en)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179B1 (en) Height Control Type Bridge Bearing having Locking Nut
KR101150765B1 (en) Lifting jack for exchange of bridge bearing
US11337521B2 (en) Hydraulic support
US10669736B2 (en) Guiding device for assembling wind turbine towers
CN104653968B (en) A kind of vibrator secure mounting arrangements and using method thereof
WO2013186088A1 (en) Adjustable chock
KR100984695B1 (en) Device for moving a heavy load
WO201614418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 substructure
KR101478159B1 (en) Method for lifting upper structure of bridge
CN111350126A (en) Spiral combined type adjustable bridge support
JP2019124044A (en) Bridge bearing replacement method and bridge bearing structure
CN105370051A (en) Concrete stand column adjusting bracket
CN203099228U (en) Anchor bolt leveling structure
JP4285685B2 (en) Repair structure and repair method of existing bearing device
KR102305876B1 (en) Auto locking cylinder
KR102198681B1 (en) Lifting jack using double lock and nut, and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CN212222295U (en) Thin jack locking system and support jacking system
JP3671160B2 (en) Jacking device
JP3193711U (en) Lifting table
CN114562014A (en) Floor drain connecting piece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16445812U (en) Temporary buttress structure for pushing method construction
CN103850891A (en) Docking device, method, translation mechanism and stopping mechanism for components of fan tower frame
CN217947611U (en) Jacking device base structure
CN217460329U (en) Based on synchronous jacking deviation correcting device of bridge
CN101704195B (en) Machine tool regu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