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680B1 -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 Google Patents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680B1
KR101672680B1 KR1020160088745A KR20160088745A KR101672680B1 KR 101672680 B1 KR101672680 B1 KR 101672680B1 KR 1020160088745 A KR1020160088745 A KR 1020160088745A KR 20160088745 A KR20160088745 A KR 20160088745A KR 101672680 B1 KR101672680 B1 KR 10167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thickness
corrugated
support frame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16008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31Making articles having hollow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 B29L2031/7474Chinese lan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체 없이 주름체 몸체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 무게 및 주름부의 갯수를 주름체 몸체의 부위별로 달리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 상단 및 하부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의 두께가 증가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Surface structure of hallow type decoration wrinkly object}
본 발명은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틀체 없이 주름체 몸체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 무게 및 주름부의 갯수를 주름체 몸체의 부위별로 달리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에 관한 것이다.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는 주름체의 표면에 리본을 부착하여 줄에 걸어놓은 채로 불교의 행사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 경우 야간에는 잘 보이도록 주름체 내부에 전구를 설치하거나 초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식당 등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가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한 후에는 다음 행사 시까지 보관을 하게 되는데,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를 보관하는데 있어서의 가장 큰 이점은 주름체를 주름에 따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이를 보관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된다는 점이다.
출원인은 블로워(blower) 사출 성형으로 틀체 없이 주름체 몸체에 주름을 형성하여 절첩 가능한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를 제작하는 선행기술을 등록받은 바 있으며, 주름체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틀체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그 형상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 주름체를 제작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블로워 사출 성형으로 틀체 없이 주름체 몸체에 주름을 형성하여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를 제작하면서 주름체를 접었다 펼치면 구김이 없는 주름체를 기대하였지만, 주름체를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어놓아도 주름체 몸체에 구김이 크게 남고 원형 복원이 잘되지 않아 미관 상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32395호 “일회용 자바라식 연등”(2003. 10. 28. 등록) 등록특허 제763607호 “연등”(2007. 9. 27. 등록)
본 발명은 주름체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틀체를 제거한 상태에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주름체 제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주름체를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어놓으면 주름체 몸체에 구김이 남지 않고 거의 원형 그대로 복원이 되어 미관 상 상품성이 뛰어난 주름체를 제조할 수 있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는, 틀체 없이 블로워(blower) 사출 성형으로 중공의 입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하부에 개구부(12, 13)가 형성되는 주름체 몸체(11),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 상기 주름부(14)와 주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5)를 포함하는 주름체로서 팔각체(20)로 제조되며, 상기 팔각체(20)의 외측면에서 지면에 수직인 부위를 중간부(22), 중간부(2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상부로 경사진 부위를 상부(21), 중간부(2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하부로 경사진 부위를 하부(23)로 하여, 상기 상부(21) 상단 및 하부(23)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의 두께가 증가하게 주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는, 틀체 없이 블로워 사출 성형으로 중공의 입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하부에 개구부(12, 13)가 형성되는 주름체 몸체(11),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 상기 주름부(14)와 주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5)를 포함하는 주름체로서 구형체(30)로 제조되며, 상기 구형체(30)의 외측면의 반원둘레를 3등분하여 위로부터 상부(31), 중간부(32), 하부(33)로 하여, 상기 상부(31) 상단 및 하부(33)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의 두께가 증가하게 주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체는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상부 개구부(12)에 부착되는 상부 지지틀(16),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하부 개구부(13)에 부착되는 하부 지지틀(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이 상부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는 당해 주름부 바로 아래의 몸체부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상, 하부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중간부, 하부의 무게는 상부 지지틀, 하부 지지틀을 포함하는 주름체 몸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부 32~38중량부, 중간부 20~24중량부, 하부 38~46중량부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는, 주름체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틀체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주름체 제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주름체를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어놓으면 주름체 몸체에 구김이 남지 않고 거의 원형 그대로 복원이 되어 미관 상 상품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주름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 도면은 모두 블로워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주름체에 관한 도면으로,
도 1은 종래의 팔각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팔각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구형체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구형체의 표면적 계산을 위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구형체의 표면적 계산을 위한 단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은 종래의 구형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팔각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형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20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비교예,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는 주름체의 표면에 리본을 부착하여 줄에 걸어놓은 채로 불교의 행사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이 경우 야간에는 잘 보이도록 주름체 내부에 전구를 설치하거나 초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식당 등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바, 야간이나 실내에서 잘 보이도록 주름체 내부에 전구를 설치하거나 초를 꽂아 사용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이 되지 않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종래의 틀체 없이 블로워(blower) 사출 성형으로 중공의 구형 또는 다각형의 입체 형상으로 제조되는 주름체(10)는 상,하부에 개구부(12, 13)가 형성되는 주름체 몸체(11),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 상기 주름부(14)와 주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5)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상부 개구부(12)에 부착되는 상부 지지틀(16),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하부 개구부(13)에 부착되는 하부 지지틀(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이하 본 발명의 비교예, 실시예의 주름체에 대하여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
틀체 없이 블로워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주름체(10)는 틀체가 구비되지 않아도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로 주름체 몸체(11)를 사출 성형함에 따라 주름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를 이용하여 주름체를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 비교예 1>
도 1은 종래의 팔각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팔각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 사출성형으로 팔각형의 입체 형상의 주름체(이하 ‘팔각체’라고 약칭함)을 만들었다.
팔각체(20)의 외측면에서 지면에 수직인 부위를 중간부(22), 중간부(2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상부로 경사진 부위를 상부(21), 중간부(2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하부로 경사진 부위를 하부(23)로 하여, 상,하부 지지틀(16, 17) 및 상,하부 지지틀(16, 17)을 감싸는 합성수지를 제외하면 상부(21), 중간부(22), 하부(23)의 높이(세로)는 각각 117mm, 폭(가로)은 각각 117mm가 되고, 상,하부 개구부는 가로, 세로 10cm의 정사각형으로 제조하였고, 상,하부 지지틀 (16, 17) 간 수직 높이는 285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팔각체(20)의 부위별 표면적을 계산하면, 상부 11.7cm×11.7cm×6=821.34cm2, 중간부 11.7cm×11.7cm×8=1,095.12cm2, 하부 11.7cm×11.7cm×6=821.34cm2, 합계 2,737.8cm2가 되며,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표면적 비는 30 : 40 : 30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4)는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간격을 두고 주름의 상하 폭(세로) 3mm의 ⊂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남는 외주면에 한 주름부와 아래로 인접하는 주름부 사이의 간격, 즉 개별 몸체부의 높이(세로)를 설정하고 개별 몸체부의 두께는 0.26mm, 주름부 두께는 개별 몸체부 두께의 70%로 형성하였다.
상부(21)에는 상부 지지틀(16),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201~208)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201)만 높이(세로, 이하 같음)를 9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 내지 8(202~208)은 높이를 각각 12mm로 하여 상부(21)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중간부(22)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209~216)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9 내지 16(209~216)은 높이를 각각 11.6mm로 하여 중간부(21)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부(23)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217~224), 하부 지지틀(17)을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7 내지 23(217~223)은 높이를 각각 12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4(224)는 높이를 9mm하여 하부(23)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팔각체(20)를 상부(21), 중간부(22), 하부(33)의 부위로 잘라 0.1g 단위까지 측정되는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하부 지지틀을 제외한 합성수지의 무게는 상부 31g, 중간부 38g, 하부 31g이며 이를 백분비로 환산하면 31% : 38% : 31%로 이는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표면적 비인 30 : 40 : 30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상,하부 지지틀을 포함한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무게 비는 33.1 : 30.6 : 36.3이었다.
비교예 1(팔각체)
길이(mm) 두께(mm) 무게(g)
상부
(21)
지지틀 10
개별 몸체부 1(201) 9 0.26 31
2

12
3
4
5
6
7
8(208)
상부 소계 41(33.1)
중간부
(22)
개별 몸체부 9(209)
11.6

0.26 38(30.6)
10
11
12
13
14
15
16(216)
하부
(23)
개별 몸체부 17(217) 12
0.26 31
18
19
20
21
22
23
24(224) 9
지지틀 14
하부 소계 45(36.3)
124(100)
* 지지틀의 무게는 당해 지지틀을 감싸는 합성수지의 무게 포함
< 비교예 2>
도 3은 종래의 구형체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구형체의 표면적 계산을 위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구형체의 표면적 계산을 위한 단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은 종래의 구형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 사출성형으로 구형의 입체 형상의 주름체(30, 이하 ‘구형체’라고 약칭함)을 만들었다.
구형체(30)를 반지름 11cm로 형성하고 상부 개구부는 반지름 7cm인 원, 하부 개구부는 반지름 5cm인 원으로 제조하며, 상,하부 개구부를 제외한 외측면의 반원둘레를 3등분하여 위로부터 상부(31), 중간부(32), 하부(33)로 하였다.
상기 구형체(30)의 외측면의 반원둘레는 다음과 같다. 원둘레는 2πr(r은 반지름)이므로 2π×11=69.08cm이고, 반원둘레 34.54cm가 되며, 도 4에서
a=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1
=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2
=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3
=10.43cm,
h1=0.57cm, tanθ1= 3.5/10.43=0.3356, θ1≒18.6°
b=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4
=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5
=
Figure 112016067913401-pat00006
=10.71cm,
h2=0.29cm, tanθ2= 2.5/10.71=0.2334, θ2=≒13.1°로,
외측면의 반원둘레는 35.54×[{180-(18.6+13.1)}/180]=29.3cm가 된다. 상,하부 지지틀 및 상,하부 지지틀을 감싸는 합성수지를 제외하면 상부, 중간부, 하부의 높이(세로)는 각 97.7mm가 되었다.
상기 구형체(30)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구관의 넓이는 2πrh이므로 S1=2π×11×0.57=39.38cm2, S2=2π×11×0.29=20.03cm2가 된다.
도 5에서 반원둘레 34.54cm이므로 ℓ1=34.54×(18.6/180)=35.7mm,
2 =34.54×(13.1/180)=25.1mm이다.
θ3 =180×{(97.7+35.7)/345.4}=69.5°θ4 =180×{(97.7+25.1)/345.4}=64.0°이므로
c=11×cos 69.5°=11×0.3502=3.85cm, d=11×cos 64.0°=11×0.4384=4.82cm,
h3=11-3.85=7.15cm, h4=11-4.82=6.18cm
S3=2π×11×7.15=493.92cm2, S4=2π×11×6.18=426.91cm2가 된다.
상기 구형체(30)의 부위별 표면적을 계산하면, 중간부의 표면적은 구의 표면적=4πr2=4π×112=1,519.76cm2이므로 1,519.76-(493.92+426.91)=598.93cm2,
상부의 표면적은 493.92-39.38=454.54cm2, 하부의 표면적은 426.91-20.03=406.88cm2, 합계 1,460.35cm2가 되며,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표면적 비는 31.1 : 41.0 : 27.9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4)는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간격을 두고 주름의 상하 폭(세로) 3mm의 ⊂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남는 외주면에 한 주름부와 아래로 인접하는 주름부 사이의 간격, 즉 개별 몸체부의 높이(세로)를 설정하고, 개별 몸체부의 두께는 0.26mm, 주름부 두께는 개별 몸체부 두께의 70%로 형성하였다.
상부(31)에는 상부 지지틀(16),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301~308)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301)만 높이(세로, 이하 같음)를 7.2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 내지 8(302~308)은 높이를 각각 9.5mm로 하여 상부(31)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중간부(32)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309~316)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9 내지 16(309~316)은 높이를 각각 9.2mm로 하여 중간부(32)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부(33)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317~324), 하부 지지틀(17)을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7 내지 23(317~323)은 높이를 각각 9.5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4(324)는 높이를 7.2mm로 하여 하부(33)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구형체(30)를 상부(31), 중간부(32), 하부(33)의 부위로 잘라 0.1g 단위까지 측정되는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하부 지지틀을 제외한 합성수지의 무게는 상부 25.9g, 중간부 34.6, 하부 23.4g이며 이를 백분비로 환산하면 30.9 : 41.2 : 27.9로 이는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표면적 비인 31.1 : 41.0 : 27.9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상,하부 지지틀을 포함한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무게 비는 33.9 : 32.7 : 33.4이었다.
비교예 2(구형체)
길이(mm) 두께(mm) 무게(g)
상부
(31)
지지틀 10
개별 몸체부 1(301) 7.2 0.26 25.9
2

9.5
3
4
5
6
7
8(308)
상부 소계 35.9(33.9)
중간부
(32)
개별 몸체부 9(309)

9.2

0.26 34.6(32.7)
10
11
12
13
14
15
16(316)
하부
(33)
개별 몸체부 17(317) 9.5 0.26 23.4
18
19
20
21
22
23
24(324) 7.2
지지틀 12
하부 소계 35.4(33.4)
106(100)
* 지지틀의 무게는 당해 지지틀을 감싸는 합성수지의 무게 포함
< 실시예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팔각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블로워 사출성형으로 비교예 1과 동일한 크기의 팔각체(40)를 제조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4)는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간격을 두고 주름의 상하 폭(세로) 3mm의 ⊂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남는 외주면에 한 주름부와 아래로 인접하는 주름부 사이의 간격, 즉 개별 몸체부의 높이(세로)를 설정하였다.
개별 몸체부의 두께는 중간부(42) 두께는 일정하고, 상부(41) 상단 및 하부(43) 하단으로 갈수록 개별 몸체부의 두께가 일정하게 증가하되 하부(43) 개별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이 상부(41) 개별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보다 크도록 형성하였으며, 주름부(14) 두께는 당해 주름부 바로 아래 개별 몸체부 두께의 70%로 형성하였다.
주름부(14) 사이의 간격으로 상, 하부(41, 43)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하고 중간부(42)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상, 하부(41, 43) 주름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였다.
상부(41)에는 상부 지지틀(16), 주름부(14)는 8개, 개별 몸체부 8개(401~408)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401)만 높이(세로, 이하 같음)를 9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 내지 8(402~408)은 높이를 각각 12mm로 하여 상부(21)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중간부(42)에는 주름부(14) 9개, 개별 몸체부 9개(409~417)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9 내지 17(409~417)은 높이를 각각 10.3mm로 하여 중간부(42)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부(43)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418~425), 하부 지지틀(17)을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8 내지 24(418~424)은 높이를 각각 12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5(425)는 높이를 9mm하여 하부(43)의 높이(세로)가 11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팔각체(40)를 상부(41), 중간부(42), 하부(43)의 부위로 잘라 0.1g 단위까지 측정되는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하부 지지틀을 포함한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무게 비는 35 : 22 : 43이었다.
실시예 1(팔각체)
길이(mm) 두께(mm) 무게(g)
상부
(41)
지지틀 10
몸체부 1(401) 9 0.36 33.4
2 12 0.34
3 0.32
4 0.30
5 0.28
6 0.26
7 0.24
8(408) 0.22
상부 소계 43.4(35)
중간부
(42)
몸체부 9(409)
10.3
0.20 27.3(22)
10
11
12
13
14
15
16
17(417)
하부
(43)
몸체부 18(418)
12
0.23 39.3(43)
19 0.26
20 0.29
21 0.32
22 0.35
23 0.38
24 0.41
25(425) 9 0.44
지지틀 14
하부 소계 53.3(43)
124(100)
* 지지틀의 무게는 당해 지지틀을 감싸는 합성수지의 무게 포함
<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구형체의 외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블로워 사출성형으로 비교예 2과 동일한 크기의 구형체(50) 제조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4)는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간격을 두고 주름의 상하 폭(세로) 3mm의 ⊂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남는 외주면에 한 주름부와 아래로 인접하는 주름부 사이의 간격, 즉 개별 몸체부의 높이(세로)를 설정하였다.
개별 몸체부의 두께는 중간부(52) 두께는 일정하고, 상부(51) 상단 및 하부(53) 하단으로 갈수록 개별 몸체부의 두께가 일정하게 증가하되 하부(53) 개별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이 상부(51) 개별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보다 크도록 형성하였으며, 주름부(14) 두께는 당해 주름부 바로 아래 개별 몸체부 두께의 70%로 형성하였다.
주름부 사이의 간격으로 상, 하부(51, 53)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하고 중간부(52)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상, 하부(51, 53) 주름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였다.
상부(51)에는 상부 지지틀(16), 주름부(14)는 8개, 개별 몸체부 8개(501~508)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501)만 높이(세로, 이하 같음)를 7.2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 내지 8(502~508)은 높이를 각각 9.5mm로 하여 상부(51)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중간부(52)에는 주름부(14) 9개, 개별 몸체부 9개(509~517)를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9 내지 17(509~517)은 높이를 각각 7.9mm로 하여 중간부(52)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부(53)에는 주름부(14) 8개, 개별 몸체부 8개(518~525), 하부 지지틀(17)을 형성하였다. 개별 몸체부 18 내지 24(518~524)은 높이를 각각 9.5mm로 하고, 개별 몸체부 25(525)는 높이를 7.2mm하여 하부(53)의 높이(세로)가 97.7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구형체(50)를 상부(51), 중간부(52), 하부(53)의 부위로 잘라 0.1g 단위까지 측정되는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하부 지지틀을 포함한 상부 : 중간부 : 하부의 무게 비는 36 : 22 : 42이었다.
실시예 2(구형체)
길이(mm) 두께(mm) 무게(g)
상부
(51)
지지틀 10
개별 몸체부 1(501) 7.2 0.36 28.2
2 9.5 0.34
3 0.32
4 0.30
5 0.28
6 0.26
7 0.24
8(508) 0.22
상부 소계 38.2(36)
중간부
(52)
개별 몸체부 9(509)
7.9
0.20 23.3(22)
10
11
12
13
14
15
16
17(517)
하부
(53)
개별 몸체부 18(518) 9.5 0.23 32.5
19 0.26
20 0.29
21 0.32
22 0.35
23 0.38
24 0.41
25(525) 7.2 0.44
지지틀 12
하부 소계 544.5(42)
106(100)
* 지지틀의 무게는 당해 지지틀을 감싸는 합성수지의 무게 포함
< 비교예 실시예 대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두께(mm) 상부 0.26 0.26 0.22~0.36 0.22~0.36
중간부 0.20 0.20
하부 0.23~0.44 0.23~0.44
무게비(합계 100) 상부 33.1 33.9 35 36
중간부 30.6 32.7 22 22
하부 36.3 33.4 43 42
주름부의개수(개) 상부 8 8 8 8
중간부 9 9
하부 8 8
개별 몸체부의 개수(개) 상부
중간부 9 9
하부 8 8
이하 본 발명의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본다.
도 9 내지 도 20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이다. 여기서 시험품 #1은 비교예 1의 팔각체, 시험품 #5는 비교예 2의 구형체, 시험품 #3은 실시예 1의 팔각체, 시험품 #6은 실시예 2의 구형체이다.
형상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 전 상하 높이를 측정하고, 주름체를 일정 하중을 가하여 24시간 경과 후 펼쳐 줄에 걸어 4시간 경과 시점에서 상하 높이와 형상 변화의 시작점과 끝점을 일직선으로 하는 선을 기준으로 최대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품 상,하 높이(mm) 시험 후
최대 깊이(mm)
시험 전 시험 후 복원율(%)
#1(팔각체 : 비교예 1) 285 235 82.5 19~36
#3(팔각체 : 실시예 1) 285 285 100 측정 불가
#5(구형체 : 비교예 2) 220 200 90.9 15~22
#6(구형체 : 실시예 2) 220 220 100 측정 불가
팔각체의 경우, 기존 제품(비교예 1)은 상하 높이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에 크게 줄어드는데 비해(복원율 82.5%), 신규 개발 제품(실시예 1)은 상하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후 최대 깊이는 기존 제품(비교예 1)은 19~36mm인데 비해 신규 개발 제품(실시예 1)은 그 깊이가 너무 얕아 측정할 수 없었다.
구형체의 경우, 기존 제품(비교예 2)은 상하 높이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에 약간 줄어드는데 비해(복원율 90.9%), 신규 개발 제품(실시예 2)은 상하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후 최대 깊이는 기존 제품(비교예 2)은 15~22mm인데 비해 신규 개발 제품(실시예 2)은 그 깊이가 너무 얕아 측정할 수 없었다.
도 15,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시험품 #1), 비교예 2(시험품 #5) 의 주름체(팔각체, 구형체)를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 경우 상,하부가 형상은 어느 정도 유지되지만 중간부가 크게 구김이 가고 원형 복원이 잘되지 않는다.
도 17,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시험품 #3), 실시예 2(시험품 #6)의 주름체(팔각체, 구형체)를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 경우 상,하부가 안정되게 형상이 유지되고 하부가 중간부를 당겨주는 하중이 비교예 1, 2보다 크게 작용하여 중간부에 구김이 거의 가지 않고 원형 복원이 잘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주름체는 접었다 펼쳐서 줄에 걸어놓으면 주름체 몸체에 구김이 남지 않고 거의 원형 그대로 복원이 되어 미관 상 상품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표면구조의 주름체를 제공하며,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로서 과학적 시험을 통하여 발명의 효과를 증명한 획기적인 발명이다.
10 :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종래의 주름체
11 : 주름체 몸체 12 : 상부 개구부
13 : 하부 개구부 14 : 주름부
15 : 몸체부 16 : 상부 지지틀
17 : 하부 지지틀
20 :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종래의 팔각체
21 : 상부 22 : 중간부
23 : 하부 201~224 : 개별 몸체부 1~24
30 :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종래의 구형체
31 : 상부 32 : 중간부
33 : 하부 301~324 : 개별 몸체부 1~24
40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공형 장식용 팔각체
41 : 상부 42 : 중간부
43 : 하부 401~425 : 개별 몸체부 1~25
50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공형 장식용 구형체
51 : 상부 52 : 중간부
53 : 하부 501~525 : 개별 몸체부 1~25

Claims (7)

  1. 틀체 없이 블로워(blower) 사출 성형으로 중공의 입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하부에 개구부(12, 13)가 형성되는 주름체 몸체(11),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 상기 주름부(14)와 주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5)를 포함하는 주름체로서 팔각체(20)로 제조되며,
    상기 팔각체(20)의 외측면에서 지면에 수직인 부위를 중간부(22), 중간부(2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상부로 경사진 부위를 상부(21), 중간부(2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 하부로 경사진 부위를 하부(23)로 하여,
    상기 상부(21) 상단 및 하부(23)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의 두께가 증가하게 주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2. 틀체 없이 블로워(blower) 사출 성형으로 중공의 입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하부에 개구부(12, 13)가 형성되는 주름체 몸체(11),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외주면에 상,하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주름부(14), 상기 주름부(14)와 주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15)를 포함하는 주름체로서 구형체(30)로 제조되며,
    상기 구형체(30)의 외측면의 반원둘레를 3등분하여 위로부터 상부(31), 중간부(32), 하부(33)로 하여,
    상기 상부(31) 상단 및 하부(33)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의 두께가 증가하게 주름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체는 상기 주름체 몸체(11)의 상부 개구부(12)에 부착되는 상부 지지틀(16), 상기 주름등 몸체(11)의 하부 개구부(13)에 부착되는 하부 지지틀(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이 상부 몸체부의 두께의 증가폭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는 당해 주름부 바로 아래의 몸체부를 이루는 합성수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은 상, 하부의 주름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상부 지지틀 포함), 중간부, 하부(하부 지지틀 포함)의 무게는 상부 지지틀, 하부 지지틀을 포함하는 주름체 몸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부 32~38중량부, 중간부 20~24중량부, 하부 38~46중량부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KR1020160088745A 2016-07-13 2016-07-13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KR10167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45A KR101672680B1 (ko) 2016-07-13 2016-07-13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45A KR101672680B1 (ko) 2016-07-13 2016-07-13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680B1 true KR101672680B1 (ko) 2016-11-03

Family

ID=5757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45A KR101672680B1 (ko) 2016-07-13 2016-07-13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28B1 (ko) 2021-01-20 2021-04-15 성주용 넓거나 좁은 나선각을 가지는 나선부재로 형성된 틀체를 가지는 접이식 연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07B1 (ko) 2005-03-22 2007-10-04 성주용 연등
KR20120084239A (ko) * 2011-01-19 2012-07-27 성주용 연등
KR101282311B1 (ko) * 2012-12-21 2013-07-10 성주용 연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장치
KR101332395B1 (ko) 2006-05-31 2013-11-2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파형 코일 스프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07B1 (ko) 2005-03-22 2007-10-04 성주용 연등
KR101332395B1 (ko) 2006-05-31 2013-11-2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파형 코일 스프링
KR20120084239A (ko) * 2011-01-19 2012-07-27 성주용 연등
KR101282311B1 (ko) * 2012-12-21 2013-07-10 성주용 연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28B1 (ko) 2021-01-20 2021-04-15 성주용 넓거나 좁은 나선각을 가지는 나선부재로 형성된 틀체를 가지는 접이식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7019S1 (en) Hanging lamp for a display screen
US10344475B1 (en) Layered ceiling panels
US20140078756A1 (en)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Furnishing
USD831437S1 (en) Bottle stand
USD986930S1 (en) Refrigerator air filter assembly
KR101672680B1 (ko) 중공(中空)형 장식용 주름체의 표면구조
US9546770B2 (en) Shade structure
JP2012101754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加硫用金型
CN105832069B (zh) 一种花盆架
US20030035294A1 (en) Furniture ornament
CN203106659U (zh) 模块组合式多功能杯垫
KR101282311B1 (ko) 연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장치
CN208988311U (zh) 一种便于挂取的多层服装展示架
CN201182331Y (zh) 折叠圆桌
US20140215908A1 (en) Tree Ring Assembly
KR101727021B1 (ko) 화환용 장식잎 지지대
CN202525598U (zh) 新结构的塑料坐垫
CN216364544U (zh) 散列式陈列架
CN210986415U (zh) 一种具有发光结构的扬声器
CN203860864U (zh) 一种改进型蚊帐
CN203792808U (zh) 一种凸纹面料
JP4739398B2 (ja) ビーズ環作成台
Wallich On Triceratium and some new allied forms, with figures of the same
USD748234S1 (en) Display screen for an air purifier
CN202020143U (zh) 一种多功能景观花袋花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