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630B1 - Busbar - Google Patents
Bus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630B1 KR101672630B1 KR1020150043585A KR20150043585A KR101672630B1 KR 101672630 B1 KR101672630 B1 KR 101672630B1 KR 1020150043585 A KR1020150043585 A KR 1020150043585A KR 20150043585 A KR20150043585 A KR 20150043585A KR 101672630 B1 KR101672630 B1 KR 101672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bus bar
- conductive tube
- rib
- skin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Landscapes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하여서,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를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버스바에 있어서,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공 관체로 형성한 버스바의 내면과 외면에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가 극대화되고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가 향상되어 대용량의 전류 전송 및 분배에 있어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in which a conductive tube is formed of a hollow tube body, So as to maximize the energizing current through the bus bar and to have a bending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eripheral bus bars.
That is, in the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s bar, the conductive tube is formed of a hollow tube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with a skin area enlarged rib for increasing the durability agains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ipheral bus bar and maximizing the skin current will be.
Therefore, by forming ribs for increasing the skin area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us bar formed of the hollow tube, the energization current through the bus bar is maximized and the bending strength agains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eripheral bus bars is improved, To maintain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in curren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하여서,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를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버스바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 설치되어서 고압과 대전류의 전류를 분배 공급하는 것이다.Generally, a bus bar is installed in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or a distribution board to distribute and supply high-voltage and high-current currents.
이상과 같은 버스바는 표피효과에 의한 통전 전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관체로 형성하거나 그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실시하고 있다.In order to maximize the current flow due to the skin effect, the bus bar is formed with a tubular body or a large diameter in orde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그러나, 종래의 버스바는 그 설치장소가 한정되고 그 크기도 제한되어 그 사용과정에 있어 통전과정에 발열이 발생하고 근전한 버스바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한 굽힘 하중을 받고 있으나 방열이 원활하지 않고 그 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us bar is limited in its installation place and its size is limited. In the course of its use,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nergization, and a bending load due to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bus bars And the strength is so weak that it is easily broke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바가 그 설치장소가 한정되고 그 크기도 제한되어 그 사용과정에 있어 통전과정에 발열이 발생하고 근전한 버스바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한 굽힘 하중을 받고 있으나 방열이 원활하지 않고 그 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bus bar is limited in its place and its size is limited. In the course of its use, heat is generated in the energization process, and a bending load due to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bus bars But the problem that the heat dissipation is not smooth and the strength is weak and is easily broken can be solved.
즉, 본 발명은 버스바에 있어서,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in the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s bar, the conductive tube is formed of a hollow tube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with a skin area enlarged rib for increasing the durability agains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ipheral bus bar and maximizing the skin current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공 관체로 형성한 버스바의 내면과 외면에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가 극대화되고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가 향상되어 대용량의 전류 전송 및 분배에 있어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Therefore, by forming ribs for increasing the skin area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us bar formed of the hollow tube, the energization current through the bus bar is maximized and the bending strength agains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eripheral bus bars is improved, To maintain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in curren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도 1 은 본 발명 버스바의 사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정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T"형 돌기로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 예시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정면 예시도.
도 5 는 도 3 에 있어서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를 엇갈리게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표피면적증대구멍을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예시도.
도 7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통기공을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kin area enlarging rib is formed of a "T"
Fig. 4 is a frontal view according to Fig. 3;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ribs for increasing the skin area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staggered in Fig. 3. Fig.
6 is a front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kin area increasing hole is form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ent hole is formed;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가 극대화되고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고 대용량의 전류 전송 및 분배에 있어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ximize the energizing current through the bus bar and to improve the bending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eripheral bus bars and to maintain a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in the large current transfer and distribution.
즉, 본 발명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 설치되어서 고압과 대전류의 전류를 분배 공급하는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10)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1)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bar which is installed in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or a distribution board and distributes and supplies a current of high voltage and large curren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여기서,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전관체(10)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depth of the skin surface
또한, 상기 도전관체(10)의 내,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 사이에 표피면적을 증대하는 표피면적증대구멍(3)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kin
또한, 상기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사각리브과 삼각리브 및 원형리브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skin
한편, 상기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단면계수 극대화에 의하여 굽힘강도를 높일 수 있게 단면계수가 높은 "I"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T"리브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kin
상기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굽힘강도가 향상되게 엇갈리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skin-surface-enlar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로의 공기 통기가 이루어지게 통기공(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통기공(2)은 표피면적증대구멍(3)과 연통되게 형성한 것이다.
The vent hole (2)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kin surface area increasing hole (3).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us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버스바에 있어서, 도전관체(10)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1)를 형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스바를 통한 통전 전류가 극대화되고 주변 버스바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한 굽힘 강도가 향상되고 대용량의 전류 전송 및 분배에 있어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us bar,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도전관체(10)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되어서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 사이로 내부 저항이 동일하고 통전전류가 균일하게 분산 전송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ski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전관체(10)의 내,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 사이에 표피면적을 증대하는 표피면적증대구멍(3)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도전관체(10)의 중심부에서 상기 표피면적증대구멍(3)을 통하여 표피전류에 의하여 통전되어 전류 통전량이 극대화되고 상기 표피면적증대구멍(3)이 도전관체(10)의 벽제를 단면계수가 높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중공 벽체로 형성하여 통전전류의 증대와 함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kin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T"리브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T"리브가 단면계수 극대화되는 "I"리브로 형성하여 굽힘강도가 더욱 극대화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며, 면상발열과 함께 노치발열에 의하여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이 원활하게 공기 중으로 방출 냉각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kin
또한, 상기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굽힘강도가 향상되게 엇갈리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도전관체(10)의 벽체 두께가 극대화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로의 공기 통기가 이루어지게 통기공(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2)이 표피면적증대구멍(3)과 연통되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도전관체(10)와 표피면적증대구멍(3)으로 공기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전류의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이 원활하게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표피면적 확대리브
2 : 통기공
3 : 표피면적증대구멍
10 : 도전관체
11 : 중공부1: ribs for enlarging the skin area
2: Ventilation holes
3: Increase of skin area
10: conductive tube
11: hollow part
Claims (3)
도전관체(10)를 중공관체로 형성하고 내면과 외면에 주변 버스바와의 자기력에 대한 내구력이 향상되게 하고 표피전류가 극대화되게 하는 표피면적 확대리브(1)를 형성하고,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리브(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전관체(10)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표피면적 확대리브(1)는 단면계수 극대화에 의하여 굽힘강도를 높일 수 있게 "T"리브로 형성하며;
상기 도전관체(10)의 내, 외면의 표피면적 확대리브(1) 사이에 표피면적을 증대하는 표피면적증대구멍(3)을 형성하고;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로의 공기 통기가 이루어지게 통기공(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통기공(2)은 표피면적증대구멍(3)과 연통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For bus bars;
The conductive tube 10 is formed of a hollow tube and the skin area enlarging ribs 1 are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so that the durability against the magnetic forces of the peripheral bus bars is improved and the skin current is maximized,
The depth of the skin surface area enlarging rib 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10 is formed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skin surface area enlarging rib 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10 so that the skin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body 1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The skin area enlarging rib 1 is formed as a "T" rib so as to increase the bending strength by maximizing the section modulus;
Forming a skin area increasing hole (3) for increasing a skin area between ribs (1) of skin area enlarging ribs o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ductive tube (10);
A ventilation hole (2)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nductive tube (10) so as to allow air to be blown into the hollow part (11) at regular intervals. The ventilation hole (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kin area increasing hole A bus b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3585A KR101672630B1 (en) | 2015-03-27 | 2015-03-27 | Bus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3585A KR101672630B1 (en) | 2015-03-27 | 2015-03-27 | Busb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593A KR20160115593A (en) | 2016-10-06 |
KR101672630B1 true KR101672630B1 (en) | 2016-11-04 |
Family
ID=5716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3585A Active KR101672630B1 (en) | 2015-03-27 | 2015-03-27 | Bus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6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33660B2 (en) * | 2017-09-11 | 2021-09-28 | Melquisedec Francisquini | Structural arrangement for use in a conducting busbar |
KR102272604B1 (en) * | 2019-08-21 | 2021-07-05 |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 Bus bar structure of distribution panel |
KR102807592B1 (en) * | 2024-06-12 | 2025-05-19 | 한국그린전력 주식회사 | Microline Busba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2446A (en) * | 2002-03-19 | 2003-09-26 | Goto Denshi Kk | Electric wire |
JP2005211947A (en) * | 2004-01-30 | 2005-08-11 | Goto Denshi Kk | Electric wire for high frequency,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crease of surface area in conductor part |
JP2011193658A (en) * | 2010-03-15 | 2011-09-29 | Toshiba Corp | Conductor for gas-insulating bus |
JP2014116094A (en) * | 2012-12-06 | 2014-06-26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Electric wir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2482B1 (en) | 2008-10-22 | 2009-06-11 | 이광수 | Duplex Tubular Busbar |
-
2015
- 2015-03-27 KR KR1020150043585A patent/KR1016726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2446A (en) * | 2002-03-19 | 2003-09-26 | Goto Denshi Kk | Electric wire |
JP2005211947A (en) * | 2004-01-30 | 2005-08-11 | Goto Denshi Kk | Electric wire for high frequency,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crease of surface area in conductor part |
JP2011193658A (en) * | 2010-03-15 | 2011-09-29 | Toshiba Corp | Conductor for gas-insulating bus |
JP2014116094A (en) * | 2012-12-06 | 2014-06-26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Electric w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593A (en)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10075A (en) | Conduit | |
KR101672630B1 (en) | Busbar | |
US9441845B2 (en) | Ion generation device | |
BR102016012187A2 (en) | plastic lining fasteners | |
CN101102658A (en) | Heat sink arrangement, electric motor, housing part, and springy clip | |
CN104806670A (en) | Improv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linen pad | |
DE102016007278A1 (en) | Cooling structure of an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cooling an electric motor | |
KR20140055599A (en) | Radiation fin attached bus bar | |
JP2006269201A (en) | Shield conductive path | |
US9731666B2 (en) |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 |
JP2017072338A (en) | Mounting base of outdoor machine for air conditioning | |
CN215572293U (en) | Heat sink for air heater | |
JP2017515087A (en) | Flat tube for heat exchanger | |
KR101581587B1 (en) | Insulating trolley hanger and trolley system using the same | |
CN205566895U (en) | Umbrella -type electrical protection cover | |
CN206134754U (en) | Battery fixing frame | |
CN219494419U (en) | Heating core structure of hot air gun and hot air gun thereof | |
CN214701245U (en) | Warm-air drier | |
CN210120022U (en) | Iron core of high-end circuit control system | |
CN215187466U (en) | Eddy current induction coil | |
CN207146501U (en) | A kind of electric heating fin | |
WO2013111614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204545752U (en) | A kind of welding machine multiple tracks radiator | |
CN205578899U (en) | Frame section bar of mountable water pipe | |
JP2010059615A (en) | Fitting for connecting reinforc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