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492B1 -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492B1
KR101672492B1 KR1020100072814A KR20100072814A KR101672492B1 KR 101672492 B1 KR101672492 B1 KR 101672492B1 KR 1020100072814 A KR1020100072814 A KR 1020100072814A KR 20100072814 A KR20100072814 A KR 20100072814A KR 101672492 B1 KR101672492 B1 KR 10167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filtering
termin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168A (ko
Inventor
신용식
임종태
신성호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기반으로 설정영역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설정영역에서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서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로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무선중계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함에 따라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NOISES IN-BAND}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서 대역 내 잡음 제거 방안에 관한 것으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대역의 타 통신시스템 및 방송, 무선기기 등의 간섭은 시스템 용량저하 및 품질의 저하를 의미하며, 고속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열잡음 레벨 이상의 잡음은 시스템의 용량 및 품질을 현격하게 저하시킨다.
특히, 인접한 대역의 타사 단말기는 자사 기지국과 타사 기지국의 위치가 다름으로써 발생하는 근원문제(Near-Far Problem)로 인하여 자사 기지국 근처에서 고출력을 방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자사 기지국으로 타사 단말기 신호의 과입력 및 대역내로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이 인입되므로, 기지국 신호의 용량 및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원문제는 예컨대, 무선 랜 인터넷 전화기는 무선 랜 억세스 포인트와 매우 가까이에 위치할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무선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확산 접속방식의 특성상 억세스 포인트에 가까이 있는 기기가 억세스 포인트의 수신단을 장악하여 동일 억세스 포인트를 공유하는 다른 무선 랜 통신장치의 접속에 심각한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현상을 지칭하게 된다.
다시 말해, 타사 단말기 신호의 과입력의 경우, 자사 기지국에 고성능의 필터를 장착하면 해결되지만, 대역 내로 인입되는 타사 단말기의 스퓨리어스 성분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추출하며,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해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무선중계장치 및 무선중계장치의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하여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기반으로 설정영역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설정영역에서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서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로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무선중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중계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하는 제1필터링부;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하는 제2필터링부;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해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생성부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부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부는, LMS(Least Mean Square)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부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변환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디지털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부는, 상기 디지털처리기에서 필터링된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하는 제1필터링단계;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하는 제2필터링단계;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해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단계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변환단계; 및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잡음제거단계는, 상기 필터링이 수행된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변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LMS(Least Mean Square)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인접 대역 사용자단말기의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함에 따라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제거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기반으로 설정영역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100), 사용자단말기의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무선중계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인접한 대역의 A사 단말기는 A사 무선중계장치와 B사 무선중계장치 간의 위치의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근원문제(Near-Far Problem)로 인하여 B사 무선중계장치 근처에서 고출력을 방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B사 무선중계장치로 B사 단말기 신호의 과입력 및 대역내로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이 유입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무선중계장치(200) 대비 상대적으로 앰프와 필터 특성이 좋지 않은 인접 대역의 단말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중계장치(200)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스퓨리어스 성분이 유입됨을 가정한다.
상기 무선중계장치(200)는 수신안테나와 연결되는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중계장치(200)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은 사업자별 단말기에 적용된 앰프특성을 기반으로 지정된다.
아울러, 무선중계장치(200)는,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수신안테나와 별도로 연결된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로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중계장치(200)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필터링 방식의 경우 페이딩(Fading)이 이루어지는 단말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필터의 계수를 바꾸어 주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링 방식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무선중계장치(100)는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된 대역내신호 즉 대역내 잡음이 제거된 신호 성분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무선중계장치(200)는 수신신호에서 단말신호를 검출하는 제1필터링부(210), 대역내신호를 검출하는 제2필터링부(220),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230), 및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1필터링부(210)는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필터링부(210)는 수신안테나와 연결되는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2필터링부(220)는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필터링부(220)는 수신안테나와 연결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대역내신호에는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 성분만이 포함되게 된다.
상기 기준신호생성부(230)는 단말신호에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신호생성부(230)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은 사업자별 단말기에 적용된 앰프특성을 기반으로 지정된다.
상기 잡음제거부(240)는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해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잡음제거부(240)는 무선중계장치(200)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필터링 방식의 경우 페이딩(Fading)이 이루어지는 단말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필터의 계수를 바꾸어 주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링 방식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잡음제거부(240)는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된 대역내신호 즉 대역내 잡음이 제거된 신호 성분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제거부(24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잡음제거부(240)는 디지털변환기(241), 디지털처리기(242), 및 아날로그변화기(2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디지털변환기(241)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처리기(242)는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처리기(242)는 페이딩(Fading)이 이루어지는 단말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필터의 계수를 바꾸어 주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링 방식을 적용하여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지정된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변환기(243)는 디지털처리기(242)에서 필터링된 신호 즉,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된 대역내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에 따르면, 인접 대역 사용자단말기의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함에 따라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제1필터링부(210)가 수신안테나와 연결되는 제1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지정된 신호특성을 갖는 단말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한다(S130-S140). 바람직하게는, 제2필터링부(220)가 수신안테나와 연결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를 갖는 대역내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대역내신호에는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 성분만이 포함되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신호에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기준신호생성부(230)가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특성은 사업자별 단말기에 적용된 앰프특성을 기반으로 지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제2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대역내신호에 대해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한다(S170-S200). 바람직하게는, 잡음제거부(240)가 무선중계장치(200)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필터링 방식의 경우 페이딩(Fading)이 이루어지는 단말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필터의 계수를 바꾸어 주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링 방식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잡음제거부(240)가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된 대역내신호 즉 대역내 잡음이 제거된 신호 성분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잡음제거부(24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변환기(241)가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한다(S210-S220).
그런 다음, 디지털처리기(242)가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한다(S230-S240). 바람직하게는, 디지털처리기(242)는 페이딩(Fading)이 이루어지는 단말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필터의 계수를 바꾸어 주는 LMS(Least Mean Square) 필터링 방식을 적용하여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지정된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후, 아날로그변환기(243)가 디지털처리기(242)에서 필터링된 신호 즉,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된 대역내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수신단으로 신호를 전달한다(S250-S26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에 따르면, 인접 대역 사용자단말기의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대역 내로 유입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함에 따라 역방향 용량을 증대시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기준신호를 토대로 대역내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기
200: 무선중계장치
210: 제1필터링부 220: 제2필터링부
230: 기준신호생성부 240: 잡음제거부
241: 디지털변환기 242: 디지털처리기
243: 아날로그변환기

Claims (12)

  1. 삭제
  2. 제1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지정된 신호특성을 가지는 단말신호를 검출하는 제1필터링부;
    상기 제1경로와는 별도의 제2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인 대역내신호를 검출하는 제2필터링부;
    상기 제1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초로 상기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2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해 상기 기준신호에 기초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잡음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생성부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LMS(Least Mean Square)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변환기; 및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디지털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상기 디지털처리기에서 필터링된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장치.
  8. 제1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지정된 신호특성을 가지는 단말신호를 검출하는 제1필터링단계;
    상기 제1경로와는 별도의 제2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가 제거된 상태인 대역내신호를 검출하는 제2필터링단계;
    상기 제1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초로 상기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Spurious)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2경로를 통한 수신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해 상기 기준신호에 기초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대역내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신호의 스퓨리어스 성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잡음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지정된 신호특성을 기반으로 감쇄기(AT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설정을 통해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단계는,
    아날로그 특성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 및 상기 대역내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변환단계; 및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에 대한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링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단계는,
    상기 필터링이 수행된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변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LMS(Least Mean Square) 방식을 포함하는 상기 지정된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스퓨리어스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내 잡음 제거 방법.
KR1020100072814A 2010-07-28 2010-07-28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14A KR101672492B1 (ko) 2010-07-28 2010-07-28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14A KR101672492B1 (ko) 2010-07-28 2010-07-28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68A KR20120011168A (ko) 2012-02-07
KR101672492B1 true KR101672492B1 (ko) 2016-11-04

Family

ID=4583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814A KR101672492B1 (ko) 2010-07-28 2010-07-28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850A (ko) * 2001-05-24 2002-11-30 (주)아이텔레콤 알에프(r/f)시스템에서의 스퓨리어스(spurious) 검출 및경고장치
KR20080105803A (ko) * 2007-06-01 2008-12-04 (주)에프오알테크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20090077138A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서화정보통신 단일화된 if 경로를 이용한 이동통신중계기 및 이를이용한 rf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68A (ko)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376B2 (en) Method and transceiver for cancelling multi-carrier transmission interference
EP2953283A2 (en) Method, apparatus, and radio remote unit for transmitting wireless base band data
CN109845118A (zh) 一种塔顶设备及无源互调消除方法
US96606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inter-modulation products
JP2016519862A (ja) 高い近遠性能を有する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
KR101395331B1 (ko)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를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6052378A (en) Base band signal transmitting device in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DMA
KR101672492B1 (ko) 대역 내 잡음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274193A1 (en) Out-of-band noise and overload protection
CN101651498B (zh) 一种直放站及利用其去除导频污染的方法
CN109286407B (zh) 干扰信号抑制装置及对强干扰信号进行抑制的方法
US9887714B2 (en) Remote radio head and associated method
CN101170334B (zh) 消除多载波基站三阶交调的载波控制方法及装置
KR20060084755A (ko) 이동통신 중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US7123644B2 (en) Peak cancellation apparatus of base station transmission unit
WO2017130301A1 (ja) 無線装置
KR20020011638A (ko) 다중 주파수 대역 광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711332B1 (ko) Cdma 신호의 스펙트럼 정형
KR101102645B1 (ko) 무선 통신장비의 수동소자 상호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127704B1 (ko) 무선 통신장비의 수동소자 상호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8130866B2 (en) Peak suppressing apparatus, peak suppress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80053810A (ko) 혼 변조 신호 제거 장치
KR102652957B1 (ko) 수동 상호 변조 왜곡 제거용 라인 필터
KR101172293B1 (ko)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000009961A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기지국용 주기형 비콘신호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