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243B1 -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243B1
KR101672243B1 KR1020150028253A KR20150028253A KR101672243B1 KR 101672243 B1 KR101672243 B1 KR 101672243B1 KR 1020150028253 A KR1020150028253 A KR 1020150028253A KR 20150028253 A KR20150028253 A KR 20150028253A KR 101672243 B1 KR101672243 B1 KR 10167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hlorite
facilities
ship
status inform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064A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4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B63J2099/006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차아염소산염 공급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방법은,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 결과에 따라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SODIUM HYPOCHLOIRIT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염을 통합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MS :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은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외래 침입종으로 인한 환경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에 설치된 시스템으로,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 해수에 포함된 각종 미생물을 살균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방식은 전기분해방식으로, 해수를 전기분해 하여 발생되는 차아염소산염(sodium hypochloirite)을 이용하여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된 평형수를 살균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한편, 해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얻어진 차아염소산염을 이용하여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식은 해양생물부착방지시스템(MGPS : Marine Growth Prevention System)에도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해양생물부착방지시스템은 해수 중에 서식하는 미생물, 조패류가 번식하여 선박의 배관이나 필터를 막히게 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 해양생물부착방지시스템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얻은 차아염소산염을 이용한다.
또한, 선박에서 발생된 오폐수를 정화하는 오수처리장치(STP : Sewage Treatment Plant)에서도 차아염소산염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BWMS, MGPS 및 STP 각각에서 해수를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였는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가 복수개 설치되어야 하고 생성된 차아염소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복수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차아염소산염을 통합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149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염을 통합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필요로 하는 설비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아염소산염(Sodium Hypochlorite)을 소비하는 복수의 설비에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으로부터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상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설비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차아염소산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으로부터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상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양 만큼의 차아염소산염만을 생성함으로써 수요를 초과하는 차아염소산염을 생성됨에 따라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해 시 차아염소산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선박이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도중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박이 항구에 정박 중인 경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100)는 수신부(110), 산출부(120),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선박 운항 상태 정보란 선박의 운항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항해 중인 상황, 항구에서 적재물을 싣거나 내리고 있는 상황 또는 단순히 항구에 정박 중인 상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선박 운항 상태에 따라 각각의 설비가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이 항구에 정박하여 적재물을 하역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에 평형수가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MS :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의 차아염소산염 수요량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부(110)는 선박의 운항 상태 정보가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면 그에 대응하여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수신할 수 있다.
산출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 및 각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차아염소산염을 소비하는 복수의 설비에는 평형수에 포함된 미생물을 살균하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MS :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조패류에 의해 선박의 배관이 막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식은 해양생물부착방지시스템(MGPS : Marine Growth Prevention System) 및 선박에서 발생된 오폐수를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처리장치(STP : Sewage Treatment Plan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는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차아염소산염(Sodium Hypocholorite)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는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할 수 있다.
해수는 일반적으로 3% 염화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기분해작용을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나타난다.
① 양극반응(anodic reaction) :
2Cl → Cl2 + 2e, Cl2 + H2O HCl + HClO
② 음극반응(cathodic reaction) :
2Na + 2(H20) + 2e → 2NaOH + H2
양극부에서 생성된 염소는 차아염소산염을 만들기 위하여 음극부에서 생성된 가성소다와 반응된다. 이 경우 가성소다와 염소의 작용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염소가스 누출에 대해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차아염소산은 해수에 융해된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며 살균제로서 해수에 포함된 각종 미생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기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염소의 량은 공급 전류에 비례하므로 필요한 유효염소농도는 전류공급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선박이 항해중인 경우라면 평형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에는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항해중인 경우 냉각수로의 활용 등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해양생물부착방지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양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해양생물부착방시시스템에 높은 비율로 공급하고,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에는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지 않거나 낮은 비율로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의 운항 상태 정보에 따라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고 그에 대응되는 비율로 이를 공급하면 차아염소산염을 보다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바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항해 시 차아염소산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아염소산염을 소비하는 설비가 BWMS, MGPS 및 STP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아염소산염을 소비하는 다른 설비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선박이 항해 중인 경우 각 설비에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신부(110)는 BWTS(210), MGPS(220) 및 STP(230)로부터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운항 상태 정보에는 특정 운항 상황에서 각각의 설비가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이 항해중인 경우라면 밸러스트 탱크에 평형수가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평형수가 유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BWTS(210)에서 차아염소산염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반면, MGPS(220) 또는 STP(230)는 일정량의 차아염소산염을 필요로 하므로 수신부(110)는 MGPS(220) 및/또는 STP(230)로부터 현재의 선박 운항 상태, 즉 항해 중인 상태에 대응되는 차아염소산염의 필요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산출부(120)가 각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산출하면, 이에 기초하여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가 차아염소산을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각각의 설비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양은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각 설비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이 항해중인 경우에는 BWTS(210)에서 차아염소산염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BWTS(210)에는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선박이 항해중인 경우에 MGPS(220) 및 STP(230)에 소정의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항해중인 경우 MGPS(220)에는 단위 시간당 100L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STP(230)에는 시간당 50L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설비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비의 용량 또는 기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선박이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도중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박이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도중에는 적재물에 따라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평형수가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평형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BWTS(210)에서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선박이 항구에 정박중인 경우에는 기관 계통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MGPS(220)에서 필요로 하는 차아염소산염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선박에 설치된 각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정보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운항 정보 상태에 대응되는 차아염소산염의 소비량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산출부(120)에서 BWTS(210), MGPS(220), STP(230)에서 소비될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부(120)는 각각의 설비에서 소비될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필요한 차아염소산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설비의 소비량 정보에 따라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BWTS(210), MGPS(220) 및 STP(230)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기 설정된 비율로 BWTS(210), MGPS(220) 및 STP(230)에 공급한다.
도 3은 선박이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므로, 단위 시간당 BWTS(210)에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이 100L, MGPS(220)에 60L 및 STP(230)에 50L가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반면, 선박이 항구에서 하역 작업을 하는 경우 각각의 설비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의 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설비의 용량 및 기타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박이 항구에 정박 중인 경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박이 항구에 정박 중인 경우 밸러스트 탱크에 평형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BWTS(210)의 가동률이 적재물을 하역하는 경우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기관 계통의 가동률도 항해 중인 경우에 비해 낮으므로 MGPS(220)의 차아염소산염 수요량도 낮아지게 된다. 반면, STP(230)의 경우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일정량 이상의 차아염소산염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선박이 정박 중인 경우에 대응되는 각 설비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산출부(120)가 생성되어야 할 차아염소산염량을 산출하면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에서 산출된 양을 기초로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선박이 정박 중인 경우에 대응되는 각 설비의 소비량 정보에 기초하여 BWTS(210), MGPS(220) 및 STP(230)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이 항구에 정박중인 경우 단위 시간당 MGPS(220)에 50L, STP(230)에 100L가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양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수신부(110)가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5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는 특정 운항 상태에서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산출부(120)는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생산될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한다(S520). 구체적으로, 산출부(120)는 특정 운항 상태에서 각각의 설비가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차아염소산염 생성부(130)에서 차아염소산염이 생성되면(S530), 제어부(140)에 의해 생산된 차아염소산염이 복수의 설비 각각이 공급된다(S540). 이때, 제어부(140)는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각 설비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된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염 공급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양 만큼의 차아염소산염만을 생성함으로써 수요를 초과하는 차아염소산염을 생성됨에 따라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차아염소산염(Sodium Hypochlorite)을 소비하는 복수의 설비에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로부터 선박 운항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 결과에 따라 차아염소산염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차아염소산염을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으로부터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박 운항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차아염소산염 소비량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에 상기 차아염소산염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이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량을 합산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에서 소비하는 차아염소산염의 총량을 산출하는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KR1020150028253A 2015-02-27 2015-02-27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KR10167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53A KR101672243B1 (ko) 2015-02-27 2015-02-27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53A KR101672243B1 (ko) 2015-02-27 2015-02-27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64A KR20160105064A (ko) 2016-09-06
KR101672243B1 true KR101672243B1 (ko) 2016-11-03

Family

ID=5694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253A KR101672243B1 (ko) 2015-02-27 2015-02-27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270B1 (ko) * 2017-11-20 2022-03-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673B2 (en) * 2005-01-18 2012-04-03 Severn Trent De Nora, Llc System and process for treatment and de-halogenation of ballast water
KR101422752B1 (ko) 2012-07-27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유입라인의 살균을 위한 해양생물 부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019B1 (ko) * 2013-01-10 2015-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형 설비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유량 제어 방법
KR101432422B1 (ko) * 2013-01-15 2014-08-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에너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64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89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방법및 처리장치
AU20082873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ballast water
US11577974B2 (en)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KR100675375B1 (ko) 해산어 양식장의 수질관리시스템
KR101891906B1 (ko) 해수 전해 시스템 및 전해액 주입 방법
KR101672243B1 (ko) 차아염소산염 공급 장치
KR20170047516A (ko)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CN110902771A (zh) 一种船用冷却水防海生物处理系统
WO2016132565A1 (ja) 電解システム
CN110902774A (zh) 一种船用冷却水防海生物处理方法
KR20110052330A (ko) 알카리 금속염 및 카르복실산계 폴리머를 첨가한 전기분해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CN103755105A (zh) 一种海上生活污水的处理系统以及处理方法
KR101967077B1 (ko) 전해 시스템
KR100733541B1 (ko) 전해식 밸러스터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N110902896A (zh) 一种压载水防海生物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12616A (ko) 선박용 살균 소독수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6865B1 (ko) 해수전해설비 염소농도 제어 시스템
KR101655795B1 (ko) 조수기를 사용한 저염도 해수 환경의 해양 생물 부착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물의 부착 방지 방법
KR10192704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67159A (ko) 원자력발전소의 해수전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20006340A (ja) 海水電解装置
CN110902772A (zh) 一种基于分级法的次氯酸电解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30089116A (ko) 평형수 처리 방법 및 평형수 처리 장치
KR20150066389A (ko) 선박 평형수 플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