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459B1 - Bunk beds - Google Patents

Bunk be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459B1
KR101671459B1 KR1020160102913A KR20160102913A KR101671459B1 KR 101671459 B1 KR101671459 B1 KR 101671459B1 KR 1020160102913 A KR1020160102913 A KR 1020160102913A KR 20160102913 A KR20160102913 A KR 20160102913A KR 101671459 B1 KR101671459 B1 KR 101671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ladder
frames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05Ladders in use as furniture or ladders in relation to furniture, e.g. in cup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unk beds obtaining improved spatial utilization by forming a ladder enabling a user to climb to an upper bed in the planar edges of the beds and improved use efficiency by having hanging means for keep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fixtures on upper parts of pos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bunk beds including: upper and lower seating frames formed by coupling multiple horizontal frames in a frame form to receive a mattress therein; the posts separately fixating the upper and lower seating frames at vertical intervals; and the ladder fixated to the upper and lower seating frames and enabling the user to climb to the upper bed. The ladder includes multiple footholds having a notch receiving the planer edge of the upper seating frame and having a top surface where the user steps on and a pair of legs fixating both ends of the footholds to fixate and support the footholds at vertical intervals. The hanging means with a hook for hanging and keeping the fixtures are formed on the upper parts of the posts.

Description

이층침대{Bunk beds}Bunk bed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공간이 상하 2층 구조로 형성된 이층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공간사용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지주의 상단에 각종 비품을 걸어 비치 및 보관하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layered bed in which a space for a user's use is formed in an upper and a lower two-layer structure, more specifically, a ladder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upper layer is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a flat b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layered bed in which use efficiency is improved by providing a mounting means for hold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fixtures at the upper end of a support.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가 취침 및 휴식을 취하기 위한 가구의 하나로 주로 단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Generally, a bed is one of the furniture for the user to take a bed and a rest, and it is mostly composed of a single layer.

한편, 2인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공간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하 2층으로 구성된 이층침대가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단체생활을 하는 기숙사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정에서는, 유아나 어린이용 침대로 사용되어 좁은 실내공간에서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주거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에 주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a double-layered bed consisting of two upper and lower floors is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se of space by allowing two persons to use at the same time, and it is widely used in dormitories mainly living a group life. In the home, It is mainly used to improve the usability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to secure a stable residential space.

즉, 좁은 실내공간에서의 공간사용효율과 경제적인 이익의 확보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they are mainly used for securing space efficiency and economic benefit in a narrow indoor space.

이러한 이층침대는, 통상적으로 일 부위에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사다리를 구비하여 상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Such a bunk bed typically has a ladder to allow the upper layer to go in and out of the upper layer so that it can be raised or lowered to the upper layer.

상기와 같은 이층침대는, 지주에 의해 2단으로 적층 고정되며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안치프레임과, 일부위에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unk beds are stacked in two layers by pillars and include a seat frame on which a mattress is placed and a ladder on a part of the frame.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3692호(명칭: 분리형 이층침대)에서는, 하부침대와 상부침대의 대향하는 네 지주들 선단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하여 양자가 층상을 이루도록 조립되는 분리형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침대의 네 지주의 상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며 그 상부 외주에 나선면이 형성된 상부커플러와, 상부침대의 네 지주의 하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며 그 하부 외주에 나선면이 형성된 하부커플러와,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사용되는 네 보조지주와, 상기 네 보조지주의 상단 및 하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어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상기 상부 및 하부커플러의 끝단에 요철형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그 외주단에 플랜지가 각각 일체로 돌설된 다수의 보조커플러와, 상기 네 보조지주의 외주 상단 및 하단에 회전자유롭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보조커플러의 플랜지에 의해 외부 이탈되지 않게 걸린 채로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상기 상부 및 하부커플러의 나선면에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선면이 형성된 연결커버로 구성된 이층침대가 공지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692 (name: Separate Type Bunk Bed) is a separable bunk bed which is assembled so that the two be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ends of four pillars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bed and the upper bed, An upper coupler which is seated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top of four pillars of the lower bed and in which a spiral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illars,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our auxiliary strut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to convert into a double-layered bed or single-layered bed, A plurality of auxiliary couplers which are coupled or separated in a concavo-convex shape at an end thereof and flanges integrally projec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there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s are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s, respectively, A bunk bed consisting of a formed connection cover is known.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6260호(명칭; 조립식 이층침대)에서는, 양측에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지지대와 하부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상하단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 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는 하부 받침플레이트과,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측면 난간 및 상기 측면 난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전후면 난간을 포함하는 이층침대가 공지되어 있다.In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6260 (name: double-layered double-layered bed), a side frame including posts on both sides and composed of an upper horizontal support and a lower horizontal support connecting the posts,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having coupl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and fixing grooves on which the lower horizontal supporting frames are inserted, the fixing grooves being formed long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supporting members. And an upper holding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upper receiving plate That the side railings and a bunk bed is known comprising a front and rear ledge having a coupling groove to be fitted in combination tailored to the side railing.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3339호(명칭: 조립식 이층침대)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4개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으로 구획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침대프레임에 대하여 나사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침대프레임의 외측면에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와 침대프레임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의해 끼움식 체결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매트리스의 바닥면 전체를 지지하는 격자모양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를 고정하는 끼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침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침대프레임의 재조립 시, 상호간의 나사체결력이 약해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연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이층침대가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3339 (named as a double-layered double-layered bed), four post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bed frame conne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with the posts therebetween, the fram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ing divided into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A mattress disposed in a space portion of the bed frame; A support frame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screwed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bed frame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tress; And a ladd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d frame, wherein the post and the bed frame are connected by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in a fitting-type fastening structure, And a frame member for fixing the rim of the support plate. When the support frame and the bed frame ar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bed frame, the screw fastening forces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bed frame are weak A double-layered bed constructed by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heet from being worn or worn is known.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1345910호(명칭: 분리형 이층침대)에서는, 2개의 지주프레임 상,하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와, 상기 상,하부침대와 체결되는 착탈식 사다리로 이루어진 이층침대 중 상기 각 지주프레임의 상,하부측 좌우 양측에는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의 각 매트리스프레임이 끼움 결착되도록 상,하 양측으로 2개의 체결홈이 구비된 결합판체가 용접 고정되고, 상기 각 매트리스프레임의 각 모서리 양측면에는 결합판체의 체결홈에 대응 결속되도록 2개의 상,하측결합핀부재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이층침대가 공지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1345910 (entitled " Separate Type Bunk Bed "), an upper bed and a lower bed each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wo column frames, and a detachable ladder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eds The upper and lower mattress frames of the upper bed and the lower bed are fitted and fasten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spective holding frames, On both sides of each corner of the mattress frame, there is known a double-layered bed in which two upper and lower engagement pin members are integrally project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engagement grooves of the coupling plate body.

1,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3692호1,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692 2,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6260호2,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6260 3,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3339호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3339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1345910호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13459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층침대들은, 상층으로 출입하는 것에 사용되는 사다리가, 침대의 정면 및 측면에서 선택된 한 부위에 고정됨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사용되는 공간으로 사다리의 전 부위가 돌출됨에 따라 하층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층을 출입할 때, 출입공간을 폐쇄하여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과, 실내공간의 공간사용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ladder used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upper layer is fixed to a selected portion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bed, the conventional ladder is protruded as a space used in the indoor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who uses the indoor unit closes the access space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lower lay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하층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부가하지 않으면서 전체 실내공간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주의 상단에 각종 비품을 걸어 비치 및 보관하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 이층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dder which is arranged at a corner of a flat b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layered bed in which the use efficiency of the entire interior space can be improved, and the use efficiency is improved by providing a mounting means for hold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fixtures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층침대는,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다수의 수평프레임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안치틀 및 하부 안치틀과, 상기 상부안치틀 및 하부안치틀들을 수직상 상하로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고정하도록 된 지주들과, 상기 상부안치틀 및 하부안치틀에 고정되어 상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한 사다리는, 상기 상부안치틀의 평면상 모서리부위를 수용하는 노치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디디도록 된 상면을 가지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발판들을 수직상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발판들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주들의 상단에는, 비품을 걸어 비치하도록 된 걸고리가 형성된 거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layered bed comprising: an upper and a lower cowl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e coupled in a 'frame' And a ladder which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eat cushions and is allowed to pass into and out of the upper cushion frame, wherein the upper and lower cushion frames are fixed to each other with a gap therebetween. The ladder includes a plurality of foot plates having a notch for receiving a flat corn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 the user to follow, And a pair of legs fixing both ends of the legs; And an elevating means having hooks for hanging the fixture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s.

상기한 거치수단은, 하단에는, 상기 지주의 상단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비품이 걸림 고정되는 'V' 형상의 걸고리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to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V-shaped hook having a fixture to which the fixture is hooked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상기한 상부안치틀의 상면에는, '판(板: 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칸막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partitions formed in a 'plate' shape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eat cush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층침대는, 상층으로 출입하도록 된 사다리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하층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부가하지 않으면서 전체 실내공간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above-described double-layered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entire indoor space without discomfort to the user of the lower layer by arranging the ladder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upper layer on the flat surface of the bed Effect.

아울러, 지주의 상단에 각종 비품을 걸어 비치 및 보관하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 efficiency is improved by providing a mounting means for hold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fixtures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 적용되는 거치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 적용되는 거치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 적용되는 지주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frontal view showing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Fig. 4 is a partially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Fig. 5 is a partially schematic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showing a mounting means applied to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Figs. 7 to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unting means applied to a bunk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10 and Fig. 11 are schematic views showing other examples of struts applied to the bunk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부문에서 설명된 접근법들은 추구될 수 있는 접근법이지만, 반드시 사전에 구상되거나 추구되는 접근법은 아니다. 그러므로,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부문에서 설명된 접근법 중 임의의 것이 단지 본 부문에 포함된 사항에 의해 종래 기술로서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서는 안 된다.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각각 이용될 수 있는 여러 특징이 설명된다. 그러나, 개별적인 특징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를 단지 다룰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들 중 일부는 여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징에 의해 완전히 다뤄질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approaches described in this section are approaches that can be pursued, they are not necessarily preconceived or pursued approaches. Therefore, unless expressly stated otherwise, any of the approaches described in this section should not be presumed to empower the prior art as merely included in this section. Various features that may b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in any combination are described, respectively. However, the individual features can only deal with one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s. Some of the problems discussed above will not be fully addressed by any of the features described herein.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1)는,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다수의 수평프레임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안치틀(2) 및 하부 안치틀(3)과, 상기 상부안치틀(2) 및 하부안치틀(3)들을 수직상 상하로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고정하도록 된 지주(4)들과, 상기 상부안치틀(2) 및 하부안치틀(3)에 고정되어 상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7 are views showing a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uble-layered bed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e arranged so that a mattress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cowling frames 2 and 3 and the upper cowling frame 2 and the lower cowling frame 3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And a ladder 5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cogs 2 and 3 so as to be able to go into and out of the upper layer.

이에 따라, 상기 지주(4)들에 상기 상부안치틀(2)과 하부안치틀(3)이 수직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실내의 공간활용을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사다리(5)를 통해 상층으로 출입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cushion frame 2 and the lower cushion frame 3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struts 4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in the room, and the ladder 5 To the upper floor.

상기한 지주(4)는, 중공된 '원통형의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나무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Most preferably, the strut 4 is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tube' and is made of a wood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상기한 상부안치틀(2)에는, '판(板: 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칸막이(6)들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칸막이(6)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artitions 6 formed of a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are coupled to the upper seat cushion 2 and the partition 6 is a plat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Is most preferable.

이에 따라, 상층에서 사용자가 휴식 및 취침을 취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takes a break or sleeping in the upper layer, safety is ensured.

상기한 사다리(5)는, 상기 상부안치틀(2)의 평면상 모서리부위를 수용하는 노치(51)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디디도록 된 상면을 가지는 복수의 발판(52)들과, 상기 발판(52)들을 수직상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발판(2)들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다리(5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adder 5 includes a plurality of foot plates 52 formed with a notch 51 for receiving a flat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eat frame 2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 the user to follow, 52 for fixing the both ends of the footrests 2 so as to fix and support the legs 53 with a vertical interval between them.

이에 따라, 상기 사다리(5)가 평면상 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하층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부가하지 않으면서 전체 실내공간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ladder (5) is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bed to improve the use efficiency of the entire indoor space without inconveniencing the user of the lower layer.

이때, 상기 발판(52)의 노치(51)가 상기 상부안치틀(2)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지주(4)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notches 51 of the footrests 52 are stably arranged to receive the pillars 4 constituting the corners of the upper cushion frame 2.

상기한 발판(52)은, 평면상 반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ot plate 52 is formed in a semi-elliptical shape in plan view.

상기한 다리(53)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Most preferably, the legs 53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re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1)에서, 상기한 지주(4)들의 상단에는, 비품을 걸어 비치하도록 된 걸고리(71)가 형성된 거치수단(7)이 구비된다.In the double-layered bed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truts 4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7 provided with hooks 71 for hanging the fixtures.

즉, 상기 거치수단(7)을 통해 옷, 가방 등과 같은 각종 비품(M)을 걸어서 비치하거나 보관하도록 되어 침대의 사용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공간사용효율이 향상된다.That is, various fixtures (M) such as clothes, bags, and the like are hung and stored through the mounting means (7), so that the use efficiency of the bed is improved and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상기한 거치수단(7)은, 하단에는, 상기 지주(4)의 상단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7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비품이 걸림 고정되는 'V' 형상의 걸고리(71)가 돌출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means 7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72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4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V-shaped hooking protrusion 71 to which the fixture is hooked and fixed.

즉, 상기 고정돌기(72)가 상기 지주(4)의 내부에 삽입고정됨으로써, 거치수단(7)이 무단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걸고리(71)를 통해 비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게 된다.That is, the fixing protrusions 72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pillars 4, so that the fixing means 7 is stably arrang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endless ends; So that the fixtures can be stably mounted through the hooks (71).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 적용되는 거치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한 거치수단(7)은, 하단에는, 상기 지주(4)의 상단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72)가 형성된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비품이 거치되는 걸고리(71)가 구비된 몸체(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7 to 9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means applied to the bunk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means 7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t the lower end, And a body 73 provided with hooks 71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with fixing protrusions 72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equipped with fixtures.

즉, 상기 몸체(73)가 상기 지주(4)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사용성이 향상된다.That is, the body 73 is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t 4, so that usability is improved.

상기한 몸체(73)의 상면에는, 타 몸체의 고정돌기(72)가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홈(74)이 형성되어, 다수의 몸체(73)가 수직상으로 적층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3, there is formed a fixing groove 74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72 of another body is rotatably insert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bodies 73 may be vertically stacked.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에 적용되는 지주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층침대(1)에서 상기한 지주(4)는, 상기 발판(52)과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요입되는 다수의 요입홈(41)이 형성되어 상기 발판(52)가 상기 요입홈(4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면이 상기 요입홈(4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52)을 디디면서 상층으로 출입할 때, 상기 발판(52)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을 확보하게 된다.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t to be applied to the double-layered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double-layered bed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52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groove 41 in a state where the foot plate 52 is received in the concave groove 41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o and from the upper layer while moving the foot plate 52, the foot plate 52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ward to ensure stability.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의 예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 예 및 이와 동등한 예들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 및 이점들이 기능적이고 절차적으로 상세한 사항과 함께 전술한 설명에서 제시된 경우에도, 본 내용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특히 절차적인 단계의 관점에서 넓은 일반적인 용어의 의미에 의해 나타낸 전체 범위로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변경이 상세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시스템 및 공정의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현재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의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and examples thereof,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 examples are possible. Although the variou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ong with functional and procedural details, the present disclosure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may be made in detail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ly disclosed systems and process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tended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one embodiment, such modifications of the presently disclosed systems and method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이층침대 2 : 상부안치틀
3 : 하부안치틀 4 : 지주
41 : 요입홈 5 : 사다리
51 : 노치 52 : 발판
53 : 다리 6 : 칸막이
7 : 거치수단 71 : 걸고리
72 : 고정돌기 73 : 몸체
74 : 고정홈 M : 비품
1: Bunk Bed 2: Upper frame
3: Lower frame 4: Holding
41: Needle groove 5: Ladder
51: Notch 52: Scaffold
53: Leg 6: Partition
7: mounting means 71: hook
72: Fixing projection 73: Body
74: Fixing groove M: Fixture

Claims (3)

내부에 매트리스가 안치되도록 다수의 수평프레임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하여서 된 상부안치틀 및 하부 안치틀과, 상기 상부안치틀 및 하부안치틀을 수직상 상하로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고정하도록 된 지주들과, 상기 상부안치틀 및 하부안치틀에 고정되어 상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한 사다리는,
상기 상부안치틀의 평면상 모서리부위를 수용하는 노치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디디도록 된 상면을 가지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발판들을 수직상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발판들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주들의 상단에는,
비품을 걸어 비치하도록 된 걸고리가 형성된 거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
The upper and lower seat cushions and the lower cushion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e coupled in a 'frame' shape so that a mattress is placed inside the cushion frame, and the upper cushion frame and the lower cushion frame are respectively fixed And a ladder secured to the upper and lower cushion frames and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upper layer.
The above-
A plurality of foot plates having a notch for receiving a flat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eat frame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 a user to hold, and fixing both ends of the foot plates so as to fix and support the foot plates, Comprising a pair of legs;
At the top of the struts,
And a mounting means provided with hooks for hanging the fixtures are provided.
제 1항 있어서;
상기한 거치수단은,
하단에는 상기 지주의 상단 내측면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비품이 걸림 고정되는 'V' 형상의 걸고리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And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And a V-shaped hook having a fixture to which the fixture is fixed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double-layered bed.
제 1항 있어서;
상기한 상부안치틀의 상면에는,
'판(板: 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칸막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eat cushion,
W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s formed in a 'plate' shape are disposed.
KR1020160102913A 2016-08-12 2016-08-12 Bunk beds KR1016714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13A KR101671459B1 (en) 2016-08-12 2016-08-12 Bunk be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13A KR101671459B1 (en) 2016-08-12 2016-08-12 Bunk be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59B1 true KR101671459B1 (en) 2016-11-16

Family

ID=5754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13A KR101671459B1 (en) 2016-08-12 2016-08-12 Bunk be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4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831B1 (en)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Bed frame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92Y1 (en) 2003-09-01 2003-11-17 주식회사 퍼시스 Separate type bunk bed
KR100971040B1 (en) * 2010-01-18 2010-07-20 박춘식 Apparatus for controlling gradient of ladder in a double-deck bed
KR200453339Y1 (en) 2010-11-01 2011-04-27 문임식 Prefab Bunk Bed
KR200456260Y1 (en) 2009-01-29 2011-10-21 원욱성 A prefabricated bunk bed
KR101345910B1 (en) 2012-07-13 2013-12-30 배원섭 Separate type bunk bed
KR20150001089U (en) * 2013-08-28 2015-03-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with safety devi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92Y1 (en) 2003-09-01 2003-11-17 주식회사 퍼시스 Separate type bunk bed
KR200456260Y1 (en) 2009-01-29 2011-10-21 원욱성 A prefabricated bunk bed
KR100971040B1 (en) * 2010-01-18 2010-07-20 박춘식 Apparatus for controlling gradient of ladder in a double-deck bed
KR200453339Y1 (en) 2010-11-01 2011-04-27 문임식 Prefab Bunk Bed
KR101345910B1 (en) 2012-07-13 2013-12-30 배원섭 Separate type bunk bed
KR20150001089U (en) * 2013-08-28 2015-03-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with safety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831B1 (en)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Bed fram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968B2 (en) Pen for washing small children
US20170202365A1 (en) Platform hotel bed frame
JP6047278B2 (en) Capsule bed
RU2721643C2 (en) Carcass for upholstered furniture for sitting
US20070169263A1 (en) Adult bed
KR101671459B1 (en) Bunk beds
US3721315A (en) Step and stool and caster mounting therefor
KR20130028198A (en) Foothold for toilet bowl
KR200440168Y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 steel 2nd floor bed frame
KR101746831B1 (en) Bed frame structure
KR101468048B1 (en) a shower chair with general purpose
US5303980A (en) Child theater booster seat
KR101303241B1 (en) Support frame for connection chairs
JP6137656B1 (en) Assembly loft bed
KR101905093B1 (en) A bed
KR200461213Y1 (en) bed having link-fixed bracket
KR20120138260A (en) Foothold having body weight scale
GB2524171A (en) A demountable space-providing structure for persons with special needs
JP5590632B1 (en) Storage and method of using top plate for it
KR101371144B1 (en) Combined vertical frame equipped with a bunk bed ladder
KR100746068B1 (en) The structure of two story bed
KR102131817B1 (en) Scaffold for descending life apparatus
KR101398203B1 (en) Air swing
KR102589252B1 (en) Modular prefabricated furniture
CN208089714U (en) A kind of connection component and its Pe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