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181B1 -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 Google Patents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181B1
KR101671181B1 KR1020150038383A KR20150038383A KR101671181B1 KR 101671181 B1 KR101671181 B1 KR 101671181B1 KR 1020150038383 A KR1020150038383 A KR 1020150038383A KR 20150038383 A KR20150038383 A KR 20150038383A KR 101671181 B1 KR101671181 B1 KR 10167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elt
frame
hook
buck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7793A (en
Inventor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Original Assignee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5003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181B1/en
Publication of KR2015003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Abstract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의 간극을 소거하여 의복 물림 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클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면(210)과 대응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제4 면(240);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가지며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disclosed a buckle assembly in which a belt hang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eliminate a gap between a buckle and a belt fixing part to prevent a wearer from biting and to make a belt hook separately.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includes a buckle (100) having a connecting member (N) formed therein; A first member 200 hook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And a second member (300) coupled with the cover of the first member (200), wherein the first member (200) comprises a first face (2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 second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210 and extending in a hook shape to form a surface; A third side 230 and a fourth side 240 that form a side surface; And a fifth surface (250) and a sixth surface (260) having a protruding portion (Q) protruding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forming a side surface, and the second member (300) The first frame 310 of the first frame 310; And a second frame 320 that is seated on a first surface 210 of the first member 200 and the second frame 320 is formed on a fifth surface 250 of the first member 200. [ And a groove (K) is formed by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Q) formed on the sixth surface (260).

Description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Buckle assembly for garments}[0001]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

본 발명은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과 벨트 고정부의 연결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elt buckle so as to eliminate a problem caused by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a buckle and a belt fixing unit, .

일반적으로 의복벨트는 버클, 벨트, 벨트를 연결하는 벨트 고정부, 벨트 고정부에 설치된 벨트 걸이부로 이루어진다. 등록특허 10-1336334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버클구조는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벨트 고정부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 구조이며, 벨트 고정부를 버클에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을 말아서 형성하는 방식이였기 때문에 이로 인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종래 버클의 제작을 위한 물품 구조를 도시하는데, 버클(10)의 연결부재(N)에 벨트 고정부(40)를 연결하기 위하여, 벨트 고정부(40)의 일면은 그림과 같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도 1의 (b)는 종래 버클(10)과 벨트 고정부(4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벨트 고정부(40)의 연장된 면을 버클(10)의 연결부재(N)를 감싸도록 말아주며, 마는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벨트 걸이부(50)를 결합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즉, 벨트 걸이부(50)의 형성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비용상승 및 경쟁력 약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 1의 (c), 도 2 및 도 7(b)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클(10)과 벨트 고정부(40) 사이에 간극(A)이 발생하게 되어 옷 물림현상의 문제가 생기며, 심미적인 면에서도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간극(A)이 발생하는 이유는 버클에 도금처리를 한 후에 조립을 하게 되는데, 도금된 벨트 고정부를 마는 과정에서 너무 강하게 말면 도금이 터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도금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하게 말수가 없으므로 간극(A)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구조상 문제로 인하여 제조공정의 복잡화를 야기하여 제품 제조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키고,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옷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간극으로 인하여 제품의 완결성을 저하시키므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요청되는 실정이다.Generally, the garment belt comprises a belt fix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buckle, the belt and the belt, and a belt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belt fixing portion. The conventional buckle structure, a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336334, is a structure in which a belt hook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and is connected to the belt fixing portion. In order to connect the belt fixing portion to the buck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roblems are caus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shows an article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buckle. To connect the belt fixing portion 40 to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 one surface of the belt fix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 1B show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ventional buckle 10 and the belt fixing part 40. The extended surface of the belt fixing part 40 is wrapped around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 And the process of joining the belt hooking unit 50 after the finishing process is further required. That is, a process of forming the belt hooking portion 50 is additionally required, which causes a rise in cost and a weakening of competitivenes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photographs of FIGS. 1C, 2, and 7B A clearance A is generated between the buckle 10 and the belt fixing portion 40, which causes a problem of garment clogging and deteriorates quality in terms of aesthetics. The reason why the gap A is generated is that the buckle is assembled after the plating process. In the course of winding the plated belt fixing portion,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lating is excessively strong, so that the plating is not damaged. The gap A is generated because it can not be said to be strong. Such a conventional buckle causes a compl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a structural problem, which increases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product and causes a gap between the buckle and the belt fixing portion, resulting in the problem of clogging of the clothes. The integr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so that such problems are desired to be improv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버클과는 달리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의 간극을 소거하여 의복 물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buckle and the belt fixing portion to prevent the wear of the garment, unlike the conventional buck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벨트 고정부 연결방식이 도금 후에 금속을 마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서 제조공정의 복잡화를 야기하므로, 이러한 공정을 단축시켜 제품의 제조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of a product by shortening such a process because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the belt fixing part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taking the metal plating method after pl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도록 벨트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e assembly having a belt hook portion integrally formed so that a belt hook portion is not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면(210)과 대향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상기 제1 면(210)과 직교하여 상기 제1 부재(200)의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상기 제3 면(230)과 대향하는 제4 면(240);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200)의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상기 제5 면(250)과 대향하는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includes a buckle (100) having a connecting member (N) formed therein; A first member 200 hook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And a second member (300) coupled with the cover of the first member (200), wherein the first member (200) comprises a first face (2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 second surface 220 facing the first surface 210 and extending in a claw shape to form a surface; A third surface 230 orthogonal to the first surface 210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00 and a fourth surface 240 facing the third surface 230; A fifth surface 250 having a protrusion Q protruding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00 and a fifth surface 250 facing the fifth surface 250, (260), and the second member (300) comprises a first frame (310) having a U shape; And a second frame 320 that is seated on a first surface 210 of the first member 200 and the second frame 320 is formed on a fifth surface 250 of the first member 200. [ And a groove (K) is formed by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Q) formed on the sixth surface (26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의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내지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상에 후크(H)가 안착될 공간에 해당하는 홈(R)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k H is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0 of the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 groove R corresponding to a space in which the hook H is to be seated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10 to the third surface 230 of the first member 300 and the second frame 320 of the second member 30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부재(200)의 제4 면(240) 에는 벨트 고정부(400)가 연결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lt fix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fourth surface 240 of the first member 200 of the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종래의 문제점인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버클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제품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designed to eliminate a gap between a buckle and a belt fixing part, which is a problem of the related art, thereby minimizing parts required for buckle manufacturing, The product defective rate is reduced.

더불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종래의 벨트 걸이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cess of the product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ntional belt hanger is not require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reby enhancing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는 종래의 후크형 버클 뿐만 아니라 자동형 버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형 벨트고정부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한 리버시블 벨트 고정부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버클 제품의 활용도를 다양하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buck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conventional hook type buckle but also to an automatic type buckle, and can be applied to a stationary type belt fixing portion and a reversible reversible belt fixing portion which can be rotated.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도 1은 종래의 버클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버클 어셈블리 사진이다.
도 3은 버클의 안쪽 방향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명을 버클의 바깥쪽 방향에서 도시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5는 버클의 안쪽 방향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명을 버클의 바깥쪽 방향에서 도시한 버클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을 촬영한 사진이고, (b)는 종래의 버클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두 개의 버클 어셈블리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uckle assembly.
2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buckle assembly.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view of the buck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buckle.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view of the buckle assembly shown in FIG. 3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uckl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view of the buckl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 inner side of the buckl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view of the buckle assembly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photo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b)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buckle for comparing two buckle assemblies.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는 크게 버클(100),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300)로 분별된다. 이를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100)에는 연결부재(N)가 형성되는데, 자동형 버클일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형상이, 후크형 버클일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형상의 연결부재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3 and 4, the buckle assembly for a garmen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buckle 100, a first member 200, and a second member 300. As shown in FIGS. 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The connecting member N is formed in the buckle 100.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buckle, the connecting member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3 and the hook buckle as shown in Fig. 5 are formed.

제1 부재(200)는 상기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된다. 즉, 제1 부재(200)에 형성된 갈고리형상이 버클의 연결부재(N)에 걸리도록한다. 제1 부재(200)는 6면이 모여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제1 면(210)은 직사각 형상이고, 제2 면(220)은 상기 제1면(210)과 마주보는 면으로서 제1 면과는 다르게 갈고리 형상으로 면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3 면(230) 및 제4 면(240)은 옆면을 이루는데, 제3 면(230)은 제2 면(220)과 함께 버클의 연결부재(N)를 감싸도록 결합한다. 제3 면(230)과 대응하는 면인 제4 면(240)은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 고정부(400)가 결합한다. 벨트 고정부(400)는 고정식일 수도 있으나, 360°로 회전이 가능한 리버시블 형태일 수도 있다. 제5 면(250)은 상기 제1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갖으며, 돌출부(Q)의 돌출높이는 후술할 제2 부재(300)의 두께에 상응한다. 제6 면(260)은 상기 제5 면(25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member 200 is hooked to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0. That is, the hook member formed on the first member 200 is hook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The first member (200) is assembled on six sides to form a single body. The first surface 2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surface 220 is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210 and extends in a hook shape different from the first surface. The third surface 230 and the fourth surface 240 form a side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230 is coupled with the second surface 22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The fourth surface 240, which corresponds to the third surface 230, is engaged with the belt fixing portion 400 for fixing the belt. The belt fixing part 400 may be of a fixed type, but it may be of a reversible type capable of rotating at 360 degrees. The fifth surface 250 has a protrusion Q protruding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Q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mb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ixth surface 26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fth surface 250.

제2 부재(300)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상에 덮개와 같이 안착되며,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300)가 결합할 경우, 제2 부재(300)의 수컷이 제1 부재(200)의 암컷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이 제2 부재(300)의 제1 프레임(310)과 핀(P)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부재(300)는 몸체의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벨트 걸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별도로 벨트 걸이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돌출높이만큼 홈(K)이 형성된다. The second member 300 is seated like a cover on the first surface 210 of the first member 200 and includes a first frame 310 and a first surface 310 of the first member 200, And a second frame 320 that is seated on the first frame 210. It is also possible for the male of the second member 300 to engage with the female of the first member 200 when the first member 200 and the second member 300 are engage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fth surface 250 and the sixth surface 260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rame 310 of the second member 300 by the pin P engagement. The second member 300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dy so as to have a C-shaped shap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belt hooking portion. The second frame 320 is formed with a groove K by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sion Q formed on the fifth surface 250 and the sixth surface 260 of the first member 200.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내지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상에 홈(R)이 형성된다. 상기 홈(R)은 후크(H)의 두께만큼 절단된 것으로서 후크(H)가 차지하게 될 면적에 해당한다.5 and 6, when the hook H is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0, the first surface 210 of the first member 200 ) To the third surface 230 and the second frame 320 of the second member 300 are formed. The groove R is cut by the thickness of the hook H and corresponds to an area occupied by the hook H. [

본 발명은 종래의 벨트 고정부를 다른 구조로 제시함으로써 도 7(a)의 사진에서와 같이 버클과 벨트 고정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벨트 옷 물림 현상이 소거되고, 제품의 심미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와 같이 도금 후 금속을 말아야 하는 과정을 소거함으로써 도금이 터지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고, 상술한 효과를 갖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벨트 걸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lt fixing part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so that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buckle and the belt fixing part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7 (a), so that the phenomenon of belt closure is elimin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having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lt hooking portion,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lating failure or defects by eliminating the process of plating metal after the plating, And the process is shorten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0 : 버클 200 : 제1 부재
210 : 제1 면 220: 제2 면
230 : 제3 면 240 : 제4 면
250 : 제5 면 260 : 제6 면
300: 제2 부재 310 : 제1 프레임
320 : 제2 프레임 400 : 벨트 고정부
100: buckle 200: first member
210: first side 220: second side
230: Third surface 240: Fourth surface
250: fifth face 260: sixth face
300: second member 310: first frame
320: second frame 400: belt fixing part

Claims (3)

연결부재(N)가 형성된 버클(100);
상기 연결부재(N)에 갈고리형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20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덮개로 결합하는 제2 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200)는
직사각 형상의 제1 면(210);
상기 제1 면(210)과 대향하되 갈고리 형상으로 연장되어 면을 형성하는 제2 면(220);
상기 제1 면(210)과 직교하며 상기 제2 면(220)과 함께 버클의 연결부재(N)를 감싸도록 결합하면서 상기 제1 부재(200)의 옆면을 이루는 제3 면(230) 및 상기 제3 면(230)과 대향하는 제4 면(240);
상기 제1 면(210)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Q)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200)의 옆면을 이루는 제5 면(250) 및 상기 제5 면(250)과 대향하는 제6 면(2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부재(300)는
ㄷ자 형상의 제1 프레임(310); 및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위에 안착되는 제2 프레임(3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제1 부재(200)의 제5 면(250) 및 제6 면(260)상에 형성된 돌출부(Q)의 두께만큼 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A buckle (100) formed with a connecting member (N);
A first member 200 hook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And
And a second member 300 coupled to the cover of the first member 200
The first member (200)
A first face 210 of a rectangular shape;
A second surface 220 facing the first surface 210 and extending in a claw shape to form a surface;
A third surface 230 orthogonal to the first surface 210 and coupled with the second surface 22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00, A fourth side 240 facing the third side 230;
A fifth surface 250 having a protrusion Q protruding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surface 210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00 and a fifth surface 250 facing the fifth surface 250, And a surface 260
The second member (300)
A first frame 310 having a U shape; And
And a second frame 320 that is seated on a first side 210 of the first member 200
The second frame 320 is formed with a groove K by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Q formed on the fifth surface 250 and the sixth surface 260 of the first member 200 Buckle assembly for garment bel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00)의 연결부재(N)에 후크(H)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면(210), 제2 면(220), 제3 면(230) 및 상기 제2 부재(300)의 제2 프레임(320)에 후크(H)가 안착될 공간에 해당하는 홈(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The hook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hook (H) is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N) of the buckle (100), the first surface (210), the second surface (220) Wherein a groove (R) corresponding to a space in which the hook (H) is to be seated is formed on the surface (230) of the second member (300) and the second frame (320) of the second memb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00)의 제4 면(240)에는 벨트 고정부(40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The buck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 belt securing portion (400) is connected to a fourth surface (240) of the first member (200).
KR1020150038383A 2015-03-19 2015-03-19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KR101671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en) 2015-03-19 2015-03-19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en) 2015-03-19 2015-03-19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93A KR20150037793A (en) 2015-04-08
KR101671181B1 true KR101671181B1 (en) 2016-11-01

Family

ID=5303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83A KR101671181B1 (en) 2015-03-19 2015-03-19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1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48B1 (en) * 2016-12-30 2018-05-24 송광수 Assembly for connectioning buck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470B1 (en) * 2015-05-26 2016-08-30 송광수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83Y1 (en) 2001-12-17 2002-03-16 윤정식 The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of a belt
KR200314894Y1 (en) 1999-05-13 2003-05-27 이정오 Buckle for belt
KR101336334B1 (en) 2012-10-04 2013-12-06 송광수 Assembly for connectioning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744U (en) * 2012-04-10 2012-07-05 株式会社ホット Buckle removable connection bra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94Y1 (en) 1999-05-13 2003-05-27 이정오 Buckle for belt
KR200268683Y1 (en) 2001-12-17 2002-03-16 윤정식 The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of a belt
KR101336334B1 (en) 2012-10-04 2013-12-06 송광수 Assembly for connectioning buck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948B1 (en) * 2016-12-30 2018-05-24 송광수 Assembly for connectioning b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93A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181B1 (en)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TWI517801B (en) Invisible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for increasing positioning effect and sliding member thereof
RU147642U1 (en) FASTENING DEVICE AND ASSEMBLY ASSEMBLY
US9770074B2 (en) Cap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breach hole features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TW201909783A (en) Waterproof zipper cloth and waterproof zipper
JP5985069B2 (en) Preferably, heald for processing tape-lik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38158A1 (en) Cap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ncave feature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US9670987B1 (en) Chain link using a pressed-in member
KR101283420B1 (en) window frame using a holder pin for door
RU2637357C1 (en) Shrinking clamping ring
US10082165B2 (en) Fastener for bellows, having a male and a female end segment
KR20170114767A (en) Assembly block for profile
JP6355391B2 (en) Segment joint structure
KR101652470B1 (en)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CN102188083B (en) For the bottom locating part of slide fastener
TWI621412B (en) Zipper chain and zipper
CN105599722B (en) Seat safety belt apparatus deckle board
JP2004107016A (en) Elevator landing entrance device
KR101400786B1 (en) Buckle assembly for garments
US9933095B2 (en) Fastener having an inner undercut region
EP3152146A1 (en) Terminal for toothed belts
CN106043892A (en) Connecting module and tool box including connecting module
KR101787869B1 (en) Hook for clothes
TWI702764B (en) Chain structure of cable guard
JP2017075515A (en) Cam and cam retainer for container door opening/clos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