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830B1 -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 Google Patents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830B1
KR101670830B1 KR1020150106921A KR20150106921A KR101670830B1 KR 101670830 B1 KR101670830 B1 KR 101670830B1 KR 1020150106921 A KR1020150106921 A KR 1020150106921A KR 20150106921 A KR20150106921 A KR 20150106921A KR 101670830 B1 KR101670830 B1 KR 10167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oad cell
base
valu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권
Original Assignee
정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권 filed Critical 정찬권
Priority to KR102015010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 G01G23/012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with load cells comprising in-build calibration we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계가 영점조정이 된 상태에서 점검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게식 강수량계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집수용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Calibration method using a weight-based formula rainfall and rainfall-based automatic inspection}
본 발명은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계가 영점조정이 된 상태에서 점검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수량이란 대기중에서 지표에 낙하되는 비의 양(강우량)과 눈의 양(강설량)을 통칭하여 강수량이라 하며, 강수량 관측이란 강수를 수집하여 그 양을 높이로 환산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우량계는 대기 중에 일어나는 기상현상 중 강우현상(비, 눈 등)을 측정하는 계기로, 보통 지름 20cm의 원통에 빗물을 받아서 그 깊이를 측정하여 mm 단위로 표시한다.
이렇게 강우량을 측정하는 우량계의 종류는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우량계,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 셀(load cell)형 우량계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관측원리에 따라 무게에 의한 방법과 부피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된다. 저수형 원통 우량계, 저수형 자기우량계 등은 부피측정에 의한 방법이며, 전도형 우량계, 중량형 우량계, 로드셀형 우량계 등은 무게 측정에 의한 방법에 속한다.
상기 전도형 우량계는 수수구를 통해 유입된 강수를 계량된 전도되의 전도횟수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무게식 우량계는 수수구를 통해 유입된 강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특허등록된 등록번호 10-1264124호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구와; 상기 수집구가 설치된 하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상기 베이스와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홀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하측에 중앙에 안착홀이 형성된 계량판과; 상기 계량판과 상판 사이에 연결된 로드셀과; 상기 상판의 장착홀을 통해 상기 계량판의 안착홀에 안착되며 하단 중앙에 형성된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저수통과; 상기 계량판의 하단에 설치된 2차밸브제어부와; 상기 베이스에는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주제어부가 설치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64124호(공고일자 2013년05월15일)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강수량계가 영점조정이 된 상태에서 점검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수량계를 주기적으로 자동점검을 하여 강수량 데이터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수량계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변경된 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게식 강수량계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집수용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밸브와 2차밸브와 상기 정역모터와 상기 로드셀과 각각 신호선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역모터가 제어부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가 정회전 되며 분동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의 고정브라켓에 안착되어 로드셀의 현재값에서 분동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과 미리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집수용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 분동이 올려진상태의 현재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셀에 분동이 제거된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는 전송받은 로드셀에 분동이 올려진 상태의 무게 측정값을 0점세팅 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자동점검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강수량계 자동점검 주기가 도달될때 강수량계 자동점검 명령을 데이터로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자동점검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한 후 정역모터 구동신호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역모터가 제어부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가 정회전 되며 분동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의 고정브라켓에 안착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로드셀의 현재값에서 분동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과 미리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강수량계가 영점조정이 된 상태에서 점검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수량계를 주기적으로 자동점검을 하여 강수량 데이터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수량계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변경된 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수량계를 원격으로 유지관리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주기적으로 강수량계를 원격으로 자동점검하여 스판교정을 하므로 강수상황 발생 시 강수량계로 인하여 강수량을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강수량계 측정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강수량을 측정하는 블럭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자동점검과 교정하는 블럭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 구성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강수량을 측정하는 블럭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자동점검과 교정하는 블럭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교정기능의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과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계가 영점조정이 된 상태에서 점검내역을 저장하고 있다가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현재값에서 분동을 올려놓고 무게를 측정하여 미리저장된 분동의 값과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정기능의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과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기능의 무게식 강수량계는 베이스(7)와; 상기 베이스(7)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내부 지지대(8)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2)가 설치된 수집용기(1)와; 상기 베이스(7)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6)과; 상기 수집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6)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5)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4)가 설치된 집수용기(3)와; 상기 베이스(7)에 고정된 프레임(9)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10)와; 상기 정역모터(10)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11)와; 상기 풀리(11)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6)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의 평판부(5a)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20)과; 상기 베이스(7)의 상부에 2차밸브(4)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7a)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12)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1차밸브(2)와 상기 2차밸브(4)와 상기 정역모터(10)와 상기 로드셀(6)과 각각 신호선이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정역모터(10)가 제어부(12)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11)가 정회전 되며 분동(20)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20)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에 안착되어 로드셀(6)의 현재값에서 분동(20)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과 미리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강수량계 자동점검과 교정방법은 베이스(7)와; 상기 베이스(7)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100)와; 상기 탱크본체(100)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2)가 설치된 수집용기(1)와; 상기 베이스(7)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6)과; 상기 수집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6)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5)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4)가 설치된 집수용기(3)와; 상기 베이스(7)에 고정된 프레임(9)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10)와; 상기 정역모터(10)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11)와; 상기 풀리(11)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6) 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20)과; 상기 베이스(7a)의 상부에 2차밸브(4)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7a)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강수량계 자동점검과 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6)에 분동(20)이 올려진상태의 현재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셀(6)에 분동(20)이 제거된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는 전송받은 로드셀(6)에 분동이 올려진 상태의 무게 측정값을 0점세팅 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자동점검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강수량계 자동점검 주기가 도달될때 강수량계 자동점검 명령을 데이터로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자동점검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한 후 정역모터(10) 구동신호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역모터(10)가 제어부(12)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11)가 정회전 되며 분동(20)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20)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에 안착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로드셀(6)의 현재값에서 분동(20)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과 미리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로드셀(6)에서 분동(20)이 제거된 현재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에 분동(20)을 올려 놓은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는 전송받은 무게 측정값을 비교하여 0점세팅 값을 저장한다.
상기 수집용기(1)를 거쳐 빗물이 집수용기(3)에 모이게 되면 로드셀(6)은 강수량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2)로 전송한다. 상기 집수용기(3)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2)는 연속적인 측정값 확인을 수행하며, 측정가능한 임계점을 의미하는 무게 측정값에 도달하면 배수시점이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2)는 먼저 1차밸브(2)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1차밸브(2)를 잠금하고, 상기 제어부(12)는 이어 2차밸브(4)를 제어하며 2차밸브(4)를 열어 상기 집수용기(3)의 강우를 배수하는 것이다. 상기 집수용기(3)의 강우가 배수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배수완료가 확인되어 제어부(12)로 배수종료를 알리면 상기 제어부(12)는 배수종료 판단에 따라 2차밸브(4)를 잠금한다. 상기 2차밸브(4)가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2)는 1차밸브(2)를 열어 수집용기(1)에 임시 저장되었던 강우를 높이차에 의한 낙하로 계량에 흔들림이 없도록 연결호스를 통해 집수용기(3)의 내측면을 타고 천천히 집수용기(3)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2)는 일정한 주기로 집수용기(3)의 강수량 측정값을 연산처리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12)는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자동점검 주기가 되면 제어부(12)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정역모터(10)가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11)가 정회전 되며 분동(20)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20)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에 안착된다.
이때 제어부(12)는 로드셀(6)에서 분동(20)이 추가된 무게값을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로 보내어 0점세팅 무게값과 로드셀(6)에서 분동(20)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여 다시 0점세팅 무게값으로 교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교정기능의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강수량을 측정하는 블럭 흐름도 로서, 강우 발생시 빗물이 수집용기(1)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제어부(12)에서 장치 초기화(S1)를 시키고 1차밸브(2)를 잠금(S2)하고 나서 2차밸브제어부에 신호를 보내 2차밸브(4)를 열림(S3)하면 집수용기(3)의 강우가 2차밸브(4)와 연결호스를 통해 베이스(7)의 배수구(7a)로 배수된다.
그후, 상기 집수용기(3)의 강우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배수가 다 되었는가(S4)를 감지하여 배수가 완료되면 2차밸브(4)를 잠금(S5)하고 제어부(12)에서 새로이 0점을 세팅한다.(S6)
그리고, 제어부(12)에서 1차밸브(2)를 열면(S7) 상기 수집용기(1)의 1차밸브(2)와 연결된 연결호스에 의해 집수용기(3)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부터 로드셀(6)에 의해 집수용기(3)의 강수량을 측정하고(S8) 측정한 값을 2차밸브제어부를 통해 제어부(12)로 보내면 제어부(12)에서 강수량을 측정 연산처리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처리한다(S9).
이때 집수용기(3)의 집수용량의 한계점에 도달하면(S10) 제어부(12)에서 1차밸브(2)를 잠금한다.
상기 로드셀(6)에 의해 집수용기(3)에 저장된 빗물의 무게는 정밀한 전자저울에 의해 0.05mm의 분해능을 갖는 0.1mm의 강수량으로 정밀하게 측정된다.
다음으로, 측정된 강수량의 무게는 제어부(12)로 부터 데이터 저장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데이터가 저장되기 전에 무게 단위를 g에서 mm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에서 2차밸브(4)를 열림(S3)하면 집수용기(3)의 강우가 2차밸브(4)와 연결호스를 통해 베이스(7)의 배수구(7a)로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의 무게식 강수량계를 이용한 자동점검과 교정하는 블럭 흐름도 로서, S101단계에서 강수량계 점검주기와 점검방식을 세팅한다. 자동점검주기는 1일, 7일, 10일, 30일 마다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S102단계에서 로드셀(6)의 현재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로 전송한다. 그후 S103단계와 같이 로드셀(6)에 분동(20)을 올려 놓은 무게를 측정한 값을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한다. S104단계에서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전송받은 무게 측정값을 통해 0점세팅 값을 저장한다.
S105단계에서 데이터로거는 강수량계 점검명령, 강수공급 점검명령 중에 하나의 명령이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점검명령이 수신되면 S1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106단계에서 데이터로거는 점검명령 응답신호를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S106단계에서 상기 점검명령응답신호를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한 후 S107단계에서 데이터로거는 강수공급 점검명령인가를 검사하여 강수공급 점검명령이면 S1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108단계에서 데이터로거는 솔레노이드 밸브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하여 배수관으로 공급되는 강수 테스트물이 수집용기(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수집용기(1)로 물이 공급되면 수집용기(1)에서 수집된 물이 제1밸브(2)를 통해 집수용기(3)로 낙하시킨다. 상기 집수용기(3)에낙하된 물을 로드셀(6)에 의해 무게값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S107단계에서 강수공급 점검명령이 아니면 S109단계로 진행하여 강수량계 자동점검명령인가 검사하여 강수량계 자동점검명령이면 S1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110단계에서 정역모터(10)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의 평면부(5a)에서 분동(20)를 올려 놓는 S1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111단계에서 로드셀(6)에서 분동(20)이 올려진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12)을 통해 데이터로거를 거쳐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저장된 0점 세팅값과 로드셀(6)에서 분동(20)이 올려진 무게 측정값이 동일한가 S112단계에서 무게 측정값을 비교하여 무게 측정값이 동일하면 S113단계와 같이 강수량계 정상신호를 전송하고, 무게 측정값이 동일하지 아니하면 변경된 무게값을 스판교정 신호로 전송하는 S114단계를 거쳐 S115단계와 같이 스판교정을 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다시 0점 세팅값으로 하여 강수량 측정을 계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2)는 스판교정을 하여 변경된 무게값을 다시 0점 세팅값으로 교정하고 나서 상기 정역모터(10)를 작동시켜 구동축이 역회전하면 풀리(11)가 역회전 되며 분동(20)과 연결된 실을 감아 상기 분동(20)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6)의 고정브라켓(5)에서 떨어지며 원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2)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12)는 백업배터리를 설치한다.
상기 제어부(12)에 공급전원이 차단되면 내부의 백업배터리를 통해 장비는 7일간 정상구동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에 별도의 백업배터리를 추가하여 구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집수용기(3)의 강우 유무를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며 2차밸브(4)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차밸브(2)에는 연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호스은 직접적인 바람유입에 의한 떨림 및 낙하 높이에 의한 충격으로 인한 측정 간섭이 없도록 수집부에 근접되게 설치한다.
상기 로드셀(6)은 집수용기(3)의 강수량을 무게를 측정한 값을 제어부(12)에서 강수량을 연산처리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2)는 강우량이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단위를 g에서 mm로 변환, 저장하여 결국 무게를 길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탱크본체(100)의 내부에는 단열 및 보온재를 내장하며, 히팅장치를 구비하여 겨울철 눈을 녹여서 측정토록하며, 로드셀(6)이 영하에서 온도특성이 취약한 것을 보완한다.
상기 로드셀(6)에 의해 집수용기(3)에 저장된 빗물의 무게는 정밀한 전자저울에 의해 0.05mm의 분해능을 갖는 0.1mm의 강수량으로 정밀하게 측정된다.
상기 수집용기(1)의 상부에는 필터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집용기(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에는 2차밸브(4)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7a)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12)가 설치된 자동배수가 가능한 무게식 강수량계다.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 자동점검 설정 스케줄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자동점검 스케줄은 데이터로거로 전송되고, 강수량계 제어부(12)로 최종 전송되어 설정에 따라 자동점검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로거와 강수측정관리서버 간의 통신은 모뎀과 PSTN을 통해 인터넷 접속, 광랜 인터넷 접속 또는 전용선 접속, ISDN 망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셀룰러, PCS 통신, 마이크로 웨이퍼브통신이나 위성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수량계를 원격으로 유지관리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주기적으로 강수량계를 원격으로 자동점검하여 스판교정을 하므로 강수상황 발생 시 강수량계로 인하여 강수량을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강수량계 측정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수집용기 2: 1차밸브
3: 집수용기 4: 2차밸브
5: 고정브라켓 5a: 평면부
6: 로드셀 7: 베이스
7a: 배출구 8: 지지대
9: 프레임 10: 정역모터
11: 풀리 12: 제어부
20: 분동

Claims (4)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집수용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밸브와 상기 2차밸브와 상기 정역모터와 상기 로드셀과 각각 신호선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가 제어부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가 정회전 되며 분동과 연결된 실을 풀어 상기 분동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드셀의 고정브라켓에 안착되어 로드셀의 현재값에서 분동 무게가 추가된 무게값과 미리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무게값에 대해 스판교정 신호를 전송하여 스판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식 강수량계.
  4.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어 강우를 수집하고 하단 중앙에 1차밸브가 설치된 수집용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로드셀과; 상기 수집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드셀의 일측 상부에 고정브라켓과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앙 하단에 감지센서와 2차밸브가 설치된 집수용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실로 연결되어 로드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분동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2차밸브의 연결호스가 위치되게 배수구와 일측 상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강수량계 자동점검과 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 분동이 올려진 상태의 현재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셀에 분동이 제거된 무게 측정값을 제어부를 통해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는 전송받은 로드셀에 분동이 올려진 상태의 무게 측정값을 0점세팅 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자동점검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강수량계 자동점검 주기가 도달될때 강수량계 자동점검 명령을 데이터로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로거에서 자동점검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로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점검명령응답신호를 전송한 후 정역모터 구동신호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역모터가 제어부의 자동점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풀리가 회전되며 분동과 연결된 실을 감아 분동이 로드셀의 고정브라켓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강수측정관리서버에서 로드셀의 현재값에서 분동이 제거된 무게와 미리저장된 무게 값을 비교하여 맞으면 정상작동 신호를 발생하고 틀리면 변경된 값으로 스판교정신호를 전송하고 스판교정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KR1020150106921A 2015-07-29 2015-07-29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KR10167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21A KR101670830B1 (ko) 2015-07-29 2015-07-29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21A KR101670830B1 (ko) 2015-07-29 2015-07-29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830B1 true KR101670830B1 (ko) 2016-10-31

Family

ID=5744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21A KR101670830B1 (ko) 2015-07-29 2015-07-29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0B1 (ko) * 2018-07-23 2019-02-21 정찬권 자동교정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646B1 (ko) 2005-04-12 2005-10-12 한국수자원공사 질량측정을 이용한 우량계의 표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385123B1 (ko) 2013-05-08 2014-04-14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 급배수형 무게식 강수량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646B1 (ko) 2005-04-12 2005-10-12 한국수자원공사 질량측정을 이용한 우량계의 표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385123B1 (ko) 2013-05-08 2014-04-14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 급배수형 무게식 강수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0B1 (ko) * 2018-07-23 2019-02-21 정찬권 자동교정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124B1 (ko)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0973789B1 (ko) 강수량관측 시스템 및 강수량계 점검방법
CN105425321B (zh) 全自动翻斗雨量计滴定仪
KR101597509B1 (ko) 자동점검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 방법
CN109143414A (zh) 一种基于红外测距的防冻型雨量计及控制方法
KR101230558B1 (ko) 저수통 회전 자동배수형 무게 측정식 강수량계
KR20170038481A (ko) 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KR101670830B1 (ko)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계 자동점검을 이용한 교정방법
KR20210089090A (ko) 드론용 강수량 측정 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CN109633788A (zh) 双筒式雨雪量测量方法及装置
KR101489423B1 (ko) 강수량관측시스템의 지능형 자가점검 방법
CN101561306B (zh) 准确监测太阳能热水器水箱内水量的方法和装置
KR20090033283A (ko) 강우의 자동 유도와 순환방식의 강우량 측정장치
CN111811977B (zh) 一种径流泥沙含量与流量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9143411A (zh) 新型称重式雨量测量方法及装置
CN208752228U (zh) 一种基于红外测距的防冻型雨量计
KR101951150B1 (ko) 자동교정 전도형 무게식 강수량계
KR101948023B1 (ko) 자동 저수와 배수가 가능한 쌍수조를 이용한 중량 우량계
CN114509826A (zh) 直测式降水物计量器
CN214041780U (zh) 一种自动蒸发站
KR101845066B1 (ko) 강우량 측정계 검증장치
CN205353384U (zh) 一种蒸发测量系统
KR100908484B1 (ko) 강우량계의 교정장치
KR101779581B1 (ko)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CN220872690U (zh) 融雪型雨雪计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