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713B1 -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 Google Patents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713B1
KR101670713B1 KR1020160068028A KR20160068028A KR101670713B1 KR 101670713 B1 KR101670713 B1 KR 101670713B1 KR 1020160068028 A KR1020160068028 A KR 1020160068028A KR 20160068028 A KR20160068028 A KR 20160068028A KR 101670713 B1 KR101670713 B1 KR 10167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crew
beak
chis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에프지
Priority to KR102016006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3/00Hand chi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28D1/2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without cutting edge, e.g. chise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2Methods and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materials which can easily be split, e.g. mica, slate, schist
    • B28D1/322Splitting of the work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2700/00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artistic work
    • B44B2700/04Machines or tools for car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정마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져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1부리가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무게중심과 상기 정마리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부를 직접 파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타격 시에도 사용자의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A HAND CHISEL IS EQUIPPED WITH SUPPORT HANDLE}
본 발명은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연결됨으로써, 수작업 시의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타격 공구인 치즐(Chisel)은 쇠를 다듬어서 한쪽 끝은 날을 세우고 반대쪽은 평평하게 만든 것으로서, 암석(석재, 돌)을 파쇄할 때 암석 사이의 빈틈을 이용해 치즐을 꽂고 지질 망치를 이용하여 암석을 노두에서 분리하거나, 암석의 표면을 깎아내는 등의 다듬 작업 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즐은 석공예가들에게 매우 중요한 공구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치즐은, 소정 길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이 원형,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성형되며, 일단에는 '부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정마리'가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작업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부리 또한 작업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즐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치즐을 잡아 암석, 돌, 석재 등과 같은 공작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망치를 파지한 후 치즐의 정마리를 타격하여 치즐이 고정된 암석, 돌, 석재 등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다듬는데 사용된다는 것은 주지의 기술이다.
이때, 종래의 수작업용 치즐의 정마리의 직경은 봉 형상의 몸체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망치가 정마리에 빗겨서 맞거나, 정마리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정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치명적인 상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석공예를 배우는 초보자들의 경우 치즐 작업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숙련된 치즐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242869 호에는 손작업용 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작업용 정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손작업용 정을 설명하자면, 손작업용 정의 정마리에 타격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손작업용 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쪽에는 정마리(1a)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는 부리단부(1b)가 형성되는 봉 형상의 몸체(1); 직경이 상기 봉 형상의 몸체(1)의 직경보다 작으며 일측은 상기 부리단부(1b)에 부착되고 타측에는 날이 형성되는 팁(2); 황동재질 용접 금속을 상기 부리단부(1b)와 상기 팁(2)의 부착부분에 덧살올림 용접으로 접합하여 그 용접 표면이 상기 봉 형상의 몸체(1)와 같아지도록 형성된 결합부(3); 및 상부 중앙부와 저면 중앙부에 편평한 원 형상의 편평부(4a)와 정마리 홈(4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편평부(4a)의 테두리 하단으로부터 상기 정마리 홈(4b)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대(4c)가 형성되며 상기 정마리 홈(4b)이 상기 정마리(1a)에 나사 결합되는 타격헤드(4)로 구성되어, 정마리(1a)에 망치 타격시 정의 몸체(1)를 파지한 손의 상해를 방지함으로써 정 작업 초보자들도 쉽게 정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1)의 타격 시에, 몸체(1)를 파지한 손의 힘이 풀리는 경우, 손이 지지대(4c)와 부딪히게 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몸체(1)를 파지만 손목이 꺾인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1)의 정마리(1a) 보다 편평한 편평부(4a)를 타격하는 데에 익숙해지면 몸체(1)의 정마리(1a)를 정확하게 타격하는 숙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의 사용 숙련도가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242869 호(2013.03.06.) 등록특허공보 제 10-1242928 호(2013.03.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연결됨으로써, 수작업 시의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은, 일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정마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져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1부리가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무게중심과 상기 정마리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부리는 상기 정마리의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부리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부리를 고정점으로 하는 타격중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직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적어도 상기 제1부리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2부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외주면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에는 제1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제1스크류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수직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결합돌기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결합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에는 제3스크류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스크류에 대응되는 제4스크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의하면,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부를 직접 파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타격 시에도 사용자의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가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장시간 작업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에 의한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부와 가까울수록 두꺼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작업용 정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지지부 연결 각도 및 연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제2부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지지부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지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연결됨으로써, 수작업 시의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은 수작업에 사용되는 치즐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정마리(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져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1부리(12)가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과 상기 정마리(11)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도면에서 육각기둥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 원기둥, 사각기둥, 팔각기둥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마리(11)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힘을 상기 제1부리(12)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정마리(11)는 망치 등에 의한 타격 시에 상기 망치 등이 정마리(11)에서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거칠도록 형성되어 상기 망치 등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부리(12)는 암석, 돌, 석재 등의 표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정마리(11)를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암석, 돌, 석재 등을 깍아내거나 다듬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작업 환경에 따라, 경도와 강도가 우수한 초경합금 또는 탄소강재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0)의 형상과 동일하게 성형한 뒤에 부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가 아닌 지지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치즐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작업용 치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정마리(11)를 타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강한 힘으로 안정적인 치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20)에는,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2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2)은 무게 및 효능을 고려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 무게에 비해 5 ~ 15% 의 무게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2)은 상기 지지부(20)의 무게 비율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순 반복 작업을 통해 사용자의 피로도 상승에 따른 무게 비율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지지부 연결 각도 및 연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a 및 도 3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무게중심과 상기 정마리(11)의 사이에서, 직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정마리(11) 측 몸체부(10)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1제1부리(12) 측 몸체부(10)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가 상기 몸체부(10)에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제1부리(12)를 고정점으로 하는 타격중심(Center of percussion) 또는 스위트 스폿(Sweet spot)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는 망치 등에 의하여 타격시에 몸체부(10)의 축 방향뿐만 아니라 축의 수직 방향으로도 순간 타격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20)에 의하여 반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에 의한 반력은 상기 제1부리(12)의 위치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상기 제1부리(12)의 위치가 바뀌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타격을 가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20)의 위치를 상기 제1부리(12)를 고정점으로 하는 타격중심에 배치하면, 상기 지지부(20)의 반력에 의하여 상기 제1부리(12)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
도 3a에서, F는 상기 몸체부(10)의 가해지는 타격력을 나타낸 것이고, f는 상기 지지부(20)의 반력을 나타낸 것이며, A는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에서 상기 제1부리(12)까지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에서 상기 지지부(20)가 연결되는 위치까지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른, 상기 몸체부(10)의 타격중심 또는 스위트 스폿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52825328-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I는 상기 몸체부(10)의 관성 모멘트이고, M은 상기 몸체부(10)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부리(12)는 상기 정마리(11)의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1부리(12)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제2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지부(20)에는 적어도 제1부리(12)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2부리(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리(21)는 상기 제1부리(12)와 다른 모양의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부리(12)는 납작하고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즐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면과 선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2부리(21)는 날카롭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즐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면과 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상기 지지부(20)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리(21)는 상기 지지부(2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지부(20)에는 일측이 상기 제1부리(12)가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23)는 상기 제1부리(12)가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절곡부(23)를 파지한 상태에서 치즐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의 정마리(11)를 빗나가게 타격하여 상기 지지부(20)를 타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을 직접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23)는 상기 지지부(20)의 연장선에서 45ㅀ ~ 90ㅀ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지지부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지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6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지부(20)는 몸체부(1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는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와 가까울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의한 파지 시에 그립감이 향상되어 상기 몸체부(1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휴대 및 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한 파지 시에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의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몸체부(10)의 일측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지지부(20)에는 상기 결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몸체부(10) 및 지지부(20)는 상기 결합홈(13) 및 결합돌기(24)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결합홈(13)에는 제1스크류(13a)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24)에는 상기 제1스크류(13a)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2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결합홈(13)에 상기 지지부(20)의 결합돌기(24)가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와 지지부(20)가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20)를 파지하여 상기 몸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7c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몸체부(10)에는 결합홈(13)과 수직하는 제1고정홈(13b)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20)의 결합돌기(24)에는 상기 결합홈(1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고정홈(13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홈(24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0)의 결합돌기(24)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홈(1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13b)과 제2고정홈(24b)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홈(13)과 결합돌기(24)는 상기 결합돌기(24)가 상기 결합홈(13)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지지부(20)를 결합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고정나사(25)는 상기 제1고정홈(13b)과 제2고정홈(24b)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지지부(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부(10) 및 지지부(20)는 상기 결합홈(13), 결합돌기(24) 및 고정나사(25)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홈(13b) 및 제2고정홈(24b)에는 제3스크류(24c)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홈(13b) 및 제2고정홈(24b)에 형성되는 제3스크류(24c)는 상호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2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스크류(24c)에 대응되는 제4스크류(2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부를 직접 파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타격 시에도 사용자의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정마리 12 : 제1부리
13 : 결합홈 13a : 제1스크류
13b : 제1고정홈
20 : 지지부
21 : 제2부리 22 : 미끄럼방지수단
23 : 절곡부 24 : 결합돌기
24a : 제2스크류 24b : 제2고정홈
24c : 제3스크류
25 : 고정나사 25a : 제4스크류

Claims (12)

  1. 수작업용 치즐에 있어서,
    일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정마리(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두께가 점차 얇아져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1부리(12)가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무게중심과 상기 정마리(11)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2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20)에는,
    일측이 상기 제1부리(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리(12)는 상기 정마리(11)의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1부리(12)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1부리(12)를 고정점으로 하는 타격중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에서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에는,
    적어도 상기 제1부리(12)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제2부리(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에는,
    외주면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수단(2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에는 상기 결합홈(13)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3)에는 제1스크류(13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4)에는 상기 제1스크류(13a)에 대응되는 제2스크류(2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결합홈(13)과 수직하는 제1고정홈(13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의 결합돌기(24)에는 상기 결합홈(1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고정홈(13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홈(24b)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결합돌기(24)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홈(13b)과 제2고정홈(24b)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25)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13b) 및 제2고정홈(24b)에는,
    제3스크류(24c)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2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스크류(24c)에 대응되는 제4스크류(2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KR1020160068028A 2016-06-01 2016-06-01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KR10167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28A KR101670713B1 (ko) 2016-06-01 2016-06-01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28A KR101670713B1 (ko) 2016-06-01 2016-06-01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713B1 true KR101670713B1 (ko) 2016-10-31

Family

ID=5744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28A KR101670713B1 (ko) 2016-06-01 2016-06-01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91B1 (ko) 2013-10-31 2014-03-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조사용 해머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91B1 (ko) 2013-10-31 2014-03-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조사용 해머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392B2 (en) Impact tools with slidable grip
CN1270877C (zh) 手持工具以及对刀具进行操控的方法
EP1844906B1 (en) A multi-use demolition tool
EP2511051B1 (en) Chisel Blade with Sides Configured for Cutting
US3336081A (en) Percussion tool with replaceable point
US9718179B1 (en) Striking tool having improved head and handle attachment
WO2016022594A1 (en) Hammer
US10773371B2 (en) Tool handle
US11247324B2 (en) Pry bar handle
US20170050307A1 (en) Tool handle
EP3235598B1 (en) A tool
US7096761B2 (en) Ergonomic tool handle and related hammer system
CA2795968A1 (en) A framing and forming hammer
KR101670713B1 (ko)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작업용 치즐
US20110119853A1 (en) Scraper
US20150107418A1 (en) Hammer device
US20180133887A1 (en) Shock-absorbing tool handle
US10654157B2 (en) Self-contained force magnifying chisel
KR101242869B1 (ko) 손작업용 정
CN201026624Y (zh) 多用斧子
GB2048752A (en) Improvements in Hammers
JP3246913U (ja) ペグ打ち用安全工具
CN218947587U (zh) 一种安全防护型扁铲
GB2433223A (en) Hammer with striking face at right angles to grip axis
CA2456066C (en) Ergonomic tool handle and related hamm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