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687B1 -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687B1
KR101670687B1 KR1020140182238A KR20140182238A KR101670687B1 KR 101670687 B1 KR101670687 B1 KR 101670687B1 KR 1020140182238 A KR1020140182238 A KR 1020140182238A KR 20140182238 A KR20140182238 A KR 20140182238A KR 101670687 B1 KR101670687 B1 KR 10167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661A (ko
Inventor
김석홍
박정석
이정욱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8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687B1/ko
Priority to US14/972,551 priority patent/US10089477B2/en
Publication of KR2016007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45Filtering by information in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8Anti-malware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MS fraud or mobile mal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 및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의 상기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ND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최근 단순한 개인간 메시지 교환의 차원을 넘어, 그룹간 전송, 개인 신용 정보 관리, 금융 정보 알림 등의 매우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문자 메시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그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문자 메시지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도 증가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의 스마트폰은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시 문자 메시지 수신 권한을 가진 애플리케이션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 내용이 사용자 의도와 관계없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문자 메시지의 보안 전송을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메시지 보안 기술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12567은 문자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지 서버가 발신 측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할 수 있는 복호 키를 생성하여 수신 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며, 수신 측 이동단말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수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메시지의 유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 및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의 상기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단말과 결합되어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메시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 CS망에서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 PS망에서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의 인증 결과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컨텐츠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지 전송 시스템(1)은 발신 단말(100), 메시지 발송 서버(120), 단말 관리 서버(140),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수신 단말(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100), 메시지 발송 서버(120), 단말 관리 서버(140),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수신 단말(180)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신 단말(100)은, 메시지를 발신 가능한 단말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발신 단말(100)은 위에 열거한 단말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업의 메시지를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 서버 등일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12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12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 후, 단말 관리 서버(140)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180)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 정보에 기초해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정보는 수신 단말(180)의 운영 체제(OS)나 기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120)는 수신 단말(180)의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180)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120)는 수신 단말(180)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된 경우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직접 전달하고, 수신 단말(180)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의 경우, 운영 체제나 단말의 기기별 정책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정책이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 별로 메시지의 유출 가능성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단말 단위로 메시지를 보내는 경로나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메시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140)는, 수신 단말(180)에 대한 단말 정보를 관리하며, 단말 정보는, 예컨대, 수신 단말(180)의 운영 체제(OS)나 기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메시지 발송 서버(120)로부터 메시지를 전달 받아 저장하고, 메시지의 암호화 및 인증 등의 메시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수신 단말(180)의 서비스 가입 여부,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및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한 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단말(180)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는 암호화 키의 발급, 해외 로밍, 전원 온/오프, 일시 서비스 정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180)에 전송하기 전에 메시지의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은 단말로 전달되는 모든 메시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 측에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경우 수신 단말(180)의 상태 변경, 예컨대 기기 변경이나 유심(USIM) 변경으로 인해 복호화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메시지를 수신 단말(180)에 전송하기 전에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서 메시지의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하고, 안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유니캐스트(Unicast)/멀티캐스트(Multicast)하거나 또는 안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복호화 모듈의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메시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컨텐츠가 URL인 경우, URL에 연결된 웹 페이지의 인증 및 URL에 애플리케이션 포함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URL의 인증 결과에 따라 URL의 표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URL이 정상적으로 인증된 경우 URL을 버튼으로 변경하고, 링크를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URL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경우, URL을 문자열로 표시하고, 링크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URL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경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스크린샷 또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접속한 결과를 미러링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의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대하여 서버에서 인증하고, 악성코드, 불법 사이트, 앱 포함 여부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RL이 포함된 메시지를 통해 발생하는 스미싱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수신 단말(180)은 서비스 가입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등을 통해 메시지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시지 전송 시스템(1)은 컨텐츠 저장 서버 및 메시지 보관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서버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발신 단말(100)로 해당 컨텐츠에 접급할 수 있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발신 단말(100)이 기업의 발신 서버인 경우, 기업의 홍보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저장 서버에 저장하고, 기업의 발신 서버로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URI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100)은 메시지 발송 서버(120)에 보내는 메시지와 컨텐츠 저장 서버에서 받은 URI의 발송을 요청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URI를 버튼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저장 서버에서 수신 단말(180)로 직접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단말(180)이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은 단말이지만, 서비스의 미가입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미설치 등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메시지 유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컨텐츠 저장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로 메시지 내용을 변경한 후, 수신 단말(18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보관 서버는, 수신 단말(18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보관 서버는 수신 단말(18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메시지를 보관할 수 있다. 메시지 보관 서버는, 수신 단말(180)이 메시지 수신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 시, 저장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2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24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는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해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한다. 이 때,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는 수신 단말의 운영 체제(OS)나 기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는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해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 서버는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해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메시지 유출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메시지 발송 서버는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 서버는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단말로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고,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 CS(Circuit-Switch) 망에서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320은 수신 단말이 서비스에 미가입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미설치 등으로 인해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은 경우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340은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320을 참조하면, CS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단말이 수신한 메시지는 수신 단말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메시지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도면 부호 340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이 수신한 메시지는 수신 단말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므로, 복호화 라이브러리를 가지거나, 복호화 모듈에 접근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에서만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메시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 PS(Packet-Switch) 망에서의 메시지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PS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만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도면 부호 420 및 440은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2가지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부호 420을 참조하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패키지 이름과 액티비티 이름을 관리하고, 수신한 메신지들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들에게 전송하고,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은 정해진 규격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40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은 복호화 라이브러리를 제공받거나 복호화 모듈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 받고,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브로드캐스팅하면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복호화 라이브러리나 복호화 모듈을 통해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의 인증 결과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시지에 포함된 URL의 인증 및 애플리케이션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URL의 표시를 다르게 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20은 URL이 인증된 URL이고, 애플리케이션을 미포함하는 경우 URL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520을 참조하면, 이 경우, URL을 버튼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해당 버튼을 선택 시 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40은 URL이 인증된 URL이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540을 참조하면, 이 경우 URL을 버튼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있음을 함께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 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팝업을 거쳐 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60은 URL이 인증되지 않은 URL이고 애플리케이션을 미포함하는 경우 URL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560을 참조하면, 이 경우 URL을 문자열로 표시하고 링크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해당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의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는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스크린 샷 또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PC에서 접속한 결과를 미러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80은 URL이 인증되지 않은 URL이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URL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580을 참조하면, 이 경우 URL을 문자열로 표시하고 링크를 연결하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음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URL의 인증 결과에 따른 URL의 표시 방법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URL의 표시 방법은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표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20에서 컨텐츠 저장 서버는 발신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단계 S640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단계 S660에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URI를 발신 단말로 전송한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텐츠 저장 서버는 발신 단말이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를 직접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 서버는 메시지 발송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 저장 서버의 컨텐츠 전송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컨텐츠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이 컨텐츠 저장 서버(700)에 컨텐츠를 등록한 후,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와 해당 컨텐츠의 URI를 포함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면, 메시지 발송 서버(12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URI는 버튼으로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컨텐츠 저장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부호 720 및 740은 수신 단말의 컨텐츠 제공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720 및 740를 참조하면, URI는 세부정보 보기 버튼으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세부정보 보기 버튼을 선택 시, 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7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하단에 이미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버튼을 선택하면, 수신 단말은 컨텐츠 저장 서버(7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부호 820은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도면 부호 840은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20에서 메시지 보관 서버는 수신 단말이 현재 메시지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등의 이유로 메시지를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단계 940 에서 메시지를 보관한다. 단계 S960에서 메시지 보관 서버는 수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었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수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메시지의 보관을 계속하고, 수신 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 경우, 단계 S980에서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메시지 전송 방법, 도 6에 도시된 컨텐츠 전송 방법 및 도 9에 도시된 메시지 보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신 단말
120: 메시지 발송 서버
140: 단말 관리 서버
160: 서비스 제공 서버
180: 수신 단말

Claims (20)

  1.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의 상기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 및
    상기 메시지의 암호화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는,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낮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운영 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및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암호화 및 인증을 수행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가 URL인 경우, 상기 URL의 인증 및 애플리케이션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URL의 표시를 다르게 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URL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화면의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제공하는 컨텐츠 저장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 서버는, 상기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보관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 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 보관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낮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도록 상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메시지의 암호화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운영 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가 URL인 경우, 상기 URL의 인증 및 애플리케이션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URL의 표시를 다르게 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URL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화면의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URI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 시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방법.
  18.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해 상기 메시지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낮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메시지 유출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도록 상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메시지의 암호화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의 운영 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82238A 2014-12-17 2014-12-17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38A KR101670687B1 (ko) 2014-12-17 2014-12-17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4/972,551 US10089477B2 (en) 2014-12-17 2015-12-17 Text message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38A KR101670687B1 (ko) 2014-12-17 2014-12-17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362A Division KR101671685B1 (ko) 2016-10-04 2016-10-04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61A KR20160073661A (ko) 2016-06-27
KR101670687B1 true KR101670687B1 (ko) 2016-10-31

Family

ID=5612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238A KR101670687B1 (ko) 2014-12-17 2014-12-17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89477B2 (ko)
KR (1) KR101670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6522B (zh) * 2016-11-18 2020-06-30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安全访问控制方法及装置
CN108900409B (zh) * 2018-06-22 2021-01-22 郑州大学 基于传播路径隐私泄露风险的社交网络信任度计算方法
KR101948863B1 (ko) 2018-06-28 2019-02-15 이니그마(주) 메시지 전송채널 자동선택 및 메시지 전송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10298611B1 (en) * 2018-12-10 2019-05-21 Securitymetrics, Inc. Network vulnerability assess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876A (ja) 2001-03-22 2002-11-1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子メールを処理する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2532A (en) * 1988-12-22 1990-10-09 Ibm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lassified electronic message delivery restriction
US7251728B2 (en) * 2000-07-07 2007-07-31 Message Secure Corporation Secure and reliable document delivery using routing lists
US7003551B2 (en) * 2000-11-30 2006-02-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storage of common attachment files in an e-mail communications server
US20040133774A1 (en) * 2003-01-07 2004-07-08 Callas Jonathan 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ata security operations
GB2427099B (en) * 2005-06-09 2010-08-11 Nortel Networks Ltd Enhanced messaging services
CN101212469A (zh) * 2006-12-28 2008-07-02 朗迅科技公司 Ims网的抗病毒系统
US20080301796A1 (en) * 2007-05-31 2008-12-04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the Levels of Anti-Malware Protection
US8621608B2 (en) * 2008-04-29 2013-12-31 Mcafe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adjusting a level of security applied to a system
KR20100012567A (ko) 2008-07-29 2010-02-08 (주) 엘지텔레콤 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10558949B2 (en) * 2009-05-20 2020-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configured alternate email rendering
KR20110117875A (ko) 2010-04-22 2011-10-28 (주) 윈글리쉬 메시지 자동 분류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89434A1 (en) * 2010-05-20 2011-11-24 Barracuda Networks, Inc. Certified URL checking, caching, and categorization service
KR101216037B1 (ko) 2011-04-29 2012-12-27 박명흠 착신 단말기의 패킷데이터 송수신 기능 탑재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데이터망 또는 전화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8806593B1 (en) * 2011-05-19 2014-08-12 Zscaler, Inc. Guest account management using cloud based security services
CN102801574B (zh) * 2011-05-27 2016-08-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网页链接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KR20130016542A (ko) 2011-08-08 2013-02-18 (주) 윈글리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9143530B2 (en) * 2011-10-11 2015-09-22 Citrix Systems, Inc. Secure container for protecting enterprise data on a mobile device
KR20130089820A (ko) 2012-01-04 2013-08-13 한국언론진흥재단 단말 별로 최적화된 언론 콘텐츠를 제공하는 언론 콘텐츠 유통 서버 및 방법
US9374374B2 (en) * 2012-06-19 2016-06-21 SecureMySoci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social media for users and businesses and rewarding for enhancing security
US9485276B2 (en) * 2012-09-28 2016-11-01 Juniper Networks, Inc. Dynamic service handling using a honeypot
US20140122567A1 (en) * 2012-10-30 2014-05-01 Qualcomm Incorporated Preemptive framework for accessing short urls
US9467410B2 (en) * 2012-12-20 2016-10-11 Mcafee, Inc. Just-in-time, email embedded URL reputation determination
US20150011186A1 (en) * 2013-07-05 2015-0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ms-based malware
US9936018B2 (en) * 2013-09-27 2018-04-03 Mcafee, Llc Task-context architecture for efficient data sharing
US9407444B2 (en) * 2014-03-20 2016-08-02 Certicom Corp. Method for validating messages
KR20140050623A (ko) 2014-04-15 2014-04-29 인포뱅크 주식회사 기업형 메시지 전송 방법
US9602660B2 (en) * 2014-07-29 2017-03-21 Buc Mobile,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mobile messages with embedded URLs
US9906539B2 (en) * 2015-04-10 2018-02-27 PhishMe, Inc. Suspicious message processing and incident response
US10091214B2 (en) * 2015-05-11 2018-10-02 Finjan Mobile, Inc. Malware war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876A (ja) 2001-03-22 2002-11-1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子メールを処理する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9477B2 (en) 2018-10-02
KR20160073661A (ko) 2016-06-27
US20160180098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00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ccess to a network
US9531758B2 (en) Dynamic user identification and policy enforcement in cloud-based secure web gateways
US8447970B2 (en) Securing out-of-band messages
US9154955B1 (en) Authenticated delivery of premium communication services to trusted devices over an untrusted network
CN105207774A (zh) 验证信息的密钥协商方法及装置
KR102255366B1 (ko) Mtm 기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65069C (en) Method and device for rekeying in a radio network link layer encryption system
KR101670687B1 (ko)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75136B1 (ko) 단말의 유해 자원 접근을 관리하는 유해 자원 접근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N103780580A (zh) 提供能力访问策略的方法、服务器和系统
CN105142139A (zh) 验证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US9948628B2 (en) Method for enabling lawful interception by providing security information
CN112311769B (zh) 安全认证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US92105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CN111405379B (zh) 在设备间建立安全通信信道的方法和系统及存储介质
US9154949B1 (en) Authenticated delivery of premium communication services to untrusted devices over an untrusted network
US20160044028A1 (en) Message authentication
KR101671685B1 (ko)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5814540A (zh) 用于策略控制功能管理机制的系统和方法
KR101588662B1 (ko) 문자 메시지 암호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KR101784793B1 (ko) 문자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단말 및 컴퓨팅 장치
KR20160079329A (ko) 보안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서버
Seacord Mobile device security
KR101625070B1 (ko) 문자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단말 및 컴퓨팅 장치
KR101913406B1 (ko) 단말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