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472B1 -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 Google Patent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472B1
KR101669472B1 KR1020150038927A KR20150038927A KR101669472B1 KR 101669472 B1 KR101669472 B1 KR 101669472B1 KR 1020150038927 A KR1020150038927 A KR 1020150038927A KR 20150038927 A KR20150038927 A KR 20150038927A KR 101669472 B1 KR101669472 B1 KR 101669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touch structure
p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2712A (en
Inventor
김경숙
Original Assignee
최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솔 filed Critical 최한솔
Priority to KR10201500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72B1/en
Publication of KR2016011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있어서, 특히 구형 입체 구조물 또는 타원형 입체 구조물 또는 다각형 입체 구조물 또는 비정형 입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입체 구조물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에 암나사산 구조물을 갖도록하며, 일측 또는 양측에 볼트형 나사 구조물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결합용 바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용 바를 이용하여 중계용 결합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구 형태 또는 타원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제 1 결합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결합용 홈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용 결합구에 대응하여 결합용 바의 양측 끝단에는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여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assembled stereolithography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lt-assembled stereolithography product, which is provided with a junction for spherical or oval-shaped or polygon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or an irregular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 cylindrical coupling bar having a bolt-type threaded structure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able to be assembled in various forms by connecting the coupling joints using the coupl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 assembly type stereoscopic molding,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coupling for relay, and a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male threa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bar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fitting for relay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joint for relay, and a coupling bar is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to construct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us, the molding can be more conveniently manufactured,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 입체 구조물 또는 타원형 입체 구조물 또는 다각형 입체 구조물 또는 비정형 입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입체 구조물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에 제 1 원터치 구조물을 삽입시키고, 일측 또는 양측에 제 2 원터치 구조물을 갖는 결합용 바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용 바를 이용하여 중계용 결합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assembly type stereoscopic molding having a sp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molding having a spring, a connecting hole for connection made of a spheri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 ellipti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or a polygonal three- Touch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 coupling bar having a second one-touch structure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is inserted, and the relay coupling is connected using the coupl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assembly type stereoscopic molding having a spring.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Generally, the prefabricated block toys allows the infants to directly combine and disassemble the various unit blocks, thereby enabling interes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hus, a playground for developing children'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to be.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assembled block toy has a large number of fitting protrusion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its lower surfac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can be inserted.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단순히 각각의 단위블록을 상, 하로 조립하여 특정모형을 완성하기 때문에, 모형의 입체감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ssembled block toy of this type simply assembles each unit block up and down to complete a specific mod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model is simple, and the infant feels bored easily.

이러한 단순함을 탈피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이 정삼각 조립부재와 정사각 조립부재를 이용해 입체물을 조립할 수 있는 블록 완구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avoid such simplicity, a block toy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ree-dimensional objects can be assembled using a right triangular assembly member and a square-shaped assembly member, such as U.S. Patent No. 4,055,019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141302.

그러나, 종래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은 경우 블록체의 면방향으로 대향되는 블록체의 면이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U.S. Patent No. 4,055,019 and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141302, the face of the block body facing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block body is fitted and connected.

따라서, 목표하는 하나의 입체물을 연결시킬 수는 있으나 보다 다양한 입체물을 다양한 각도로 확장 변형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link one stereoscopic object to the targe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xpected to expand and deform the various stereoscopic objects at various angles, an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infant easily bored.

또, 입체 도형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서로 근접하는 각각의 블록들이 서로 입체물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three-dimensional graphic, each of th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forms an edge of a solid object.

즉, 예로서 정육면체를 조합하게 되면 직각으로 위치되는 2개의 블록들 끝변이 서로 입체물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므로, 하나의 모서리에 2개의 변이 형성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cube is combined, the end portions of the two blocks positioned at right angles are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edges are formed in one corner.

그러므로, 완성된 입체물의 예리함을 느끼지 못하게 하거나 완성도를 낮추게 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Therefore, it did not make sense of the sharpness of the completed 3D object or cause it to lower the completeness.

또한, 입체 구조물은 조각 예술품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구조물은 보다 다양한 폼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워서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조각품으로 변형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추구하고자 할때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서는 쉽게 입체물의 변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may be applied as a sculptural artifact. Since such a structure is difficult to be transformed into a more various forms, it is difficult to transform it into a sculpture having an artistic value.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easily deform a solid body by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되 원터치 조립 형태로 서로 결합되되면서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a coupling joint for coupling and coupling bars are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molding object more conveniently by forming the molding object, and to form various forms of a molding object for a to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구조물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100)와; 상기 중계용 결합구의 결합용 홈에 설치되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양측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용 바(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체(13)와,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connector (100) compris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on a structure, a projection formed on the structure,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projection, A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nstalled in a coupling groove of the coupling member for relay; And a coupling bar (30) formed by coupling a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coupled to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on both sides, wherein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comprises a cylindrical housing (11) A connector pin (12), a fixing body (13)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connector pin (12), a coupling pin (14)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xing body, A coupling protrusion 14a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in and a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6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housing 11 but formed outside the coupling pin through the second space portion 16 15).

또한,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27)와, 상기 고정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is installed at an outermost posi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6 between the coupling pin 12 and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when engaged with the coaxial connector 10. [ And a first space portion 24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24 by a coaxial connector 10 A second coupling housing 22 for allowing the coupling pin 14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4a to enter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22a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14a is inserted and fixed, A spring 21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21 and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and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And when the engaging pin 12 of the coaxial connector 10 enters, it retreats and urges the elastic spring 23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14a of the coaxial connector 10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is advance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23 and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is positioned above the coupling projection 14a, A spring moving portion 25 for guiding the coupling housing 21 to press and support the coupling projection 14a, a fixing body 27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housing, And a connector pinhole 28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pin.

또한,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돌기와 제 2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and the coupling grooves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되 원터치 조립 형태로 서로 결합되되면서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joint for coupling, and the coupling bars are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s. The coupling joint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assembly manner to form a thre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manufactured, and it is also effective to form various forms of stereoscopic molding for a toy.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형 입체 구조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중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든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one-touch assembly typ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one-touch structure befor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one-touch structur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after the one-touch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ure 5 is a drawing of various types of structure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형 입체 구조물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one-touch assembly typ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전 구성도.2 is a schematic view of the one-touch structure befor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중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one-touch structur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후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after the one-touch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든 도면으로서,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structures obtaine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입체형 조형물을 제조하되, 중계용 결합구(100)와,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결합용 바(30)와,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lay coupling 100, a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 coupling bar 30, and a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to produce a stereoscopic molding.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100)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중계용 결합구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1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100 or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and the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결합용 홈(110)에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이 삽입 결합된다.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0.

또한, 상기 결합용 바(30)의 양측 끝단부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삽입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is inserted into both end portions of the coupling bar 30.

그리고, 상기 제 2 워터치 구조물(20)은 제 1 원터치 구조물(10)에 결합되어 중계용 결합구(100)와 결합용 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고, 필요에 따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조작하여 제 1 원터치 구조물(10)로 부터 해체시킴으로서 중계용 결합구(100)와 결합용 바(30)의 용이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woof touch structure 20 is coupled to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00 for coupling and the coupling ba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isengagement of the relay coupling member 100 and the coupling bar 30 can be facilitated by disassembling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by operating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를 구분하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 이루어진다.The key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vided into a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a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고정체(13)와,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돌기(14a) 및,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로 이루어진다.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ncludes a housing 11, a connector pin 12, a fixing body 13, a coupling pin 14, a coupling protrusion 14a, and a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와, 스프링 작동편(26)과, 고정체(27)와, 커넥터 핀홀(28)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coupled with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ncludes a first coupling housing 21, a second coupling housing 22, a torsion spring 23, A spring retainer 25, a spring operating piece 26, a fixing body 27, and a connector pinhole 28. [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에는 결합용 홈(22a)과, 스토퍼(22b)를 포함하고, 스프링 유동부(25)는 스프링 작동편(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후단에는 스프링 지지부(29)가 형성되어 탄발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작동편(26)는 테두리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includes a coupling groove 22a and a stopper 22b and the spring moving portion 2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operating piece 26. [ Further, a spring support portion 29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to support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The spring operating piece 26 is provided with a concavo-convex shape on its rim surface, so that it can be easily gripped by fingers.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하우징은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고정체와 커넥터 핀(12)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과의 결합수단으로서 결합용 핀이 설치되고, 결합용 핀(14)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14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housing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ixing member and a connector pin 12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xing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14a inclined at both sides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in 14. [

그리고, 상기 결합용 핀(14)의 보호하기 위해 결합용 핀(14)의 외측으로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보호용 커버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형태이다.In order to protect the coupling pin 14, a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is disposed outside the coupling pin 14, and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housing of the first one- to be.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맨 외측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설치되고, 그 아래엔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설치되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아래에 고정체(27)가 설치되고, 고정체(27) 아래에 커넥터 핀(12)이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housing 21 at its outermost side, a second coupling housing 22 below it, and a second coupling housing 22 below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A connector pinhole 28 is formed in which the fixing member 27 is provided and the connector pin 12 is engaged under the fixing member 27.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커넥터 핀(12)은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커넥터 핀홀(28)에 결합되어 결합이 공고해진다.The connector pin 12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engaged with the connector pinhole 28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to secure the connection.

그리고,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결합을 위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에는 결합용 핀(14)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용 핀(14)이 결합되도록 제 2 원터치 구조물(20)에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형성된다.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n 14 for coupling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usings 21 and 22 are formed in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so as to be coupled.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는 제 1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공간부(24)로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에 제 2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상기 제 2 공간부로 삽입되면서 결합용 핀(14)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결합용 핀(14)의 상부로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상부에는 동축 커넥터(10)의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어 결합용 핀을 이중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 first space portion 2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and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so that the first space portion 24 The coupling pin 14 of the one-touch structure 10 is inserted and coupled. At this time, the second space portion 16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in 14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so that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pin 14 is completed. Thus,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is positioned above the coupling pin 14, and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of the coaxial connector 10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is positioned to double-protect the coupling pin.

아울러, 원터치 결합을 위해서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가 설치되는바, 결합용 핀(14)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직선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 유동부(25)가 뒤로 밀리면서 스프링 지지부(29)에 지지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고, 이후 결합용 돌기(14a)가 결합용 홈(22a)에 결합되면 탄발스프링(23)의 탄발 작용에 의하여 스프링 유동부(25)가 자동으로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누르는 위치에 오게 된다.A spring 23 and a spring fluid 25 are provided for one-touch coupling. When the coupling pin 14 is pressed in the linear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the spring fluid 25 The elastic spring 23 is compress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29 while being pushed backward and then the elastic protrusion 14a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2a, So that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automatically comes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in 14.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을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의 제 1 공간부(24)로 진입시키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진입한다.First, when the engaging pin 14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24 between the first engaging housing 21 and the second engaging housing 22, The housing 22 enters the second space portion 16 between the coupling pin 14 of the coaxial connector 10 and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

이때,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뒤로 밀면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탄발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14a of the engaging pin 14 moves forward while pushing the second engaging housing 22 backward, whereby the spring moving part 25 retracts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spring 23 .

이후 스프링 유동부(25)가 일정거리 후퇴되면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된다.The engaging protrusion 14a of the engaging pin 1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a of the second engaging housing 22 when the spring moving part 25 is retracted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러면, 스프링 유동부(25)의 압축이 해제되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여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spring lubrication part 25 is released from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lubrication part 25 and is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spring 23 so that the spring lubrication part 25 presses the lubrication protrusion 14a of the coaxial connector 10, 1 coupling housing 21 maintains the engaged state of the engaging pin 14 to prevent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즉,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을 제 2 원터치 구조물(20)에 삽입시키면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스프링 유동부(25)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스프링 유동부(25)의 후퇴에 따라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되면 스프링 유동부(25)가 원위치되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압박함으로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강력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one-touch structures 20 and 20 are coupled, if the coupling pin 14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The spring moving part 25 is pushed and retracted while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housing 21 and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and the elastic spring 23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etraction of the spring moving part 25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14a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a of the second engaging housing 22, the first engaging housing 2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in 14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are strongly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not be separated easily.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에 의해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결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체형 구조물을 보다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보다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As a resul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one-touch, thereby making it easier to fabricat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is is possible.

한편,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nd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스프링 작동편(26)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이때 스프링 작동편(26)은 요철이 형성 되어 있어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다.First, the spring operating piece 26 is retracted by grasping with a finger. At this time, since the spring operating piece 26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it is easy to grasp the finger.

그러면, 스프링 작동편(26)이 후퇴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을 압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 유동부(25)와 결합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단턱(22b)에 지지된 스프링 유동부(25)가 후퇴하여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돌기(14a)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자연스럽게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n, the spring operating piece 26 is retracted to press the elastic spring 23,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engaged with the spring fluid 25 is retracted. The spring moving part 25 supported on the step 22b of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is retracted and released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14a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Thus, the engaging projection 14a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naturally.

이때, 결합용 돌기(14a)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결합용 홈(22a) 역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ngaging projection 14a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engaging groove 22a also forms an inclined surface, it can be separated naturally.

10: 제 1 원터치 구조물
20: 제 2 원터치 구조물
30: 결합용 바
100: 중계용 결합구
10: first one-touch structure
20: second one-touch structure
30: coupling bar
100: Coupling port for relay

Claims (3)

구조물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구조물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100)와;
상기 중계용 결합구의 결합용 홈에 설치되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양측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용 바(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체(13)와,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A relay coupling member 100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in the structure or forming protrusions on the structure and forming a coupling groove in the protrusions;
A first one-touch structure (10) installed in a coupling groove of the coupling member for relay;
And a coupling bar (30) formed by coupling a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coupled to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on both sides,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10)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ylindrical housing (11); a connector pin (12); a fixture (13)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connector pin (12) A coupling protrusion 14a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in and a coupling protrusion 14b extending from the cylindrical housing 11 but outside the coupling pin between the second space 16 And a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27)와,
상기 고정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20)
A first coupling housing 21 install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6 between the coupling pin 12 and the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15 when engaged with the coaxial connector 10,
The first space portion 2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so that the coupling pin 14 of the coaxial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24. , A second coupling housing (22) for forming a coupling groove (22a) at one end and fixing the coupling projection (14a) therein,
A spring (23)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and the second coupling housing (22)
The elastic spring 23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and is retracted when the coupling pin 12 of the coaxial connector 10 enters, And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14a of the coaxial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a of the second engaging housing 22, it is advance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23, A spring moving part 25 for positioning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housing 14a so as to guide the first coupling housing 21 to support and support the coupling projection 14a,
A fixing body 27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housing,
And a connector pinhole (28)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and coupled with the connector p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돌기와 제 2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first one-touch structure and the engaging groove of the second one-touch structure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thereof.
KR1020150038927A 2015-03-20 2015-03-20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KR101669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en) 2015-03-20 2015-03-20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en) 2015-03-20 2015-03-20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12A KR20160112712A (en) 2016-09-28
KR101669472B1 true KR101669472B1 (en) 2016-10-26

Family

ID=5710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en) 2015-03-20 2015-03-20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13B1 (en)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An antenna assembly conbined a coaxial connector and antenna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49A (en)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텔콘 Arrester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with integrated cable connector
KR101449760B1 (en) * 2008-09-08 2014-10-13 타이코에이엠피(유)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inj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13B1 (en)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An antenna assembly conbined a coaxial connector and antenna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12A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84B1 (en) Toy building set
KR102001321B1 (en) Holding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4994923A (en) Toy figure assembly
KR101414360B1 (en) assembly toy block
US9724617B2 (en) Snap-fit connector and toy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0477459Y1 (en) Integration structure of engine block of moving block toy, and moving block operat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engine block.
KR200480215Y1 (en) Integration structure of engine block and engine sharing block of moving block toy, and moving block operat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engine block or the engine sharing block.
KR101669472B1 (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US9433872B2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system
KR101669751B1 (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one touch moution
KR101732632B1 (en) Toy block
WO2016093785A2 (en) A toy block comprising a connector providing a movable structure
KR20140009542A (en) Lever mechanism for connector fitting, and connector
KR20160128798A (en) Teaching aids for assembling
KR200478523Y1 (en) Block type robot toy having additional movement blocks which are combined with movement block of movable block type robot toy and can move with the movement block
JP3200642U (en) A device for a firm connection between blocks of blocks toy blocks
KR20170034782A (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manufactur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34783A (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manufactur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60114205A (e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manufactur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07717B1 (en) Assembled type toy frame
CN202920995U (en) Assembled toy
CN206236847U (en) Plug-in electric connector pressed-in nut structure-improved
CN203488491U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KR200322980Y1 (en) Block for assembling
KR200479878Y1 (en) Block toy having block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