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425B1 -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425B1
KR101669425B1 KR1020140188593A KR20140188593A KR101669425B1 KR 101669425 B1 KR101669425 B1 KR 101669425B1 KR 1020140188593 A KR1020140188593 A KR 1020140188593A KR 20140188593 A KR20140188593 A KR 20140188593A KR 101669425 B1 KR101669425 B1 KR 10166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core
starch
shel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7995A (en
Inventor
원준연
한민
함충현
송은범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25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D103/04Starch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7Disper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질로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분산매로 물을 포함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을 제공한다. 상기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코어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코어 및 쉘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반복 생산이 가능한 바이오매스인 전분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종래의 석유 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원료 수급이 안정적이어서 경제적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금속 기재의 표면에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보관이 필요한 금속 시트의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제 또는 도료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comprising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s a dispersion medium and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have a core-shell structure including a core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starch decomposition product and a core-forming monomer, and a shell formed on the core by polymerization of a shell-forming monomer.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starch, which is biomass capable of repeated production, and is eco-friendly as compared with emulsions for metal-based coatings based on conventional petroleum raw materials and stable in raw material supply, Can be secured. Further, since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and at the same time, the phenomenon of stick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coating films can be minimized, It can be used as a coating material or a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a layer.

Description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ch-based polymer emuls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분산질로 포함하고 코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조합 및 쉘을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조합으로 인해 금속 기재 표면에 접착력이 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및 특정 유화제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containing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s a dispersion medium and a combination of monomers forming a core and a combination of monomers forming a shell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ing a combination of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a specific emulsifier capable of forming a coating film having a strong adhesive force on the surface of a metal substrate and minimizing the phenomenon of sticking to each other.

코팅제는 일반적으로 건축 소재 또는 금속 소재의 표면에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나, 최근에는 건축 소재 또는 금속 소재의 표면을 물, 먼지, 공기, 기름 등과 같은 외부 인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연, 니켈, 알루미늄, 실리카의 혼합 또는 단독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금층을 가지는 강판은 고급스런 외관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문에 의한 오염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한 부식 현상이 확산 진행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아연 합금 도금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 강판 등과 같은 금속의 표면에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성 에폭시 수지,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수지를 도포하고 일정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여 가공성, 내식성, 내지문성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4957호(선행문헌 1)에는 수용성 우레탄 아크릭 하이브리드 수지 38 내지 60중량%; 소포제, 습윤제, 방청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3중량%; 여분의 물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성 우레탄 아크릭 하이브리드 수지는 수용성 우레탄 디스퍼젼 40 내지 70중량부와 아세토아세톡시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단량체 30 내지 40중량부가 아크릭 반응 개시제 존재하에서 중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팅용 수분산 우레탄 아크릭 하이브리드 도료가 개시되어 있다.Coatings are commonly used to impart aesthetics to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or metallic materials, but they are now mainly used to protect the surface of building materials or metallic materials from external factors such as water, dust, air, oil and the like. For example, a steel sheet having a plated layer composed of a mixture of zinc, nickel, aluminum, and silica or a single composition maintains a high-quality appearance, but contamination due to fingerprints may easily occur, there is a problem. Therefore, an organic resin such as a water-dispersible acrylic resin, a water-dispersible epoxy resin, and a water-dispersible urethane resi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metal such as a zinc alloy plated steel sheet or an aluminum alloy steel sheet to form a coating film having a certain thicknes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re continuing.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4957 (Prior Art 1) discloses that 38 to 60% by weight of a water-soluble urethane acrylic hybrid resin; 1 to 3% by weight of an additive comprising antifoaming agents, wetting agents and rust inhibitors; Wherein the water-soluble urethane acrylic hybrid resin comprises 40 to 70 parts by weight of a water-soluble urethane dispersion and 30 to 4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monomer containing an acetoacetoxy monomer in the presence of an acrylic reaction initiator Disclosed is a water-dispersed urethane acrylic hybrid coating for metal coating.

한편, 종래의 금속 기재 코팅제는 석유화학 원료로 이루어져 있어서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 원료를 이용한 코팅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전분은 접착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며, 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 친환경 코팅제의 소재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73916호(선행문헌 2)에는 분산질로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고 분산매로 물을 포함하는 도료용 수성 에멀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 2에 개시된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경질 단량체 및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실란계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로서,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상기 실란계 불포화 단량체는 실란을 골격으로 하고, 경질 단량체 또는 연질 단량체와 중합반응 할 수 있는 불포화 결합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에 개시된 코팅용 수성 에멀젼을 금속 기재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 도막의 접착력은 우수하나 도막 간에 서로 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여러 장의 금속 시트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할 때 금속 시트 표면에 형성된 도막끼리 서로 달라붙으면 금속 시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도막이 손상되거나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metal-based coatings are made of petrochemical raw materials,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 environmental friendliness. To solve this problem, coating materials using natural raw materials have been studied. In particular, starch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n eco-friendly coating material because it has good adhesiveness, low cost,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3916 (Prior Art 2) discloses an aqueous emulsion for a paint containing dispersed,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nd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2 include a core made of a starch-based copolymer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starch-decomposed material and a core monomer mixture comprising a hard monomer and a soft monomer; And a shell formed of a copolymer formed on the core by polymerization of a shell monomer mixture comprising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silane-based unsaturated monomer, wherein the hard monomer is a core- Wherein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10 ° C to -80 ° 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30 ° C to 250 ° C. The silane-based unsaturated monomer includes at least one silane skeleton and at least one unsaturated bonding functional group capable of polymerizing with a hard monomer or a soft monomer. However, when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the aqueous emulsion for coating to the surface of a metal substrat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2,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is excellent but the coating films stick together. 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metal sheets are laminated and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the coated film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sheet are stuck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ating film is damaged or the operation is delay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etal sheet.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금속 기재의 표면에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which can form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surface of a metal substrate and can minimize the phenomenon of sticking to each other between coating film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계 에멀젼 중합에 의해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제조할 때 코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종류 및 함량 관계와 쉘을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종류 및 함량 관계를 조절하고, 코어 형성 단계 또는 쉘 형성 단계에서 유화제의 종류를 조합하는 경우 최종 에멀젼이 금속 기재의 표면에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점 및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preparing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core-shell structure by water-based emulsion polymerization, the type and content relationship of the monomers forming the core and the type and content relationship of the monomers forming the shell are controll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inal emulsion can form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and the phenomenon of stick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coating films hardly occurs when the types of emulsifiers are combined in the step or shell- Completed.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분산질로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분산매로 물을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으로서, 상기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코어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코어 및 쉘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을 게공한다. 이때, 상기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다. 또한,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0~92 중량%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0~82 중량%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queous emulsion comprising water as dispersion medium and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nd dispersion medium, where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re a core and a shell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starch- Wherein the core 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wherein the core forming monomer comprises a shell-forming monomer Starch polymer particle emulsion comprising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nd a reactive emulsifier. The hard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10 ° C To -80 < 0 > C. Also,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a vinylidene group An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ene group. Also,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80 to 92%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70 to 82% by weight.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는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에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여기에 코어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에 쉘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 상에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다. 또한,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0~92 중량%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0~82 중량% 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n anionic emulsifier to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a starch hydrolyzate and to mix it with a core-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Obtaining an aqueous emulsion; And a step of adding a shell-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and polymerizing to form a shell on the c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Wherein the core-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where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The emulsions include reactive and reactive emulsifiers. The hard monomer has a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thereof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10 ° C to -80 < 0 > C. Also,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a vinylidene group An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ene group. Also,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80 to 92%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70 to 82% by weight.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반복 생산이 가능한 바이오매스인 전분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종래의 석유 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원료 수급이 안정적이어서 경제적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금속 기재의 표면에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보관이 필요한 금속 시트의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제 또는 도료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starch, which is biomass capable of repeated production, and is eco-friendly as compared with emulsions for metal-based coatings based on conventional petroleum raw materials and stable in raw material supply, Can be secured. Further, since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and at the same time, the phenomenon of stick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coating films can be minimized, It can be used as a coating material or a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a layer.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속 기재의 표면 코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분산질로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분산매로 물을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이다. 또한,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분산질인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코어 및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진다. 이하, 상기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코어와 쉘로 나누어 설명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that can be used for surface coating of metal substrates.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s a dispersion medium and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Also,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ispersion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comprises a core-shell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a starch decomposition product and a core monomer mixture and a shell formed on the core by polymerization of a shell monomer mixture Structure. Hereinafter,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re divided into a core and a shell.

코어core

본 발명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에서 코어는 전분 분해물과 코어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comprises a starch-based copolymer formed by the polymerization of a starch decomposition product and a core-forming monomer.

상기 전분 분해물은 전분을 효소, 산, 또는 열 등으로 처리하여 물에 액화가 가능한 상태로 분해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분 분해물을 얻기 위한 원료 전분은 통상의 식물 유래의 천연 전분, 물리적 혹은 화학적 변성 전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천연 전분은 옥수수, 찰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쌀, 타피오카, 사고(sago), 왁시 마즈(waxy maize), 수수(sorghum)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 유래의 전분(즉, 미변성 전분)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성 전분은 상기 미변성 전분을 에테르화, 에스테르화, 산화, 산처리, 산화 에스테르화, 산화 에테르화, 효소처리 등의 방법으로 개질화시킨 전분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분 분해물은 중합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카르복실기, 카보닐기, 알데히드기, 및 에스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분 분해물은 산화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및 산화 에스테르화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변성전분을 분해하여 제조하거나, 미변성 전분을 분해한 전분 분해물을 산화, 에스테르화, 또는 산화 에스테르화 시켜 제조할 수 있다.The starch hydrolyzate is obtained by treating starch with enzyme, acid, heat or the like and decomposing it into a state capable of liquefaction in water. The raw starch for obtaining the starch hydrolyzate includes all natural starches derived from plants, physically or chemically modified starches, and the like. The natural starches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plant-derived starches (i.e., unmodified starches) including corn, waxy corn, potatoes, sweet potatoes, wheat, rice, tapioca, sago, waxy maize, sorghum, . In addition, the modified starch includes all the starches obtained by reforming the unmodified starch by methods such as etherification, esterification, oxidation, acid treatment, oxidative esterification, oxidative etherification, enzyme treatment and the like. The starch hydrolyzate used for form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 group, a carbonyl group, an aldehyde group and an ester group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starch hydrolyzate may be prepared by decomposing at least one modified starc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ized starch, esterified starch, and oxidized esterified starch, or oxidizing, esterifying, or oxidizing the starch hydrolyzate obtained by decomposing unmodified starch Can be manufactured.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경질 단량체란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와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고, 그 단독 중합체가 상온에서 점착성이 아닌 단량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경질 단량체는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며 동시에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인 단량체이다. 본 발명에서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는 상기 특징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조합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 단량체는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와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고, 그 단독 중합체가 상온에서 점착성인 단량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연질 단량체는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며 동시에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인 단량체이다. 본 발명에서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는 상기 특징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조합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는 다른 단량체들과의 중합을 위해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와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진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및 푸마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forming monomer includ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The term " hard monomer " refers to a monomer containing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such as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or an acryl group, and the homopolymer is not tacky at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weight monomer has such a characteristic, and at the same time, the homopolymer is a mono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preferably 40 ° C to 200 ° C. The type of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preferable examples thereof include styren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And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onitrile, isobornyl 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vinyltoluene, vinyl acetate and vinyl chlorid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combination of acrylate and styrene. Also, the soft monomer refers to a monomer containing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such as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or an acryl group, and the homopolymer is tacky at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onomer has such a characteristic, and at the same time, the homopolymer is a mono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10 캜 to -80 캜, preferably from 5 캜 to -60 캜. The type of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ethylhexyl acrylate,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butyl acrylate, and a combination of butyl acrylate and ethylhexyl acrylate may be used. desi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may have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such as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or an acrylic group for polymerization with other monomers, A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re preferably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0~9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2~9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80 to 92% by weight, more preferably 82 to 90% by weight.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5~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1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5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6 to 15% by weight.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1~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 to 12%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10% by weight.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 대 연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6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내지 1:12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8 내지 1: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weight ratio of the hard monomer to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 6 to 1:15, more preferably 1: 6 to 1:12, and even more preferably 1: 8 to 1:10 Is most preferable.

또한, 상기 코어 내에서 전분 분해물 대 코어 형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1:0.5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3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1 내지 1: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weight ratio of the starch decomposed product to the core forming monomer in the core is preferably 1: 0.5 to 1: 3, more preferably 1: 1 to 1: 3, most preferably 1: 1 to 1: desirable.

Shell

본 발명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에서 쉘은 쉘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is composed of a copolymer formed on the core by polymerization of a shell-forming monomer.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는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의 내용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는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의 내용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부틸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는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내용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및 푸마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사슬 전이제는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n-도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 1,5-펜탄다이티올, 1,6-헥산다이티올, 2-에틸헥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부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 2-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틸 3-머캅토프로피오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 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n-도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유화제는 후술하는 쉘 형성 단량체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다른 성분들을 수계 상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유화제로 작용하여, 쉘 형성 단계에서는 다른 단량체들과 중합하여 쉘을 구성한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다른 단량체들과의 중합을 위해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 관능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반응성 유화제의 종류로는 노닐프로페닐에톡시에테르 술페이트의 암모늄염류[상업적 제품으로 아쿠아론 HS-10 (DKS, 일본), SE-10(아데카,일본) 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릴 글리시딜 노닐 페닐에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류[상업적 제품으로 SETM(아데카, 일본) 등],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프로페닐 에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의 암모늄염류[HITENOL HSTM(DKS, 일본) 등]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hell-forming monomers include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nd a reactive emulsifi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ncludes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preferably styren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And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onitrile, isobornyl 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vinyltoluene, vinyl acetate and vinyl chlor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bination of acrylate and styre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ncludes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and preferably include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ethylhexyl acrylate,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and hydroxybutyl acrylate. More preferably, it is butyl acrylate. In addition,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and preferably, Acrylic acid,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re preferably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The chain transfer agent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kind for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nd is preferably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1,5-pentane Dithiol, 1,6-hexanedithiol, 2-ethylhexyl-3-mercaptopropionate, butyl 3-mercaptopropionate, dodecyl 3-mercaptopropionate, ethyl 2-mercaptopropionate Methyl 3-mercaptopropionate, pentaerythritol tetrakis (3-mercaptopropionate), 2-ethylhexyl mercaptoacetate, ethyl 2-mercaptoacetate, 2-methyl-2-methyl-1,3-propanediol and pentaerythritol tetrakis (2-mercaptoacetate), and n-dodecyl mercaptan, t- It is more preferable that dodecyl mercaptan is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ve emulsifier acts as an emulsifier for dispersing the other components evenly in the aqueous phase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re-emulsion of the shell-forming monomer described later, and forms a shell by polymerizing with other monomers in the shell forming step.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t least one unsaturated bond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idene group and a vinylene group. Examples of the reactive emulsifier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mmonium salts of nonyl propenyl ethoxy ether sulfate (Aquaron HS-10 (DKS, Japan), SE-10 (Adeka, Japan) Sulfonic acid esters of polyoxyethylene allylglycidylnonylphenyl ether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SETM (Adeka, Japan)], sulfonic acid esters of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 Ammonium salts (HITENOL HSTM (DKS, Japan), etc.), and the like, and these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0~8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2~8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70 to 82% by weight, more preferably 72 to 80% by weight.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10~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0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15 to 20% by weight.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5% by weight.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사슬 전이제의 함량은 0.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0.1 to 2%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반응성 유화제의 함량은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reactive emulsifi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5% by weight.

또한, 상기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 대 경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3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내지 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The weight ratio of the soft monomer to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1: 3 to 1: 6, more preferably 1: 3 to 1: 5.

전분 중합체 입자 내에서 코어 대 In the starch polymer particles, 쉘의Shell 함량 관계 Content relationship

본 발명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어 형성 단량체 대 쉘 형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 내지 1:3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1.5 내지 1: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weight ratio of the core-forming monomer to the shell-forming monomer used for form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rom 1: 1 to 1: 4, more preferably from 1: 1.5 to 1: 3, 1.5 to 1: 2.5.

전분계Starch-based 중합체 입자  Polymer particles 에멀젼에In the emulsion 포함된 성분들에 대한 설명 Explanation of the ingredients involved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주요 구성성분인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내에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에멀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6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다.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s the main constituent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of the above-mentioned contents. The content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in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to 60% by weight, more preferably 35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mulsio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반응시에 첨가되거나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분산매에 유화시킬 때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제조 과정에서 응집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에멀젼의 상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산 에스테르계 유화제 혹은 황산염 에스테르계 유화제와 같은 반응성 유화제;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류 등의 음이온성 유화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체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하며,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유화제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듐 데실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SODIUM 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36445-71-3), 소듐 n- 헥사데실 디페닐 디설포네이트(Sodium n-hexadecyl diphenyl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65143-89-7), 소듐 도데실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119345-04-9) 등과 같은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류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중 소듐 도데실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119345-04-9)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의 사용량은 코어 형성 단량체 100 중량부 당 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유화제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쉘 형성 단량체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다른 성분들을 수계 상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아민류[상업적 제품으로 SN-2(한농화성, 대한민국)등], 폴리에틸렌 솔비탄류[상업적 제품으로 SFT-10(한농화성, 대한민국)등], 알킬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류[상업적 제품으로 MONOPOL PE 등]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중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의 사용량은 쉘 형성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2~2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유화제는 대부분 쉘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다른 단량체들과 중합하여 쉘을 구성하고, 미반응된 일부만이 에멀젼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다른 단량체들과의 중합을 위해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 관능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반응성 유화제의 종류로는 노닐프로페닐에톡시에테르 술페이트의 암모늄염류[상업적 제품으로 아쿠아론 HS-10 (DKS, 일본), SE-10(아데카,일본) 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릴 글리시딜 노닐 페닐에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류[상업적 제품으로 SETM(아데카, 일본) 등],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프로페닐 에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의 암모늄염류[HITENOL HSTM(DKS, 일본) 등] 등이 있고 이중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ulsifier.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mulsifier. The emulsifier may be added at the time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for produc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or may be added when emulsify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into the dispersion medium. The emulsifier can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minimize the occurrence of aggregate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mulsion. Such an emulsifier is not limited in its kind, and includes, for example, a reactive emulsifier such as a phosphate ester emulsifier or a sulfate ester emulsifier; Anionic emulsifiers such as 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s; And nonionic emulsifiers containing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units,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ic emulsifier is preferably add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re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The anionic emulsifying agent is not limited in its kind and includes, for example, sodium 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No. 36445-71-3), sodium n-hexadecyl diphenyl disulfate Alkyldiphenyl oxides such as sodium n-hexadecyl diphenyl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o. 65143-89-7),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 among which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ATE; CAS No. 119345-04-9) is preferable. The amount of the anionic emulsifier is preferably 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1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re-forming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ionic emulsifier is preferably add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res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nd more preferably, the other components are dispersed evenly in the aqueous phase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re-emulsion of the shell- It plays a role. Examples of the nonionic emulsifier include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s and polyoxyethylene stearyl amines [commercial products such as SN-2 (Hannong Chemical, Korea)], Propylene copolymer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MONOPOL PE), and the like. Of these,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s such as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 The amount of the nonionic emulsifier is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2 to 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hell-forming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reactive emulsifier forms a shell by polymerizing with other monomers in the step of forming a shell, and only the unreacted portion is present in a form dispersed in the emulsion.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t least one unsaturated bond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idene group and a vinylene group. Examples of the reactive emulsifier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mmonium salts of nonyl propenyl ethoxy ether sulfate (Aquaron HS-10 (DKS, Japan), SE-10 (Adeka, Japan) Sulfonic acid esters of polyoxyethylene allylglycidylnonylphenyl ether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SETM (Adeka, Japan)], sulfonic acid esters of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 Ammonium salts (HITENOL HSTM (DKS, Japan), etc.), and the lik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esters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allylsodium sulfate.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은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제조과정에서 첨가된 중합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olymerization initiator add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금속 기재의 표면 코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은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에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여기에 코어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에 쉘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 상에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다. 또한,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0~92 중량%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0~82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코어 형성 단량체 대 쉘 형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 대 연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6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 대 경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3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eparing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s which can be used for surface coating of metal substrates. A method for producing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ding an anionic emulsifier to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a starch hydrolyzate and mixing, adding a core-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reto, To obtain an aqueous emulsion comprising; And a step of adding a shell-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and polymerizing to form a shell on the core. Wherein the core-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where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The emulsions include reactive and reactive emulsifiers. The hard monomer has a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thereof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10 ° C to -80 < 0 > C. Also,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a vinylidene group An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ene group. Also,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80 to 92%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70 to 82% by weight. The weight ratio of the core-forming monomer to the shell-forming monomer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1 to 1: 4.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to the soft monomer is preferably 1: 6 to 1:15, The weight ratio of monomer to hard monomer is preferably from 1: 3 to 1: 6.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은 기초 원료로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전분 액화액의 제조 방법을 먼저 설명한다.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의 제조 단계는 전분 현탁액에 전분 분해효소를 첨가하고 소정의 pH 및 온도 조건에서 전분을 분해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분의 분해는 단속식(batch-cooking) 혹은 연속식(jet-cooking) 방법에 수행될 수 있는데, 단속식 방법에 의해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속식 방법은 50~150℃, 바람직하게는 80~120℃에서 30~300분, 바람직하게는 60~200분 동안 전분과 전분 분해효소를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라제, 베타-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 이소-아밀라제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중온성 알파-아밀라제 혹은 내열성 알파-아밀라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속식 방법에 의해 전분 분해를 수행할 경우, 전분 현탁액의 pH는 4~8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분 분해효소의 사용량은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starch lysate as a base material. A method for producing a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followed by a description of a method for producing a starch-based liquefied liquid. The step of preparing a starch lysate containing starch hydrolyzate consists of adding a starch hydrolyzing enzyme to the starch suspension and decomposing the starch under predetermined pH and temperature conditions. At this time, the decomposition of the starch can be carried out by a batch-cooking or a jet-cooking method, and it is preferable to obtain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starch hydrolyzate by the intermittent method. The intermittent method may be performed by reacting starch and starch degrading enzyme at 50 to 150 ° C, preferably 80 to 120 ° C for 30 to 300 minutes, preferably 60 to 200 minutes. The starcholytic enzyme includes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 iso-amylase and the like, preferably mesophilic alpha-amylase or heat resistant alpha-amylase. The above starcholytic enzyme is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when starch hydrolysis is carried out by the intermittent method, the pH of the starch suspension is preferably adjusted to a range of 4 to 8, and the amount of the starch degrading enzyme is 0.001 to 10 parts by weight , Preferably 0.01 to 1 part by weight, although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이 준비되면, 이후 전분 분해물을 코어 형성 단량체와 중합반응시켜 코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분 액화액에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여기에 코어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숙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의 제조 단계에 의해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하는 코어 형성 단량체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에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열해리 개시제 또는 산화-환원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아스코르브산, 소듐 포름알데하이드 술폭시레이트, 소듐 바이설파이트 등의 환원제를 가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단량체 투입전에 투입하거나 단량체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코어 형성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다.When the starch hydrolyzate containing the starch hydrolyzate is prepared, the starch hydrolyzate is then polymerized with the core-forming monomer to form a core. Specifically, an emulsifier, preferably an anionic emulsifier, is added to and mixed with the starch liquefied liquid, followed by addition of a core-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follow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a core made of a starch-based copolymer can be obtained by the production step of the core. The core-forming monomers us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res refer to the foregoing 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thermal decomposition initiator or an oxidation-reduction initiator capable of radical polymeriza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t-butyl hydroperoxide, 2,2-azobisbutyronitrile, , 2'-azobis-2-methylbutyronitrile, cumene hydroperoxide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water-soluble initiators such as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nd t-butyl hydroperoxide can be preferably used. If necessary, a reducing agent such as ascorbic acid,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odium bisulfite and the like may be adde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dded before the addition of the monom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monomer.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8 parts by weight, preferably 0.2 to 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re-forming monomer.

코어의 제조 단계에서 중합 반응 온도, 중합 반응 압력 및 중합 반응 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60~100℃, 바람직하게는 70~90℃의 온도, 0.01~10 bar, 바람직하게는 0.1~5 bar의 압력 조건에서 20~120분, 바람직하게는 30~9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미반응 단량체의 최소화 및 충분한 중합 반응의 진행을 위해 숙성되는데, 숙성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하며, 숙성 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 생성물의 숙성에 의해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essure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i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oduction step of the core, and are, for example, from 60 to 100 ° C, preferably from 70 to 90 ° C, from 0.01 to 10 bar, At a pressure of 5 bar for 20 to 120 minutes, preferably 30 to 90 minutes.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aged for minimizing unreacted monomers and for progressing a sufficient polymerization reaction. The aging temperature is kept the same a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aging time is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By aging the reaction product, a core made of a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can be obtained.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의 수계 에멀젼을 제조한 후, 코어 상에 쉘을 형성한다. 코어 상에 쉘을 형성하는 단계는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에 쉘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숙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반응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및 물로 이루어진 프리에멀젼 형태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 형성 단량체의 프리에멀젼은 물에 유화제를 용해시킨 후, 여기에 쉘 형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에멀젼을 이용한 에멀젼 중합은 유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 쉘 형성 단량체를 프리에멀젼 형태로 첨가하는 경우 유화제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쉘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하는 쉘 형성 단량체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에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한편, 쉘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중합개시제는 단량체 투입전에 투입하거나 단량체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쉘 형성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다.After preparing an aqueous emulsion of a core consisting of a starch-based copolymer, a shell is formed on the core. The step of forming the shell on the core may include a step of adding a shell-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further aging. At this time, the shell-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added in the form of a pre-emulsion comprising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 reactive emulsifier, a nonionic emulsifier and water. The pre-emulsion of the shell-forming monomer can be formed by dissolving the emulsifier in water and then adding a shell-forming monomer thereto. Generally, emulsion polymerization using a pre-emulsion is known to have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emulsifi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added in the form of pre-emulsion, not only the amount of emulsifier used is minimized but also the occurrence of aggregates is minimized, Can be improved. The shell-forming monomers us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shell refer to the foregoing 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forming the shell,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dded before the addition of the monom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monomer, and the amount thereof may be in the range of 0.1 to 8 parts by weight, preferably 0.2 to 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hell- .

쉘의 형성 단계에서 중합 반응 온도, 중합 반응 압력 및 중합 반응 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60~100℃, 바람직하게는 70~90℃의 온도, 0.01~10 bar, 바람직하게는 0.1~5 bar의 압력 조건에서 60~240분, 바람직하게는 100~2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미반응 단량체의 최소화 및 충분한 중합 반응의 진행을 위해 숙성되는데, 숙성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하며, 숙성 시간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 생성물의 숙성에 의해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essure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ime in the shell formation step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re, for example, from 60 to 100 ° C, preferably from 70 to 90 ° C, from 0.01 to 10 bar, At a pressure of 5 bar for 60 to 240 minutes, preferably 100 to 200 minutes.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aged for minimizing unreacted monomers and for progressing a sufficient polymerization reaction. The aging temperature is kept the same a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aging time is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By aging the reaction product,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core-shell structure and aqueous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can be obtained.

코어 및 쉘의 형성에 의해 수득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은 이후 45~65℃로 냉각되고 바람직하게는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해 후처리된다.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단계는 화학적 방법, 습윤 제거 방법, 또는 고온 스팀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산화제 및 환원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산화제 및 환원제를 이용한 후처리 단계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에 산화제 및 환원제를 첨가하여 산화 반응 및 환원 반응을 유도하고 숙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산화제로는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t-butyl hydroperoxide),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enehydroper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원제로는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sodium hydrosulfite), 소듐 메타비설파이트(sodium metabisulfi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후처리 단계에서 산화제 및 환원제의 사용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멀젼 100 중량부 당 0.001~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2~0.8 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후처리 단계에서 산화 반응 및 환원 반응은 약 40~60℃에서 10~100분, 바람직하게는 20~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산화 반응 및 환원 반응을 거친 에멀젼은 산화제 및 환원제와 미반응 단량체와의 충분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숙성되는데, 숙성은 약 40~60℃에서 20~150분, 바람직하게는 30~100분 동안 수행된다.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obtained by the formation of the core and shell is then cooled to 45-65 캜 and preferably post-trea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The post-treatment step for removing unreacted monomers can be carried out by a chemical method, a wet-removing method, or a high-temperature steam method, and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chemical method using an oxidizing agent and a reducing agent. The post-treatment step using the oxidizing agent and the reducing agent consists of adding an oxidizing agent and a reducing agent to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to induc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and aging. At this time, t-butyl hydroperoxide, cumenehydroperoxid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oxidizing agent. Examples of the reducing agent include sodium hydrosulfite, sodium metabisulfite )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oxidizing agent and the reducing agent used in the post-treatment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001 to 1 part by weight, preferably 0.002 to 0.8 part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on. In the post-treatment step, the oxidation reaction and the reduction reaction may be carried out at about 40 to 60 DEG C for 10 to 100 minutes, preferably 20 to 40 minutes. In addition, the emulsion subjected to the oxidation reaction and the reduction reaction is aged to induce a sufficient reaction between the oxidizing agent and the reducing agent and the unreacted monomer. The aging is carried out at about 40 to 60 ° C for 20 to 150 minutes, preferably 30 to 100 minutes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분석 방법1. Analysis method

(1) 에멀젼의 고형분 함량 측정(1) Measurement of solid content of emulsion

에멀젼의 고형분 함량은 KS M IOS 3251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solids content of the emulsion was determined using the KS M IOS 3251 test method.

(2) 에멀젼의 점도 측정(2) Measurement of viscosity of emulsion

에멀젼의 점도는 KS M ISO 2555(2009)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 was measured at 25 ° C using the KS M ISO 2555 (2009) test method.

(3) 에멀젼에 의해 금속 기재상에 형성된 도막의 접착력 평가(3) Evaluation of adhesion of coating film formed on metal substrate by emulsion

알루미늄 시트(Sheet) 표면에 에멀젼을 약 100㎛의 두께로 도포하고 130℃의 오븐에서 약 3분간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DIN EN ISO 2409 시험 방법인 "Cross cut" 시험으로 도막과 금속 기재의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0(가장 나쁨)에서 5(가장 좋음)까지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An emulsion was applied on the surface of an aluminum sheet to a thickness of about 100 mu m and dried in an oven at 130 DEG C for about 3 minutes to form a coating film. Thereafter,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 and the metal substrate was measured by a "Cross cut" test according to DIN EN ISO 2409, and the results were shown as scores from 0 (worst) to 5 (best).

(4) 에멀젼에 의해 형성된 도막 간의 점착성 평가(4) Evaluation of adhesion between coats formed by emulsion

알루미늄 시트(Sheet) 표면에 에멀젼을 약 100㎛의 두께로 도포하고 130℃의 오븐에서 약 3분간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도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시트를 5㎝×5㎝의 크기로 잘라 30장을 준비하였다. 이후 30 장의 알루미늄 시트를 차례로 쌓고 열 압착 장비(Heat press)를 이용하여 50℃의 온도에서 250~300㎏f의 압력을 가하면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서로 붙어있는 알루미늄 시트의 숫자를 세어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도막 간의 점착성을 0(붙어있는 알루미늄 시트의 수가 가장 큼)에서 5(붙어있는 알루미늄 시트의 수가 가장 작음)까지의 점수로 나타내었다.
An emulsion was applied on the surface of an aluminum sheet to a thickness of about 100 mu m and dried in an oven at 130 DEG C for about 3 minutes to form a coating film. Thereafter, the aluminum sheet on which the coated film was formed was cut into a size of 5 cm x 5 cm to prepare 30 sheets. Then, 30 sheets of aluminum sheets were stacked in order and kept at a temperature of 50 캜 for 24 hours under a pressure of 250 to 300 kgf using a heat press. Thereafter, the numbers of the aluminum sheets attached to each other were compared and compar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films was expressed as a score from 0 (the largest number of the attached aluminum sheets) to 5 (the smallest number of the attached sheets).

2. 전분 2. Starch 분해물을The degradation product 포함하는 전분  Starch containing 액화액의Liquefied 제조 Produce

전분 액화액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of Starch Liquid Solution.

탈이온수(deionized water) 178.0g에 산화전분 90.6g을 투입하고 분산시켜 전분 현탁액을 제조한 후, 7 중량% 농도의 염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분 현탁액의 pH를 약 6.0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1g의 내열성 알파-아밀라제(Liquozyme supra, Novozyme, 덴마크)를 99g의 탈이온수로 희석하여 전분 분해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전분 현탁액에 1.2g의 전분 분해 효소액을 첨가한 후 약 90℃에서 약 1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생성물에 차아염소산 0.6g을 첨가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약 80℃로 냉각하여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을 수득하였다.
90.6 g of oxidized starch was added to 178.0 g of deionized water and dispersed to prepare a starch suspension. The pH of the starch suspension was adjusted to about 6.0 using a hydrochloric acid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7% by weight. In addition, 1 g of the heat-resistant alpha-amylase (Liquozyme supra, Novozyme, Denmark) was diluted with 99 g of deionized water to prepare a starch hydrolyzate solution. Then, 1.2 g of starch hydrolyzate was added to the starch suspension, and the mixture was reacted at about 90 캜 for about 120 minute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0.6 g of hypochlorous acid was added to the reaction product to inactivate the enzyme and cooled to about 80 캜 to obtain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the starch lysate.

3. 3. 전분계Starch-based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수계  An aqueous system comprising polymer particles 에멀젼의Emulsion 제조 Produce

에멀젼 제조예 1.Emulsion Preparation Example 1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147.7g,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6.4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1.6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9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0.5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0g, 메타크릴산 5.0g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o the reactor containing the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ve Liquid Starch Production Example 1), 147.7 g of deionized water, 6.4 g of a reactive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ate) and 6.4 g of a nonionic emulsifier 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ation number: 103818-93-5) was added and filled with nitrogen.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0.5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03 g of sodium persulfate dissolved in 9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20.0 g of methyl meth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20.0 g of n-but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made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이후,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55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2.8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2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을 약 27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상기 쉘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7.7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37.2g, 스티렌 40.0g 및 n-도데실 머캅탄 1.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in which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held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2.8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23 g of sodium persulfate in 55 g of deionized water) and a shell monomer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for about 270 minutes to allow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and to form a shell.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97.7 g of methyl methacrylate, 137.2 g of n-butyl acrylate, 40.0 g of styrene and 1.0 g of n-dodecyl mercaptan in this order.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에멀젼 제조예 2.Emulsion Preparation Example 2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147.7g,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Alkylether phosphate, ammonium salt) 6.4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1.6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9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0.5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0g, 메타크릴산 5.0g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147.7 g of deionized water, 6.4 g of an anionic emulsifying agent (component: Alkylether phosphate, ammonium salt) and 10.0 g of a nonionic emulsifier (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alkylene glycol) were added to the reactor containing the starch liquefied liquid 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ation number: 103818-93-5) was added and charged with nitrogen.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0.5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03 g of sodium persulfate dissolved in 9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20.0 g of methyl meth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20.0 g of n-but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made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이후,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55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2.8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2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을 약 27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상기 쉘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7.7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37.2g, 스티렌 40.0g 및 n-도데실 머캅탄 1.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in which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held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2.8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23 g of sodium persulfate in 55 g of deionized water) and a shell monomer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for about 270 minutes to allow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and to form a shell.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97.7 g of methyl methacrylate, 137.2 g of n-butyl acrylate, 40.0 g of styrene and 1.0 g of n-dodecyl mercaptan in this order.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에멀젼 제조예 3.Emulsion Preparation Example 3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147.7g,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6.4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1.6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9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0.5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0g, 메타크릴산 5.0g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o the reactor containing the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ve Liquid Starch Preparation Example 1), 147.7 g of deionized water, 6.4 g of an anionic emulsifier (ingredi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1.6 g of a warm emulsifier (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ation number: 103818-93-5) was added and filled with nitrogen.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0.5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03 g of sodium persulfate dissolved in 9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20.0 g of methyl meth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20.0 g of n-but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made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이후,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55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2.8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2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을 약 27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상기 쉘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7.7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37.2g, 스티렌 40.0g 및 n-도데실 머캅탄 1.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in which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held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2.8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23 g of sodium persulfate in 55 g of deionized water) and a shell monomer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for about 270 minutes to allow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and to form a shell.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97.7 g of methyl methacrylate, 137.2 g of n-butyl acrylate, 40.0 g of styrene and 1.0 g of n-dodecyl mercaptan in this order.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에멀젼 제조예 4.Emulsion Preparation Example 4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147.7g,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3.2g,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3.2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1.6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9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0.5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0g, 메타크릴산 5.0g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o the reactor containing the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of the starch liquid solution), 147.7 g of deionized water, 3.2 g of an anionic emulsifier (ingredi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 3.2 g of an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ate) and 1.6 g of a nonionic emulsifier (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ation number: 103818-93-5) .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0.5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03 g of sodium persulfate dissolved in 9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20.0 g of methyl meth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20.0 g of n-but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made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이후,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55g에 포타슘 퍼설페이트 2.8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23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을 약 27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상기 쉘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7.7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37.2g, 스티렌 40.0g 및 n-도데실 머캅탄 1.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in which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held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2.8 g of potassium persulfate and 0.23 g of sodium persulfate in 55 g of deionized water) and a shell monomer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for about 270 minutes to allow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and to form a shell.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97.7 g of methyl methacrylate, 137.2 g of n-butyl acrylate, 40.0 g of styrene and 1.0 g of n-dodecyl mercaptan in this order.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agitat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에멀젼 제조예 5.Emulsion Preparation Example 5

(1)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re Made of Starch-Based Copolymer and Emulsion Containing It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50.0g 및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12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20g에 소듐 퍼설페이트 1.0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8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6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4.0g, 스티렌 104.0g, 메타크릴산 5.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3.0g 및 n-도데실 머캅탄 1.3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50.0 g of deionized water and 12 g of an anionic emulsifier (ingredi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were added to a reactor containing a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of Starch Liquid Solution) Nitrogen was charged.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1.0 g of sodium persulfate and 0.08 g of sodium persulfate in 20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over 6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104.0 g of methyl methacrylate, 104.0 g of styrene, 5.0 g of methacrylic acid, 103.0 g of n-butyl acrylate and 1.3 g of n-dodecyl mercaptan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3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composed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2)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의 제조(2) Preparation of pre-emulsion of shell monomer mixture

탈이온수 97.1g에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8.0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2.0g을 첨가하여 녹이고, 이후 여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5g, n-부틸 아크릴레이트 33g 및 메타크릴산 12.5g을 순서대로 천천히 적가하여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y number: 103818-93-5) 2.0 g of a reactive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ite) and 8.0 g of a nonionic emulsifier g, and then 12.5 g of methyl methacrylate, 33 g of n-butyl acrylate and 12.5 g of methacrylic acid were slowly added dropwise in this order to prepare a pre-emulsion of the shell monomer mixture.

(3)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and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66.5g에 소듐 퍼설페이트 3.5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약 15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containing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the pre-emulsion of the mixture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 solution in which 3.5 g of sodium persulfate was dissolved in 66.5 g of deionized water)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stirred for about 150 minutes An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to form a shell.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re-emuls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Respectively.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또한,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의 점도는 133 cPs 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was 133 cPs.

에멀젼 제조예 6.Emulsion Preparation Example 6

(1)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re Made of Starch-Based Copolymer and Emulsion Containing It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50.0g 및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12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20g에 소듐 퍼설페이트 1.0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8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6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5g, 스티렌 104.0g, 메타크릴산 5.0g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38.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50.0 g of deionized water and 12 g of an anionic emulsifier (ingredi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were added to a reactor containing a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of Starch Liquid Solution) Nitrogen was charged.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1.0 g of sodium persulfate and 0.08 g of sodium persulfate in 20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over 6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12.5 g of methyl methacrylate, 104.0 g of styren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38.0 g of n-but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3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composed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2)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의 제조(2) Preparation of pre-emulsion of shell monomer mixture

탈이온수 97.1g에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8.0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2.0g을 첨가하여 녹이고, 이후 여기에 스티렌 104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44.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62.5g 및 메타크릴산 5.0g, n-도데실 머캅탄 1.3g을 순서대로 천천히 적가하여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y number: 103818-93-5) 2.0 g of a reactive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ite) and 8.0 g of a nonionic emulsifier g, and then, 104 g of styrene, 144.0 g of methyl methacrylate, 62.5 g of n-butyl 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1.3 g of n-dodecyl mercaptan were slowly added dropwise in this order to obtain a shell monomer mixture ≪ / RTI > was prepared.

(3)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and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66.5g에 소슘 퍼설페이트 3.5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약 15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containing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the pre-emulsion of the mixture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of 3.5 g of sodium persulfate in 66.5 g of deionized water)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heated for about 150 minutes An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to form a shell.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re-emuls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Respectively.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또한,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의 점도는 213 cPs 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was 213 cPs.

에멀젼 제조예 7.Emulsion Preparation Example 7

(1)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re Made of Starch-Based Copolymer and Emulsion Containing It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50.0g 및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12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20g에 소듐 퍼설페이트 1.0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8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6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5g, 메타크릴산 5.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33.0g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30.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50.0 g of deionized water and 12 g of an anionic emulsifier (ingredi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were added to a reactor containing a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of Starch Liquid Solution) Nitrogen was charged.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1.0 g of sodium persulfate and 0.08 g of sodium persulfate in 20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over 6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12.5 g of methyl meth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33.0 g of n-butyl acrylate and 30.0 g of 2-ethylhex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3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composed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2)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의 제조(2) Preparation of pre-emulsion of shell monomer mixture

탈이온수 97.1g에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8.0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2.0g을 첨가하여 녹이고, 이후 여기에 스티렌 104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44.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62.5g, 메타크릴산 5.0g 및 n-도데실 머캅탄 1.3g을 순서대로 천천히 적가하여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y number: 103818-93-5) 2.0 g of a reactive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ite) and 8.0 g of a nonionic emulsifier g, and then, 104 g of styrene, 144.0 g of methyl methacrylate, 62.5 g of n-butyl acrylate, 5.0 g of methacrylic acid and 1.3 g of n-dodecyl mercaptan were slowly added dropwise in this order to obtain a shell monomer mixture ≪ / RTI > was prepared.

(3)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and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66.5g에 소슘 퍼설페이트 3.5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약 15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containing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the pre-emulsion of the mixture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of 3.5 g of sodium persulfate in 66.5 g of deionized water)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heated for about 150 minutes An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to form a shell.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re-emuls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Respectively.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또한,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의 점도는 150 cPs 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Furthermore, the viscosity of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was 150 cPs.

에멀젼 제조예 8.Emulsion Preparation Example 8

(1)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re Made of Starch-Based Copolymer and Emulsion Containing It

전분 액화액(전분 액화액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것임)이 수용된 반응기에 탈이온수 90.0g 및 음이온성 유화제(성분 :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등록번호 : 119345-04-9) 12g을 첨가하고 질소를 충전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의 반응기를 약 80℃로 승온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20g에 소듐 퍼설페이트 1.0g 및 소듐 바이설파이트 0.08g을 용해시킨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을 60분 동안 적가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코어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5g, 메타크릴산 5.5g, n-부틸 아크릴레이트 83.0g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33.0g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혼합한 것이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90.0 g of deionized water and 12 g of an anionic emulsifier (component: Sodium dodecyl diphenyl ether disulfonate; CAS registration number: 119345-04-9) were added to the reactor containing the starch liquefied liqui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of starch solution) Nitrogen was charged. Thereafter, the reactor in a nitrogen atmosphere was heated to about 80 占 폚,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 solution of 1.0 g of sodium persulfate and 0.08 g of sodium persulfate in 20 g of deionized water) and a core monomer mixture were added dropwise over 60 minutes To procee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The core monomer mixture was prepared by adding 12.5 g of methyl methacrylate, 5.5 g of methacrylic acid, 83.0 g of n-butyl acrylate and 33.0 g of 2-ethylhexyl acrylate in this order.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core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3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 core composed of the starch-based copolymer and an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2)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의 제조(2) Preparation of pre-emulsion of shell monomer mixture

탈이온수 97.1g에 반응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알릴 소듐설페이트의 에스테르) 8.0g 및 비이온성 유화제(성분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CAS 등록번호 : 103818-93-5) 2.0g을 첨가하여 녹이고, 이후 여기에 스티렌 10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10.0g, n-부틸 아크릴레이트 50.0g, 메타크릴산 7.0g 및 n-도데실 머캅탄 1.3g을 순서대로 천천히 적가하여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Component: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alkyl ether; CAS registry number: 103818-93-5) 2.0 g of a reactive emulsifier (component: ester of polyoxyethylene alkylphenyl allyl sodium sulfite) and 8.0 g of a nonionic emulsifier g, and then 100 g of styrene, 110.0 g of methyl methacrylate, 50.0 g of n-butyl acrylate, 7.0 g of methacrylic acid and 1.3 g of n-dodecyl mercaptan were slowly added dropwise in this order to obtain a shell monomer mixture ≪ / RTI > was prepared.

(3)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and emulsion containing the same

코어를 포함하는 에멀젼이 수용된 반응기의 온도를 약 80℃로 유지하고, 여기에 중합개시제 용액(탈이온수 66.5g에 소슘 퍼설페이트 3.5g을 용해시킨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을 약 150분 동안 적가하여 코어 표면상에서 공중합반응을 진행시키고 쉘을 형성하였다. 중합개시제 용액과 쉘 단량체 혼합물의 프리에멀젼의 적가를 완료한 후, 공중합 반응 생성물을 약 80℃에서 약 60분 동안 교반하고 숙성시켜,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수득하였다.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containing the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was maintained at about 80 DEG C, and the pre-emulsion of the mixture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of 3.5 g of sodium persulfate in 66.5 g of deionized water)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was heated for about 150 minutes An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on the core surface to form a shell. After completing the dropwise addition of the pre-emuls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and the shell monomer mixture,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was stirred at about 80 캜 for about 60 minutes and aged to obtain an emulsion containing the core-shell structur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Respectively.

이후,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약 55℃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산화제 용액(탈이온수 16g에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9g을 용해시킨 용액)과 환원제 용액(탈이온수 8.0g에 소듐 하이드로설파이트 0.6g을 용해시킨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산화제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약 55℃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은 고형분의 함량이 약 50 중량%이었다. 또한,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의 점도는 282 cPs 이었다.
Thereafter, the emulsion containing the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s of the core-shell structure was cooled to about 55 DEG C, and an oxidant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0.9 g of t-butyl hydroperoxide was dissolved in 16 g of deionized water) and a reducing agent solution 0.6 g of sodium hydrosulfite dissolved in 8.0 g of deionized water)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and reacte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After the addition of the oxidizer solution and the reducing agent solu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product was aged at about 5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had a solids content of about 50% by weight.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obtained metal-based coating emulsion was 282 cPs.

4. 금속 기재 코팅용 4. For metal substrate coating 에멀젼의Emulsion 물성 측정 결과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 result

에멀젼 제조예 1 내지 에멀젼 제조예 8에서 수득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에 의해 금속 기재상에 형성된 도막의 접착력 평가 및 도막 간의 점착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metal substrate by the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s obtained in Emulsion Production Examples 1 to 8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dhesion between the coating film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 구분Emulsion classification for metal base coating 금속 기재상에 형성된 도막의 접착력Adhesion of coating film formed on metal substrate 금속 기재상에 형성된 도막 간의 점착성Cohesion between coats formed on a metal substrate 에멀젼 제조예 1Emulsion Production Example 1 55 00 에멀젼 제조예 2Emulsion Preparation Example 2 00 00 에멀젼 제조예 3Emulsion Preparation Example 3 33 33 에멀젼 제조예 4Emulsion Preparation Example 4 33 33 에멀젼 제조예 5Emulsion Preparation Example 5 33 1One 에멀젼 제조예 6Emulsion Preparation Example 6 33 44 에멀젼 제조예 7Emulsion Preparation Example 7 44 33 에멀젼 제조예 8Emulsion Preparation Example 8 55 55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멀젼 제조예 8에서 제조한 금속 기재 코팅용 에멀젼을 사용하여 금속 기재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였을 때 도막의 접착력이 크고, 도막 간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coating film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substrate using the emulsion for metal-based coating prepared in the emulsion Production Example 8,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was high and the coating film did not stick to each oth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as the best mode,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embodiments belonging to the claims attached hereto.

Claims (11)

분산질로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분산매로 물을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으로서,
상기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코어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코어 및 쉘 형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가지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2~90 중량%이고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6~15 중량%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2~10 중량%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2~80 중량%이고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15~20 중량%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1~5 중량%이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 대 연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6 내지 1:12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 대 경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3 내지 1:5이고,
상기 전분계 중합체 입자 내에서 코어 형성 단량체 대 쉘 형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As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water as dispersion medium and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and dispersion medium,
Where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have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 core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 starch decomposition product and a core-forming monomer, and a shell formed on the core by polymerization of a shell-
Wherein the core-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Wherein the shell 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nd a reactive emulsifier,
Wherein the hard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Wherein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10 캜 to -80 캜,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a vinylidene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ene group,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82 to 90 wt%,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s 6 to 15 wt%,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s 2 to 10 wt%
In the shell-forming monomer,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s 72 to 80 wt%,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s 15 to 20 wt%,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s 1 to 5 wt%
The weight ratio of the soft monomer to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is 1: 6 to 1:12 and the weight ratio of the soft monomer to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s 1: 3 to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core-forming monomer to the shell-forming monomer in the starch-based polymer particles is from 1: 1 to 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rd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isobornyl 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Wherein the starch polymer particle emuls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vinyltoluene, vinyl acetate, and vinyl chlor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said soft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ethylhexyl acrylate, ethylhex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 And hydroxybutyl acrylate. ≪ RTI ID = 0.0 > 21.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및 푸마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The starch polymer p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emul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 전이제는 n-도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 1,5-펜탄다이티올, 1,6-헥산다이티올, 2-에틸헥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부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 2-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틸 3-머캅토프로피오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 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
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said chain transfer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1,5-pentanediol, 1,6-hexanediol, Methyl 3-mercaptopropionate, ethyl 3-mercaptopropionate, methyl 3-mercaptopropionate, methyl 3-mercaptopropionate, ethyl 3-mercaptopropionate, ethyl 3-mercaptopropionate, But are not limited to, erythritol tetrakis (3-mercaptopropionate), 2-ethylhexyl mercaptoacetate, ethyl 2-mercaptoacetate, 2-hydroxymethyl- Wherein the starch polymer particle emuls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kis (2-mercaptoace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분 분해물을 포함하는 전분 액화액에 음이온성 유화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여기에 코어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를 포함하는 수계 에멀젼에 쉘 형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반응시켜 코어 상에 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및 반응성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상기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아크릴로일기(acryloyl group), 메타크릴로일기(methacryloyl group),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비닐리덴기(vinylidene group) 및 비닐렌기(vinylene group)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가지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내에서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82~90 중량%이고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6~15 중량%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2~10 중량%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 내에서 경질 단량체의 함량은 72~80 중량%이고 연질 단량체의 함량은 15~20 중량%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의 함량은 1~5 중량%이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경질 단량체 대 연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6 내지 1:12이고 상기 쉘 형성 단량체를 구성하는 연질 단량체 대 경질 단량체의 중량비는 1:3 내지 1:5이고,
상기 코어 형성 단량체 대 쉘 형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
Adding an anionic emulsifier to a starch liquefied liquid containing a starch hydrolyzate and mixing, adding a core-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the mixture, and polymerizing to obtain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And forming a shell on the core by adding a shell-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the core and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Wherein the core-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nd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Wherein the shell forming monomer comprises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nd a reactive emulsifier,
Wherein the hard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C to 250 ° C,
Wherein the soft monomer has an ethylenic unsaturated bond and the hom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10 캜 to -80 캜,
The reactive emulsifi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propenyl group, a vinylidene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a vinylene group,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n the core-forming monomer is 82 to 90 wt%,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s 6 to 15 wt%,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s 2 to 10 wt%
In the shell-forming monomer, the content of the hard monomer is 72 to 80 wt%, the content of the soft monomer is 15 to 20 wt%, the content of the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s 1 to 5 wt%
The weight ratio of the soft monomer to the soft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forming monomer is 1: 6 to 1:12 and the weight ratio of the soft monomer to the hard monomer constituting the shell-forming monomer is 1: 3 to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core-forming monomer to the shell-forming monomer is from 1: 1 to 1: 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쉘 형성 단량체는 경질 단량체, 연질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진 카르복실산 단량체, 사슬 전이제, 반응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및 물로 이루어진 프리에멀젼 형태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계 중합체 입자 에멀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hell-forming monomer is added in the form of a pre-emulsion consisting of a hard monomer, a soft monomer, a carboxylic acid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a chain transfer agent, a reactive emulsifier, a nonionic emulsifier, 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88593A 2014-12-24 2014-12-24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69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93A KR101669425B1 (en) 2014-12-24 2014-12-24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593A KR101669425B1 (en) 2014-12-24 2014-12-24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95A KR20160077995A (en) 2016-07-04
KR101669425B1 true KR101669425B1 (en) 2016-11-01

Family

ID=5650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593A KR101669425B1 (en) 2014-12-24 2014-12-24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44B1 (en) * 2017-10-17 2018-05-04 대상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saccharides-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565B1 (en) 2009-12-21 2011-03-08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Starch-vinyl copolymer having core-shell structure, coating solution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92326B1 (en) 2011-12-28 2014-05-08 대상 주식회사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for coating paper comprising the same
KR101452698B1 (en) * 2013-12-18 2014-10-23 대상 주식회사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se of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916B1 (en) * 2012-12-28 2014-12-17 대상 주식회사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pai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565B1 (en) 2009-12-21 2011-03-08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Starch-vinyl copolymer having core-shell structure, coating solution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92326B1 (en) 2011-12-28 2014-05-08 대상 주식회사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for coating paper comprising the same
KR101452698B1 (en) * 2013-12-18 2014-10-23 대상 주식회사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se of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95A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3394B2 (en)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material for water-based paint
JP2013535518A5 (en)
KR101392326B1 (en) Starch-based copolymer particle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for coating paper comprising the same
EP0728779A2 (en) Aqueous polymer dispersions
AU5346100A (en) Improved polymeric compositions
US7589158B2 (en) Polymers with improved shelf stability
KR101473916B1 (en)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pai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20532625A (e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35567B1 (en) Adhesive for manufacturing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leather
KR101669425B1 (en)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331643B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KR101535564B1 (en)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81887B1 (en) Binder system for high-gloss paints
JP2012021135A (en) Aqueous resin composition for rustproof coating material
CN115124657B (en) Acrylate emulsion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5544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accharides-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KR101452698B1 (en) Starch-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se of thereof
KR101823499B1 (en) Saccharides-based polymer particle emul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15544B2 (en)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polymer dispersion for paint and dispersion thereof
TW202214711A (en)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CN106459254B (en) High-solid, low-viscosity urethane-linker-containing latex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515612B2 (en) Resin composition for plastic coating, method for producing aqueous polymer, and plastic coating
KR20210031320A (en) Acrylic emulsion pressure s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625863B1 (en) Acrylic emulsion pressure s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5741838B2 (en) Water-based coating material for plastic substrate, paint and plastic molding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