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07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074B1
KR101669074B1 KR1020100084508A KR20100084508A KR101669074B1 KR 101669074 B1 KR101669074 B1 KR 101669074B1 KR 1020100084508 A KR1020100084508 A KR 1020100084508A KR 20100084508 A KR20100084508 A KR 20100084508A KR 101669074 B1 KR101669074 B1 KR 10166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time control
time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022A (ko
Inventor
임채권
조성연
배범식
임한나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074B1/ko
Priority to EP11822131.6A priority patent/EP2613590B1/en
Priority to US13/818,902 priority patent/US9049579B2/en
Priority to PCT/KR2011/006450 priority patent/WO2012030156A2/ko
Publication of KR2012002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여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에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이 특정 시간에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하고, 그 이외 시간 동안의 네트워크 접속은 차단하도록 단말 또는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 서비스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그런데, 차후에는 현재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단말들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휴대용 전화기뿐 아니라 노트북, 테블릿 PC, 카메라, 전자액자, 자판기, CCTV 및 다수의 센서들, 예컨대 전기측량센서, 수도측량센서, 지진센서, 빌딩의 화재 경보 센서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많은 수의 단말을 관리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개선된 관리 방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많은 수의 단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이 특정 시간에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하고, 그 이외 시간 동안의 네트워크 접속은 차단하도록 단말 또는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장치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과, 상기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단말에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에 따른 단말의 접속 제어 설정 방법 및 장치는, 단말이 특정 시간에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하고, 그 이외 시간의 네트워크 접속은 차단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단말들에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억제하고, 시간적으로 분산시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에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4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7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9는 도 7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도 7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1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13은 도 11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14는 도 11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LTE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접속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라는 용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패러미터(parameter)를 의미한다. 이 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제어 정보는 단말 또는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정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노드가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에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여,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제어 정보는 단말에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접속 허용 정보 또는 네트워크 접속을 금지하기 위한 접속 금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들에서 접속 제어 정보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시간에 따라 허용하기 위한 시간 접속 제어 정보(Time-Control information; TC information)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접속 제어 정보로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뿐만 아니라,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일정 조건을 나타내는 다양한 패러미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100), 오퍼레이터 네트워크(Operator Network; 101)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111)로 이루어진다.
UE(100)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UE(100)는, 예컨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테블릿 PC, 카메라, 전자액자, 자판기, CCTV 및 전기측량센서, 수도측량센서, 지진센서, 빌딩의 화재 경보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한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01)는 UE(100)에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01)는 UE(100) 간 통신을 지원하며, UE(100)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11)로 패킷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11)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지원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11)는 UE(100)에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를 관리한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11)는 패킷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UE(100)의 설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112)를 포함한다.
이 때,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 기지국(Macro enhanced Node B; 이하, Macro eNB; 102),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 104),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erving GW; 이하, S-GW; 10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 GW; 이하, P-GW; 108)를 포함한다.
Macro eNB(102)는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이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셀은 일반적인 셀룰러(Cellul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하고, Macro eNB(102)는 상기 매크로 셀을 관리, 제어하는 기지국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 기지국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Macro eNB(102)는 UE(100)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무선 자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Macro eNB(102)는 매크로 셀 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 생성하여 방송(Broadcasting)하거나,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UE(100)와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로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사업자 정보(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fier; PLMN ID), 기지국 셀 정보(eNB Cell Global ID; ECGI), 각 셀이 속한 구역 정보(Tracking Area ID; TAI)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Macro eNB(102)는 UE(100)로부터 현재 셀과 인접 셀들의 채널 측정 결과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를 위한 Macro eNB(102)는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라디오 자원 관리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MME(104)는 유휴 모드(idle mode)의 UE(100)를 관리하고, P-GW(108)및 S-GW(106)를 선정한다. 이와 더불어 MME(104)는 로밍(Roaming) 및 인증(Authentication)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MME(104)는 UE(100)에서 발생하는 베어러 시그널을 처리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MME(104)와 UE(100)간 전달되는 메시지를 NAS(Non Access Stratum) 메시리라고 칭한다. 또한 MME(104)는 여러 개의 TAI를 지원하며, 각 TAI를 지원하는 Macro eNB(102)들과 연결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같은 TAI를 지원하는 Macro eNB(102)들은 동일한 MME(104)와 연결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TAI를 지원하는 Macro eNB(102)들은 상이한 MME(104)들과 연결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S-GW(106)는 UE(100)의 Macro eNB(102)들 간 핸드오버 시 또는 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P-GW(108)는 UE(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GW(108)는 가입자에게 제공할 베어러 대역을 결정하고, 패킷 데이터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 및 라우팅(Routing)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Macro eNB(102)와 MME(104) 사이는 S1-MME 인터페이스, Macro eNB(102)와 S-GW(106) 사이는 S1-U 인터페이스, S-GW(106)과 P-GW(108) 사이는 S5 인터페이스라고 명명한다.
이외에도, 무선 통신 시스템은 홈 가입자 관리 서버(Home Subscriber Sever; HSS; 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HSS(114)는 UE(100) 별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HSS(114)는 UE(100)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MME(104)에게 UE(102)의 가입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MME(104)가 UE(100)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즉 Macro eNB(102)에 접속한 경우, UE(100)는 Macro eNB(102), S-GW(106), P-GW(108)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110)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그리고 UE(100)는 Macro eNB(102)와 연결을 설정한 후 MME(104)에게 NAS 요청(NAS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때, NAS 요청 메시지는, 예컨대 접속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 셀 구역 갱신 요청(Track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 또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MME가 최초로 연동할 때, 단말과 MME에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Forbidden Time Interval; FTI) 또는 접속 허용 시간(Granted Time Interval; G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접속 금지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야 하는 시간 정보를 나타내고, 접속 허용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필요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각 노드의 시간 구역(Time Zone)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200)이 208단계에서 MME(202)로 N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MME(202)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Default TC information)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에서 NAS 요청 메시지 수신 시, MME(202)는 210단계에서 HSS(204)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UE TC information)를 요청한다. 즉 단말(200)과 최초 연동 시, MME(202)는 HSS(204)에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UE Subscribed TC information)를 요청한다. 여기서, MME(202)는 HSS(204)에 단말(200)의 가입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HSS(204)는 단말(200) 별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MME(202)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HSS(204)는 212단계에서 MME(202)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MME(202)는 214단계에서 단말(2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MME(202)는 HSS(204)로부터 수신된 가입 시간 접속 정보로 단말(200)과 MME(2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MME(202)는 미리 저장된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200)과 MME(2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MME(202)는 216단계에서 단말(200)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이 후 단말(2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한다. 즉 단말(2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MME(20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MME(20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그리고 MME(2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200)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MME(2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단말(2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단말(2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도 3은 도 2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단말(200)로부터 NAS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202)는 304단계에서 HSS(2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MME(202)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후 306단계에서 HSS(2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202)는 308단계에서 단말(200)과 MME(2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204)는 단말(200) 별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는 단말(200)에 대응하여 설정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MME(202)는 310단계에서 단말(200)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MME(202)는 312단계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2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308단계에서,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MME(202)는 디폴트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HSS(204)가 단말(200) 별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HSS(204)가 일정 기준에 따라 다수개의 단말(200)들로 이루어지는 그룹 별로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거나, 단말(200)들에 동일하게 가입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MME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SS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여, 단말 및 MME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MME가 최초로 연동할 때, 단말, MME 및 단말과 통신하는 응용 서버(Application Sever)에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또는 접속 허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접속 금지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야 하는 시간 정보를 나타내고, 접속 허용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필요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각 노드의 시간 구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400)이 408단계에서 MME(402)로 N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MME(4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MME TC information)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400)에서 NAS 요청 메시지 수신 시, MME(402)는 410단계에서 HSS(404)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즉 단말(400)과 최초 연동 시, MME(402)는 HSS(4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MME(402)는 HSS(404)에 단말(400)의 가입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MME(402)는 HSS(4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MME(402)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HSS(404)는 412단계에서 응용 서버(4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Server TC information)를 요청한다. 이 때, 응용 서버(406)는 미리 설정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HSS(404)에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응용 서버(406)는 414단계에서 HSS(404)에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이 때, 응용 서버(406)는 단말(400) 별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만, HSS(404)가 응용 서버(4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는 경우, 412단계와 414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HSS(404)는 416단계에서 단말(4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404)는 응용 서버(4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단말(400)과 MME(4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HSS(404)는 MME(402)의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400)과 MME(4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HSS(404)는 418단계에서 MME(402)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HSS(404)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수신 시, MME(402)는 420단계에서 단말(400)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HSS(404)는 422단계에서 응용 서버(406)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단말(4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한다. 즉 단말(4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MME(402)를 통해 응용 서버(406)에 접속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MME(402)를 통해 응용 서버(406)에 접속한다. MME(402)와 응용 서버(4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4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MME(402)와 응용 서버(4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단말(4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단말(4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404)는 MME(402)와 HSS(4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2단계에서 단말(400)로부터 NAS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402)는 504단계에서 HSS(4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MME(4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MME(4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HSS(4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506단계에서 HSS(4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402)는 508단계에서 단말(400)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HSS(404)에서 결정되며, HSS(4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다. 또한 MME(402)는 510단계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4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4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MME(402)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404)는 604단계에서 응용 서버(4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HSS(4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606단계에서 응용 서버(406)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404)는 608단계에서 단말(4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4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HSS(404)는 610단계에서 MME(402)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HSS(404)는 응용 서버(4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608단계에서,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4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404)는 MME(402)와 HSS(4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MME가 단말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단말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 별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설정 갱신 서버(UE configuration Update Server)에서 단말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MME가 최초로 연동할 때, 단말, MME 및 단말과 통신하는 응용 서버에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또는 접속 허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접속 금지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야 하는 시간 정보를 나타내고, 접속 허용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필요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각 노드의 시간 구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700)이 710단계에서 MME(702)로 N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MME(7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700)에서 NAS 요청 메시지 수신 시, MME(702)는 712단계에서 HSS(704)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즉 단말(700)과 최초 연동 시, MME(702)는 HSS(7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MME(702)는 HSS(704)에 단말(700)의 가입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MME(702)는 HSS(7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MME(702)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HSS(704)는 714단계에서 응용 서버(7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응용 서버(706)는 미리 설정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HSS(704)에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응용 서버(706)는 716단계에서 HSS(704)에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이 때, 응용 서버(706)는 단말(700) 별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만, HSS(704)가 응용 서버(7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는 경우, 714단계와 716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HSS(704)는 718단계에서 단말(7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704)는 응용 서버(7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단말(700)과 MME(7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HSS(704)는 MME(702)의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700)과 MME(7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HSS(704)는 720단계에서 MME(702)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HSS(704)는 722단계에서 응용 서버(706)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MME(702)와 응용서버(7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7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MME(702)와 응용 서버(7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단말(7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단말(7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한편, HSS(704)는 724단계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OMA(Open Mobile Alliance) 서버 또는 OTA(Over The Air)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통해 단말(700)의 네트워크 접속이 허용되는 단말 서비스 가능 시간(UE allowed time)을 파악한다. 그리고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726단계에서 단말 서비스 가능 시간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700)에 전달한다. 이 후 단말(7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한다. 즉 단말(7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MME(702)를 통해 응용 서버(706)에 접속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MME(702)를 통해 응용 서버(706)에 접속한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704)는 MME(702)와 HSS(7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2단계에서 단말(700)로부터 NAS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702)는 804단계에서 HSS(7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MME(7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MME(7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HSS(7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806단계에서 HSS(7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702)는 808단계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7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9는 도 7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2단계에서 MME(702)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704)는 904단계에서 응용 서버(7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HSS(7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906단계에서 응용 서버(706)로부터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704)는 908단계에서 단말(7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7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HSS(704)는 910단계에서 MME(702)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HSS(704)는 응용 서버(7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HSS(704)는 912단계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HSS(7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908단계에서,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7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704)는 MME(702)와 HSS(7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2단계에서 HSS(7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1004단계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분석하고 대기한다. 이 때,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통해 단말(700)의 네트워크 접속이 허용되는 단말 서비스 가능 시간을 파악한다. 이 후 단말 서비스 가능 시간이 도래하면,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가 10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08단계에서 단말(7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700)의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갱신한다. 즉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단말(700)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1006단계에서 단말 서비스 가능 가능 시간의 도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말 설정 갱신 서버(708)는 1004단계로 이동하여 단말 서비스 가능 시간이 도래 시까지 계속 기다린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MME가 최초로 연동할 때, 단말, MME 및 단말과 통신하는 응용 서버에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또는 접속 허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접속 금지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야 하는 시간 정보를 나타내고, 접속 허용 시간은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필요시 단말의 시간 접속 제어 정보는 각 노드의 시간 구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1100)이 1110단계에서 MME(1102)로 NA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MME(11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0)에서 NAS 요청 메시지 수신 시, MME(1102)는 1112단계에서 HSS(1104)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즉 단말(1100)과 최초 연동 시, MME(1102)는 HSS(11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MME(1102)는 HSS(1104)에 단말(1100)의 가입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MME(1102)는 HSS(11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MME(1102)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HSS(1104)는 1114단계에서 응용 서버(11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응용 서버(1106)는 미리 설정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HSS(1104)에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시, 응용 서버(1106)는 1116단계에서 HSS(1104)에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이 때, 응용 서버(1106)는 단말(1100) 별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만, HSS(1104)가 응용 서버(11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는 경우, 1114단계와 1116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HSS(1104)는 1118단계에서 단말(11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1104)는 응용 서버(1106)의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단말(1100)과 MME(11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HSS(1104)는 MME(1102)의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고려하여, 단말(1100)과 MME(1102)에서 사용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HSS(1104)는 1120단계에서 MME(1102)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HSS(1104)는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이 허용되는 단말 허용 기간(UE allowed interval)을 설정해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HSS(1104)는 1122단계에서 응용 서버(1106)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MME(1102)와 응용 서버(11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1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MME(1102)와 응용 서버(1106)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아울러, MME(1102)는 부가적으로 단말 허용 기간에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HSS(1104)는 1124단계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HSS(1104)는 단말 허용 기간을 설정해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는 OMA 서버 또는 OTA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는 1126단계에서 단말 허용 기간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1100)에 전달한다. 이 후 단말(1100)은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한다. 즉 단말(1100)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MME(1102)를 통해 응용 서버(1106)에 접속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MME(1102)를 통해 응용 서버(1106)에 접속한다. 여기서, 단말(1100)은 부가적으로 단말 허용 기간에 MME(1102)를 통해 응용 서버(1106)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허용 기간이 만료되면, MME(1102)는 1128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시간이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면, MME(1102)는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계속해서 허용하고,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해당하면, MME(1102)는 단말(1100)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1104)는 MME(1102)와 HSS(11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 MME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2단계에서 단말(1100)로부터 NAS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1102)는 1204단계에서 HSS(1104)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MME(1102)는 미리 설정된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MME(11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HSS(1104)에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1206단계에서 HSS(11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MME(1102)는 1208단계에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100)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MME(1102)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 허용 기간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MME(1102)는 단말 허용 기간 또는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서 단말(1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한다.
다음으로, MME(1102)는 1210단계에서 단말 허용 기간이 만료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1210단계에서 단말 허용 기간이 만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MME(1102)는 1212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1212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지 않고 접속 금지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MME(1102)는 1214단계에서 단말(1100)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편, 1210단계에서 단말 허용 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거나, 1212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MME(1102)는 1208단계로 이동하여 단말(1100)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유지한다.
도 13은 도 11에서 HSS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2단계에서 MME(1102)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1104)는 1304단계에서 응용 서버(1106)로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HSS(11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1306단계에서 응용 서버(1106)로부터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HSS(1104)는 1308단계에서 단말(1100)에 대응하여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이 때, HSS(11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HSS(1104)는 1310단계에서 MME(1102)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HSS(1104)는 MME(1102)에 단말 허용 기간을 더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HSS(1104)는 1312단계에서 응용 서버(11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HSS(1704)는 1314단계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HSS(11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HSS(1104)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 허용 기간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1308단계에서,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금지 시간을 단말 접속 금지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 또는 서버 시간 접속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접속 허용 시간을 단말 접속 허용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가 모든 시간 동안 단말 접속을 금지하게 된다면, HSS(1104)는 MME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HSS(1104)는 MME(1102)와 HSS(1106)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와 함께, 임의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설정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에서 단말 설정 갱신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1402단계에서 HSS(1104)로부터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는 1404단계에서 단말(1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1100)의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갱신한다. 이 때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 설정 갱신 서버(1108)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 허용 기간을 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단말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파악하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MME를 통해 응용 서버에 접속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MME 및 응용 서버는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에서 메시지 수신 시, MME 및 응용 서버는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금지 시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간이 단말 접속 금지 시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MME 및 응용 서버는 단말의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수신 시, MME 또는 단말 설정 갱신 서버가 단말에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MME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결정하거나 수신하여 파악하고,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에 따라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은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 접속 금지 시간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지 않고,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한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MME에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MME가 단말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이 단말 접속 허용 시간에 해당하므로, MME가 별도로 단말 시간 접속 제어 정보를 파악하고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단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 수신 시,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에 제 1 시간 제어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 수신 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 및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시간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시간 제어 정보가 포함된 비 접속 계층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가입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디폴트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forbidden time interval: FTI) 또는 접속 허용 시간(granted time interval: G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GTI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홈 가입자 서버 (home subscriber server: HSS)의 단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이 전송된 경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 시간 제어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응용 서버로 제 1 시간 제어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를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와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서버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forbidden time interval: FTI) 또는 접속 허용 시간(granted time interval: G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GTI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상기 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한 비 접속 계층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제 1 시간 제어 정보와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가입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디폴트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접속 제어를 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 수신 시,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 HSS)에 제 1 시간 제어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 수신 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 및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시간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에 상기 시간 제어 정보가 포함된 비 접속 계층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가입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디폴트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forbidden time interval: FTI) 또는 접속 허용 시간(granted time interval: G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GTI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접속 제어를 위한 홈 가입자 서버 (home subscriber server: HSS)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이 전송된 경우,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 시간 제어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응용 서버로 제 1 시간 제어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를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와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시간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입자 서버.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서버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입자 서버.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입자 서버.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접속 금지 시간 (forbidden time interval: FTI) 또는 접속 허용 시간(granted time interval: G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입자 서버.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GTI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입자 서버.
  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제어를 위한 단말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비 접속 계층 (non-access stratum: NAS) 요청을 전송하고,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한 비 접속 계층 응답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제 1 시간 제어 정보와 제 2 시간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간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제어 정보는 가입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제어 정보는 디폴트 시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00084508A 2010-08-31 2010-08-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6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08A KR101669074B1 (ko) 2010-08-31 2010-08-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EP11822131.6A EP2613590B1 (en) 2010-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rminal connection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3/818,902 US9049579B2 (en) 2010-08-31 2011-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rminal connection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1/006450 WO2012030156A2 (ko) 2010-08-31 2011-08-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08A KR101669074B1 (ko) 2010-08-31 2010-08-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22A KR20120022022A (ko) 2012-03-09
KR101669074B1 true KR101669074B1 (ko) 2016-10-26

Family

ID=4577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08A KR101669074B1 (ko) 2010-08-31 2010-08-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9579B2 (ko)
EP (1) EP2613590B1 (ko)
KR (1) KR101669074B1 (ko)
WO (1) WO20120301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215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기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039541B1 (ko) * 2013-01-21 2019-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 선택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219730B (zh) * 2013-05-29 2018-03-0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高速移动场景接入控制方法和装置
JPWO2015063970A1 (ja) * 2013-10-31 2017-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端末、及びこれらの通信制御方法
CN105264965B (zh) * 2013-11-01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应用接入网络的方法和设备
CN103619052A (zh) * 2013-12-05 2014-03-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无线接入的方法及装置
US10237681B2 (en) * 2017-02-06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gistration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accessing 5G network on non-3GPP acc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565A1 (en) 2009-01-13 2010-07-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ve subscribers to surrounding radio network
US20100197307A1 (en) 2009-01-3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control for access terminals
US20100195573A1 (en) 2009-01-3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including allowed csg list in page messa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623A (ko)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 방법
KR101467795B1 (ko) 2007-12-12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능력을 관리하는 방법
KR20100008232A (ko) 2008-07-15 2010-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연결 설정방법
KR101509251B1 (ko) 2008-09-03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 요청 방법
US9026081B2 (en) * 2009-06-30 2015-05-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on and notification of a network access time peri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8517B2 (en) * 2010-01-11 2016-07-1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565A1 (en) 2009-01-13 2010-07-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ve subscribers to surrounding radio network
US20100197307A1 (en) 2009-01-3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control for access terminals
US20100195573A1 (en) 2009-01-3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including allowed csg list in page messa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23.830 V9.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3590B1 (en) 2021-05-12
US20130150030A1 (en) 2013-06-13
WO2012030156A3 (ko) 2012-05-31
EP2613590A4 (en) 2016-09-14
US9049579B2 (en) 2015-06-02
KR20120022022A (ko) 2012-03-09
EP2613590A2 (en) 2013-07-10
WO2012030156A2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1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528526B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adjusting a slice resour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022971B1 (en)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of ue supporting/using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61063B1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9192417A1 (zh) 指示业务分流的方法和装置
KR1016690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제어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EP3338485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2345306B1 (ko) 타깃 plmn id 및 타깃 셀 id를 결정하는 노드들 및 방법
US96351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2526444A5 (ko)
CN109644388B (zh) 使用中继ue的接入控制的方法及其装置
KR10212778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77106A1 (zh) 专用核心网的选择方法和装置
WO2011097989A1 (zh) 一种本地访问寻呼优化方法及装置
CN115669009A (zh) 邻近服务路径选择和切换
WO2014121599A1 (zh) 传递蜂窝网络负荷信息的方法和相关设备
EP2493242B1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1503712B1 (ko) 사용자 콘텍스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87416B1 (ko) Lte 펨토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ip 주소 획득 방법
KR10236256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104153A1 (zh) 一种网络接入的方法和通信装置
KR101598598B1 (ko)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24992A1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11006395A1 (zh) 一种部分故障处理的同步方法和系统
KR20150035142A (ko) 최대 대역폭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콘텍스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