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744B1 -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744B1
KR101666744B1 KR1020150050299A KR20150050299A KR101666744B1 KR 101666744 B1 KR101666744 B1 KR 101666744B1 KR 1020150050299 A KR1020150050299 A KR 1020150050299A KR 20150050299 A KR20150050299 A KR 20150050299A KR 101666744 B1 KR101666744 B1 KR 10166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ax
baseline
stereoscopic
feature poi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동
강성묵
김승호
김종학
조형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225
    • H04N13/0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는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에서 획득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하는 시차 맵 생성부,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보정부 및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하는 베이스라인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STEREOSCOPIC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REDUCING VISUAL FATIGU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한다.
하나의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한 두 개의 영상들을 정합하면 시차 맵을 생성할 수 있는데,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시청자에게 표시할 때에 시차 맵(disparity map)에 따른 깊이감을 시청자가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시청자의 눈에 들어오는 광선들이 그러한 깊이감에 상응하는 광학적 경로를 거쳐 들어오기 때문에 시청자가 깊이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두 개의 영상들 안에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이 소정 너비만큼 떨어져 있어서, 시청자의 뇌가 이미지들을 중첩시켜 하나의 피사체로 보이도록 이들 영상을 결합하면서 시청자의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며 어떤 깊이감을 가지게 되는 영상이다.
이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은 시청자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지만, 상당한 시각적 피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각적 피로는 연구에 따르면 대체로 주시각(convergence)보다 깊이감이 얕은 경우(음시차, negative parallax)에 더 크다. 또한 주시각보다 깊이감이 깊은 경우(양시차, positive parallax)에도 시각적 피로감이 약간 커진다. 입체감이 없는 영시차(zero parallax)일 때에 시각적 피로감이 가장 적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시각적 피로를 줄이기 위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을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에 의해 시청자들이 느끼는 시각적 피로를 줄일 수 있지만 촬영된 실제 장면에 비해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줄어들거나 변경되는 느낌과, 그러한 변환에 부수되는 의도하지 않은 아티팩트(artifact)를 감수해야 하며 상당한 연산량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카메라 위치 변화를 통해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적당한 입체감을 유지하면서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입체감이 낮은 장면의 입체감을 향상시키면서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는,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에서 획득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하는 시차 맵 생성부; 상기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보정부; 및 상기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하는 베이스라인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라인 보정부는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음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라인 보정부는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은,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가,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된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음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위치 변화를 통해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당한 입체감을 유지하면서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체감이 낮은 장면(scene)의 입체감을 향상시키면서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시차 히스토그램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낮은 시각적 피로도와 적절한 입체감을 함께 가지는 보정 구간들을 예시한 시차-피로도 곡선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라인과 영시차 영역의 관계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라인을 조절하여 시차 히스토그램이 보정되는 모습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10)는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 시차 맵 생성부(12), 베이스라인 보정부(13) 및 베이스라인 조절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은 평행식, 수평 이동식 또는 폭주식 정렬 방식 중 하나에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정렬 방식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 파라미터들이 캘리브레이션되었다고 가정한다. 두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두 카메라 축들 사이의 거리인 베이스라인(baseline)은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나머지 카메라 파라미터들은 고정되거나 또는 베이스라인 설정치가 변동하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시차 맵 생성부(12)는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에서 획득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특징점을 획득하고,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시차 히스토그램은 가로축 상에 시차 값을 최대 음시차부터 최대 양시차까지 배열하고 세로축 상에 각각의 시차 값을 가지는 픽셀들의 개수를 배치하여 얻은 그래프이고,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형태이다.
도 2의 시차 히스토그램은 영시차 영역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차 값마다 픽셀들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 음시차 영역에서 하나의 크고 완만한 로컬 피크(local peak)가 있고 양시차 영역에도 하나의 큰 로컬 피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로컬 피크들이 이 시차 히스토그램의 특징점이 될 수 있다.
시차 히스토그램의 특징점은 실시예에 따라, 최대 피크에 해당하는 최빈 시차 값일 수 있고, 또는 평균 시차 값일 수도 있으며, 그 밖에 여러 통계적 기법에 따라 획득된 하나의 시차 값일 수 있다.
도 2의 시차 히스토그램에서 특징점이 최대 피크이면 약 -2의 음시차 값에 상응할 것이다.
시차 히스토그램을 시각적 피로도와 연계하여 분석하면 다음 도 3와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낮은 시각적 피로도와 적절한 입체감을 함께 가지는 보정 구간들을 예시한 시차-피로도 곡선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차-피로도 곡선은 입체 물체들의 평균 시차가 음시차부터 양시차까지 분포되도록 미리 준비된 다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을 피험자들에게 보여주고 피험자들이 응답한 시각적 피로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곡선이다.
시각적 피로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끼고 정량적으로 정의된 수치는 아니지만, 가장 약한 피로도를 1, 가장 심한 피로도를 5로 놓았을 때에, 피험자들이 주관적으로 느낀 피로도를 통계화한 결과는 어느 정도 경향성을 보일 수 있다.
도 3에서, 시차-피로도 곡선은 영시차 점을 중심으로 하는 영시차 영역과 음시차 영역 및 양시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영시차 영역의 좌우 외곽에는 제1 및 제2 보정 구간이 있다.
영시차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피험자들은 시각적 피로도를 거의 느끼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는데, 실제로 이러한 영시차 영역에서는 양안 시차가 없기 때문에 입체감 자체가 거의 없다. 만약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내의 입체 물체들이 주로 영시차 영역에 존재한다면, 시각적 피로도는 거의 없을 것이지만 대신에 입체감이 문제된다.
음시차 영역에서는, 음시차의 크기가 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일수록 피험자들이 응답한 시각적 피로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양시차 영역에서는 양시차의 크기가 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일수록 피험자들이 응답한 시각적 피로도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도 3의 시차-피로도 그래프에 따르면, 입체감은 음시차 또는 양시차가 커지면서 증가하지만 시각적 피로도도 함께 증가한다는 점을 알 수 있고, 또한 입체감과 시각적 피로도 사이에서 적절히 절충할 수 있는 구간, 즉 보정 구간이 존재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찰에 따라, 영시차 영역 외곽에는, 음시차 영역 쪽에 제1 보정 구간과 양시차 영역 쪽에 제2 보정 구간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히스토그램에서 산출되는 평균 시차 값, 또는 최다 빈도(최대 피크)의 시차와 같은 특징점은 음시차 값을 가지거나 양시차 값을 가질 수 있다. 특징점이 정확히 영시차에 상응할 경우에는 음시차 또는 양시차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의 시차 히스토그램의 경우에, 최대 피크인 특징점은 음시차 값 -2를 가지는데, 도 3의 시차-피로도 그래프에 따르면, -2 정도의 음시차 값은 시각적 피로도를 거의 유발하지 않지만 입체감도 거의 없는 영시차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이 시청자에게 보여질 경우에 입체감이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반면에, 만약 특징점이 음시차 값 -30을 가진다면, 도 3의 시차-피로도 그래프에 따르면 -30의 음시차는 일부 시청자들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으며 제1 보정 구간을 벗어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이 시청자에게 보여질 경우에 시각적 피로도를 유발할 것으로 보고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다시 산출한다.
이때, 베이스라인 보정부(13)가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는 베이스라인과 영시차 영역 사이의 관계에 따라 커지는 쪽으로 산출되거나 또는 작아지는 쪽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라인과 영시차 영역의 관계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카메라 축 사이의 간격인 베이스라인과 영시차 영역(수렴 영역 또는 주시선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음) 사이의 관계는 베이스라인이 줄어들면 영시차 영역까지 거리가 줄어드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시차 영역까지의 거리는 축적이 맞지 않고 다소 과장되어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할 경우에, 베이스라인이 줄어들면, 물체의 이미지는 심한 음시차 영역에 속하였다가 점점 영시차 영역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심한 음시차 영역에서 촬상되었던 물체가 베이스라인이 줄어들면 음시차가 줄어들면서 영시차 영역에 가깝게 촬상될 수 있다. 영시차 영역에서 촬상되었던 물체는 베이스라인이 늘어나면 음시차가 커지면서 음시차 영역에 속하도록 촬상될 수 있다.
반대로, 심한 양시차 영역에서 촬상되었던 물체는 베이스라인이 늘어나면 양시차가 줄어들면서 영시차 영역에 가깝게 촬상될 수 있다. 영시차 영역에서 촬상되었던 물체는 베이스라인이 줄어들면 양시차가 커지면서 양시차 영역에 속하도록 촬상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이런 식으로 베이스라인 보정부(13)가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는 베이스라인과 영시차 영역 사이의 관계에 따라 커지는 쪽으로 산출되거나 또는 작아지는 쪽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영시차 영역 외곽의 음시차 영역에 설정된 제1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획득된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을 벗어난 심한 음시차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줄이고,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을 벗어나 영시차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늘이며, 특징점이 제1 보정 구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획득된 특징점이 제2 보정 구간을 벗어난 심한 양시차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특징점이 제2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늘리고, 특징점이 제2 보정 구간을 벗어나 영시차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특징점이 제2 보정 구간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줄이며, 특징점이 제2 보정 구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베이스라인 조절부(14)는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에서 베이스라인을 조절하여 시차 히스토그램이 보정되는 모습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t=1일 때에 베이스라인 설정치는 30 cm이고,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에 따른 시차 히스토그램은 특징점이 심한 음시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25 cm로 줄인다.
t=2일 때에 줄어든 베이스라인 설정치 25 cm에 따라 다시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에 따른 시차 히스토그램에서는 특징점의 음시차 값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특징점은 여전히 시각적 피로도가 적으면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보정 구간에 속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20 cm로 더 줄인다.
t=3일 때에 더 줄어든 베이스라인 설정치 20 cm에 따라 다시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에 따른 시차 히스토그램에서는 특징점의 음시차 값이 크게 완화되었고, 특징점은 시각적 피로도가 적으면서 충분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제1 보정 구간에 속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유지한다.
t=4일 때에 베이스라인 설정치 20 cm에서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에 따른 시차 히스토그램에서 특징점은 양시차 값이면서 영시차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내에 주된 입체 물체의 입체감은 거의 사라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다시 15 cm로 줄인다.
t=5일 때에 더 줄어든 베이스라인 설정치 15 cm에 따라 다시 촬영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차 맵에 따른 시차 히스토그램에서는 특징점의 양시차 값이 좀더 커졌고, 특징점은 시각적 피로도가 적으면서 충분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제2 보정 구간에 속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베이스라인 보정부(13)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은, 단계(S61)에서,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10)가,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된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단계(S62)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10)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S63)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10)가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S63)은,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영시차 영역 외곽의 음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63)는,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64)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10)가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11)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11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
12 시차 맵 생성부
13 베이스라인 보정부
14 베이스라인 조절부

Claims (7)

  1.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에서 획득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하는 시차 맵 생성부;
    상기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보정부; 및
    상기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하는 베이스라인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라인 보정부는, 피험자에 의해 나타나는 통계적 시차 및 피로도 관계에서,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에 인접한 음시차 영역에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시각 피로도를 갖는 제1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시각 피로도를 갖는 제2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가, 소정의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이격된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들로부터 시차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차 맵에서 생성된 시차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획득된 특징점이 영시차 영역 외곽에 설정된 보정 구간 내에 놓이도록 만드는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베이스라인 설정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들의 베이스라인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피험자에 의해 나타나는 통계적 시차 및 피로도 관계에서,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음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음시차 영역에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시각 피로도를 갖는 제1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획득된 특징점이 양시차 값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영시차 영역 외곽의 양시차 영역에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시각 피로도를 갖는 제2 보정 구간 내로 특징점이 이동할 때까지 상기 베이스라인 설정치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
  5. 삭제
  6. 삭제
  7. 컴퓨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청구항 4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방법의 각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작성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50299A 2015-04-09 2015-04-09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6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99A KR101666744B1 (ko) 2015-04-09 2015-04-09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99A KR101666744B1 (ko) 2015-04-09 2015-04-09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744B1 true KR101666744B1 (ko) 2016-10-17

Family

ID=5725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299A KR101666744B1 (ko) 2015-04-09 2015-04-09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7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089A (ko) * 2012-11-13 2014-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테레오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089A (ko) * 2012-11-13 2014-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테레오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Yano, M. Emoto and T. Mitsuhashi, "Two factors in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HDTV images", Displays, Vol.25, pp.141-150(20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3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stereo images
US20110228051A1 (en) Stereoscopic Viewing Comfort Through Gaze Estimation
RU242301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тереоконтента
US8441520B2 (en) Primary and auxiliary image capture devcies for image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EP2293586A1 (en) Method and system to transform stereo content
JP487576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撮像装置
Jung et al. Visual comfort improvement in stereoscopic 3D displays using perceptually plausible assessment metric of visual comfort
US9049434B2 (en) 3D imaging device and 3D imaging method
US2014013964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KR102066058B1 (ko) 입체 디스플레이에서 조절 효과로 인한 왜곡 에러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895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im et al. Depth map quality metric for three-dimensional video
Tam et al. Stereoscopic image rendering based on depth maps created from blur and edge information
CN102006493A (zh) 一种3d视频图像的视差调节方法及装置
TWI589150B (zh) 3d自動對焦顯示方法及其系統
US10554954B2 (en) Stereoscopic focus point adjustment
KR101666744B1 (ko) 시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34225B1 (ko) 다시점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747929B1 (ko) 입체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93042B2 (en) Foreground and background detection in a video
US9591290B2 (en) Stereoscopic video generation
JP5838775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41403A (ko) 픽셀별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3d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tanassov et al. 3D image processing architecture for camera phones
US9674500B2 (en) Stereoscopic depth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