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59B1 -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59B1
KR101665259B1 KR1020150100296A KR20150100296A KR101665259B1 KR 101665259 B1 KR101665259 B1 KR 101665259B1 KR 1020150100296 A KR1020150100296 A KR 1020150100296A KR 20150100296 A KR20150100296 A KR 20150100296A KR 101665259 B1 KR101665259 B1 KR 10166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rrent
test box
rectifi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상
Original Assignee
공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621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652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공영상 filed Critical 공영상
Priority to KR102015010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 G01R15/16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measuring electrostatic potential, e.g. with electrostatic voltmeters or electrometers, when the design of the sensor is essen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과 희생전극이 존재하고, 상기 가스배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희생전극에서 공급되는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가 존재하며,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 가운데 상기 희생전극과 연결되는 아노드선과 상기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선을 구별하며, 구별된 상기 아노드선과 상기 희생전극의 단선여부 및 상기 배관선과 상기 가스배관의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에 있어서, (a)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되어 지상에 노출된 배관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그 중 제1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되,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아래 (c) 단계로 이동하고,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아래 (d)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나머지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나머지 제2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METHOD FOR JUDGING SOUNDNESS OF TESTBOX}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의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박스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스트박스는 노면에 설치되고, 가스배관과 리드선으로 연결된 접속단자를 수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가스배관의 방식전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등의 수송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된 가스배관은 통상 철계의 금속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스배관은 부식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폴리에텔렌 등의 합성수지로 코팅을 하게 되며, 전기 화학 반응의 결과인 부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전기방식(電氣防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금속배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방식설비는 토양으로부터 배관을 절연하기 위한 코팅과 함께 배관보다 부식이 잘되는 희생양극을 도선으로 배관과 연결하여 배관을 방식하거나 외부에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배관을 방식하고 있다.
도 1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아노드선과 배관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가스배관의 방식전위값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아노드선이 희생전극에 그리고, 배관선이 가스배관에 제대로 연결이 되어 있다면, 법적인 방식전위값인 -850mVcse 이하 기준을 만족하도록 테스트박스의 방식전위값이 측정될 것이다.
도 2는 아노드선이 단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아노드선을 배관선에 임의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배관선이 단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배관선을 아노드선에 임의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경우에 아노드선의 단선 또는 배관선의 단선으로 가스배관에 방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테스트박스에서 방식전위를 측정하게 되면, 법으로 정해진 방식전위값인 -850mVcse 이하를 만족하도록 측정되어, 테스트박스에서의 방식전위측정만으로는 건전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테스트박스가 설치된 지하의 땅을 모두 굴삭하여 아노드선과 배관선의 연결의 건전성을 파악하는 것도 매우 어렵고 비경제적인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고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아노드선과 배관선이 각각 희생전극 그리고 가스배관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아노드선과 배관선을 구별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 중 아노드선과 배관선을 구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외부전원법에 의한 방식구조에 있어서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배관선이 가스배관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과 희생전극이 존재하고, 상기 가스배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희생전극에서 공급되는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가 존재하며,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 가운데 상기 희생전극과 연결되는 아노드선과 상기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선을 구별하며, 구별된 상기 아노드선과 상기 희생전극의 단선여부 및 상기 배관선과 상기 가스배관의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에 있어서,
(a)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되어 지상에 노출된 배관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그 중 제1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되,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아래 (c) 단계로 이동하고,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아래 (d)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나머지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나머지 제2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노출된 배관은 지구정압기의 배관 또는 지역정압기의 배관 또는 가스차단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상기 제1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 단계 이후, On/off 전류가 확인된 하나의 선에 제2 정류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공급하며, 인접한 제2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각 선에 상기 제2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의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은 지하를 굴삭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된 아노드선과 배관선의 건전성 즉, 아노드선이 희생전극과 그리고 배관선이 가스배관과 제대로 연결되어 가스배관의 방식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테스트박스 내의 구분이 어려운 아노드선과 배관선 또한 이를 용이하게 구별해 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전원법에 의한 방식구조에 있어서도 배관선의 단선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아노드선과 배관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가스배관의 방식전위값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아노드선이 단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아노드선을 배관선에 임의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배관선이 단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배관선을 아노드선에 임의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류기로부터의 on/off 전류가 정압기 및 가스배관을 거쳐 테스트박스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류기로부터의 on/off 전류가 테스트박스 및 가스배관을 거쳐 제2 테스트박스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희생양극을 도선으로 배관과 연결하여 배관을 방식하는 경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배관선의 가스배관과의 연결상태 및 희생전극과 아노드선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테스트박스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아노드선은 희생양극으로부터 인출되어 테스트박스에 연결되는 것이고, 배관선은 가스배관으로부터 인출되어 테스트박스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아노드선과 배관선은 지중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각 도선의 단선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테스트박스에 노출된 아노드선과 배관선 각각을 구별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아노드선과 배관선 각각을 구별하고, 구별된 아노드선이 희생전극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그리고 배관선이 가스배관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테스트박스의 건전성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아노드선과 배관선이 각각 희생전극 그리고 가스배관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류기로부터의 on/off 전류가 정압기 및 가스배관을 거쳐 테스트박스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압기는 가스의 압력을 고압에서 중압, 중압에서 저압으로 감압하여 사용기구에 적당한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체의 시스템을 말하며, 지구정압기와 지역정압기를 포함한다. 지구정압기는 가스공사에서 각 지역에 공급하는 가스를 최초로 받아 지역정압기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압기의 배관또는 정압기 일부는 가스배관과 직접 연결되어 지상에 노출되어 있다. 지상에 노출된 정압기 또는 정압기의 일부에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이러한 전류는 가스배관에 전달되게 된다.
정류기를 통한 전류의 공급 매체로 정압기를 선택하게 된 것은, 정압기의 배관이 지상으로 노출되고, 가스배관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압기에 on/off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on/off 전류가 가스배관으로 제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정압기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된 테스트박스에서는 테스트박스 내의 2선을 분리하고, 각각을 연결해가며 가스배관을 통과한 on/off 전류가 확인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테스트박스 내의 2개의 선 중 분리된 제1 선 또는 제2 선에서 on/off 전류가 확인이 된다면 on/off 전류가 확인된 선은 가스배관과 연결된 배관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선 모두에서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배관선이 가스배관과 단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박스 내의 2개의 선 중 선택된 하나의 선에서 on/off 전류가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나머지 하나의 선에서 on/off 전류를 확인하게 된다. 나머지 하나의 선에서 on/off 전류가 확인이 된다면 on/off 전류가 확인된 선이 배관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선에서도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배관선이 가스배관에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가스배관의 방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테스트박스 내의 제1 선에서 on/off 전류가 확인이 된다면 제1 선은 배관선 그리고 나머지 제2 선은 아노드선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이때, 제2 선인 아노드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선인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아노드선이 희생전극에 제대로 이어져 있다면 전위계에 측정되는 전위는 -1600mVcse 에서 ?1750mVcse 이하의 전위값이 측정될 것이고, 아노드선이 단락일 경우 아노드선(구리) 전위값이 측정될 것이다. 전위측정기에 측정되는 전위가 -200mVcse 이상이라면 아노드선이 희생전극에 재대로 연결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은 아노드선과 배관선을 구별하고, 아노드선이 희생전극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그리고 배관선이 가스배관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시한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과 희생전극이 존재하고, 가스배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희생전극에서 공급되는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가 존재하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 가운데 희생전극과 연결되는 아노드선과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선을 구별하며, 구별된 아노드선과 희생전극의 단선여부 및 배관선과 가스배관의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이다. 이때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은 아래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가스배관이 연결된 지상노출 배관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지상노출 배관은 지구정압기의 배관 또는 지역정압기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지구정압기의 배관 또는 지역정압기의 배관은 가스배관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그 중 하나의 선인 제1 선에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고,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제1 선이 배관선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2 선이 아노드선으로 추측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아노드선이 희생전극에 잘 연결되어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나머지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측정된 전위로부터 제2 선인 아노드선의 연결여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나머지 제2 선에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고, 제2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제2 선을 배관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2 선이 배관선이라 판단되면 자연스럽게 제1 선은 아노드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제1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아노드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류기로부터의 on/off 전류가 테스트박스 및 가스배관을 거쳐 제2 테스트박스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테스트박스의 건전성 판단방법은 정압기 근접한 테스트박스 및 나아가 정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테스트박스의 건전성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정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테스트박스의 건전성은 정압기로 전송되는 on/off 전류의 크기를 크게하여 멀리 떨어진 테스트박스에서 on/off 전류의 수신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On/off 전류가 확인된 하나의 선에 제2 정류기를 연결하고, 제2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공급하며, 인접한 제2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각 선에 상기 제2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여 제2 테스트박스의 건전성도 파악할 수 있다. 즉 테스트박스 내 On/off 전류가 확인된 선은 배관선이며, 이러한 배관선에 다시 제2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공급하고, 인접한 제2 테스트박스에서 On/off 전류의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한 공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스배관의 방식을 위한 희생전극법이 적용된 구조에 있어서, 테스트박스의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스배관의 방식을 위한 외부전원법이 적용된 방식구조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겠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일단, 지하에 가스배관 및 외부전원법에 의하여 가스배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금속이 매설되어 있고, 지상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전원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지상에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테스트박스에는 배관선이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배관선의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행단계는 상술한 희생전극법에 의한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지하에 매설된 가스배관과 희생전극이 존재하고, 상기 가스배관을 방식하기 위하여 상기 희생전극에서 공급되는 방식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전위측정용 테스트박스가 존재하며,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 가운데 상기 희생전극과 연결되는 아노드선과 상기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선을 구별하며, 구별된 상기 아노드선과 상기 희생전극의 단선여부 및 상기 배관선과 상기 가스배관의 단선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에 있어서,
    (a)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되어 지상에 노출된 배관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그 중 제1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되,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아래 (c) 단계로 이동하고,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아래 (d) 단계로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나머지 제2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나머지 상기 제2 선에 상기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배관은 지구정압기의 배관 또는 지역정압기의 배관 또는 가스차단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선에 on/off 전류가 확인되면, 상기 제1 선에 전위계를 연결하여 전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On/off 전류가 확인된 하나의 선에 제2 정류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정류기를 통하여 on/off 전류를 공급하며, 인접한 제2 테스트박스에 수용된 2개의 선을 분리하고, 각 선에 상기 제2 정류기에 의한 on/off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0296A 2015-07-15 2015-07-15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KR10166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96A KR101665259B1 (ko) 2015-07-15 2015-07-15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96A KR101665259B1 (ko) 2015-07-15 2015-07-15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59B1 true KR101665259B1 (ko) 2016-10-11

Family

ID=5716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96A KR101665259B1 (ko) 2015-07-15 2015-07-15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01B1 (ko) * 2021-05-07 2021-10-14 (주)대륜이엔에스 지역정압기 소규모 전용 정류기 시스템
KR102353888B1 (ko) * 2021-09-13 2022-01-21 (주)케이피디글로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매설 배관을 탐지함과 동시에 전위측정용 터미널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306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삼천리 무선전기방식측정기를 이용한 방식상태 진단방법
KR20090047279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지하철 주변 누설전류 저감용 분산형 외부전원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20100123042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KR101480781B1 (ko) * 2013-04-16 2015-01-09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306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삼천리 무선전기방식측정기를 이용한 방식상태 진단방법
KR20090047279A (ko) * 2007-11-07 2009-05-12 한국전기연구원 지하철 주변 누설전류 저감용 분산형 외부전원 시스템 및그의 동작방법
KR20100123042A (ko) * 2009-05-14 2010-11-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가스배관의 방식상태 진단용 전류/전위 감시장치
KR101480781B1 (ko) * 2013-04-16 2015-01-09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01B1 (ko) * 2021-05-07 2021-10-14 (주)대륜이엔에스 지역정압기 소규모 전용 정류기 시스템
KR102353888B1 (ko) * 2021-09-13 2022-01-21 (주)케이피디글로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매설 배관을 탐지함과 동시에 전위측정용 터미널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
WO2023038376A1 (ko) * 2021-09-13 2023-03-16 (주)케이피디글로벌 교류 전류를 이용하여 매설 배관을 탐지함과 동시에 전위측정용 터미널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5997A (zh) 埋地金属管道安全保护方法
KR101665259B1 (ko) 테스트박스 건전성 판단방법
US2017035909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ide manhole
KR100888392B1 (ko) 매설 가스배관 케이싱의 가스누설 검지용 파이프 설치구조
US20190219624A1 (en) Buried gas pipeline multi-measurement device
US6218840B1 (en) Apparatus allowing continuous radio detection of underground utilities while maintaining cathodic isolation
US11095101B2 (en) Repurposing pipeline for electrical cable
Leeds et al. Cathodic protection
Hilleary et al. Corrosion rate monitoring in pipeline casings
Britton Ageing Subsea Pipelines External Corrosion Management
KR101445095B1 (ko) 독립전원을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의 부식방지 원격 감시 및 측정 장치
KR20110114251A (ko) 위치 탐사선 및 이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지중 매설용 파이프
JP2006275623A (ja) 接地抵抗測定方法
Huck Linear Anode for Pipeline Rehabilitation–Thirty Years Later
Smith et al. Large-diameter transmission pipeline corrosion control state-of-the-art: advances in the steel water pipe industry
Lindemuth et al. Cathodic Protection Of Pipe Encapsulated In Polyethylene Film
KR200471757Y1 (ko) 매설관 손상 위치 감지를 위한 감지 테이프
Долгих et al. Cathodic Protection of Oil-Well Casings: a Study Guide
Didas Pract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Burled Coupons Utilized For Ir Drop Measurements
Kemp et al. Minimizing HVAC Interference on Pipelines Through Transmission Line Design Optimization
Daily et al. Cathodic Protection System Upgrade Project at Catawba Nuclear Station
Sirol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 Induced AC Current Corrosion Mitigation Design, Materials, Installation and Monitoring Technologies
Dutta et al. Corrosion management challenges of non-piggable pipelines, sections & dead legs
Holtsbaum Stray currents in underground corrosion
Glazov Peculiarities of the corrosion protection of steel underground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05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408

Effective date: 202112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2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121

Effective date: 2023051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051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607

Effective date: 202308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3000008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911

Effective date: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