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469B1 -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469B1
KR101664469B1 KR1020150021832A KR20150021832A KR101664469B1 KR 101664469 B1 KR101664469 B1 KR 101664469B1 KR 1020150021832 A KR1020150021832 A KR 1020150021832A KR 20150021832 A KR20150021832 A KR 20150021832A KR 101664469 B1 KR101664469 B1 KR 10166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ference
terminals
valu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405A (ko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4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8Automatic changing of the traffic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a) 복수개의 단말들 및 AP가 각각 선택한 난수를 이용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중 소정의 단말 또는 상기 AP가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된 것을 감지한 경우 선순위측이 되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또는 상기 AP가 상기 선순위측의 상기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 후순위측이 되어 간섭 매트릭스(Si,j) 값 중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매트릭스(Si,j)는 단말 i가 단말 j의 신호를 수신할 때의 평균 간섭 세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A signal interference between terminals preventing method in full-duplex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단말 및 AP 중 데이터 전송 개시 선순위측을 판별하여 선순위측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 후에, 소정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개시 후순위측이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모바일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이동통신망의 무선전송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 단일채널 전이중 방식(Single-Channel Full-Duplex, FD) 통신은 무선전송 용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통신 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특정 시간-주파수에서 한 노드가 전송 또는 수신 중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하는 반이중 방식(Half-Duplex, HD) 통신을 가정하고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각각 별도의 무선 자원을 사용한다. 반면, 전이중 방식 통신은 노드가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에서 다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뜻한다.
동일 무선 자원을 사용해 상하향링크 전송을 모두 수행하므로, 전이중 방식 통신은 현재의 HD 방식 대비 무선링크의 전송 용량을 최대 2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무선망에서 같은 셀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시간 슬롯 등 직교하는(orthogonal) 무선자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이들 간의 간섭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이중 방식 기반의 무선망에서는 셀 내에서도 사용자 단말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이중 방식 기반 무선망에서 통신시 단말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복수개의 단말들(100-1, 100-2, 100-X) 및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가 제1 및 단말 2(100-2)(100-1, 100-2)과 각각 상향 및 하향 통신을 할 경우, 동일 주파수에서 단말 1(100-1)의 전송과 단말 2(100-2)의 수신이 이루어지므로 단말 1(100-1)이 전송한 신호가 단말 2(100-2)에게 간섭으로 작용한다.
만일 두 단말이 서로 가까운 거리에 있을 경우 이러한 간섭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서로 간섭이 작은 단말과의 통신뿐 아니라, 단말간 간섭 가능성이 있는 광범위의 단말 간에서도 안정적으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시 액세스 포인트와 복수개의 단말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특허문헌 1) KR10-2014-0010377 A
(특허문헌 2) KR10-2011-0060304 A
본 발명의 목적은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단말 또는 AP가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선순위측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면, 간섭 매트릭스 값 중 소정의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개시 후순위측이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함으로써 단말간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은 (a) 복수개의 단말들 및 AP가 각각 선택한 난수를 이용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중 소정의 단말 또는 상기 AP가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된 것을 감지한 경우 선순위측이 되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또는 상기 AP가 상기 선순위측의 상기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 후순위측이 되어 간섭 매트릭스(Si,j) 값 중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매트릭스(Si,j)는 단말 i가 단말 j의 신호를 수신할 때의 평균 간섭 세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이 타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단말의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AP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단말이 상기 선순위측으로 된 경우, 상기 선택된 난수의 시간동안 상기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단말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AP가 상기 소정의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 상기 최소값 또는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하향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단말간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상기 최소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c-2) 단말간 간섭 매트릭스가 상기 AP와의 간섭 매트릭스보다 소정의 갭 이상 더 높은 경우,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상기 (c-2) 단계는 순차적 간섭 제거를 통해 상기 소정의 단말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 전송된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AP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AP가 상기 선순위측으로 된 경우, 상기 AP의 전송을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이 상기 AP가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이 상기 AP가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에 대한 간섭 세기 최대값과 최소값으로부터 새로운 값을 산출하고, 각각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산출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 중 상기 생성한 난수값이 상기 산출값보다 작은 단말 i가 데이터를 상기 AP에 상향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은 상기 단말 i가 제1 수학식(a / min_j{Si,j}, a는 상수) 및 제2 수학식(a * max_j{Si,j}, a는 상수)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수학식의 계산 결과값 중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i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단말간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상기 최소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c-2) 상기 AP와의 간섭 매트릭스가 단말간 간섭 매트릭스보다 소정의 갭 이상 더 높은 경우,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상기 (c-2) 단계는 순차적 간섭 제거를 통해 상기 AP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 전송된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단말 i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서로 간섭이 작은 단말 과의 통신만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단말간 간섭 가능성이 있는 광범위의 단말 간에서도 안정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시 액세스 포인트와 복수개의 단말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수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이중 방식 기반 무선망에서 통신시 단말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단말 1(100-1)이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단말 1(100-1)이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AP)는 연결된 단말 간의 간섭에 대한 영향을 간섭 매트릭스(S)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즉, 간섭 매트릭스(Si,j)의 엘리먼트 Si,j 는 단말 i가 단말 j의 신호를 수신할 때의 평균 간섭 세기를 의미한다.
이 때, 단말 0는 액세스 포인트(AP)를 의미하므로, 간섭 매트릭스(Si,0)는 단말 i가 액세스 포인트(AP)의 신호를 수신할 때의 평균 간섭 세기이다.
이러한 정보의 취득을 위해 복수개의 단말들은 타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S101), 자신이 측정한 타단말의 신호 세기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AP)에게 보고한다(S102).
이때, 단말이 보고하지 않은 다른 단말의 정보는 특정 임계치로 설정한다.
즉, 단말 i가 단말 j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해 이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간섭 매트릭스(Si,j)를 특정 임계치(기본 하한값)로 설정하게 된다.
그후에,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AP) 중 보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03).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 복수개의 단말들 및 AP가 각각 선택한 난수를 이용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104).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된 것을 감지한 경우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105). 이러한 동작을 통해 무선채널에서 가장 먼저 전송을 시작한 단말 또는 AP가 데이터 전송 개시 선순위측이 된다.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AP) 중 데이터 전송 개시 후순위측이 선순위측의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S106), 간섭 매트릭스(Si,j) 값 중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한다(S107).
후순위측이 선택된 단말에 데이터를 하향 전송하거나 액세스 포인트(AP)에 상향 전송한다(S108).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단말 1(100-1)이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6)에서 단말 1(100-1)이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말 1(100-1)이 먼저 상향전송을 시작하고 액세스 포인트(AP)가 일정 시간 후에 전이중 방식을 위한 하향전송을 시작하는 경우, 연결된 단말 중 먼저 상향전송을 수행할 단말 1(100-1)의 결정은 기존 링크계층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IEEE 802.11 무선랜의 경우, 복수개의 단말들이 단말 별로 난수(random number)를 선택해(S110) 그 숫자의 시간동안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120).
단말 1(100-1)은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감소되어 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만일,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한 경우에는 단말 1(100-1)은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140).
액세스 포인트(AP)가 단말 1(100-1)의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S150), 간섭 매트릭스(S)의 간섭 매트릭스(Si,1)값 중 경합하여 가장 낮거나 가장 높은 값을 갖는 단말인 단말 2(100-2)을 선택하여(S160) 하향전송을 수행한다(S180).
이때, 액세스 포인트(AP)가 가장 낮은 간섭 매트릭스(Si,1)를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S170)에는 단말 1(100-1)이 단말 2(100-2)에게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반면, 가장 높은 간섭 매트릭스(Si,1)를 갖는 단말을 단말 2(100-2)로 선택하는 경우(S175)에는 간섭 매트릭스(S2,0)보다 간섭 매트릭스(S2,1)가 일정 갭 이상 더 높아야 한다.
이는 단말 2(100-2)이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한 신호보다 단말 1(100-1)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더 강하여 단말 1(100-1)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한 후에(S176) 순차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를 통해 이를 수신 신호에서 제거해 액세스 포인트(AP)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S177)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간섭 매트릭스(Si,1)중 가장 낮은 값을 갖는 단말, 또는 가장 높은 값을 갖는 단말, 또는 이 두 경우의 단말들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이들 중 랜덤하게 한 단말을 선택하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 스케줄러의 서비스 품질, 총 이득 등의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3)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를 나타낸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의 동작 중 단계(S103)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선순위측으로 판별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액세스 포인트(AP)가 먼저 하향전송을 시작하고(S210) 단말 1(100-1)이 일정 시간 후에 전이중 방식을 위한 상향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의 전송을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은 액세스 포인트(AP) 전송의 목적 단말인 단말2를 먼저 파악한다(S220).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 중 단말 i의 경우 제1 수학식(a / min_j{Si,j}, a는 상수) 및 제2 수학식(a * max_j{Si,j}, a는 상수)을 계산한 후에 이 두 값중 최대값을 산출한다(S230).
이 후 단말은 소정의 범위, 예를 들어 [0, 1]의 범위에서 난수를 선택하고(S240), 상기 산출값과 난수를 비교한다(S250).
난수가 상기 산출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단말 i는 AP로 상향전송을 수행하고(S260), 그렇지 않으면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단말 2(100-2)에 가장 높거나 가장 낮은 간섭을 주는 단말 1(100-1)이 상향전송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즉, 단말간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최소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므로, 단말 2(100-2)이 단말 1(100-1)로부터 수신한 신호보다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더 강하여 액세스 포인트(AP)의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말간 가장 높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므로, 단말 2(100-2)가 단말 1(100-1)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한 신호보다 더 강하여 단말2(100-2)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한 후에 순차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를 통해 이를 수신 신호에서 제거해 AP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단말 및 AP 중 선순위측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면, 이를 수신한 단말 또는 AP가 선순위측을 감지하여 간섭 매트릭스 값 중 소정의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개시 후순위측이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함으로써 단말간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에서 서로 간섭이 작은 단말 과의 통신만 가능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단말간 간섭 가능성이 있는 광범위의 단말 간에서도 안정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시 액세스 포인트와 복수개의 단말간 통신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수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수정 또는 치환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00-1, 100-2, 100-X: 복수개의 단말들
AP: 액세스 포인트

Claims (9)

  1. (a) 복수개의 단말들 및 AP가 각각 선택한 난수를 이용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중 소정의 단말 또는 상기 AP가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된 것을 감지한 경우 선순위측이 되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 또는 상기 AP가 상기 선순위측의 상기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 후순위측이 되어 간섭 매트릭스(Si,j) 값 중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하향 또는 상향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매트릭스(Si,j)는 단말 i가 단말 j의 신호를 수신할 때의 평균 간섭 세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이 타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타단말의 신호 세기 정보를 상기 AP에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단말이 상기 선순위측으로 된 경우, 상기 선택된 난수의 시간동안 상기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단말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AP가 상기 소정의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면, 상기 최소값 또는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여 하향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단말간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상기 최소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c-2) 단말간 간섭 매트릭스가 상기 AP와의 간섭 매트릭스보다 소정의 갭 이상 더 높은 경우,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순차적 간섭 제거를 통해 상기 소정의 단말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 전송된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AP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AP가 상기 선순위측으로 된 경우,
    상기 AP의 전송을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이 상기 AP가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이 상기 AP가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에 대한 간섭 세기 최대값과 최소값으로부터 새로운 값을 산출하고, 각각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산출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복수개의 단말들 중 상기 생성한 난수값이 상기 산출값보다 작은 단말 i가 데이터를 상기 AP에 상향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i가 제1 수학식(a / min_j{Si,j}, a는 상수) 및 제2 수학식(a * max_j{Si,j}, a는 상수)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학식의 계산 결과값 중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i가 난수를 생성하고 상기 최대값과 비교하는 단계;
    를 통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단말간 가장 낮은 간섭을 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상기 최소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c-2) 상기 AP와의 간섭 매트릭스가 단말간 간섭 매트릭스보다 소정의 갭 이상 더 높은 경우, 상기 최대값의 간섭 매트릭스 값을 갖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AP의 신호를 먼저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 전송된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단말 i의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KR1020150021832A 2015-02-12 2015-02-12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KR10166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32A KR101664469B1 (ko) 2015-02-12 2015-02-12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32A KR101664469B1 (ko) 2015-02-12 2015-02-12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05A KR20160099405A (ko) 2016-08-22
KR101664469B1 true KR101664469B1 (ko) 2016-10-10

Family

ID=5685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32A KR101664469B1 (ko) 2015-02-12 2015-02-12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4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27B1 (ko) 2002-03-07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8301075A (ja) 2007-05-30 2008-12-11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82B1 (ko) * 1999-10-30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우선순위를 고려한 백오프 알고리즘을 이용한 충돌 방지 프로토콜
KR20040009810A (ko) * 2002-07-26 2004-01-31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환경 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1301298B1 (ko) 2009-11-30 2013-08-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중 방식의 무선 중계기 및 그의 전자기파 수준의 간섭 제거 방법
US9288812B2 (en) 2011-02-09 2016-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void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27B1 (ko) 2002-03-07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8301075A (ja) 2007-05-30 2008-12-11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405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8900B2 (en) Enhanced RTS/CTS enablement and detection
US93985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EP3592078B1 (en) Channel aware resource allocation
EP409613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88390B1 (ko) 빔을 복원하기 위한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JP5029512B2 (ja) 基地局装置、無線通信管理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418929B2 (ja) 伝送モードを決定する方法、装置、および端末
US20150063189A1 (en) Adaptive rts/cts in high-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s
CN110856270B (zh) 一种信道接入侦听方法和终端设备
US10819494B2 (en)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in full duplex system
US101429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response rules
EP3403361A2 (en) Dynamic channel selection for neighbor aware network (nan) data link (ndl)
JP6350837B2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端末
US20180263038A1 (en) Transmission power in adaptive cca and tpc based reuse
US1149695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terminal
US106024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2088527B1 (ko)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664469B1 (ko) 전이중 방식 무선 통신망의 단말간 신호 간섭 방지 방법
US11716758B2 (en) Receiver assisted transmitter sensing for channel access
CN112236954B (zh) 用于高效链路重配置的客户端设备、网络接入节点和方法
Yoon et al. A probabilistic medium access scheme for D2D terminals to improv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f FlashLin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